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228Y1 - 자동차 등화장치의 자동 소등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등화장치의 자동 소등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8228Y1
KR0138228Y1 KR2019930018581U KR930018581U KR0138228Y1 KR 0138228 Y1 KR0138228 Y1 KR 0138228Y1 KR 2019930018581 U KR2019930018581 U KR 2019930018581U KR 930018581 U KR930018581 U KR 930018581U KR 0138228 Y1 KR0138228 Y1 KR 01382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lighting device
state
automatic
ry1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1858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8653U (ko
Inventor
김재영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3001858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8228Y1/ko
Publication of KR95000865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865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82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82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88Details of electrical conn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076Switch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60R16/0231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 B60R16/0235Circuits relating to the driving or the functioning of the vehicle for lighting devices combined with starting or ignition devices for 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자동차 시동키의 동작에 무관하게 동작되는 자동차의 등화장치가 장시간 자동차의 동작이 정지된 상태에서도 계속 점등상태로 있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소등시켜 불필요한 전원의 방전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등화장치의 자동 소등장치를 제공하기 위하여, 시동 스위치(S1)와 자동소등 선택 스위치(S2)와 주차 브레이크 동작 스위치(S3)와 비상등 스위치(S4)와 도어 스위치(S5)와 스위치 박스(4)와 제1,제2등화장치 구동부(RY11-RY1n)(RY21)에 연결되어, 자동소등 선택 스위치(S2)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제1,제2등화장치부(10a-10n)의 임의의 램프가 점등된 상태에서,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S3)가 온 상태이고 시동 스위치(S1)가 오프 상태이며 비상등 스위치(S4)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점등된 램프를 소등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S3)가 온 상태를 유지하고 시동 스위치(S1)가 오프 상태이며 스위치(S4)가 오프 상태에서 시동 정지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할 경우에 점등된 램프를 소등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제어부(1)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 등화장치의 자동 소등장치
제1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등화장치의 자동 소등장치의 블록도.
제2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등화장치의 자동 소등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엔진 제어부 4 : 스위치 박스
10a : 제1등화장치부 10b : 제2등화장치부
10c : 제N등화장치부 S1 : 시동 스위치
S2 : 자동소등선택 스위치 S3 : 주차 브레이크 동작 스위치
S4 : 비상등 스위치 S5 : 도어 스위치
이 고안은 자동차의 등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운전자가 자동차의 등화장치를 동작시킨 상태에서 자동차의 주행동작을 마치고 자동차를 떠날 경우에 동작되는 자동차의 등화장치를 자동으로 소등시킬 수 있는 자동차 등화장치의 자동소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현재 주행중인 자동차의 동작상태를 알 수 있도록 소정의 표시장치가 장착되어 있고, 야간시의 안전한 주행동작을 위해 등화장치가 장착되어 있다.
그러므로 운전자는 현재의 주행 차량의 주행의지나 동작상태 등을 확인하여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고, 특히, 전방의 시야가 매우 좁게 되는 야간 운전시에 전방의 상황이나 다른 주행차량의 동작을 정확하게 판단하여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등화장치의 사용을 용이하게 하여 이용자의 편이를 도모하기 위해 자동차의 상태에 따라 전조등이 자동으로 온/오프 될 수 있도록 하는 고안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공고번혼 제91-6818호(출원일자 : 서기 1989년 11월 16일), 제92-332호(출원일자: 서기 1989 11월 7일), 제93-3168호(출원일자: 서기 1990 12월 26일), 제90-2789호(출원일자: 서기 1987년 3월 5일), 제89-5259호(출원일자: 서기 1986년 12월 23일) 등이 있다.
그러므로 자동차가 정차상태일 경우엔 점등되어 있는 전조등을 소등시키고, 다시 자동차가 출발할 경우엔 소등된 전조등을 자동 점등시켜 운전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주변의 밝기에 따라 자동으로 전조등의 광량을 제어하기 위한 고안은 대한민국 실용신안 등록 출원 공고번호 제 92-536호(출원일자: 서기 1989년 12월 14일), 제 91-3779(출원일자: 서기 1989년 3월 4일), 및 제89-380호(출원일자: 서기 1985년 3월 9일)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므로 주위환경의 밝기에 따라 전조등 등의 광량을 조절하여 너무 밝은 조명으로 인한 눈의 피로를 줄일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등화장치중에서 필요한 부분의 등화장치를 동작시켜 주행한 후, 자동차의 시동동작을 정지시킨 후 자동차를 떠날 경우에 가끔씩 운전자는 동작시킨 등화장치를 정확하게 소등하지 않는 경우가 발생한다.
다행히 오랜 시간이 경과하지 않고 다시 정지되거나 주차된 자동차를 이용하기 위해 되돌아와 소등되지 않는 등화장치를 발견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경우에는 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등화장치를 동작시킨 후 장시간 자동차를 정지시키거나, 주차할 경우에 불필요한 등화장치의 동작으로 전원의 방전동작이 일어난다.
특히, 시동동작에 무관하게 구동 스위치만의 동작으로 동작되는 등화장치일 경우엔 자동차의 시동동작이 정지된 후에서도 계속해서 점등상태에 있으므로 많은 양의 배터리 전원이 소모되어 자동차의 시동동작이 불가능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자동차를 주차한 후 뒤늦게 등화장치를 소등시키지 않은 사실을 알았을 경우엔 운전자가 직접 주차되어 있는 자동차까지 가서 등화장치를 소등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현재 동작중인 자동차용 램프를 자동/오프시키기 위한 고안은 대한민국 실용실안등록출원 공고번호 제92-4187호(출원일자: 서기 1990년 5월 4일)의 자동차용 램프의 자동 온/오프 제어회로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자동차용 램프의 자동 온/오프 제어회로는 주위 조도에 따라 헤드 램프, 테일 램프를 자동으로 온/오프시킴과 동시에 상기한 램프가 온되어 있는 상태에서 자동차가 정지되는 것을 감지하여 상기 램프를 자동으로 오프시키고, 또한 키-홀램프와 조명램프를 주어진 조건에 응하여 자동으로 점등되도록 구성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자동차용 램프의 자동 온/오프 제어회로는 자동차 운전자가 잠시 자동차를 정차시켜 놓은 상태에서도 빈번하게 자동 오프동작이 이루어지므로 오히려 운전자의 불편을 가중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한 자동차용 램프의 자동 온/오프 제어회로의 목적은 단지 운전자의 불편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러므로 이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자동차 시동키의 동작에 무관하게 동작되는 자동차의 등화장치가 장시간 자동차의 동작이 정지된 상태에서도 계속 점등상태로 있을 경우 이를 감지하여 자동으로 소등시켜 불필요한 전원의 방전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등화장치의 자동소등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고안의 구성은, 전원(B+)과 연결되어, 자동차의 시동 여부에 따라 접점의 선택이 가변 되는 시동 스위치(S1)와; 운전자의 동작에 따라 자동 소등 동작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소등 선택 스위치(S2)와; 주차 브레이크의 동작 여부에 따라 접점의 선택이 가변되는 주차 브레이크 동작 스위치(S3)와; 비상등을 점등시키고자 할 시 접점이 선택되는 비상등 스위치(S4)와, 자동차의 도어 상태에 따라 접점이 스위칭되는 도어 스위치(S5)와; 자동차에 구비되어 있는 등화장치를 점등시키기 위해 콤비네이션 스위치 및 복수개의 선택 스위치가 장착되어 있는 스위치 박스(4)와; 상기 전원(B+)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 박스(4)에 장착되어 있는 임의의 선택 스위치의 동작상태에 따라 해당하는 실내와 계기류 및 차폭의 조명을 위한 등화장치를 점등시키기 위해 동작하는 N개의 제2등화장치 구동부(RY11-RY1n)와; 상기 등화장치 구동부(RY11-RY1n)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해당하는 램프가 점등되는 N개의 제2등화장치부(10b-10n)와; 상기 시동 스위치(S1)의 일측단과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 박스(4)에 장착되어 있는 전조등 스위치의 동작상태에 따라 전조등을 점등시키기 위해 동작하는 제1등화장치 구동부(RY21)와; 상기 제1등화장치 구동부(RY21)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램프가 점등되는 제1등화장치부(10a)와; 상기 시동 스위치(S1)와 자동소등 선택 스위치(S2)와 주차 브레이크 동작 스위치(S3)와 비상등 스위치(S4)와 도어 스위치(S5)와 스위치 박스(4)와 제1,제2등화장치 구동부(RY11-RY1n)(RY21)에 연결되며, 제1,제2등화장치부(10a-10n)의 임의의 램프가 점등된 상태에서 자동소등 선택 스위치(S2)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S2)가 온 상태를 유지하며 시동 스위치(S1)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비상등 스위치(S3)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에 제1등화장치 구동부(RY21)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S2)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시동 스위치(S1)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며 비상등 스위치(S3)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시동 정지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할 경우에 제2등화장치 구동부(RY11-RY1n)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엔진 제어부(1)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이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등화장치의 자동소등장치의 블록도, 제2도는 이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등화장치의 자동 소등방법의 동작 순서도이다.
제1도를 참고로 하여 이 고안의 구성을 살펴보면, 전원(B+)과, 상기 전원(B+)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시동 스위치(S1)와, 일측단자가 접지되어 운전자의 동작에 따라 자동소등동작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소등 선택 스위치(S2)와, 일측단자가 접지되어 주차 브레이크의 동작상태에 따라 접점이 스위칭되는 주차 브레이크 동작 스위치(S3)와, 일측단자가 접지되어 비상등을 동작시키기 위한 비상등 스위치(S4)와, 일측단자가 접지되어 자동차 도어의 개폐에 따라 접점이 스위칭되는 도어 스위치(S5)와, 상기 전원(B+)이 연결되는 시동 스위치(S1)의 타측단자에 연결되는 제1등화장치 구동부(RY21)와, 상기 전원(B+)의 일측단자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제2등화장치 구동부(RY11-RY1n)와, 상기 제1등화장치 구동부(RY21)의 타측단자에 연결되는 제1등화장치부(10a)와, 상기 제2등화장치 구동부(RY11-RY1n)의 타측단자에 연결되는 N개로 구성되는 제2등화장치부(10b-10n)와, 상기 스위치(S1∼S5)의 타측단자와 제1 및 제2등화장치 구동부(RY21)(RY11-RY1n)에 연결되며 상기 스위치(S1-S5)의 동작상태에 따라 제1 및 제2등화장치 구동부(RY21)(RY11-RY1n)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제어부(1)와, 상기 엔진 제어부(1)와 연결되어 있는 릴레이(RY31)와, 상기 릴레이(RY31)와 엔진 제어부(1)와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박스(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2등화장치 구동부(RY11-RY1n)는 전원(B+)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엔진 제어부(1)의 제1단자(A)에 타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코일(L11∼L1n)과 전원(B+)에 일측단자에 연결되어 있고 제2등화장치부(10b-10n)에 타측단자가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S11∼S1n)로 이루어지는 다수개의 릴레이(RY11-RY1n)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등화장치 구동부(RY21)는 시동 스위치(S1)의 타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연결되어 있고 엔진 제어부(1)의 제1단자(A) 타측단자에 코일(L21)이 연결되며 전원(B+)에 일측단자가 연결되고 타측단자에 제1등화장치부(10a)가 연결되는 스위치(S2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릴레이부(RY31)는 엔진 제어부(1)의 제3단자(C) 일측단자에 일측단자가 접지된 코일(L31)이 연결되고, 엔진 제어부(1)의 제2단자(B) 일측단자에 타측단자가 스위치 박스(4)에 연결되는 스위치(S31)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져 있는 이 고안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시동 스위치(S1)의 동작에 무관하게 설치되어 스위치 박스(4)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 스위치만의 동작에 따라서 등화장치의 해당하는 램프가 동작되나, 제1등화장치부(10a)는 시동 스위치(S1)가 동작하고 해당 구동 스위치가 동작할 경우에만 해당 램프가 점등된다.
그러므로 시동 스위치(S1)의 동작과 무관하게 점등되는 램프를 구동시키기 위해 스위치 박스(4)의 해당 구동 스위치를 동작시키면 전원(B+)의 전류가 제2등화장치 구동부(RY1∼RY1n)의 코일(L11∼L1n)을 거치고 엔진제어부(1)의 출력단자(A,B)를 통해 릴레이(RY31)로 인가된다.
상기 릴레이(RY31)는 동작되지 않은 통상시에 스위치(S31)가 온 상태를 유지하나 동작될 경우에 온 상태의 스위치(S31)가 오프 상태로 가변된다.
그러므로 구동전류는 온 상태인 릴레이(RY31)의 스위치(S31)를 거쳐 온 된 스위치 박스(4)의 해당 스위치로 흐르게 되므로 제2등화장치부(RY11∼RY1n)의 코일(L11-L1n)에 기전력이 발생되어 스위치(S11-S1n)의 접점을 온 상태로 스위칭하므로, 제2등화장치부(10b-10n)의 해당 램프가 점등된다.
또한, 시동 스위치(S1)의 동작에 따라 구동되는 제1등화장치부(10a)의 동작도 상기 제2등화장치부(10b-10n)의 동작과 동일한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즉, 시동 스위치(S1)가 동작된 후 상기와 같이 스위치박스(4)의 해당 스위치가 동작되면 전원(B+)의 전류가 시동 스위치(S1)를 제1등화장치 구동부(RY21)의 코일(L21)를 거쳐 엔진 제어부(1)의 제1단자(A)로 인가된다.
그러므로 엔진 제어부(1)는 제2단자(B)를 통해 제1단자(A)로 인가되는 신호를 릴레이(RY31)의 스위치(S31)를 통해 인가한다.
그러므로 시동 스위치(S1)를 거쳐 인가되는 전원(B+)의 전류가 릴레이(RY31)의 스위치(S31)를 통해 스위치박스(4)의 구동 스위치로 흐르게 되어 제1등화장치 구동부(RY21)의 코일(L21)에 기진력이 발생되어 스위치(S21)의 접점을 온 상태로 형성시켜 제1등화장치부(10a)의 해당 램프가 점등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되는 등화장치에서 자동소등을 실행하는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동작이 시작되면(10) 엔진 제어부(1)는 자동차의 등화장치를 자동으로 소등하기 위한 동작을 실행할 것인지를 판단하기 위하여 자동소등 선택 스위치(S2)의 접점 상태를판단한다(20).
상기에서 자동 소등 선택 스위치(S2)의 접점이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자동차에 구비되어 있는 제1,제2등화장치부(10a-10n)가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30).
상기에서 제1,제2등화장치부(10a-10n)중에서 임의의 램프가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엔진 제어부(1)는 주차 브레이크 동작 스위치(S3)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주차 브레이크가 동작되었는지를 판단한다(40).
상기 주차 브레이크 동작 스위치(S3)가 온되어 해당신호가 엔진 제어부(1)로 인가될 경우, 엔진 제어부(1)는 주차 브레이크가 동작된 상태로 판단하여 시동 스위치(S1)의 동작으로 자동차의 시동동작이 정지되었는지를 판단한다(50).
상기에서 주차 브레이크가 동작된 상태에서 시동 스위치(S1)가 온 접점을 유지하고 있어 시동이 걸린 상태일 경우에, 엔진 제어부(1)는 시동을 켜놓은 상태에서 잠시 자동차를 정차시킨 상태로 판단하여(60) 점등되어 있는 등화장치부(10a-10n)의 자동 소등동작을 실행하지 않는다.
그러나 시동 스위치(S1)가 오프되어 자동차의 시동 동작이 정지상태일 경우에, 엔진 제어부(1)는 비상등 스위치(S4)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비상등이 점등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70).
비상등 스위치(S4)가 온 상태일 경우에 비상상태에 따른 정차 동작으로 판단하여(80) 엔진 제어부(1)는 점등되어 있는 비상등의 자동 소등동작을 수행하지 않아 주변차량이 자동차의 긴급상황이나 비상사태를 인식하여 필요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주차 브레이크가 동작된 상태에서 엔진의 시동이 정지되고, 별도의 비상등이 동작되지 않은 상태일 경우엔, 엔진 제어부(1)는 엔진 시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점등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등화장치의 램프가 운전자의 실수로 소등되지 못한 램프로 판단한다.
그러므로 엔진 제어부(1)는 제3단자(C)의 신호 상태를 고 레벨인 H상태로 하여 릴레이(RY31)의 코일(L31)에 출력한다(120).
따라서, 평상시에 온 상태를 유지하던 릴레이(RY31)의 스위치(S31)는 코일(L31)에서 발생되는 기전력에 의해 오프상태로 절환되므로, 제1,제2등화장치 구동부(RY11∼RY1n)(RY21)의 코일(L11-L1n)(L21)에 인가되는 전류가 차단되어 스위치(S11-S1n)(S21)가 단락되므로, 점등상태에 있는 등화장치의 램프가 소등상태로 된다.
그리고 엔진 제어부(1)는 스위치 박스(4)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점등 접점을 유지하고 있는 구동 스우치가 오프되었는지를 판단한다(130).
시간이 흐른 후 온 되어 있는 구동 스위치를 발견하여 램프의 구동 스위치가 오프될 경우에, 엔진 제어부(1)는 제3단자(C)의 상태를 통상시의 저레벨인 L상태로 가변시켜 릴레이(RY31)의 동작을 중지시킨다(140).
즉, 점등상태에서 자동 소등된 등화장치의 해당 램프는 이미 스위치박스(4)의 구동 스위치 동작만으로도 다시 점등될 가능성이 없어졌으므로 릴레이(RY31)를 동작시키기 위한 불필요한 전원(B+)의 낭비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스위치박스(4)의 해당 구동 스위치가 오프되지 않았을 경우에 엔진 제어부(1)는 계속해서 점등되었던 등화장치의 해당 램프를 소등시키기 위해 릴레이(RY31)를 구동시킨다(120).
따라서 운전자의 잘못으로 점등되어 있는 등화장치를 자동으로 소등시켜 불요한 전원(B+)의 방전을 방지하고, 해당하는 구동 스위치가 오프 될 경우 해당 등화장치를 소등시키기 위해 불필요하게 동작되는 릴레이(RY31)의 동작을 중지시켜 전원(B+)의 방전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주차 브레이크가 동작되지 않아 주차 브레이크 동작 스위치(S3)가 오프 상태일 경우에, 엔진 제어부(1)는 시동 스위치(S1)에서 인가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시동이 유지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90).
따라서 시동 스위치(S1)의 동작으로 자동차에 시동이 걸려있을 경우에, 엔진 제어부(1)는 주행상태나 잠시 정지상태로 판단하여(100) 등화장치의 자동소등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
그러나 시동 스위치(S1)가 동작하지 않아 자동차의 시동이 껴져 있을 경우에 엔진 제어부(1)는 비상등 스위치(S5)의 동작으로 비상등이 점등되었는지를 판단한다(180).
비상등 스위치(S5)가 동작될 경우에 엔진 제어부(1)는 자동차의 비상사태로 인하여 자동차가 정차를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하여(190) 점등되어 있는 비상등을 소등하지 않는다.
그러나 비상등 스위치(S5)가 동작되지 않을 경우에 엔진 제어부(1)는 자동차의 시동이 정지된 후 경과된 경과시간과 설정된 설정시간을 비교한다(110).
상기에서 시동 동작이 정지된 후부터의 시동 정지 경과시간이 설정시간보다 길거나 같을 경우에 엔진 제어부(1)는 점등되어 있는 등화장치의 해당 램프를 소등시키기 위해 제3단자(C)의 상태를 고 레벨인 H로 하여 릴레이(RY31)를 동작시킨다(120).
그러므로 릴레이(RY31)의 동작으로 동작중인 제1,제2등화장치 구동부(RY11-RY1n)의 스위치 접점(L11-L1n)(L21)이 차단되어 점등상태에 있는 등화장치의 램프가 소등상태로 절환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자동차의 시동을 정지시킨 상태에서 주차 브레이크를 동작시키지 않고 자동차를 주차시키거나 장시간 자동차를 정지시킬 경우에 불필요한 등화장치 동작으로 소모되는 전원(B+)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자동소등 선택 스위치(S2)의 동작상태를 판단하는 단계(20)에서 선택 스위치(S2)의 접점이 자동소등동작을 수행하지 않는 접점으로 선택되어 있는 경우에, 엔진 제어부(1)는 자동차 도어의 온/오프동작에 따라 동작상태가 가변되는 도어 스위치(S5)의 상태를 판단한다(150).
상기에서 도어 스위치(S5)의 상태가 가변될 경우에 엔진 제어부(1)는 등화장치의 자동 소등동작을 중지시킨 후 자동차 안에 탑승하고 있던 탑승자가 자동차를 떠난 상태로 판단한다.
그러므로 엔진 제어부(1)는 선택 스위치(S5)의 상태를 초기상태인 오프상태로 리셋시킨 후(160) 선택 스위치(S2)의 동작상태를 판단하는 단계(20)로 넘어간다.
그러나 자동차 도어의 상태가 가변되지 않아 도어 스위치(S5)의 상태가 가변되지 않을 경우에 엔진 제어부(1)는 자동소등 선택 스위치(S2)의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20)로 넘어간다.
따라서 엔진 제어부(1)는 자동소등 선택 스위치(S2)를 동작시켜 운전자나 탑승자가 자동차의 시동을 정지시키고 장시간 주차하거나 정차하여 원하는 램프를 구동시킨 후, 자동소등 선택 스위치(S2)를 초기상태로 전환시키지 않고 램프를 점등시킨 채 자동차를 떠날 경우에 발생하게 되는 전원(B+)의 소모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이 고안의 효과는 자동차를 주차시킬 경우나 장시간 정차시킬 경우 운전자의 부주의로 불필요한 등화장치를 동작시킬 경우에 자동으로 소등될 수 있도록 하므로 전원의 불필요한 소모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전원(B+)과 연결되어, 자동차의 시동 동작에 따라 접점이 가변되는 시동 스위치(S1)와 주차 브레이크의 동작상태에 따라 접점이 가변되는 주차 브레이크 동작 스위치(S3)와 비상등을 동작시키기 위한 비상등 스위치(S4)와 자동차의 도어상태에 따라 접점이 가변되는 도어 스위치(S5)와 복수개의 제1,제2등화장치부(10a-10n)를 구비하는 자동차에 있어서, 운전자의 동작에 따라 자동 소등동작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소등 선택 스위치(S2)와; 콤비네이션 스위치 및 복수개의 선택 스위치로 이루어지며, 운전자의 선택에 의해 등화장치 점등을 위한 접점이 온 오프되는 구동 스위치로 이루어지는 스위치박스(4)와; 상기 전원(B+)에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박스(4)의 동작상태에 따라 해당하는 등화장치를 점등시키기 위해 동작하는 제1,제2등화장치 구동부(RY11-RY1n)(RY21)와; 상기 시동 스위치(S1)와 자동소등 선택 스위치(S2)와 주차 브레이크 동작 스위치(S3)와 비상등 스위치(S4)와 도어 스위치(S5)와 스위치 박스(4)와 제1,제2등화장치 구동부(RY11-RY1n)(RY21)의 신호를 입력받으며, 자동소등 선택 스위치(S2)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고 제1,제2등화장치부(10a-10n)의 임의의 램프가 점등된 상태에서,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S3)가 온 상태이고 시동 스위치(S1)가 오프 상태이며 비상등 스위치(S4)가 오프 상태를 유지하는 경우 점등된 램프를 소등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주차 브레이크 스위치(S3)가 온 상태를 유지하고 시동 스위치(S1)가 오프 상태이며 비상등 스위치(S4)가 오프 상태에서 시동 정지시간이 설정시간을 초과할 경우에 점등된 소등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제어부(1)와; 상기 엔진 제어부(1)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따라 제1,제2등화장치 구동부(RY11-RY1n)(RY21)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릴레이(RY31)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등화장치의 자동소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등화장치 구동부(RY11-RY1n)는 전원(B+)에 일측단자가 연결되고 타측단자가 상기 엔진 제어부(1)에 연결되는 코일(L11∼L1n)과, 전원(B+)에 일측단자가 연결되고 타측단자가 제2등화장치부(10b-10n)에 연결되는 스위치(S11∼S1n)로 이루어져 있는 다수개의 릴레이(RY11∼RY1n)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등화장치의 자동소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부(1)는 상기 자동소등 선택 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도어 스위치(S5)가 가변되면 상기 자동소등 선택 모드를 리셋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등화장치의 자동 소등장치.
KR2019930018581U 1993-09-16 1993-09-16 자동차 등화장치의 자동 소등장치 KR01382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8581U KR0138228Y1 (ko) 1993-09-16 1993-09-16 자동차 등화장치의 자동 소등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18581U KR0138228Y1 (ko) 1993-09-16 1993-09-16 자동차 등화장치의 자동 소등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653U KR950008653U (ko) 1995-04-17
KR0138228Y1 true KR0138228Y1 (ko) 1999-04-01

Family

ID=19363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18581U KR0138228Y1 (ko) 1993-09-16 1993-09-16 자동차 등화장치의 자동 소등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822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8653U (ko) 1995-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6816A (en) Automatic on-off vehicle headlight system
US5912534A (en) Double relay light switching system for providing daytime running lights for vehicles
US3500119A (en) Automatic headlight control system including windshield wiper motor
KR0138228Y1 (ko) 자동차 등화장치의 자동 소등장치
US3706006A (en) Headlight control system for vehicles
JPH115500A (ja) バッテリー上がり防止機能を備えた車両用電源制御装置
JPS6338052A (ja) 車両用点灯制御装置
JPH11301342A (ja) 前照灯制御装置
KR0164325B1 (ko) 자동차의 램프 자동소등장치
KR20050098983A (ko) 자동차 오토라이트 시스템
JPH06227313A (ja) 車両ヘッドランプの自動点滅及び自動点燈減光装置
KR950009014Y1 (ko) Drl장치의 조명장치 제어회로
JPH03164340A (ja) 車両用ルームランプの制御装置
JP3003889U (ja) 車両の前照灯及び制動灯の自動調光装置
JPH10250467A (ja) ターンシグナルランプ駆動システム
KR200407070Y1 (ko) 차량용 백업램프의 광도조절장치
JPH11334461A (ja) 前照灯制御装置
KR20050071092A (ko) 주위 환경에 대응하는 자동차용 램프 시스템
KR200231284Y1 (ko) 자동차의 미등 및 전조등 자동제어장치
KR920004187Y1 (ko) 자동차용 램프의 자동 온 · 오프 제어회로
KR0125298Y1 (ko) 자동차의 주간등 장치
KR0135515Y1 (ko) 자동차의 후진등 제어 장치
KR0137160B1 (ko) 명암가변식 방향전환 램프 점멸장치
KR0138387B1 (ko) 주변조명에 의한 인테리어 램프 점등장치
KR19990010567U (ko) 자동차 전조등의 점소등 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