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7070Y1 - 차량용 백업램프의 광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백업램프의 광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7070Y1
KR200407070Y1 KR2020050031508U KR20050031508U KR200407070Y1 KR 200407070 Y1 KR200407070 Y1 KR 200407070Y1 KR 2020050031508 U KR2020050031508 U KR 2020050031508U KR 20050031508 U KR20050031508 U KR 20050031508U KR 200407070 Y1 KR200407070 Y1 KR 2004070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up lamp
vehicle
brightness
turned
back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15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철현
Original Assignee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신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신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315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707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070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707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0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 B60Q1/22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lluminate the way ahead or to illuminate other areas of way or environments for reverse driv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9/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operating incandescent light sources
    • H05B39/04Controlling
    • H05B39/041Controlling the light-intensity of the sourc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1/00Circuit 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igniting or operating discharge lamps
    • H05B41/14Circuit arrangements
    • H05B41/36Controlling
    • H05B41/38Controlling the intensity of 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백업램프의 광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와, 차량의 시동 상태에 따라 온/오프 되는 시동 스위치와, 차량의 후진 기어가 동작하면 온 되는 백업램프 스위치와, 시동 스위치 및 백업램프 스위치가 온 되면 전원부에서 공급된 전원을 인가받아 점등하는 백업램프와, 백업램프에 인가되는 전원을 조절하여 점등된 백업램프의 광도를 조절하는 광도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백업램프의 광도를 운전자로 하여금 직접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야간 후진 시 운전자에게 더욱 넓은 후방 시야를 제공하여 안전사고의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차량, 백업램프, 후진등, 광도조절

Description

차량용 백업램프의 광도조절장치{Device for regulating the brightness backup lamp for a car}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백업램프의 점등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업램프의 광도조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백업램프 20: 시동 스위치
30: 백업램프 스위치 40: 광도조절부
본 고안은 차량용 백업램프의 광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백업램프의 광도를 운전자로 하여금 직접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야간 후진 시 운전자에게 더욱 넓은 후방 시야를 제공하는 차량용 백업램프의 광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는 어두운 곳에서 자동차를 후진하고자 할 경우에 백업램프(backup lamp)를 켬으로써 시야를 넓혀 안전운행을 할 수가 있다. 이때 사용되는 백업램프의 기능은 법령에서 규정되어 있으며, 자동차 생산업체에서는 자동차 공업 규격에 의한 기준치 이상의 밝기를 내는 백업램프를 가진 자동차를 생산하고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백업램프의 점등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백업램프의 점등장치는 전원부(10), 시동 스위치(20), 백업램프 스위치(30) 및 백업램프(40)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부(10)는 차량의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구동벨트로 차량 엔진과 연결되어 구동됨으로써 전기를 발생시키는 알터네이터(12)와, 초기 시동 시 전원을 공급해주며 알터네이터(12)에서 발생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14)로 구성된다.
상기 시동 스위치(20)는 차량에 시동이 켜지면 온 되고 차량에 시동이 꺼지 면 오프 되는 스위치이다.
상기 백업램프 스위치(30)는 변속레버를 후진 위치에 놓음으로써 후진 기어를 동작시키면 온 되는 스위치이다.
상기 백업램프(40)는 상기 시동 스위치(20) 및 백업램프 스위치(30)가 온 되면 점등되는 램프로서 21와트(Watt) 내지 27와트 범위의 전력을 가진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차량용 백업램프의 점등장치는 차량에 시동을 켜진 상태에서 후진 기어를 동작시키면 백업램프를 점등시킨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백업램프 점등장치는 주변 환경에 관계없이 일정한 광도를 유지한다. 따라서 운전자에 따라 백업램프의 밝기를 느끼는 정도가 다를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자동차 백업램프의 밝기를 느끼는 것은 운전자의 주관적인 사항이므로, 비록 각기 다른 자동차에 부착되어 있는 백업램프의 밝기가 공업 규격에 따른 기준치에 의해 일정한 값을 가지더라도 상대적으로 백업램프의 밝기를 운전자마다 서로 다르게 느낄 수 있다.
특히, 최근에는 선팅이 보편화 되어 있어 야간 후진 시 종래의 백업램프의 광도로는 차량 후방의 시야를 확보하는 데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종래의 백업램프 점등장치를 이용하여 어두운 곳에서 자동차를 후진하고자 할 경우 운전자에 따라 현재의 백업램프의 밝기로는 사물 확인이 곤란한 경우가 발생하거나 운전자에게 충분한 시야를 확보할 수 없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야간에 골목 등의 교차지점에서 후진하는 경우, 운전자는 골목에서 나오는 차량을 인지하기 어려워 그 차량과 충돌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본 고안은 백업램프의 광도를 운전자로 하여금 직접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야간 후진 시 운전자에게 더욱 넓은 후방 시야를 제공하여 안전사고의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백업램프의 광도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의한 차량용 백업램프의 광도조절장치는, 상기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와, 상기 차량의 시동 상태에 따라 온/오프 되는 시동 스위치와, 상기 차량의 후진 기어가 동작하면 온 되는 백업램프 스위치와, 상기 시동 스위치 및 상기 백업램프 스위치가 온 되면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된 전원을 인가받아 점등하는 백업램프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백업램프에 인가되는 전원을 조절하여 상기 점등된 백업램프의 광도를 조절하는 광도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백업램프의 전력은 27와트 내지 55와트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광도조절부는 가변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백업램프의 광도를 운전자로 하여금 직접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야간 후진 시 운전자에게 더욱 넓은 후방 시야를 제공하여 안전사고의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업램프의 광도조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업랩프의 광도조절장치는 전원부(110), 시동 스위치(120), 백업램프 스위치(130), 백업램프(140) 및 광도조절부(150)로 구성된다.
상기 전원부(110)는 차량의 전기장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구동벨트로 차량 엔진과 연결되어 구동됨으로써 전기를 발생시키는 알터네이터(112)와, 초기 시동 시 전원을 공급해주며 알터네이터(112)에서 발생된 전기를 저장하는 배터리(114)로 구성된다.
상기 시동 스위치(120)는 상기 전원부(110)에서 공급된 전원을 차량에 공급하거나 시동을 걸기 위한 장치로서, 차량의 시동 상태에 따라 온/오프 된다. 즉, 차량의 시동이 켜진 상태에 있으면 상기 시동 스위치(120)는 온 되며, 그와 반대로 차량의 시동이 꺼진 상태에 있으면 상기 시동 스위치(120)는 오프 된다. 이러한 시동 스위치(120)는 스위치 온 될 경우 IG1 단자를 통해서 상기 전원부(110)와 연결 된 AM 단자와 연결된다.
상기 백업램프 스위치(130)는 변속레버 박스에 설치되며 변속레버의 위치에 따라 스위칭 된다. 즉, 변속레버가 후진 위치(R)에 놓이면 온 되고, 그 이외의 위치(P, N, D, 2, L)에 놓이면 오프 된다.
상기 백업램프(140)는 차량이 후진하고 있음을 알려주는 것과 동시에 장애물을 확인하기 위한 램프로서, 범퍼나 미등 속에 일체로 설치된다. 종래의 백업램프(140)는 21와트 내지 27와트 범위의 전력을 가지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백업램프(140)는 종래보다 더 밝은 빛을 발할 수 있도록 27와트(Watt) 내지 55와트 범위의 전력을 가진다.
이와 같은 백업램프(140)는 상기 시동 스위치(120) 및 백업램프 스위치(130)가 온 되면 상기 전원부(110)에서 공급된 전원을 인가받아 점등하게 된다. 즉, 차량에 시동이 걸린 상태에서 변속레버를 후진 위치에 놓으면 점등한다.
상기 광도조절부(150)는 후진 시 상기 백업램프(140)의 광도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이다. 즉, 상기 백업램프(1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시동 스위치(120) 및 백업램프 스위치(130)가 온 되면 점등하게 되는데, 이때 이 광도조절부(150)를 운전자가 직접 조절함으로써 주변상황에 맞게 백업램프(140)의 광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백업램프(1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27와트 내지 55와트 범위의 전력을 가지므로, 상기 광도조절부(150)는 상기 백업램프(140)의 광도를 27와트 내지 55와트 범위의 전력에 상응하는 범위의 값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광도조절부(150)는 저항값을 변화시킴으로써 상기 백업램프(14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조절할 수 있는 가변저항을 상기 백업램프 스위치(130)와 백업램프(140) 사이에 연결시켜 구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업램프의 광도조절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운전자가 시동키를 시동 스위치(120)에 꽂아 시동을 걸면 시동 스위치(120)의 IG1 단자가 AM 단자와 연결되어 시동 스위치(120)는 온 된다. 여기서, AM 단자는 배터리(114) 및 알터네이터(112)와 연결된 전선이다.
이후, 상기와 같이 시동 스위치(120)가 온 된 상태에서 변속레버를 후진 위치로 놓음으로써 후진 기어를 동작시키면 이 후진 기어의 동작과 연동하여 백업램프 스위치(130)는 온 되며, 이에 따라 백업램프(140)는 배터리(114) 또는 알터네이터(112)로부터 전원을 인가받아 점등하게 된다.
이때, 운전자가 현재의 백업램프(140)의 광도로는 후방에 있는 물체를 잘 식별할 수 없는 경우, 광도조절부(150)를 직접 조절하여 백업램프(140)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를 변화시킴으로써 백업램프(140)의 광도를 조절하여 후방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백업램프의 광도조절장치는 백업램프의 광도를 운전자로 하여금 직접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야간 후진 시 운전자에게 더욱 넓은 후방 시야를 제공하여 안전사고의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고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백업램프의 광도조절장치는 백업램프의 광도를 운전자로 하여금 직접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야간 후진 시 운전자에게 더욱 넓은 후방 시야를 제공하여 안전사고의 발생률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상기 차량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와;
    상기 차량의 시동 상태에 따라 온/오프 되는 시동 스위치와;
    상기 차량의 후진 기어가 동작하면 온 되는 백업램프 스위치와;
    상기 시동 스위치 및 상기 백업램프 스위치가 온 되면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된 전원을 인가받아 점등하는 백업램프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백업램프에 인가되는 전원을 조절하여 상기 점등된 백업램프의 광도를 조절하는 광도조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업램프의 광도조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램프의 전력은 27와트 내지 55와트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업램프의 광도조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도조절부는 가변저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백업램프의 광도조절장치.
KR2020050031508U 2005-11-07 2005-11-07 차량용 백업램프의 광도조절장치 KR20040707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508U KR200407070Y1 (ko) 2005-11-07 2005-11-07 차량용 백업램프의 광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1508U KR200407070Y1 (ko) 2005-11-07 2005-11-07 차량용 백업램프의 광도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7070Y1 true KR200407070Y1 (ko) 2006-01-23

Family

ID=41758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1508U KR200407070Y1 (ko) 2005-11-07 2005-11-07 차량용 백업램프의 광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7070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1888A (en) Automatic vehicle power and headlight controlling device with detecting function of a generator and delayed effect
JP2002087151A (ja) 車両用ランプ制御装置
KR20060101496A (ko) 방향등의 주간 운용 조명 모듈, 안개등 시스템, 및 차량의회전 신호 제어 시스템
JP4661847B2 (ja) 車両用ライト制御装置
KR200407070Y1 (ko) 차량용 백업램프의 광도조절장치
JP2000177480A (ja) 車両用照明装置
JP2011057100A (ja) 車載ランプ駆動装置
JP4983198B2 (ja) 車載用減光回路
JP5489899B2 (ja) 灯体制御装置
KR101047263B1 (ko) 미등 감광 해제 기능을 갖는 레오스타트
JP7294180B2 (ja) 光源制御装置
KR20130088261A (ko) 자동차용 엠비언트 라이트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0409507Y1 (ko) 차량의 후방램프 점등장치
JP7294181B2 (ja) 光源制御装置
KR0138228Y1 (ko) 자동차 등화장치의 자동 소등장치
KR200413262Y1 (ko) 차량용 룸램프의 밝기조절장치
KR950009014Y1 (ko) Drl장치의 조명장치 제어회로
KR0138387B1 (ko) 주변조명에 의한 인테리어 램프 점등장치
KR0132488Y1 (ko) 차량의 독서등 자동점등회로
KR0125298Y1 (ko) 자동차의 주간등 장치
JP3565390B2 (ja) 車両用オートライト装置
KR20050060820A (ko) 차량용 계기판 램프의 자동 점등/소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05545B1 (ko) 스마트 정션박스를 구비한 자동차 전방램프 및 그 제어방법
JP3580515B2 (ja) 車両用オートライト装置
KR200151556Y1 (ko) 밝기 조절이 가능한 차량의 헤드램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03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