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81420B1 - Cctv 시스템 - Google Patents

Cctv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81420B1
KR100381420B1 KR10-2000-0070647A KR20000070647A KR100381420B1 KR 100381420 B1 KR100381420 B1 KR 100381420B1 KR 20000070647 A KR20000070647 A KR 20000070647A KR 100381420 B1 KR100381420 B1 KR 100381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buffer memory
cameras
image signal
image sig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06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0949A (ko
Inventor
천두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06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1420B1/ko
Publication of KR20020040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0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1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14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 G08B13/18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94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 G08B13/19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Actuation by intruding sources of heat, light, or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using passive radi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image scanning and comparing systems using television cameras
    • G08B13/19665Details related to the storage of video surveillance data
    • G08B13/19676Temporary storage, e.g. cyclic memory, buffer storage on pre-al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카메라를 갖는 CCTV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 카메라마다 소정의 가중치를 갖는 출력시간을 설정하는 제어메모리와, 상기 각 카메라로부터의 화상신호를 일시 저장하는 버퍼메모리와, 상기 버퍼메모리에 저장된 화상신호의 읽기 및 쓰기 동작을 제어하는 버퍼메모리 제어부를 갖는 화상처리장치와; 상기 각 카메라로부터의 화상신호가 상기 설정된 출력시간에 따라 출력되어 소정의 화상신호수령부로 전달되도록 상기 버퍼메로리 제어부를 제어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중요도에 따라 각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신호의 출력시간을 조절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CCTV 시스템{CCTV SYSTEM}
본 발명은 CCTV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각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화면에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CCTV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CTV(Closed Circuit Tele-Vision) 시스템은, 감시대상을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와,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녹화하는 VCR과, 카메라에서 촬영된 화면을 처리하여 VCR로 전달하는 화상처리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CCTV 시스템에서는 관리하고자하는 다수의 감시영역을 하나 혹은 그 이상의 카메라로 촬영하고, 필요에 따라 모니터에 디스플레이하거나 원하는 장면만을 VCR을 이용하여 녹화하게 된다.
VCR을 이용한 녹화방식으로는 크게 표준 방식과, 타임 랩스(Time Lapse) 방식을 들 수 있으며, 표준 방식은 각 카메라로부터의 화상신호를 순차적으로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녹화하는 방식이고, 타임 랩스 방식은 시간에 따라 간헐적으로 각 카메라로부터의 화상신호를 녹화하는 방식이다. 이 중 타임 랩스 방식은 각 카메라로부터의 화상신호를 연속해서 녹화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주기로 녹화와 정지를 반복하도록 함으로써, 녹화와 정지 시간의 비에 따라 테이프의 사용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녹화방식은 녹화 주기만이 상이할 뿐, 각 카메라로부터의 화상신호는 한 화면씩 규칙적으로 녹화되고 있다. 그러나, 각 카메라를 설치한 영역중 좀 더 감시가 필요한 영역이나 감시대상의 움직임이 잦은 영역이 있게 마련이며, 종래와 같이 한 화면씩 규칙적으로 녹화할 경우에는 중요한 감시화면을 녹화하지 못할 수도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감시영역에 움직임 감지센서,적외선 센서, 파손 감지센서 등을 설치하고, 각 센서로부터 해당신호가 전달되면, 해당 감시영역의 카메라로부터의 화면을 녹화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의 경우 움직임이 검출되는 카메라로 녹화되는 화면이 모두 유효한 화면으로 보기 어려우며, 움직임이 검출되지 아니하는 카메라로부터의 화면은 좀 더 긴 주기로 녹화하게 됨에 따라, 이러한 녹화주기의 연장으로 인해 자칫 유효한 화면을 녹화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감시의 중요성이 높은 감시영역의 경우에는 움직임이 검출되지 아니하더라도 지속적인 녹화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 카메라로부터의 화면을 감시영역에 따라 가중치를 부여하여 녹화하도록 하는 CCTV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CCTV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도 1의 CCTV 시스템에 의한 출력화면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도 1의 CCTV 시스템에 의한 출력 제어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카메라 5 : 화상처리장치
6 : 매트릭스 스위치 7 : 디코더
8 : 버퍼메모리 9 : 엔코더
10 : 메인제어부 11 : 제어메모리
13 : 입력부 15 : 버퍼메모리 제어부
20 : VCR 25 : 모니터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카메라를 갖는 CCTV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 카메라마다 소정의 가중치를 갖는 출력시간을 설정하는 제어메모리와, 상기 각 카메라로부터의 화상신호를 일시 저장하는 버퍼메모리와, 상기 버퍼메모리에 저장된 화상신호의 읽기 및 쓰기 동작을 제어하는 버퍼메모리 제어부를 갖는 화상처리장치와; 상기 각 카메라로부터의 화상신호가 상기 설정된 출력시간에 따라 출력되어 소정의 화상신호수령부로 전달되도록 상기 버퍼메로리 제어부를 제어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시스템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화상처리장치는 상기 각 카메라로부터 병렬로 입력되는 화상신호를 직렬로 변환하는 매트릭스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각 카메라로부터의 화상신호가 상기 미리 설정된 출력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입력되도록 상기 매트릭스 스위치를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출력시간은 프레임 단위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카메라에 대해 입력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CCTV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카메라(5)와, 카메라(5)로부터 촬영된 화상신호를 녹화하는 화상신호수령부인 VCR(20)과, 화상신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25)와, 카메라(5)에서 촬영된 화면을 처리하여 VCR(20)로 전달하는 화상처리장치(5)를 포함한다.
화상처리장치(5)는 일반적으로 각 카메라(5)로부터 프레임 또는 필드단위로 병렬 입력되는 화상신호를 직렬로 멀티플렉싱하는 매트릭스 스위치(6)와, 매트릭스 스위치(6)를 통해 프레임 단위로 스위칭된 아날로그 형태의 화상신호를 디지털 형태의 화상신호로 변화하는 디코더(7)와, 디코더(7)에 의해 변환된 화상신호를 저장하는 버퍼메모리(8)와, 버퍼메모리(8)에 저장된 화상신호의 읽기 및 쓰기 동작의 타이밍 및 클럭을 제어하는 버퍼메모리 제어부(15)를 포함한다. 여기에, 본 화상처리장치(5)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각 카메라(5)당 녹화되는 녹화시간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13)와, 입력부(13)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설정사항을 저장하는 제어메모리(11)와, 제어메모리(11)에 저장된 사용자의 설정사항에 따라 버퍼메모리 제어부(15) 또는 매트릭스 스위치(6)를 제어하는 메인제어부(10)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는 입력부(13)를 이용하여 각 감시영역에 설치된 카메라(5)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신호의 녹화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 때, 화상신호의 녹화시간은 프레임 단위로 설정된다. 예를 들어, 카메라(5)가 4대이면, 1번 카메라(5)로부터의 화상신호를 CH1, 2번 카메라(5)로부터의 화상신호를 CH2, 3번 카메라(5)로부터의 화상신호를 CH3, 4번 카메라(5)로부터의 화상신호를 CH4라 한다. 여기서, 1번카메라(5) 및 2번 카메라(5)→4번 카메라(5)→3번 카메라(5)의 순서대로 각 해당 감시영역의 중요도가 정해진 경우, 사용자는 1번 카메라(5)와 2번 카메라(5)로부터의 화상신호의 녹화시간을 각각 3프레임으로, 4번 카메라(5)로부터의 화상신호의 녹화시간을 2프레임으로, 3번 카메라(5)로부터의 화상신호의 녹화시간을 1프레임으로 설정할 수 있다. 즉, CH1(3)→CH2(3)→CH3(1)→CH4(2)의 순서와 가중치를 가지고 각 카메라(5)로부터의 화상신호가 녹화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1프레임은 2필드이며, 1필드의 길이는 NTSC 방식의 경우에는 1/60초이고, PAL 방식의 경우에는 1/50초이므로, 1프레임의 길이는 NTSC 방식의 경우 1/30초이고, PAL 방식의 경우에는 1/25초이다. 이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번 카메라(5)와 2번 카메라(5)로부터의 화상신호인 CH1과 CH2는 3프레임, 즉, 각각 1/10초 동안 녹화되고, 3번 카메라(5)로부터의 CH3은 1프레임인 1/30초 동안 녹화되고, 4번 카메라(5)로부터의 CH4는 2프레임인 1/15초동안 녹화된다.
제어메모리(11)는 사용자가 입력한 각 카메라(5)에 대해 VCR(20)에 녹화되는 화상신호의 프레임 수가 저장되게 되며, 메인제어부(10)에서는 제어메모리(11)에 저장된 각 카메라(5)로부터의 화상신호의 프레임 수에 따라 각 카메라(5)로부터의 화상신호가 버퍼메모리(8)에 저장되도록 하는데, 이 때, 매트릭스 스위치(6)를 제어하거나 버퍼메모리 제어부(15)를 제어하는 2가지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매트릭스 스위치(6)를 제어하는 경우, 1번 카메라(5)로부터의 화상신호가 3프레임 동안 녹화한다면, 메인제어부(10)는 1번 카메라(5)로부터의 화상신호가 3프레임 동안 입력되도록 매트릭스 스위치(6)의 스위칭을 제어한다.
버퍼메모리 제어부(15)를 제어하는 경우, 메인제어부(10)는 버퍼메모리 제어부(15)로 명령신호를 전달하여 버퍼메모리(8)에 저장된 화상신호중 1번 카메라(5)로부터의 화상신호가 3프레임 동안 엔코더(9)를 통해 VCR(20)로 전달되도록 화상신호의 클럭 및 타이밍을 제어한다. 메모리에는 매트릭스 스위치(6)를 통해 CH1→CH2→CH3→CH4의 순서대로 입력된 화상신호가 1프레임씩 순차적으로 저장되며, 여기서, CH1→CH2→CH3→CH4까지를 주기라 한다. 버퍼메모리 제어부(15)는 메모리에 저장된 최초의 주기인 주기1의 화상신호중 1번 카메라(5)로부터의 화상신호 1프레임을 VCR(20)로 전달한다. 그런 다음, 버퍼메모리 제어부(15)는 다시 매트릭스 스위치(6)를 통해 CH1→CH2→CH3→CH4의 순서대로 입력된 주기2의 화상신호를 메모리에 저장하게 되며, 이 때,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던 주기1의 화상신호는 주기2의 화상신호로 업그레이드 된다. 메모리에 저장된 주기2의 각 카메라(5)로부터의 화상신호중 1번 카메라(5)에 대한 화상신호를 VCR(20)로 전달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주기3의 화상신호를 입력받아 1번 카메라(5)로부터의 화상신호를 VCR(20)로 전달하면, VCR(20)에는 1번 카메라(5)로부터의 화상신호가 3프레임동안 녹화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CCTV 시스템에서 매트릭스 스위치(6)를 제어하여 각 카메라(5)부터의 화상신호를 녹화하는 과정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는 감시영역의 중요도에 따라 원하는 대로 각 카메라(5)로부터의 화상신호의 녹화시간을 프레임 단위로 설정하게 된다(S10). 상술한 바와 같이,카메라(5)가 4대이고, 사용자가 1번 카메라는 3, 2번 카메라 3, 3번 카메라 1, 4번 카메라 2[CH1(3)→CH2(3)→CH3(1)→CH4(2)]로 각각 프레임의 수를 설정하여 입력부(13)를 통해 입력하면, 메인제어부(10)에서는 사용자가 설정한 카메라(5)에 대한 프레임 수를 제어메모리(11)에 저장한다(S20).
그런 다음, 각 카메라(5)에 의해 감시영역이 촬상되면(S30), 메인제어부(10)는 제어메모리(11)로부터 각 카메라(5)에 대한 프레임수를 인출한다(S40). 그런 다음, 메인제어부(10)는 인출한 설정사항에 따라, 각 카메라(5)로부터 병렬입력되는 화상신호중 1번 카메라로부터의 화상신호가 3프레임 동안 입력되도록 하고, 순차적으로 2번 카메라로부터의 화상신호가 3프레임 동안, 3번 카메라로부터의 화상신호가 1프레임 동안, 4번 카메라로부터의 화상신호가 2프레임 동안 순차적으로 입력되도록 매트릭스 스위치(6)를 스위칭 제어한다(S50). 이렇게 입력된 각 카메라(5)로부터의 화상신호는 디코더(7)를 통과하며 디지털화 된다(S60).
디지털화된 화상신호는 버퍼메모리(8)에 일시 저장된 다음(S70), 버퍼메모리 제어부(15)의 제어에 따라 매트릭스 스위치(6)를 통해 입력된 순서와 프레임 수대로, 즉, CH1(3)→CH2(3)→CH3(1)→CH4(2)의 순서에 따라 엔코더(9)를 통해 아날로그화된 다음, VCR(20)에 전달되어 녹화된다(S80,S90).
한편, 버퍼메모리 제어부(15)를 제어하여 각 카메라(5)부터의 화상신호를 녹화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설정한 카메라(5)에 대한 프레임 수가 제어메모리(11)에 저장되고, 각 카메라(5)에 의해 감시영역이 촬상되면, 메인제어부(10)는 각 카메라(5)로부터의 화상신호가 각각 1프레임씩 순차적으로 매트릭스 스위치(6)를 통해 입력되도록 한다. 매트릭스 스위치(6)를 통해 입력된 각 화상신호는 순차적으로 버퍼메모리(8)에 일시 저장되며, 메인제어부(10)는 버퍼메모리 제어부(15)를 제어하여 버퍼메모리(8)에 일시 저장된 화상신호를 제어메모리(11)에 저장된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엔코더(9)로 전달하도록 한다.
즉, 버퍼메모리 제어부(15)는 메인제어부(10)로부터의 명령에 따라, 메모리에 저장된 주기1의 화상신호중 1번 카메라로부터의 화상신호를 엔코더(9)를 통해 VCR(20)로 전달하고, 메모리에 주기2의 화상신호가 입력되면, 주기2의 화상신호중 1번 카메라로부터의 화상신호를 엔코더(9)를 통해 VCR(20)로 전달한다. 그리고, 주기3의 화상신호가 입력되면 마찬가지로, 1번 카메라로부터의 화상신호를 VCR(20)로 전달한다.
그런 다음, 주기4에서 주기6까지의 화상신호중 각각 2번 카메라로부터의 화상신호를 엔코더(9)를 통해 VCR(20)로 전달한 다음, 주기7의 화상신호중 3번 카메라로부터의 화상신호를 VCR(20)로 전달하고, 주기8과 주기9의 화상신호중 4번 카메라로부터의 화상신호를 VCR(2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CH1(3)→CH2(3)→CH3(1)→CH4(2)의 순서와 프레임 수에 따라 VCR(20)에 화상신호가 녹화되므로, 1번 카메라와 2번 카메라로부터의 화상신호는 3프레임인 1/10초 동안 각각 순차적으로 녹화되고, 3번 카메라로부터의 화상신호는 1프레임인 1/30초 동안 녹화되고, 4번 카메라로부터의 화상신호는 2프레임인 1/15초 동안 녹화된다.
이러한 주기의 순환시 VCR(20)로 전달되는 해당 카메라(5)의 화상신호를 제외한 나머지 화상신호는 다음 주기의 화상신호에 의해 업그레이드될 뿐, VCR(20)에는 녹화되지 아니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화상신호를 VCR(20)에 녹화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모니터(25)에 디스플레이하는 경우도 동일한 과정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각 카메라(5)로부터의 화상신호가 VCR(20) 또는 모니터(25) 등의 화상신호수령부로 출력되는 출력시간을 미리 설정하고, 설정된 출력시간에 따라 각 카메라(5)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신호의 입력을 조절하거나, 메모리에 저장된 화상신호이 출력되는 타이밍과 클럭을 조절함으로써, 설정된 프레임 수에 따라 화상신호가 VCR(20) 또는 모니터(25)로 출력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감시영역의 중요도나 사용자의 필요성에 따라 각 감시영역에 설치된 카메라(5)에서 촬영된 화상신호의 출력시간을 조절함으로써, 중요한 영역의 녹화시간을 증가시켜 중요한 화면이 누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감시영역을 보다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중요도에 따라 각 카메라로부터 입력되는 화상신호의 녹화시간을 조절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감시할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복수의 카메라를 갖는 CCTV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각 카메라마다 소정의 가중치를 갖는 출력시간을 설정하는 제어메모리와, 상기 각 카메라로부터의 화상신호를 일시 저장하는 버퍼메모리와, 상기 버퍼메모리에 저장된 화상신호의 읽기 및 쓰기 동작을 제어하는 버퍼메모리 제어부를 갖는 화상처리장치와;
    상기 각 카메라로부터의 화상신호가 상기 설정된 출력시간에 따라 출력되어 소정의 화상신호수령부로 전달되도록 상기 버퍼메로리 제어부를 제어하는 메인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시스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처리장치는 상기 각 카메라로부터 병렬로 입력되는 화상신호를 직렬로 변환하는 매트릭스 스위치를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제어부는 상기 각 카메라로부터의 화상신호가 상기 미리 설정된 출력시간에 따라 순차적으로 입력되도록 상기 매트릭스 스위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시간은 프레임 단위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카메라에 대해 입력시간을 조절하기 위한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CTV 시스템.
  6. 삭제
  7. 삭제
KR10-2000-0070647A 2000-11-25 2000-11-25 Cctv 시스템 KR100381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647A KR100381420B1 (ko) 2000-11-25 2000-11-25 Cctv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647A KR100381420B1 (ko) 2000-11-25 2000-11-25 Cctv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949A KR20020040949A (ko) 2002-05-31
KR100381420B1 true KR100381420B1 (ko) 2003-04-26

Family

ID=19701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0647A KR100381420B1 (ko) 2000-11-25 2000-11-25 Cctv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14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4452B1 (ko) * 2002-11-11 2005-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감시용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채널별 녹화 속도제어방법
KR101304527B1 (ko) * 2012-06-05 2013-09-05 주식회사 티비티 영상매트릭스장치를 이용한 고화질 영상 제어 및 저장시스템
CN105827935B (zh) * 2015-07-23 2018-10-16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终端截图的方法及终端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398A (ko) * 1997-08-31 1999-04-06 윤종용 타임랩스 브이씨알의 녹화 간격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4398A (ko) * 1997-08-31 1999-04-06 윤종용 타임랩스 브이씨알의 녹화 간격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949A (ko) 2002-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6094A (en) Device for divisionally displaying monitored areas on a screen and method therefor
JP3903090B2 (ja) 電子カメラ
KR100347493B1 (ko) 촬상 장치
KR100564186B1 (ko) 전자 카메라
KR100381420B1 (ko) Cctv 시스템
JP2006270866A (ja) 撮像装置、撮像方法、撮像制御装置及び撮像制御方法
JP2001148830A (ja) 録画方法及び装置
KR100188440B1 (ko) 감시용 카메라시스템의 다분할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에 적합한 장치
KR100576688B1 (ko) 다채널 영상신호의 간헐 선택방법 및 녹화장치
US20030117512A1 (en) Digital camera
KR100389494B1 (ko) 동영상신호를 제어하기 위한 디지털영상저장시스템
KR19980073567A (ko) 폐회로 텔레비젼 시스템
EP0512105B1 (en) Telephoto sensor trigger in a solid state motion analysis system
JP2947162B2 (ja) 画像情報記憶装置
JPH0767098A (ja) 動画像監視装置
KR920008625Y1 (ko) 피사체 움직임 포착 자동녹화제어장치
JPS6359074A (ja) 高速ビデオカメラ
KR19990011603U (ko) 타임랩스 브이씨알의 녹화 제어 장치
KR19990024398A (ko) 타임랩스 브이씨알의 녹화 간격 제어 방법
JP3743275B2 (ja) 映像信号処理装置
KR200162186Y1 (ko) 자기 디스크 저장장치를 이용한 감시용 폐쇄회로 텔레비젼 장치
JPH07193781A (ja) 監視映像記録装置
KR19980073933A (ko) 폐회로 텔레비젼 시스템의 움직임 검출 방법
JPH06350957A (ja) 監視装置
KR960033034A (ko) 감시기능을 구비한 캠코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