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445Y1 - 연속식 액체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식 액체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445Y1
KR0138445Y1 KR2019960042269U KR19960042269U KR0138445Y1 KR 0138445 Y1 KR0138445 Y1 KR 0138445Y1 KR 2019960042269 U KR2019960042269 U KR 2019960042269U KR 19960042269 U KR19960042269 U KR 19960042269U KR 0138445 Y1 KR0138445 Y1 KR 01384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ration tank
filtration
pipe
raw water
continuous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226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9209U (ko
Inventor
김병희
Original Assignee
김지수
중앙종합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수, 중앙종합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지수
Priority to KR20199600422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445Y1/ko
Publication of KR199800292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2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4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44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28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moving during the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4/4631Counter-current flushing, e.g. by ai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여과매체가 여과과정에서 자동세척되므로 중단없이 연속적으로 다량의 액체를 여과할 수 있는 연속식 액체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장치의 제조원가를 낮춰주고, 고장이 적은 한편 그 외관을 좋게하며, 또한 장치의 제조원가를 낮춰주되 그 효율은 증대시켜주는 연속식 액체여과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미세입자의 여과매체를 순환시키면서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물 등을 제거하는 연속식 여과장치에 있어서; 여과탱크(20)의 내부 상측 중앙부에는 상하측에 각각 상부를 향하여 개방된 상부방(61)과, 하부를 향하여 개방된 한편 내부에 하부로 개방되어 있는 입구보다 넓은 공간을 갖는 하부방(62)이, 세관(63)에 의하여 연결되며, 또한 상부방(61)의 일측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퇴수집수용 폐쇄격벽(A)과 연결되어 퇴수관(70)과 연결되는 무넘이(64)가 형성되는 세척부(60); 상기 여과탱크(20)의 상부 일측으로 외벽을 관통하여 정수유출관(50)과 연결되는 정수 집수용 돌출격벽(B); 상기 여과탱크(20)에는 외벽을 관통하여 그 하단부가 상기 여과탱크(20)의 내부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하단부에는 하단측부와 연통시켜 외측이 폐쇄된 한편 하면에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배출관(41)이 방사상으로 다수개 설치되며, 또한 방사상으로 설치된 다수의 배출관(41)의 하부로 절두원추형의 차단안내부(42)가 형성된 원수분배부(40)를 갖는 원수인입관(30); 및 상기 여과탱크(20)의 하부로 부터 적어도 2개 이상의 에어인젝션기구(100)을 구비하며 또한 세척부(6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방(64)의 상부로 연결되는 연결관(8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액체여과장치를 제공해준다.

Description

연속식 액체여과장치
본 고안은 여과사 등의 입상 여과매체를 이용하여 정수처리를 하기 위한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여과매체가 여과과정에서 자동세척되므로 중단없이 연속적으로 다량의 액체를 여과할 수 있는 연속식 액체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사용되어 온 연속식 액체여과장치를 제1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종래에 사용되고 있는 연속식 액체여과장치의 구성을 보면, 여과매체(1)가 충진되어 있는 여과탱크(2), 상기 여과탱크(2)를 관통하여 설치된 원수인입관(3), 상기 여과탱크(2)내에 있는 원수인입관(3)의 하단부에 연결된 원수분배부(4), 상기 여과탱크(2)의 상부에 연결된 정수유출관(5), 상기 여과탱크(2)의 외측 상부에 설치되되 상기 여과탱크(2)와 이중으로 연결된 대향류 세척기(6), 상기 대향류 세척기(6)의 상측에 연결된 퇴수관(7), 상기 여과탱크(2)의 하부와 상기 대향류 세척기(4)의 상부를 연결한 연결관(8), 상기 여과탱크(2)의 하측에 연결된 전체 세척 퇴수관(9) 및 상기 연결관(8)의 중간에 설치되는 에어인젝션기구(10)로 이루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연속식 액체여과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여과매체(1)가 충진되어 있는 여과탱크(2)의 원수인입관(3)을 통하여 인입된 원수는 상기 여과탱크(2)의 내부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분배부에서 분배되어 원수의 일부는 안내판(G)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서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물 등이 여과매체에 부착되거나 여과매체의 사이에 끼이게 되어 상부로 진행하면서 정수로 변화하게 되고 정수는 여과탱크(2)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있는 정수유출관(5)를 통하여 외부로 유출된다.
이때, 부유물 등이 부착된 여과매체(1)는 에어인젝션기구(10)의 작용에 의해 여과탱크(2)의 저부로 모이게 되고 저부에 모인 오염된 여과매체(1)는 계속되는 인젝션기구(10)의 작용에 의해 연결관(8)을 따라 상부로 이동하면서 에어인젝션기구(10)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와 상부 외측으로 설치된 대향류세척기(6)로 들어가게 된다.
대향류세척기(6)의 내부로 물과 함께 들어온 오염된 여과매체(1)는 1차분리된 부유물과 떨어져서 하방으로 향하여 곡선통로가 형성되어 있는 2차분리기(6')를 통과하게 되며, 2차분리기(6')의 곡선통로를 통과하면서 여과탱크(2)의 상부에 설치된 정수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정수와 대향하여 하방으로 향하게 되어 상방으로 향하는 대향류의 작용에 의하여 1차분리에서 분리되지 못한 부유물을 2차적으로 분리하여 주게되며 2차분리가 이루어진 여과매체(1)는 대향류세척기의 저부로 모이게 되고 대향류세척기(6)의 저부에 모인 여과매체(1)는 2차 에어인젝션기구(10')의 작용에 의해 도관을 통하여 여과탱크(2)의 내부로 들어가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액체여과장치는 세척부에 대향류세척기(6)를 사용하므로 세척부의 구조가 복잡해 질 뿐만 아니라, 상기 여과탱크(2)의 외부에 세척기가 설치되므로 그 외관이 나빠지며 많은 부품의 사용으로 제조원가가 상승하고, 대향류세척기(6)에서 여과매체에 부착된 부유물이 완전하게 분리되지 않는 경우에는 2차 에어인젝션기구(10')의 작용에 의한 공기와의 충돌에 의해 도관의 내부에서 부유물이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도관내에서 분리된 부유물은 여과탱크(2)의 내부로 진입되어 상층부에 부유하게 되므로 정수 채취시 청수유출관(5)를 통하여 정수와 함께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세척부를 단순하게 구성하여 상기 여과탱크의 내부에 세척부를 형성함으로써 외관을 좋게하며, 또한 이송기능과 분리기능을 동일한 장치에 의해 실현함으로써 장치의 구성을 단순화해서 장치의 제조원가를 낮춰주고 분리된 부유물이 정수와 함께 배출되지 않은 연속식 액체여과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에 사용되어 온 연속식 액체여과장치의 구성과 작용상태를 도시하는 일부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연속식 액체여과장치의 일실시예에 대한 구성과 작용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연속식 액체여과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를 도시하는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여과매체 20 : 여과탱크
30 : 원수인입관 40 : 원수분배부
41 : 배출관 42 : 차단안내부
50 : 정수유출관 60 : 세척부
61 : 상부방 62 : 하부방
63 : 세관 64 : 무넘이
70 : 퇴수관 80 : 연결관
100 : 에어인젝션 기구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미세입자의 여과매체를 순환시키면서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물 등을 제거하는 연속식 여과장치에 있어서; 여과탱크의 내부 상측 중앙부에는 상하측에 각각 상부를 향하여 개방된 상부방과, 하부를 향하여 개방된 한편 내부에 하부로 개방되어 있는 입구보다 넓은 공간을 갖는 하부방이, 세관에 의하여 연결되며, 또한 상부방의 일측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퇴수집수용 폐쇄격벽과 연결되어 퇴수관과 연결되는 무넘이가 형성되는 세척부; 상기 여과탱크의 상부 일측으로 외벽을 관통하여 정수유출관과 연결되는 정수 집수용 돌출격벽; 상기 여과탱크에는 외벽을 관통하여 그 하단부가 상기 여과탱크의 내부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하단부에는 하단측부와 연통시켜 외측이 폐쇄된 한편 하면에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배출관이 방사상으로 다수개 설치되며, 또한 방사상으로 설치된 다수의 배출관의 하부로 절두원추형의 차단안내부가 형성된 원수분배부를 갖는 원수인입관; 및 상기 여과탱크의 하부로 부터 적어도 2개 이상의 에어인젝션기구 구비하며 또한 세척부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방의 상부로 연결되는 연결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액체여과장치를 제공해 준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다른 연속식 액체여과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에 다른 연속식 액체여과장치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참조번호 20은 미세입자로 되어 있는 여과매체(10)가 충진된 여과탱크를 지시한다. 상기 여과탱크(20)의 내부 상측 중앙부에는 세척부(60)를 두되, 상기 세척부(60)는, 상하측에 각각 상부를 향하여 개방된 상부방(61)과 하부를 향하여 개방되고 내부에 하부로 개방되어 있는 입구보다 넓은 공간을 갖는 하부방(62)을 형성하는 한편 상기 상부방(61)과 하부방(62) 사이에는 세관(63)을 연결하며 아울러 상기 상부방(61)의 일측에는 무넘이(64)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여과탱크(20)의 내부 상측 주변부에는, 상기 세척부(60)의 무넘이(64)의 외벽하부와 상기 여과탱크(20)의 내벽 사이에 퇴수집수용 폐쇄격벽(A)을 수평하게 형성하는 한편, 상기 세척부(60)의 무넘이(64)외의 부분외측과 상기 여과탱크(20)의 내벽 사이에는 정수집수용 돌출격벽(B)을 형성하되 상기 세척부(60)와는 이격하여 상기 여과탱크(20)의 내벽에 외측으로 기울여서 상기 정수집수용 돌출격벽(B)을 형성한다.
상기 여과탱크(20)에는 관통하여 원수인입관(30)을 설치하되 상기 원수인입관(30)의 하단부는 상기 여과탱크(20)의 내부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상기 원수인입관(30)의 하단부에는 원수분배부(40)를 두되, 상기 원수분배부(40)는, 상기 원수인입관(30)의 하단측부와 연통시켜 외측이 폐쇄된 한편 하면에 다수의 배출공(도면에 도시가 생략되어 있음)이 형성된 배출관(41)을 이격하여 방사상으로 다수개 설치하는 한편 상기 원수인입관(30)의 하단하부에는 절두원추형의 차단안내부(42)를 형성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정수집수용 돌출격벽(B)은 여과탱크(20)를 관통하여 정수유출관(50)을 연결하는 한편 상기 세척부(60)는 퇴수집수용 폐쇄격벽(A)와 연결되어 상기 여과탱크(20)의 외벽을 관통하여 퇴수관(70)을 연결한다. 상기 여과탱크(20)의 하부와 상기 세척부(60)의 상부방(61)의 상측을 연결하도록 연결관(80)을 설치한다. 또한, 상기 연결관(80)의 내부에는 이격하여 두개 이상의 에어인젝션기구(100)을 설치해준다.
추가적으로, 유입되는 공기를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여과탱크(20)를 관통하여 상기 원수인입관(30)과 상기 하부방(62)을 외기와 연결해서 공기배출관(C)을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연속식 액체여과장치 전체를 세척한 세척수를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여과탱크(20)의 하측에 전체세척퇴수관(90)을 연결해줄 수 있고, 상기 여과탱크(20)를 지지시켜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상기 여과탱크(20)에 지지부(D)를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여과탱크(20)의 청소를 위해서는 청소용 도어(E)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제3도를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면 다음과 같다.
상부에 별도의 공기배출관(F)을 구비한 유도관(G)을 상부가 상기 여과탱크(20)의 상면을 관통하는 한편 하단부가 상기 상부방(61)의 하부까지 연장되도록 설치하며, 또한 상기 연결관(80)의 단부는 상기 유도관(G)을 관통하여 연통되도록 설치한다.
제2도를 참조하여 제2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원수인입관(30)을 통해서 가압된 상태의 원수는 상기 여과탱크(20)안으로 안내되어 유입되고, 유입된 원수는 상기 원수인입관(30)의 하부에서 다시 원수분배부(40)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배출관(41)으로 유입되어 상기 배출관(41)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출공(도면에 도시가 생략되어 있음)을 통해서 상기 여과탱크(20)의 하부로 배출된다. 하부를 향하여 배출된 원수의 대다수는 상기 여과매체(10)를 통과하여 저압인 상기 여과탱크(2)의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원수와 함께 유입되는 부유물이 미세한 입자로 되어 있는 여과매체의 사이에 끼이거나 여과매체에 부착되어 여과되며 여과된 정수의 대부분은 상기 원수집수용 돌출격벽(B)을 넘어서 상기 정수유출관(50)을 통해 외부로 유출되며, 여과된 정수의 일부분은 세척부(60)에 형성되어 있는 하부방(62)으로 진입하여 상부로 진행하면서 순환되는 여과매체(10)를 세척하고 세척시 발생한 부유물과 함께 세관(63)을 통과하여 상기 세척부(60)의 상부방(61)에 고이게 된다.
한편, 배출관(41)으로 부터 배출된 원수의 일부는 에어인젝션기구(100)의 작용에 의해 여과탱크(20)의 하방으로 이동하는 오염된 여과매체(10)와 혼합되어 하방을 밀려가고, 여과탱크(20)의 저면에 모여진 원수와 오염된 여과매체(10)의 혼합물은 상기 에어인젝션기구(100)의 작용에 의해서 상기 여과탱크(20)의 하부로 부터 상기 연결관(80)을 경유하여 상기 세척부(60)의 상부방(61)의 상측으로 이송됨과 아울러 상기 에어인젝션기구(100)으로 부터 공급되는 공기와 충돌하면서 2차례에 걸쳐 부유물과 여과매체(10)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에서와 같이 2차례에 걸친 에어인젝션기구(100)으로 부터 공급되는 공기에 의하여 분리된 오염물, 여과매체(10) 및 원수의 일부가 연결관(80)을 따라 진행하여 상기 세척부(60)의 상부방(61)으로 투입되면 하부방(62)으로 부터 세관(63)을 통과하여 상승하는 정수와 만나게 되고, 상부방에서는 그 유속이 느려지게 되어 정수에 의해서 비중이 가벼운 상기 부유물은 물의 표면으로 부유해서 상기 퇴수관(70)을 통해 배출됨과 아울러 물보다 비중이 무거우며 부유물과 분리된 상기 여과매체(10)는 상기 세척부(60)의 세관(63)을 경유하여 상기 하부방(62)으로 하강하여 상기 여과탱크(20)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여과매체(10)의 무더기의 상부에 쌓이게 된다.
한편, 추가적으로 상기 여과탱크(20)를 관통해서 상기 원수인입관(30)과 상기 하부방(62)을 외기와 연결하는 공기배출관(C)을 설치한 경우에는 원수와 함께 인입되는 공기의 저항에 의하여 원수의 진로를 방해하는 공기 및 에어인젝션기구(100)의 작용에 의해 유입되는 공기가 외기로 배출시켜 줌으로서 내부의 공기저항을 제거할 수 있다.
또, 상기 여과탱크(20)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여과매체(10)이 심하게 오염되어 여과매체(10)을 전체적으로 교체하여야 하는 경우에는 하측에 전체세척퇴수관(90)을 연결해 줌으로서 상기 연속식 액체여과장치 전체를 세척한 세척수가 배출되고, 상기 여과탱크(20)에 지지부(D)를 형성한 경우에는 상기 여과탱크(20)가 견고한 한편 적정한 자세와 높이로 지지되며, 또한 청소용 도어(E)를 형성한 경우에는 연속식 액체여과장치의 청소가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원수인입관(30)의 하단부에 방사상으로 설치되는 배출관(41)은 배출공이 하부를 향하도록 구성된 것이면 어떠한 형상의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여과매체(10)이 상부에 쌓여지지 않는 형상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도를 참조하여 제3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작용을 보면 다음과 같다.
순환되어 상기 연결관(80)의 말단부에서 낙하되는 공기, 여과사, 물 및 오염물 등의 혼합물중 공기는 낙화과정에서 다른 물질로부터 이탈해서 분리되어 상기 가이드관(G)를 타고 상승해서 상기 공기배출관(F)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 결과, 상기 세척부(60)내에서 포기작용의 발생이 일어나지 않게 되어 여과사가 부유하여 유실되는 것을 방지해줄 수 있게 된다.
전술한 구성의 본 고안에 따른 연속식 액체여과장치에 따르면, 세척부가 단순하게 구성됨으로서 장치의 제조원가가 낮춰지고, 상기 여과탱크의 내부에 세척부가 형성됨으로써 그 외관이 좋아지며, 또한 세척부의 내부 특히 하부방(62)에서 상향하는 정수와의 충돌에 의하여 여과매체로부터 미쳐 분리되지 않은 부유물의 분리가 이루어진다고 하더라도 세척부의 밖으로 벗어나지 못하고 상향하는 정수와 함께 세관을 통하여 상부방으로 모이게 되고 상부방으로 모여진 부유물은 결국 퇴수관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됨으로서 정수 유출관으로 배출되는 정수에는 부유물의 혼합이 없게 되는 것이다.

Claims (6)

  1. 미세입자의 여과매체를 순환시키면서 원수에 포함되어 있는 부유물 등을 제거하는 연속식 여과장치에 있어서; 여과탱크(20)의 내부 상측 중앙부에는 상하측에 각각 상부를 향하여 개방된 상부방(61)과, 하부를 향하여 개방된 한편 내부에 하부로 개방되어 있는 입구보다 넓은 공간을 갖는 하부방(62)이, 세관(63)에 의하여 연결되며, 또한 상부방(61)의 일측으로 수평하게 형성된 퇴수집수용 폐쇄격벽(A)과 연결되어 퇴수관(70)과 연결되는 무넘이(64)가 형성되는 세척부(60); 상기 여과탱크(20)의 상부 일측으로 외벽을 관통하여 정수유출관(50)과 연결되는 정수 집수용 돌출격벽(B); 상기 여과탱크(20)에는 외벽을 관통하여 그 하단부가 상기 여과탱크(20)의 내부 하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되고, 하단부에는 하단측부와 연통시켜 외측이 폐쇄된 한편 하면에 다수의 배출공이 형성되어 있는 배출관(41)이 방사상으로 다수개 설치되며, 또한 방사상으로 설치된 다수의 배출관(41)의 하부로 절두원추형의 차단안내부(42)가 형성된 원수분배부(40)를 갖는 원수인입관(30); 및 상기 여과탱크(20)의 하부로 부터 적어도 2개 이상의 에어인젝션기구(100)을 구비하며 또한 세척부(60)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방(64)의 상부로 연결되는 연결관(8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액체여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탱크(20)를 관통하여 상기 원수인입관(30)과 상기 하부방(62)을 외기와 연결해서 공기배출관(C)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액체여과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탱크(20)의 하측에 전체세척퇴수관(90)을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액체여과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탱크(20)의 벽에 청소용 도어(E)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액체여과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탱크(20)의 벽에 청소용 도어(E)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액체여과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탱크(20)의 상면을 관통하는 한편 하단부가 상기 상부방(61)의 하부까지 연장되도록 상부에 별도의 공기배출관(F)을 구비한 유도관(G)을 설치하며, 또한 상기 연결관(80)의 단부는 상기 유도관(G)을 관통하여 연통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액체여과장치.
KR2019960042269U 1996-11-27 1996-11-27 연속식 액체여과장치 KR01384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269U KR0138445Y1 (ko) 1996-11-27 1996-11-27 연속식 액체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2269U KR0138445Y1 (ko) 1996-11-27 1996-11-27 연속식 액체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209U KR19980029209U (ko) 1998-08-17
KR0138445Y1 true KR0138445Y1 (ko) 1999-04-15

Family

ID=194752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2269U KR0138445Y1 (ko) 1996-11-27 1996-11-27 연속식 액체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445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375B1 (ko) * 2014-05-16 2016-08-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유정유체 분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209U (ko) 1998-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74237A (en) Baffle and wash trough assembly for granular-media filters
BRPI0708698A2 (pt) dispositivo de filtro e processo de filtragem
KR0138445Y1 (ko) 연속식 액체여과장치
JPS58156313A (ja) 濾過装置
CA2234729C (en) Separator with solids diverter
JP2994803B2 (ja) 水と空気で同時洗浄される粒状物質を含む濾過材の洗浄水除去装置
JP4313497B2 (ja) 逆洗水自己保有型圧力濾過機
US453347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uid filtration including particle precipitation
JP4277589B2 (ja) 上向流式ろ過装置
JP2000015002A (ja) 汚水処理装置
KR890002200Y1 (ko) 정수용 여과장치
KR100390189B1 (ko) 여과지의역세척수배출장치
KR0138580B1 (ko) 여과부재 동시세척 연속 여과방법 및 여과장치
JPH0317925Y2 (ko)
JPS5946649B2 (ja) 水平流深層ろ過装置
JP2929907B2 (ja) ろ過機におけるろ材の洗浄再生装置
KR890003071B1 (ko) 부상여재를 사용한 여과기
KR900004724Y1 (ko) 사이폰 여과장치
JP2002363950A (ja) 取水口塵芥除去装置
KR100233160B1 (ko) 유수분리기의 유수분리판
JP2872534B2 (ja) グリーストラップにおけるオイル阻集装置
JPH0717365Y2 (ja) 連続式砂ろ過装置
GB2039769A (en) Apparatus for separating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a liquid
JPS59310A (ja) 濾過装置
KR200234165Y1 (ko) 여과지의 역세척수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