KR0138567Y1 - 자동차 전조등의 점등경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전조등의 점등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567Y1
KR0138567Y1 KR2019960019331U KR19960019331U KR0138567Y1 KR 0138567 Y1 KR0138567 Y1 KR 0138567Y1 KR 2019960019331 U KR2019960019331 U KR 2019960019331U KR 19960019331 U KR19960019331 U KR 19960019331U KR 0138567 Y1 KR0138567 Y1 KR 013856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lop
flip
lighting
head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93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1999U (ko
Inventor
백영환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193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567Y1/ko
Publication of KR98000199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199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56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567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9/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signal devices not provided for in one of main groups B60Q1/00 - B60Q7/00, e.g. haptic signalling
    • B60Q9/001Alarm devices when the motor is stopped and the lights are 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전조등이 점등된 채로 방치되지 않도록 경보하여 배터리방전을 방지하도록 하는 자동차 전조등의 점등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조등의 점등신호(a)와 도어록의 잠금신호(b)를 논리곱하는 앤드게이트회로(10)와, 상기 앤드게이트회로(10)의 출력신호를 클럽신호로 하고, 이그니션신호(c)를 입력신호로 하며, 비상등(42)의 접등신호(d)로 리셋되는 플립플롭(20)과, 상기 플립플롭(20)의 출력단(Q)에 접속되는 전류증폭부(30)와, 상기 전류증폭부(30)의 출력단에 접속되는 경보부(4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조등의 점등경보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자동차 전조등의 점등경보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장치의 회로도.
제2도는 제1도의 플립플롭의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앤드게이트회로 15 : 인버터
20 : 플립플롭 30 : 전류증폭부
41 : 경보부 42 : 비상등
본 고안은 전조등의 점등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차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전조등이 점등된 채로 방치되지 않도록 경보하여 배터리 방전을 방지하도록 하는 자동차 전조등의 점등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자는 전조등을 점등한 채로 시동을 끄고 하차하는 경우가 있는데, 자동차의 전조등은 차의 시동이 걸려있는 상태에서는 재너레이터의 발전전원에 의해 전원을 공급받지만 차의 시동이 꺼져 있는 상태에서는 배터리의 전원을 공급받게 되므로, 차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서 운전자의 실수로 인하여 전조등을 점등한 채로 방치하게 되면 단시간에 배터리가 방전하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차의 시동을 끄면 전조등도 꺼지도록 한 것을 적용한 자동차도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단시간동안 조명할 때에도 차의 시동을 켜야 하므로 불편하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동차의 전조등이 켜진 상태에서 시동을 끄고 하차하여 도어록을 잠그면 경보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전조등의 점등상태를 알려주도록 하고, 도어의 잠금을 해제하거나 비상등을 켜면 경보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려는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전조등의 점등신호(a)와 도어록의 잠금신호(b)를 논리곱하는 앤드게이트회로(10)와, 상기 앤드게이트회로(10)의 출력신호를 클럭신호로 하고, 이그니션신호(c)를 입력신호로 하며, 비상등(42)의 점등신호(d)로 리셋되는 플립플롭(20)과, 상기 플립플롭(20)의 출력단(Q)에 접속되는 전류증폭부(30)와, 상기 전류증폭부(30)의 출력단에 접속되는 경보부(4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조등의 점등경보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장치의 회로도이고, 제2도는 제1도의 플립플롭(20)의 파형도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전조등의 점등신호(a)와 도어록의 잠금신호(b)를 논리곱하는 앤드게이트회로(10)와, 상기 앤드게이트회로(10)의 출력신호를 클럭단자(CK)의 신호로 하고 이그니션신호(c)를 입력단자(D)의 신호로 하며 비상등(42)의 점등신호(d)가 리셋단자(Res)에 인가되는 플립플롭(20)과, 상기 플립플롭(20)의 출력단(Q)에 접속되는 전류증폭부(30)와, 상기 전류증폭부(30)의 출력단에 접속되는 경보부(41)로 구성된다.
상기 전조등의 점등신호(a)는 전조등이 점등된 상태일 때 전조등에 공급되는 전류의 일부를 사용하고, 상기 도어록의 잠금신호(b)는 도어록이 잠금되도록 도어록스위치를 절환조작시 이 도어록스위치의 후단에 흐르는 전류 또는 도어록제어회로에서 구동되는 전류를 사용하고, 또한 상기 이그니션신호(c)는 점화스위치를 이그니션모드로 조작시 이 점화스위치의 후단에 흐르는 전류를 인버터(15)를 통해 반전시켜 사용하며, 비상등(42)의 점등신호(d)는 비상등(42)을 반복점멸시키는 프래셔의 출력전류를 사용하면 된다. 또, 상기 경보부(41)는 차임벨의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회로와 이 신호발생회로의 출력신호를 소리로 변환하는 스피커로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 플립플롭(20)의 입력단자(D), 클럭단자(CK) 및 리셋단자(Res)의 입력 신호에 따라 출력단자(Q)에서의 변동되는 파형의 일예를 제2도에 도시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전조등이 켜진 상태에서 도어록을 잠그게 되면 앤드게이트회로(10)의 출력은 하이레벨이 되고, 이 하이레벨의 신호가 플립플롭(20)의 클럭단자로 인가되면 플립플롭(20)은 이그니션신호(c)의 입력에 따라 반대되는 레벨의 신호를 출력단자(Q)로 출력하게 된다. 즉, 상기 플립플롭(20)은 전조등이 켜지고 도어록이 잠긴상태에서 시동을 끈다면 하이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고, 전조등이 켜지고 도어록이 잠긴상태에서 시동을 켠다면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플립플롭의 출력신호에 따라 전류증폭부(30)가 구동되어 경보부(41)에서 경보음이 발생토록 한다. 따라서 운전자는 전조등을 점등시킨 상태에서 하차한 것을 알 수 있게 되어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은 운전자의 의도에 의해 본 고안의 경보장치가 울리지 않고 시동을 끈 상태에서 전조등을 점등시키고자 한다면, 도어록의 잠금을 해제하거나 비상등(42)을 점등시키면 된다. 즉, 도어록을 해제하면 앤드게이트회로(10)의 출력신호가 로우레벨이 되어 플립플롭(20)은 로우레벨의 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비상등(42)을 점등시키면 비상등(42)의 점멸신호가 플립플롭(20)의 리셋단자로 인가되어 플립플롭(20)은 로우신호를 출력하게 되므로, 전류증폭부(30)는 비구동되어 경보부(41)에서는 경보음을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차의 시동을 켜면 플립플롭(20)으로 입력되는 이그니션신호(c)가 로우레벨이 되므로 이때에도 상기한 때와 동일하게 플립플롭(20)의 출력신호는 로우레벨이 되어 경보부(41)에서 경보음을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자동차의 전조등이 켜진 상태에서 시동을 끄고 하차하여 도어록을 잠그면 경보함으로써 운전자에게 전조등의 점등상태를 알려주어 배터리의 방전을 방지하도록 하는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전조등의 점등신호(a)와 도어록의 잠금신호(b)를 논리곱하는 앤드게이트회로(10)와, 상기 앤드게이트회로(10)의 출력신호를 클럭신호로 하고, 이그니션신호(c)를 입력신호로 하며, 비상등(42)의 점등신호(d)로 리셋되는 플립플롭(20)과, 상기 플립플롭(20)의 출력단(Q)에 접속되는 전류증폭부(30)와, 상기 전류증폭부(30)의 출력단에 접속되는 경보부(4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전조등의 점등경보장치.
KR2019960019331U 1996-06-29 1996-06-29 자동차 전조등의 점등경보장치 KR013856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9331U KR0138567Y1 (ko) 1996-06-29 1996-06-29 자동차 전조등의 점등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9331U KR0138567Y1 (ko) 1996-06-29 1996-06-29 자동차 전조등의 점등경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1999U KR980001999U (ko) 1998-03-30
KR0138567Y1 true KR0138567Y1 (ko) 1999-04-01

Family

ID=19460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9331U KR0138567Y1 (ko) 1996-06-29 1996-06-29 자동차 전조등의 점등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56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1999U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8567Y1 (ko) 자동차 전조등의 점등경보장치
JPH0555341B2 (ko)
KR200352271Y1 (ko) 자동차의 미등 켜짐 경보장치
JPS60124553A (ja) 自動車の盗難防止装置
KR100187471B1 (ko) 주차 브레이크 경보장치
KR910007756Y1 (ko) 자동차 램프의 점멸 경고 회로
KR200158488Y1 (ko) 리어 포그 램프 제어회로
KR970005905A (ko) 자동 경고 장치를 갖는 자동차의 헤드 라이트 스위치 장치
KR200168063Y1 (ko) 경보음을 이용한 배터리 과방전 방지장치
KR0130372Y1 (ko) 자동차의 전조등 점등 제어장치
KR0134317Y1 (ko) 자동차의 경보장치
KR970003141Y1 (ko) 자동차용 배터리 방전 경보 회로
KR19990000748U (ko) 차량의 미등 점등 경보장치
KR100222248B1 (ko) 도어 잠금장치를 이용한 밧데리 방전방지 회로
KR19990056178A (ko) 카오디오의 전조등 상태 알림장치
KR19980047769U (ko) 자동차 라이트 소등 경보장치
KR0166469B1 (ko) 자동차의 미등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35531U (ko) 자동차의 플래셔유니트
GB2083718A (en) Car lights on indicator
JPH0526694B2 (ko)
KR19980048727U (ko) 차량의 시동 제어 장치
KR19980047770U (ko) 자동차 미등 소등 경보장치
KR20020044510A (ko)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 장치
KR950021942A (ko) 마이크로 컴퓨터를 응용한 자동차 밧데리 소모 방지회로
KR19980030804A (ko) 자동차 램프 구동 전류 자동 제어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