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8137B1 -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 Google Patents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38137B1 KR0138137B1 KR1019920003259A KR920003259A KR0138137B1 KR 0138137 B1 KR0138137 B1 KR 0138137B1 KR 1019920003259 A KR1019920003259 A KR 1019920003259A KR 920003259 A KR920003259 A KR 920003259A KR 0138137 B1 KR0138137 B1 KR 013813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ignal
- memory
- subject
- surveillance
- surveillance camera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감시용 카메라를 채택하여 감시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감시영역에 움직이는 피사체가 있을 경우에 기록장치에 기록하게 하는 감시용 시스템에 있어서 전동 줌렌즈(ZOOM LENS) 렌즈가 장착된 감시용 카메라와 ; 카메라를 상하 및 좌우로 회전하게하는 전동모터와 ; 피사체의 움직임 범위 검출장치와 ; 움직임 추적장치를 구비하여 감시영역 내의 움직이는 피사체의 운동범위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여 카메라에 장착된 전동 줌렌즈의 동작을 제어하며, 피사체의 움직임 량 및 방향을 검출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전동모터를 제어하여 피사체를 추적하게 하므로서 적정한 감시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잇점을 갖는다.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의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다.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 동신호검출부의 상세한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의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다.
제4도는 제3도의 움직임 범위 검출부 및 움직임 추적부의 상세한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다.
제5도는 제4도에 있어서 각부의 타이밍 관계를 보이는 도면이다.
제6도는 제4도에 있어서 동벡터 산출과정을 보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은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감시카메라를 피사체의 움직임에 따라 상하좌우로 이동함과 동시에 피사체가 움직이는 범위를 파악하여 화각을 조정할 수 있는 감시용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보안 시스템으로서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이 널리 채택되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은 감시용 카메라를 이용하여 감시영역을 디스플레이하거나 장시간 기록용 비데오(Time Lapse VTR)를 병용하여 상황을 간헐적으로 기록하도록 한다. 일본특허 소61-103756에서와 같은 감시용 카메라는 움직임 검출장치를 채용하여 감시영역 내에 사람의 진입등의 사건에 의해 화면상 급격한 변화가 일어나는 시점을 감지하여 VTR을 연속기록모드롤 동작하도록 하고 화면상 물체의 움직임이 멈추면 간헐 기록모드로 복원되도록 하는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도 채용되고 있다. 감시영역에서의 물체의 움직임을 보다 정확히 검출하기 위하여 미국특허 4,458,266에서는 화면을 복수개의 자화면으로 분할하여 각각의 자화면에 대해 움직임 검출을 행하는 방법도 제시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에서는 피사체가 카메라의 감시영역에 대해 상대적으로 작거나 큰 경우에 있어서는 충분한 크기의 움직임 검출신호를 얻을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피사체가 카메라의 감시영역에서 벗어날 경우에는 움직임 신호가 발생하지 않게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전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카메라의 화각을 피사체의 크기에 대응시켜 적절히 조절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카메라를 피사체의 운동에 대응시켜 움직여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는 움직임 검출장치만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의 경우에 있어서 피사체의 운동을 적절하게 감시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감시용 카메라를 채택하여 감시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감시영역에 움직이는 피사체가 있을 경우에 기록장치에 기록하게 하는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감시영역 내에서 피사체의 움직임 범위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여 카메라의 화각을 조정하여 최적의 감시상태를 유지하게하는 감시용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에 적합한 움직임 범위 파악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감시용 카메라를 채택하여 감시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감시영역에 움직이는 피사체가 있을 경우에 기록장치에 기록하게 하는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감시영역 내에서 피사체의 움직임 량 및 방향을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여 카메라를 상하좌우로 이동하게 하여 최적의 감시상태를 유지하게하는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의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에 적합한 움직임 량 및 방향을 검출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은,
전동 줌렌즈(ZOOM LENS) 렌즈가 장착된 감시용 카메라와 ;
상기 카메라를 상하 및 좌우로 회전하게하는 전동모터와 ;
피사체의 움직임 범위 검출장치와 ;
움직임 추적장치를 구비하여,
감시영역 내의 움직이는 피사체의 운동범위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여 카메라에 장착된 전동 줌렌즈의 동작을 제어하며, 피사체의 움직임 량 및 방향(동벡터)을 검출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전동모터를 제어하여 적정한 감시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상세한 도면에 의하여 명백해 질 것이다.
제1도는 종래의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의 간략한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다.
제1도에 있어서 11은 카메라, 12는 분배기, 13은 VTR이고 14는 동신호 검출장치이다 .
제1도의 동작에 있어서, 카메라 11로부터 송출된 비데오신호 11a는 분배기 12에 의해 VTR 13과 동신호 검출장치 14에 공급된다. 동신호 검출장치 14에 의해 발생되는 움직임 검출신호 14a는 VTR 13에 공급되어 VTR의 녹화동작을 제어한다.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 동신호 검출장치의 상세한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다.
제2도에 있어서, 입력단자 20에 입력되는 비데오 신호 12b는 로우패스필터(Low Pass Filter) 21에 의해 대역제한된 후 A/D변환기 22에 의해 양자화되고, 피일드메모리 23 또는 24에 기록된다. 피일드 메모리 23은 현 피일드의 입력영상신호 22a(T)를 기억하며 피일드 메모리 24는 전 피일드의 입력영상신호 22a(T-t)를 기억한다. 여기서 T는 현재의 시간을 나타내는 변수이고 t는 피일드 메모리 23, 24에의 기록주기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피일드 메모리 23, 24에의 기록주기는 12피일드 기간(NTSC의 경우 1피일드 기간은 약 1/60초)으로 가정한다. 피일드 메모리 23에의 기록이 종료된 후 다음 1 피일드 기간동안 피일드 메모리 23과 24에 기록된 내용이 독출되어 감산회로 25에 공급된다. 감산회로 25에서의 감산결과는 적분회로 26에 공급된다. 적분회로 26은 피일드 메모리 23과 24의 독출동작 직전에 0으로 리세트되고 그 후 피일드 메모리의 독출 종료시 까지 감산회로 25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적분한다. 적분회로 26에 의해 피일드 메모리의 독출기간 동안 적분된 신호는 피일드 메모리의 독출 동작이 종료된 후 레벨 판별회로 27에 입력된다. 레벨판별회로 27에서는 입력되는 신호가 일정레벨 이상일 경우에 움직임 검출신호를 출력단자 28를 통해 외부에 출력시킨다. 상기의 동작은 메모리 제어회로 29에 의해 제어된다.
제1도에 보여지는 종래의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 카메라의 감시영역 상에 있어서 움직이는 피사체의 크기가 작은 경우 적분회로 26에서의 동신호레벨이 작은 값이 되어 피사체의 움직임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 반면에 피사체의 크기가 클 경우에 있어서도 움직임 신호를 얻기위한 범위가 줄어들게 되어 역시 피사체의 움직임 여부를 판단하기 어렵다. 더우기 피사체의 운동이 감시영역 밖으로 벗어나는 경우에는 이를 파악하기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감시영역 내에서 피사체의 운동이 검출된 이후 감시영역에 대한 피사체의 크기변화 혹은 이동에 대하여 카메라의 화각을 적절히 변화시키거나 이동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제3도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의 간략한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다.
제3도에 있어서 31은 전동 줌렌즈가 장착된 카메라, 32는 분배기, 33은 VTR이고 34는 동신호 검출장치, 35는 운동범위 검출장치, 36은 움직임 추적장치이고 37은 카메라 31를 상하좌우로 회전시키는 전동모터를 구동하는 구동장치이다.
제3도의 동작에 있어서, 카메라 31로부터 송출된 비데오신호 31a는 분배기 32에 의해 VTR 33과 동신호 검출장치 34, 운동범위 검출장치 35 및 동벡터 검출장치 36에 공급된다. 동신호 검출장치 34에 의해 발생되는 움직임 검출신호 34a는 VTR 33에 공급되어 VTR의 녹화동작을 제어한다. 운동범위 검출장치 35에 의해 발생된 줌 인/아웃(ZOOM IN/OUT) 신호는 카메라 31의 전동 줌렌즈 구동회로에 공급되어 줌렌즈의 동작을 제어한다. 한편 움직임 추적장치 36에서의 수직방향 구동신호(V_DRV)와 수평방향 구동신호(H_DRV)는 카메라를 상하좌우로 회전시키도록 전동모터 구동장치 37에 공급된다.
제4도는 제3도에 있어서 운동범위 검출장치 35와 움직임 추적장치 36의 상세한 구성을 보이는 도면이다.
제4도에 있어서, 41은 피일드간 차신호 검출회로, 42는 엣지신호 검출부, 43은 운동범위 검출장치, 44는 동벡터 검출부이고 45는 메모리 제어부이다.
제4도의 구성에 의한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피일드간 차신호 검출회로 41에 있어서, 입력단자 40에 입력되는 비데오 신호 32b는 로우패스필터(Low Pass Filter) 411에 의해 대역제한된 후 A/D 변환기 412에 의해 양자화되고, 피일드메모리 413 또는 414에 기록된다. 피일드 메모리 413은 현 피일드의 입력영상신호 4122a(T)를 기억하며 피일드 메모리 414는 전 피일드의 입력영상신호 412a(T-t)를 기억한다. 여기서 T는 현재의 시간을 나타내는 변수이고 t는 피일드 메모리 413, 414에의 기록주기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피일드 메모리 413, 414에의 기록주기는 12피일드 기간(NTSC의 경우 1피일드 기간은 약 1/30초)으로 가정한다. 피일드 메모리 413에의 기록이 종료된 후 다음 1피일드 기간 동안 피일드 메모리 413과 414에 기록된 내용이 독출되어 감산회로 415에 공급된다. 감산회로 415에서의 감산결과는 엣지검출부 42에 공급된다.
엣지검출부 42에 입력되는 신호는 피일드간 차신호이다. 피일드간 차신호 검출기 41에 있어서 감시영역 내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이 없으면 피일드 메모리 413과 414에 기억된 내용이 동일하고 감산회로 415에서의 출력신호는 0이다. 반면에 감시영역 내에서 피사체의 움직임이 있으면 피일드 메모리 413과 414에 기억된 내용이 다르므로 감산회로 415에서의 출력신호는 변화하게 되며 그 변화의 정보는 입력단자 40에 입력되는 신호가 휘도신호일 경우 휘도레벨의 차이에 비례하며 피일드 간의 변화도가 큰 부분이 존재한다. 즉 변화가 없는 부분과 변화가 있는 부분의 경계에 있어 피일드간 차신호의 변화가 매우 급격히 일어난다. 엣지 검출부 42에서는 입렵되는 피일드간 차신호의 변화도가 일정레벨 이상일 경우 하이레벨 H의 논리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피사체의 운동이 없는 부분과 있는 부분의 경계면에서 엣지신호가 발생되며 엣지신호의 발생범위는 피사체의 운동범위를 나타내게 된다. 운동범위 검출부 43에서는 엣지신호의 발생범위를 검출하여 카메라에 장착된 줌모터를 제어하여 줌인(ZOOM IN) 혹은 줌아웃(ZOOM OUT)하므로서 화각을 조정하도록 한다. 최대운동범위 판별부 431에서는 엣지검출부 42에서의 엣지신호 42a를 감시하여 엣지신호 42가 하이상태 H로 되는 순간마다 메모리 제어기 44에서 공급되는 어드레스를 기억한다. 메모리 제어기 44에서의 어드레스 신호는 피일드간 차신호 검출기 41의 피일드 메모리 413, 414의 독출어드레스와 동기되어 있으므로 피일드 간 변화가 없는 부분과 변화가 있는 부분과의 경계면을 나타내는 어드레스가 최대운동범위 검출부 431에 기억되며 엣지신호의 하이상태 H마다 갱신되므로 피일드 메모리 413, 414 독출종료 후 피사체 운동의 최대어드레스를 얻게 된다. 비교부 432에서는 피일드 메모리 413, 414의 독출종료 후 최대운동범위 검출부 431에 기억된 어드레스를 기준어드레스와 비교한다. 최대 운동범위 검출부 431에서의 어드레스가 제1기준어드레스보다 큰 경우에는 줌아웃(ZOOM OUT) 신호를 출력하고 제2기준어드레스보다 작은 경우에는 줌인(ZOOM IN)신호를 출력한다. 제1기준 어드레스는 제2기준 어드레스보다 큰 어드레스로 설정되며 줌아웃의 개시점이 되도록 설정된다. 제2기준 어드레스는 줌인의 개시점이 되도록 설정된다.
움직임 추적부 44는 동일한 구성을 갖는 수직동벡터 검출부 441과 수평동벡터 검출부 442로 구성된다. 먼저 수직동벡터 검출부 441에 있어서 수직중심 검출부 4411는 입력되는 엣지신호 42a가 최초로 하이상태 H로 되는 시점에서 메모리 제어기 45에서의 어드레스를 최초의 수직어드레스 Vmin로서 기억하고, 입력되는 엣지신호 42a가 최종적으로 하이상태 H로 되는 시점에서 메모리 제어기 45에서의 어드레스를 최종 수직어드레스 Vmax로 기억한다. 최초 수직어드레스 Vmin과 최종 수직어드레스 Vmax에 의해 다음의 방법으로 수직중심 어드레스 Vc가 결정된다.
수직방향의 동벡터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2조의 수직중심 어드레스가 필요하다. 즉 첫번째 피일드 413a(T)와 두번째 피일드 413a(T-t)의 차신호로부터 추출되는 제1수직중심어드레스 Vc1과 두번째 피일드 413a(T-t)와 세번째 피일드413a(T-2t)과의 차신호로부터 추출되는 제2수직중심어드레스 Vc2를 각각 구한후 Vc2에서 Vc1을 빼면 수직방향의 동벡터 Vm가 산출된다. 수직중심 검출부 4411에서 검추된 수직중심 어드레스 Vc1은 수직중심 메모리 4412에 기억되고 제2수직중심 어드레스 Vc2는 제2수직중심 메모리 4413에 기억된다. 제1수직중심 메모리 4412와 제2수직중심 메모리 4413의 내용은 비교부 4414에 의해 비교되어 그 차신호가 수직동벡터 Vm으로서 출력된다.
수평동벡터 검출부 441에 있어서 수평중심 검출부 4411은 입력되는 엣지신호 42a가 최초로 하이상태 H로 되는 시점에서 메모리 제어기 45에서의 어드레스를 최초의 수평어드레스 Hmin으로서 기억하고, 입력되는 엣지신호 42a가 최종적으로 하이상태 H로 되는 시점에서 메모리 제어기 45에서의 어드레스를 최종의 수평어드레스 Hmax로 기억한다. 최초 수평어드레스 Hmin과 최종 수평어드레스 Hmax에 의해 다음의 방법으로 수평중심어드레스 Hc가 결정된다.
수평방향의 동벡터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2조의 수평중심 어드레스가 필요하다. 즉 첫번째 피일드 413a(T)와 두번째 피일드 413a(T-t)의 차신호로부터 추출되는 제1수평중심어드레스 Hc1과 두번째 피일드 413a(T-t)와 세번째 피일드 413a(T-2t)와의 차신호로부터 추출되는 제2수평중심어드레스 Hc2를 각각 구한후 Hc2에서 Hc1을 빼면 수직방향의 동벡터 Hm이 산출된다. 수평중심 검출부 4421에서 검출된 수평중심어드레스 Hc1은 제1수평중심 메모리 4422에 기억되고 제2수평중심 어드레스 Hc2는 제2수평중심 메모리 4423에 기억된다. 제1수평중심 메모리 4422와 제2수평중심 메모리 4423의 의 내용은 비교부 4424에 의해 비교되어 그 차신호가 수평동벡터 Hm으로서 출력된다. 동벡터 검출부 44에서 출력되는 수직동벡터 Vm과 수평동벡터 Hm은 전동모터 구동부 37에 인가되어 카메라를 상하 혹은 좌우로 회전시키게 된다.
제5도는 제4도에 있어서 각부의 타이밍 관계를 보이는 도면이다.
NTSC의 경우 1초동안 60개의 수직동기신호(Vsync)를 갖는다. 메모리 제어부 5에서는 수직동기신호(Vsync)를 계수하여 12개의 Vync를 주기로 일 피일드 기간동안 메모리를 인에이블시키는 메모리 인에이블 신호(/ME1, /ME2)를 발생한다. /ME1과 /ME2는 6Vsync만큼의 위상차를 갖는다. 즉 제1피일드 메모리 413과 제2피일드 메모리 414는 1초동안 각각 5피일드의 신호가 기록되게 된다. 상기 제1피일드 메모리 413과 제2피일드 메모리 414에 기록된 데이타는 메모리 인에이블 신호(/ME1, /ME2)의 다음과 도달하는 Vsync기간동안에 메모리 제어기 45에서 발생되는 메모리 출력 인에이블 신호(/MO)에 의해 독출되어져 감산기 415에 입력된다. 상기 감산기 415는 입력된 두 개의 데이타를 감하여 그 결과를 엣지검출부 42로 출력한다. 엣지검출부 42에서는 입력되는 피일드간 차신호의 변화도가 일정레벨 이상일 경우 하이레벨 H의 논리신호를 출력한다. 따라서 피사체의 운동이 없는 부분과 있는 부분의 경계면에서 엣지신호가 발생되며 엣지신호의 발생범위는 피사체의 운동범위를 나타내게 된다. 운동범위 판별부 431와 수평중심 판별부 4411, 수징중심 판별부 4421에서는 메모리 제어부 45에서의 어드레스 신호와 엣지신호를 비교하여 최대운동범위 및 수평, 수직중심을 어드레스로서 얻는다. 상기의 최대 운동 어드레스 및 수평, 수직중심 어드레스는 /MO의 다음에 도달하는 Vsync 기간 중에 메모리 제어부 45에서 발생되는 어드레스 출력신호 /MO1 기간동안에 출력된다. 비교기 432에서는 최대운동범위 어드레스와 제1기준 어드레스 REF1과 제2기준 어드레스 REF2를 비교하여 줌인(ZOOM-IN) 혹은 줌아웃(ZOOM-OUT) 신호를 얻는다. 동벡터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2조의 중심어드레스가 필요하다. 즉 IM1,2의 엣지데이타와 IM2,3의 엣지데이타의 중심어드레스를 각각 구한 후 IM2,3의 중심어드레서에서 IM1,2의 중심어드레스를 빼면 동벡터가 산출된다. 동벡터는 비교기 4414와 4424에서 검출되어 전동모터 구동부 37에 공급된다.
제6도는 제4도에 있어서의 동벡터 산출과정을 보이는 도면이다. 세개의 피일드 영상출력 IM1 IM2 IM3, 두개의 피일드 간 차신호 IM1,2 IM2,3, 두개의 엣지신호 IM1,2 IM2,3, 두개의 중심어드레스와 동벡터를 보이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감시용 카메라는 감시영역에 있어서 피사체의 움직임에 의해 감시상태가 열악해 지거나 피사체의 움직임을 기록하는 재생영상의 질이 열화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줌렌즈를 장착한 카메라와 카메라를 상하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는 회전장치를 구비하여 감시영역에 대한 피사체의 크기가 변화함에 따라 줌렌즈를 제어하여 적정한 화각을 유지하게 하고 또한 피사체가 감시영역을 벗어나는 경우 카메라의 앵글을 이동시켜 추적감시할 수 있도록 하여 최적의 감시상태를 유지하게하는 잇점을 갖는다.
Claims (20)
- 감시용 카메라를 채택하여 감시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감시영역에 움직이는 피사체가 있을 경우에 기록장치에 기록하게 하는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전동 줌렌즈(ZOOM LENS) 렌즈가 장착된 감시용 카메라와 ;피사체의 움직임 범위 검출장치를 구비하여,감시영역 내의 움직이는 피사체의 운동범위를 파악하고, 이에 대응하여 카메라에 장착된 전동 줌렌즈의 동작을 제어하여 최적의 감시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범위 검출장치는주기적 영상신호의 차를 검출하는 차신호 검출수단과 ;상기 차신호의 엣지부분을 추출하는 엣지 검출수단과 ;상기 엣지신호의 최종위치를 검출하는 최종 어드레스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된 최종위치를 제1기준위치 및 제2기준위치와 비교하는 비교수단을 구비하여,상기 카메라 화각 내의 피사체의 크기변화에 대응하여 줌렌즈를 제어하여 피사체가 카메라의 화각상 적정한 크기로 유지되도록 하는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신호 검출수단은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지탈 변환하는 디지탈 변환수단과 ;디지탈 변환된 단위영상신호를 기억하는 제1메모리, 제2메모리와 ;제1메모리와 제2메모리의 영상신호를 비교하는 비교수단을 구비하여 주기적으로 기록되는 영상신호간의 차를 검출하도록 하는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저주파 대역을 필터링하여 상기 디지탈 변환수단에 공급하는 저주파 필터를 더 구비하는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 제3항에 있어서, 제1메모리와 제2메모리에 기록되는 영상신호는 피일드 영상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 제3항, 제4항, 제5항 중의 어느 일항에 있어서,입력되는 영상신호는 휘도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검출수단은입력되는 차신호의 변화도가 급격한 위치에서 하이상태의 논리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교수단은상기 최종 어드레서가 제1기준위치보다 크면 줌아웃 신호를 발생하고,제2기준위치보다 작으면 줌인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 제8항에 있어서, 제2기준위치는 제1기준위치의 1/2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 감시용 카메라를 채택하여 감시영역을 디스플레이하고 감시영역에 움직이는 피사체가 있을 경우에 기록장치에 기록하게 하는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에 있어서,카메라를 상하 및 좌우로 회전하게하는 전동모터와 ;움직임 추적장치를 구비하여,감시영역 내의 움직이는 피사체의 움직임 량 및 방향(동벡터)응ㄹ 검출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전동모터를 제어하여 적정한 감시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움직임 추적수단은주기적 영상신호의 차를 검출하는 차신호 검출수단과 ;상기 차신호의 엣지부분을 추출하는 엣지 검출수단과 ;상기 엣지신호의 움직임 량 및 방향을 검출하는 동벡터 검출수단을 구비하여,감시영역 내의 피사체의 이동에 대응하여 전동모터를 제어하여 피사체가 카메라의 화각 내에 존재하도록 하는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신호 검출수단은입력되는 영상신호를 디지탈 변환하는 디지탈 변환수단과 ;디지탈 변환된 단위영상신호를 기억하는 제1메모리, 제2메모리와 ;제1메모리와 제2메모리의 영상신호를 비교하는 비교수단을 구비하여,주기적으로 기록되는 영상신호간의 차를 검출하도록 하는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 제12항에 있어서,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저주파 대역을 필터링하여 상기 디지탈 변환수단에 공급하는 저주파 필터를 더 구비하는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 제12항에 있어서,제1메모리와 제2메모리에 기록되는 영상신호는 피일드 영상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 제12항, 제13항, 제14항 중의 어느 일항에 있어서,입력되는 영상신호는 휘도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엣지검출수단은입력되는 차신호의 변화도가 급격한 위치에서 하이상태의 논리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동벡터 검출수단은수직동벡터 검출수단과 ;수평동벡터 검출수단을 구비하여,단위 영상신호의 시간간격에 따른 움직임을 검출하고, 이에 대응하여 전동모터를 구동하는 신호를 발생하는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동벡터 검출수단은엣지신호의 수직중심을 추출하는 수직중심 어드레스 검출부와 ;상기 수직중심어드레스를 기억하는 제1수직중심 메모리, 제2수직중심 메모리와와 ;상기 제1수직중심 메모리와 제2수직중심 메모리를 비교하는 비교수단을 구비하여,피사체의 수직이동량을 검출하고 이에 대응하여 카메라를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동벡터 검출수단은엣지신호의 수평중심을 추출하는 수평중심 어드레스 검출부와 ;상기 수평중심어드레스를 기억하는 제1수평중심 메모리, 제2수평중심 메모리와 ;상기 제1수평중심 메모리와 제2수평중심 메모리를 비교하는 비교수단을 구비하여,피사체의 수평이동량을 검출하고 이에 대응하여 카메라를 좌우로 움직이게 하는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카메라를 상하 및 좌오로 회전하게하는 전동모터와 ;움직임 추적장치를 더 구비하고 감시영역 내의 움직이는 피사체의 움직임 량 및 방향(동벡터)을 검출하고 이에 대응하여 상기 전동모터를 제어하여 적정한 감시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20003259A KR0138137B1 (ko) | 1992-02-28 | 1992-02-28 |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20003259A KR0138137B1 (ko) | 1992-02-28 | 1992-02-28 |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19033A KR930019033A (ko) | 1993-09-22 |
KR0138137B1 true KR0138137B1 (ko) | 1998-05-15 |
Family
ID=19329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20003259A KR0138137B1 (ko) | 1992-02-28 | 1992-02-28 |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3813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85814B1 (ko) * | 1997-12-11 | 2001-04-16 | 이중구 | 피사체추적이가능한감시용카메라의제어장치및그방법 |
KR100267565B1 (ko) * | 1997-12-30 | 2000-10-16 | 구자홍 | 감시 카메라 시스템의 감시 궤적 설정 및 궤적 추적방법 |
KR100278989B1 (ko) * | 1998-03-27 | 2001-01-15 | 김영환 | 폐쇄회로모니터링장치및방법 |
KR100364582B1 (ko) * | 2000-04-28 | 2002-12-16 | 주식회사 네트웍코리아 | 다중 이동물체 추적/감시 시스템 |
KR100426174B1 (ko) * | 2001-10-29 | 2004-04-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영상압축 알고리즘을 이용한 카메라 제어방법 |
KR20030061513A (ko) * | 2002-01-14 | 2003-07-22 | 주식회사 거성전자통신 | 무인 감시 시스템 |
-
1992
- 1992-02-28 KR KR1019920003259A patent/KR013813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19033A (ko) | 1993-09-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261917B1 (en) | Detecting changes in video data | |
EP0756225B1 (en) | Image pickup system and picked-up imag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 |
JP2007243699A (ja) | 映像記録再生方法及び映像記録再生装置 | |
KR0138137B1 (ko) |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 |
EP0515155B1 (en) | Scanning rate conversion | |
JPH08317378A (ja) | ビデオカメラ切換装置 | |
JPH04213973A (ja) | 画像ゆれ補正装置 | |
KR970008283B1 (ko) | 감시카메라를 이용한 녹화장치(cctv) 및 방법 | |
JPH10136252A (ja) | 撮像装置 | |
KR100307658B1 (ko) | 폐쇄회로 텔레비전 분할 감시 시스템 | |
JPH08265740A (ja) | カメラ監視装置 | |
KR20000004436A (ko) | 씨씨티브이 시스템의 움직임 추적 감시 방법 | |
KR100278989B1 (ko) | 폐쇄회로모니터링장치및방법 | |
JP3702520B2 (ja) | ビデオカメラシステム及びその自動追尾方法 | |
JP2565169B2 (ja) | 映像信号処理方法 | |
JPH09212770A (ja) | 監視カメラシステム | |
JPH09135458A (ja) | 監視用録画装置 | |
KR100381420B1 (ko) | Cctv 시스템 | |
KR920008625Y1 (ko) | 피사체 움직임 포착 자동녹화제어장치 | |
JPH07143448A (ja) | 静止画表示装置 | |
JP3208804B2 (ja) | 監視用映像信号記録装置 | |
KR200246779Y1 (ko) | 감시 카메라의 자동 추적장치 | |
KR100322419B1 (ko) | 물체 자동추적장치 | |
KR100422827B1 (ko) | 감시 카메라의 자동 추적장치 | |
KR19980073567A (ko) | 폐회로 텔레비젼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15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