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0189B1 - 여과지의역세척수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여과지의역세척수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0189B1
KR100390189B1 KR1019970054499A KR19970054499A KR100390189B1 KR 100390189 B1 KR100390189 B1 KR 100390189B1 KR 1019970054499 A KR1019970054499 A KR 1019970054499A KR 19970054499 A KR19970054499 A KR 19970054499A KR 100390189 B1 KR100390189 B1 KR 100390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siphon tube
activated carbon
carbon layer
guid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4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3207A (ko
Inventor
연 구 노
Original Assignee
동양수처리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수처리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수처리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54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0189B1/ko
Publication of KR19990033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2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0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0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29/6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76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 B01D29/7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for w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88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having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16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31Other construction detai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본발명은 여과지의 역세척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여과지에 적층되어 있는 활성탄층의 표면으로 쌓이는 이물질을 역세수에 의해 물의 표면으로 부상되도록 세척하여 배출시킴으로서 보다 효율적이고 향상된 활성탄층의 세척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안출된 것으로, 활성탄층에 쌓이는 불순물을 역세척에 의해 부유시켜 물위에 떠다니도록하여 보다 신속하게 흘려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여과지(121)와 수로(122)사이의 벽체(101)에 형성되는 사이폰관(10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지의 역세척수 배출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여과지의 역세척수 배출장치
본발명은 여과지의 역세척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여과지에 적층되어 있는 활성탄층의 표면으로 쌓이는 이물질을 역세수에 의해 물의 표면으로 부상되도록 세척하여 배출시킴으로서 보다 효율적이고 향상된 활성탄층의 세척효과를 얻을수 있도록된 여과지의 역세척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상수도용 물이나 공업용수등을 여과하기 위하여 저수조의 바닥면에는 활성탄층을 적층시켜 놓게 된다.
상기의 활성탄층은 물속에 포함된 불순물들을 흡수하여 여과를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활성탄층의 표면에는 물속에 포함된 많은 이물질들에 의해 이물질층이 적층되는 상태가 된다.
상기의 이물질에 의해 활성탄층에는 여과저항이 생기면서 원활한 여과작용을 하지 못하게 되므로 여과효율과 여과성능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활성탄층을 주기적으로 세척을 해주어야 한다.
즉, 상기의 활성탄층의 세척은 저수조의 물을 모두 빼낸다음 별도로 공급된 물에 의해 활성탄층을 세척하여 주게 되므로 시간의 투자와 인력의 투자가 많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의 활성탄층을 세척하는 동안에는 여과를 하지 못하게 되므로 여과 효율도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특히, 상기 저수조에서 여과된 물은 벽체의 상단부를 넘어 가면서 수로로 공급 되기 때문에 항상 수위가 벽체의 높이보다 높게 위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상기의 느린 물흐름에 의해 여과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등을 해결 보완 하기 위한 본발명의 목적은,
여과지에 적층된 활성탄층에 물을 공급하여 활성탄층에 포함된 이물질등을 세척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향상된 활성탄층의 세척효율에 의한 여과효율과 여과성능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하는 동시에 상기의 역세척에 의해 활성탄층을 세척한 물은 신속하게 수로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제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발명은,
여과지의 수로를 구분하는 벽체에 사이폰관을 설치하여 사이폰관의 상단부를 통해 활성탄층을 세척한 물이 수로로 흘러나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사이폰관의 내부로도 물이 흘러서 수로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본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도1은 본발명 사이폰관이 벽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2는 본발명 사이폰관에 의한 여과지의 배수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도3은 본발명 사이폰관에 의한 활성탄층의 표면배수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발명 사이폰관에 의한 활성탄층의 표면배수완료시를 나타낸 단면도
도5는 본발명 사이폰관에 의한 공기 역세척시를 나타낸 단면도
도6은 본발명 사이폰관에 의한 공기 및 물 역세척시를 나타낸 단면도
도7은 본발명 사이폰관에 의한 물역세척시를 나타낸 단면도
도8은 본발명 사이폰관에 의한 역세척 종료시를 나타낸 단면도
도9는 본발명 사이폰관에 의한 여과시를 나타낸 단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01-벽체 102-사이폰관
103-상측격벽 104-하측격벽
105-공급공 106-일측안내통로
107-타측안내통로 108-배출통로
109-배출공 110-공기공급관
111-솔레노이드밸브 112-필터
113-활성탄층 121-여과지
122-수로
본발명의 구성을 도1내지 도9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활성탄층(113)에 쌓이는 불순물을 역세척에 의해 부유시켜 보다 신속하게 흘려 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여과지(121)와 수로(122)사이의 벽체(101)에 형성되는 사이폰관(102)을 구비한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의 사이폰관(102)에는 여과지(121)이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위해 사이폰관(102)에 형성되는 공급공(105)과,
상기 공급공(105)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배출통로(108)로 안내하는 사이폰관(102)의 내부에 형성되는 일측안내통로(106)및 타측안내통로(107)와,
상기 타측안내통로(107)를 통해 배출통로(108)로 안내된 물을 수로(122)로 배출하는 사이폰관(102)에 형성된 배출공(109)과,
상기 일측안내통로(106)와 타측안내통로(107)내부에 진공이 유지되도록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사이폰관(102)에 연결된 공기공급관(110)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상기 사이폰관(102)의 일측안내통로(106)와 타측안내통로(107)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사이폰관(102)의 내부 상측에 형성되는 상측격벽(103)과,
상기 타측안내통로(107)와 배출통로(108)를 형성하기 위하여 사이폰관(102)의 내부 하측에 형성되는 하측격벽(104)을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의 사이폰관(102)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110)에는 공기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는 솔레노이브밸브(111)를 더 구비하였다.
또한, 상기 사이폰관(102)의 공급공(105)에는 활성탄층(113)및 불순물이 물과 함께 흘러들어가지 못하도록 필터(112)를 더 구비하였다.
이와같이된 본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2는 본발명의 사이폰관에 의한 여과지의 배수작용을 나타낸 단면도로서, 여과지(121)에 공급된 물은 벽체(101)에 설치된 사이폰관(102)의 상측부를 통해 수로(122)로 공급되어지는 동시에 사이폰관(102)의 내부를 통해서도 수로(122)로 배출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 여과지(121)의 물을 사이폰관(102)의 내부를 통해 수로(122)로 배수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공기공급관(110)에 결합된 솔레노이드밸브(111)를 개방하여 공기를 사이폰관(102)내부의 일측안내통로(106)와 타측안내통로(107)내부로 공급한다.
상기와 같이 공급된 공기는 타측안내통로(107)에 있는 물을 밀어서 배출통로(108)와 배출공(109)을 통해 수로(122)로 공급하게 된다.
이때, 여과지(121)에 차여있는 수압이 수로(122)의 수압보다 높기 때문에 여과지(121)의 물은 사이폰관(102)의 공급공(105)을 통해 상측격벽(103)에 의해 형성되는 일측안내통로(106)와 타측안내통로(107) 그리고 하측격벽(104)에 의해 형성되는 배출통로(108)와 배출공(109)을 통해 수로(122)로 도3과 같이 배출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상기의 솔레노이드밸브(111)는 공압에 이해 사이폰관(102)의 배출공(109)을 통해 여과지(121)의 물이 배출되어지는 것과 동시에 공기의 공급을 중단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공기의 공급을 중단하여도 일측안내통로(106)와 타측안내통로(107)의 물은 계속적으로 배출공(109)을 통해 수로(122)로 배출되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급공(105)에는 필터(112)가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활성탄층(113)의 입자나 물 내부에 포함된 불순물이 사이폰관(102)으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4는 본발명 사이폰관에 의한 활성탄층의 표면배수완료시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여과지(121)의 수위가 낮아지면 솔레노이드밸브(111)가 개방되면서 사이폰관(102)내부의 일측안내통로(106)와 타측안내통로(107)에 공기를 공급한 뒤 폐쇄가 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일측안내통로(106)와 타측안내통로(107)의 내부에는 공기가 차여 있기 때문에 물의 유동이 없는 상태가 된다.
이때, 도5 및 도6과 같이 공기와 물을 여과지(121)의 활성탄층(113)에 공급을 하면 활성탄층(113)의 내부와 표면에 적층되어 있던 불순물들이 물과 함께 상측으로 올라오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7과 같이 물이 사이폰관(102)의 상측을 넘어서 수로(122)로 배출되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의 사이폰관(102)내부에는 계속적으로 공기가 차여 있기 때문에 물의 흐름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또한, 도8과 도9와 같이 지속적으로 물을 공급하여 역세의 완료와 여과작용을 할 수 있게 된다.
이와같이된 본발명은, 여과지와 수로를 구분하는 벽체에 사이폰관을 설치하여 사이폰관의 상단부를 통해 활성탄층을 세척한 물이 수로로 흘러 나갈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상기 사이폰관의 내부로도 물이 흘러서 수로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여과지에 적층된 활성탄층에 물을 공급하여 활성탄층에 포함된 이물질등을 세척할 수 있게 되므로 향상된 활성탄층의 세척효율에 의한 여과효율과 여과성능을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상기의 역세척에 의해 활성탄층을 세척한 물은 신속하게 수로로 배출시킬 수 있는 유용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5)

  1. 활성탄층에 쌓이는 불순물을 역세척에 의해 부유시켜 보다 신속하게 흘려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여과지(121)와 수로(122)사이의 벽체(101)에 형성되는 사이폰관(10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지의 역세척수 배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의 사이폰관(102)에는 여과지(121)이 흘러들어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이폰관(102)에 형성되는 공급공(105)과,
    상기 공급공(105)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배출통로(108)로 안내하는 사이폰관(102)의 내부에 형성되는 일측안내통로(106)및 타측안내통로(107)와,
    상기 타측안내통로(107)를 통해 배출통로(108)로 안내된 물을 수로(122)로 배출하는 사이폰관(102)에 형성된 배출공(109)과,
    상기 일측안내통로(106)와 타측안내통로(107)내부에 진공이 유지되도록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사이폰관(102)에 연결된 공기공급관(11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지의 역세척수 배출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폰관(102)의 일측안내통로(106)와 타측안내통로(107)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사이폰관(102)의 내부 상측에 형성되는 상측격벽(103)과,
    상기 타측안내통로(107)와 배출통로(108)를 형성시키기 위하여 사이폰관(102)의 내부 하측에 형성되는 하측격벽(104)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지의 역세척수 배출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의 사이폰관(102)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관(110)에는 공기의 출입을 통제할 수 있는 솔레노이드밸브(111)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지의 역세척수 배출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폰관(102)의 공급공(105)에는 활성탄층(113)및 불순물이 물과 함께 흘러들어가지 못하도록 필터(112)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과지의 역세척수 배출장치.
KR1019970054499A 1997-10-23 1997-10-23 여과지의역세척수배출장치 KR100390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4499A KR100390189B1 (ko) 1997-10-23 1997-10-23 여과지의역세척수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4499A KR100390189B1 (ko) 1997-10-23 1997-10-23 여과지의역세척수배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207A KR19990033207A (ko) 1999-05-15
KR100390189B1 true KR100390189B1 (ko) 2003-09-26

Family

ID=37421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4499A KR100390189B1 (ko) 1997-10-23 1997-10-23 여과지의역세척수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01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1956B1 (ko) 2014-03-21 2016-05-17 디에이치테크(주) 이젝터 개량형 중력식 여과장치
KR102365508B1 (ko) 2021-10-06 2022-02-23 이아이시텍주식회사 정수시스템에서 역세척 최적 시점 계산 모델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8811A (en) * 1980-06-01 1981-12-25 Yoshihiko Ueda Automatic washing device for filter tank
JPS63151312A (ja) * 1986-12-16 1988-06-23 Fuji Electric Co Ltd 急速ろ過装置
KR900004724Y1 (ko) * 1988-02-08 1990-05-31 한일소독기공 주식회사 사이폰 여과장치
KR0142996B1 (ko) * 1995-07-19 1998-07-01 우덕창 역 세척이 가능한 폐수의 여과 처리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68811A (en) * 1980-06-01 1981-12-25 Yoshihiko Ueda Automatic washing device for filter tank
JPS63151312A (ja) * 1986-12-16 1988-06-23 Fuji Electric Co Ltd 急速ろ過装置
KR900004724Y1 (ko) * 1988-02-08 1990-05-31 한일소독기공 주식회사 사이폰 여과장치
KR0142996B1 (ko) * 1995-07-19 1998-07-01 우덕창 역 세척이 가능한 폐수의 여과 처리방법과 이에 사용되는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1956B1 (ko) 2014-03-21 2016-05-17 디에이치테크(주) 이젝터 개량형 중력식 여과장치
KR102365508B1 (ko) 2021-10-06 2022-02-23 이아이시텍주식회사 정수시스템에서 역세척 최적 시점 계산 모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207A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23284B (zh) 上向流滤池的反冲洗方法及反冲洗配水结构
KR101386427B1 (ko) 자동 세정형 수처리 필터
KR101102979B1 (ko) 침적된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는 자동 여과장치
KR200407931Y1 (ko) 저수기능을 갖는 하천의 자연정화구조물
KR100390189B1 (ko) 여과지의역세척수배출장치
KR200234165Y1 (ko) 여과지의 역세척수 배출장치
KR100673818B1 (ko) 세면수 정화식 절수형 양변기
KR101936331B1 (ko) 와류형 우수처리장치
CN113730986A (zh) 带悬浮物含油污水处理装置及其冲洗方法和处理方法
JP2568805B2 (ja) 貯水槽
KR200220279Y1 (ko) 폐수처리용 여과장치
KR20140052597A (ko) 부표와 여과망이 구비된 빗물처리장치
KR200405419Y1 (ko) 절수형 양변기 시스템
JP2007090291A (ja) 水の濾過装置
KR200408147Y1 (ko) 절수형 세면대 양변기 시스템
CN219183492U (zh) 一种食材清洗机
KR100269738B1 (ko) 오폐수중의 부유물질 제거 장치 및 그 방법
JP2929907B2 (ja) ろ過機におけるろ材の洗浄再生装置
KR0138580B1 (ko) 여과부재 동시세척 연속 여과방법 및 여과장치
KR200216477Y1 (ko) 물탱크 자동취수장치
CN219451013U (zh) 一种雨水管道蓄水池
CN215696244U (zh) 用于铜带清洗线的节水装置
CN214327355U (zh) 一种装配式污水处理一体化设备的除油装置
CN211311226U (zh) 一种硝化及反硝化一体化设备
KR900004724Y1 (ko) 사이폰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