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827B1 - 코인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코인 선별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827B1
KR0137827B1 KR1019940028715A KR19940028715A KR0137827B1 KR 0137827 B1 KR0137827 B1 KR 0137827B1 KR 1019940028715 A KR1019940028715 A KR 1019940028715A KR 19940028715 A KR19940028715 A KR 19940028715A KR 0137827 B1 KR0137827 B1 KR 0137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n
braking
ball
braking ball
guide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8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5155A (ko
Inventor
히로시 아베
Original Assignee
히로시 아베
아사히 세이꼬 가부시끼 가이샤
일본 세이꼬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시 아베, 아사히 세이꼬 가부시끼 가이샤, 일본 세이꼬 가부시기 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시 아베
Publication of KR950015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5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8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00Coin inlet arrangements; Coins specially adapted to operate coin-freed mechanisms
    • G07F1/04Coin chutes
    • G07F1/048Coin chutes with means for damping coin mo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f Coi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투입 코인의 낙하 속도를 조정하는 낙하 속도 조정 수단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고 조립 양태에 적응시킬 수 있는 코인 선별 장치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낙하 속도 조정 수단은 코인 통로를 따라 설치된 투입 코인과 접촉하는 제동볼과 상기 제동 볼을 안내하는 볼 안내로로 구성되고 상기 제동볼 안내로는 투입 코인과 상기 제동볼이 접촉하는 제 1 위치와 투입 코인과 제동볼의 접촉에 의해 누름 작동된 제동볼이 도달되는 제 2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위치가 제 2 위치보다 낮게 되므로써 제 2 위치에 도달된 제동볼이 제 1 위치에 자중 낙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인 선별 장치
제1도는 제1실시예의 측면도.
제2도는 제1실시예의 평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선 Ⅲ-Ⅲ을 따른 부분 단면도.
제4도는 제2실시에의 측면도.
제5도는 제2실시예의 측면도.
제6도는 종래의 속도 조정 수단을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측판3:코인 통로
4:코인 투입구5:하단 출구
6:코인 선별기7:제동볼 안내로
7a:제 1 위치7b:제 2 위치
8:안내홈10:제동볼
13:청소용 개구부20:코일 스프링
30:탄성체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자동판매기나 게임기 등에 코인을 투입하므로써 기계를 작동시킬 수 있는 장치에 조립되는 코인 설별장치 즉, 투입된 코인의 치수나 재질 등을 기계적 및 전기적 수단에 의해 선별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코인 선별 장치의 투입 코인의 투입 속도를 제어하는 제어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코인은 코인, 경화 외에 토큰, 메탈 등의 각종 경화를 포함한다.
[종래의 기술]
종래 선별 장치는 예컨재 본 출원인이 출원한 일본 특개소 55-157085호 공보나 특개소 3-254598호 공보에 기재된 투입 코인을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선별하는 형태의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는 다음과 같이 코인을 선별한다. 즉, 코인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코인이 코인 통로상의 투입구에 설치된 코인 투입구로부터 그 하단출구로 통과하는 사이에 코인 통로의 측부에 설치되어 있는 크레들(craddle), 자석, 전기 코일 등에 의한 기계적 및 전기적 수단에 의해 투입 코인의 치수나 재질 등을 선별한다.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
그러나 상술한 바와같은 코인 선별장치는 투입 코인을 양호하게 선별할 수 있지코인 선별 장치가 조립될 때는 자동판매기 등의 구조에 의해 여러가지 형태를 취하여, 현지로서는 예상할 수 없는 모양으로 조립되는 경우도 있다. 따라서 투입된 코인의 속도가 다양하게 될 염려가 있다. 자동판매기에 조립된 전자식 코인의 선별 장치를 예로든다면, 자동판매기 본체의 코인 투입구로부터 코인 선별 장치의 투입구까지 거리가 길다면 그만큼 투입 코인이 가속되어 거리가 짧은 경우에 비해 빠른 속도로 코인 선별장치내의 선별 수단을 통과한다. 따라서 전자식 판별 수단이 정확하게 작동치 않아 그 결과 수납되어야 할 코인을 수납하지 않고 거절하거나 수납되면 않될 코인을 수납할 가능성이 있다. 이것은 기계적 코인 설별 장치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투입 코인의 낙하 속도를 조정하는 낙하 조정 수단으로서 여러가지가 제안되고 있는데, 예를들면 미국 특허 제 4,468,213호가 있다.
이러한 수단은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진자 댐퍼(pendulum damper)(100)가 피봇축(101)의 주위로 요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상기 공보 제 3 페이지 64 행 내지 4 페이지 3 행).
그러나 상기 진자 댐퍼(100)에는 다음과 같은 결점이 있다. 즉, 투입된 코인(102)은 항상 충돌부(103)에서 진자 댐퍼(100)와 충돌하게 된다.
따라서 장기간에 걸쳐 경화가 투입되면 충돌부(103)가 마모되거나 오염된다. 또한 진자 댐퍼(100)와 피봇축(101)과의 접축부분이 마모되거나 오염되면, 진자 댐퍼(100)가 부드럽게 요동되지 않는다. 이들은 아무래도 진자 댐퍼(100)의 댐퍼 효과를 저하시키고 그 결과 코인 선별 장치의 선별 성능을 손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는 장기간에 걸쳐 사용되어도 댐퍼 효과가 저하되지 않는, 즉, 마모되거나 오염되지 않고 투입 코인의 낙하 속도 조정 수단을 작동시키므로써 낙하 속도 조정 수단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고 또한 조립의 형태에도 양호하게 대처할 수 있는 코인 선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본 발명자는 투입 코인의 충돌부를 특정의 위치로 하지 않고 불특정의 위치로 하는 동시에 피봇축과 진자 댐퍼라고 하는 회전쌍 관계를 없애면 좋다고 생각되어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특허청구범위 제 1 항의 코인 선별 장치는 코인이 투입되는 코인 투입구(4)와, 상기 코인 투입구(4)로부터 투입된 코인(A)을 통과시키는 코인 통로(3)와, 상기 코인 통로(3)를 따라 설치된 투입 코인의 낙하 속도를 조정하는 속도 조정 수단(7, 10, 20, 30)과, 상기 코인 통로를 따라 설치된 코인 선별 수단(6)을 구비한 코인 선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인 속도 조정 수단은 투입 코인과 접촉하는 제동 볼(10)과 상기 제동 볼을 안내하는 볼 안내로(7)로 구성되고, 상기 제동 볼 안내로(7)는 투입 코인과 상기 제동 볼(10)이 접촉하는 제 1 위치(7a)와, 투입 코인과 상기 제동 볼(10)의 접촉에 의해 가압 작동된 상기 제동 볼(10)이 도달하는 제 2 위치(7b)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위치(7a)가 상기 제 2 위치(7b)보다 낮은 위치에 놓이므로써 상기 제 2 취이(7b)에 도달된 제동볼(10)이 제 1 위치(7a)에 자동 낙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자동낙하라 함은 제 2 위치(7b)에 있는 제동볼이 중력에 의해 볼 안내로(7)를 따라 제 1 위치(7a)로 복귀함을 말한다.
청구범위 제 2 항의 코인 선별장치는 코인이 투입되는 코인 투입구(4)와, 상기 코인 투입구(4)로부터 코인(A)을 통과시키는 코인 통로(3)와, 상기 코인 통로(3)를 따라 설치된 투입 코인의 낙하 속도를 조정하는 속도 조정 수단과, 상기코인 통로(3)를 따라 설치된 코인 선별 수단(6)을 구비한 코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속도 조정수단은 투입 코인과 접촉하는 제동 볼(10)과 상기 제동 볼을 안내하는 제동볼 안내로(7)로 구성되고, 상기 제동 볼 안내로(7)는 투입코인과 상기 제동 볼(10)이 접촉하는 제 1 위치(7a)와, 투입 코인과 제동 볼(10)의 접촉에 의해누름 작동된 상기 제동 볼(10)이 도착되는 제 2 위치(7b)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위치(7b)에 도달된 제동 볼(10)을 상기 제 1 위치(7a)로 누름 복귀시키는 누름 복귀부재(20, 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청구범위 제 1 항의 코인 선별장치와는 달리, 중력 대신에 누름 복귀 부재(20, 30)의 작용에 의해 제동 볼(10)을 제 2 위치(7b)로부터 제동 볼 안내로(7)를 따라 제 1 위치(7a)로 강제로 누름 복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는 제 1 위치(7a)가 제 2 위치(7b)보다 낮은 위치에 위치될 필요가 없고, 제 1 위치(7a)가 제 2 위치(7b)보다 높아도 되며, 또한 제 1 위치(7a)와 제 2 위치(7b)를 결합한 직선이 수평선과 평행이 되도록 위치되어도 좋다.
청구범위 제 3 항의 코인 선별 장치는 청구범위 제 2 항의 코인 선별 장치에서 상기 누름 복귀 부재가 스프린(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4 항의 코인 선별 장치는 청구범위 제2 항의 장치에서 상기 누름 복귀부재가 탄성체(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누름 복귀 부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스프링 또는 탄성체가 단독으로 이용되는 경우외에 스프링과 탄성체가 조립되어 이용되거나 다른 부재와 조립되어 이용되는 경우 등도 포함된다.
그리고, 청구범위 제 5 항의 코인 선별 장치는 청구범위 제 1 항 내지 제 4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인 통로(7)가 2개의 측판(1, 2)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볼 안내로(7)가 상기 2개의 측판(1, 2)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범위 제 6항의 코인 선별 장치는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측판(1, 2)의 적어도 한쪽에 상기 제동 볼 안내로(7)에 연결되는 청소용 개구부(13)가 설치되고, 상기 청소용 개구부(13)는 제동 볼(10)이 제동 볼 안내로(7)로부터 빠져나올 수 없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제동 볼(10)에 부착된 오물 등이 청소용 개구부(13)를 거쳐 외부로 자연적으로 빠지는 것을 충족하는 동시에 청소 기구 등을 청소용 개구부(13)를 거쳐 끼우므로써(제 3 도 참조) 제동 볼 안내로(7)를 청소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청구범위 제 7 항의 코인 선별 장치는 청구범위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조정 수단이 1 코인 통로(3)의 폭방향으로 대향하여 2 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코인 통로(3)의 좌우에 설치된 속도 조정 수단(7, 10, 20, 30)에 의해 투입 코인(A)에 제동력을 부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코인 선별 수단이라함은 코인의 치수나 재질을 선별하는 수단을 표시하며, 기계적 및 전기적 수단은 예컨대 음파 등의 저주파를 이용하는 것이거나 광학적 수단 등도 포함된다.
또한 제동 볼 이라 함은 반드시 구형에 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목적이 달성되면 어떤 형태라도 좋다, 따라서 예컨대 타원체나 다면체 등도 제동 볼에 포함된다. 제동 볼은 예컨대 스텐레스와 같은 금속구가 일반적이지만, 합성수지나 세라믹과 같은 비금속으로 구성되는 것이어도 좋고, 금속과 합성수지 등을 혼합시키는 등 그 재질은 문제되지 않는다.
제동 볼의 표면은 매끄러운 마무리가 있는 것이 마모를 방지할 수 있어 좋다. 또한 제동 볼이 갯수도 제한이 없고 1개나 2개 이상이어도 큰 차이가 없다. 제동 볼은 자중 낙하(自重落下)하는 경우는 제동 볼 안내로에 대해, 또한 누름 복귀 부재에 의해 누름 복귀되는 경우는 상기 부재 및 제동 볼 안내로에 대해 구름 접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되므로써 항상 투입 코인의 충돌부가 교체되기 때문에 마모와 오물 부착이 해소된다.
또한 제동 볼 안내로라 함은 제동 볼을 안내할 수 있는 형태라면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예컨대 후술의 실시예에 도시하는 것처럼 코인 통로를 협소한 측판에 형성한 홈에 의해 형성된 안내로가 양호하다. 이것은 가공이 간단하기 때문이다. 무엇보다도 제동 볼 안내로가 측판과는 별도의 부재인 파이프 형상인 것으로 구성되어 코인 선별 장치 본체에 대해 착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도 양호하게 이용될 수 있다. 투입 코인의 치수에 따라 간단히 교환할 수 있어 편리하기 때문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누름 복귀 부재로서는 스프링이나 탄성체가 양호하게 이용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동 볼은 누름 복귀시킬 수 있으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복수개의 다른 부재를 조합한 것이어도 좋다.
또한 스프링이라 함은 물체의 탄성 또는 변형에 의한 에너지의 축적을 이용한는 것을 주목적으로 하는 기계 요소를 의미하고, 탄성체라 함은 체적이 변화함으로써 에너지를 축적하는 고무나 합성수지 등의 비금속 스프링을 의미한다.
[작용]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코인이 코인 안내로를 낙하할 때에 낙하 속도는 초기 속도에 다르다. 여기서, 투입 코인이 코인 통로을 따라 설치된 제동 볼에 충돌하면 투입 코인의 운동에너지가 제동 볼의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로의 이동에 의해 흡수되고 그 결과 투입 코인의 낙하 속도가 감속된다.
따라서, 투입 코인은 초기 속도에 관계없이 제동 볼에 의해 일정한 낙하 속도로 감속된 후에 선별 수단을 통과하기 때문에 선별 수단은 안정하고 정밀도가 높은 선별을 실행할 수 있다.
투입 코인에 의해 제동 볼 안내로내의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까지의 움직이는 제동 볼은 중력에 의해 자중 낙하하여 제 1 위치로 복귀하고 차후의 코인이 투입되는 것을 기다린다.
이때 제동 볼은 제동볼 안내로의 벽면과 구름 접촉하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제 1 위치로 복귀할 때마다 투입 코인의 충돌에 노출되는 부분이 교체되어 제동 볼의 마모 및 오물 부착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누름 복귀부재(예컨데, 코일 스프링)가 사용되는 경우는 제동 볼은 코일 스프링에 대항하면서 제1 위치로부터 제 1 위치로부터 제 2 위치까지 이동한 후에 코일 스프링에 축적된 에너지에 의해 제 1 위치까지 누름 복귀한다. 이 경우도 자중 낙하의 경우처럼, 제동 볼은 제동 볼 안내로의 벽면과 구름 접촉하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제 1 위치로 복귀할 때마다 투입 코인의 충돌에 노출되은 부분이 교체되어 제동 볼의 마모 및 오물 부착이 방지된다.
그리고 선별 수단을 통과한 코인은 코인이 수납되어야 할 것이라면 슈트로, 수압될 것이 아니라면 반환 슈트로 안내된다.
[제 1 실시예]
제 1 도 내지 제 3 도를 참조하여 제 1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도는 코인 선별 장치의 측면도이며, 제 2 도는 상기 장치의 측판을 인출한 상태의 평면도, 제 3 도는 제1 도의 Ⅳ-Ⅳ 선상의 부분 단면도이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 있어서, 2 개의 측판(1, 2)이 평행으로 코인(A)을 수납하는 간격을 비워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있다. 측판(1, 2)은 각각 다른 부재로 구성되어 있지만, 일체로 성형된 것이어도 무방하다. 측판(1, 2)의 사이에는 격벽(11)과 코인을 안내하는 레일(12)이 설치되며, 이에 의해 투입구(4)로부터 하단 출구(5)에 이르는 코인 통로(3)가 형성된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측판(1)의 코인 통로(3)와 반대측 즉, 지면의 표면에는 점선으로 도시된 코인 선별장치 전자식 코인 선별기(60가 코인 통로(3)를 따라 부착되어 있다.
전자식 쿠인 선별기(6)에는 여러종류가 있지만, 예컨대 본 출원인의 출원분인 특개평 2-133895호에 기재된 형식의 것이 양호하다.
즉, 센서 코일과 발진 회로의 조합에 의해 코일 통로(3)를 쇄교하는 자속을 투입 코인의 횡방향으로 절단할 때의 센서 코일의 인덕턴스 변화를 검출하고, 그 검출 결과를 미리 메모리에 기억시켜 수납되어야 할 경화의 데이타를 비교하여 일정한 허용 범위내에서의 수납 여부를 투입 코인의 선별을 행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전자식 코인 선별기외에 크레들 등에 의해 투입 코인의 치수나 중량을 선별하는 기계식이나, 전자석 등을 이용하여 강자성체의 코인과 상자성체의 코인을 선별하는 자기식, 또는 음파 등의 저주파를 이용하여 투입 코인의 공진 주파수레 의한 설별을 행하는 저주파식, 기타 광을 이용하는 광학식 코인 선별기를 이용할 수 있다.
제 1 도의 속도 조정 수단인 제동 볼 안내로(7) 및 제동 볼(10)에 있어서, 제동 볼 안내로(7)는 측판(1)에 형성된 안내홈(8)과 상기 측판(2)의 안내홈(8)에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 안내홈(9)으로 형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측판(1, 2)의 양쪽에 안내홈이 설치되어 있지만 측판중의 어느 한쪽에 설치된 안내홈에서 안내로(7)를 형성하여도 좋다. 제동 볼 안내로(7)는 그 가운데를 제동볼(10)의 원활하게 왕복 운동할 수 있도록 원호 형태로 형성되며, 그 단면 형상(제 3 도 참조)도 충분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동 볼 안내로(7)는 제 1 도의 도면부호 7a로 도시된 제 1 위치와 7b로 도시된 제 2 위치를 포함하고 있다.
제 1 위치(7a)는 실선으로 도시된 제동볼(10)이 있는 위치와 일치하며, 제 2 위치(7b)는 점선으로 도시된 제동볼(10)이 있는 위치와 일치된다. 제 2 위치(7b)까지 이동한 제동 볼(10)을 제 1 위치(7a)까지 자중 낙하시키기 위해 제 1 위치(7a)는 제 2 위치(7b)보다 낮은 위치로 설치된다.
제 1 위치(7a)와 제 2 위치(7b)를 결합하는 선과 제 1 위치(7a)를 통과하는 수평선이 형성하는 각도(θ)와, 제동볼 안내로(7)의 전장은 투입되는 코인의 치수 및 중량 등에 의해 상대적으로 결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각도와 전장을 적당히 선택하므로써 여러종류의 코인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측판(1, 2)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제동볼 안내로(7)에 연결되는 청소용 개구부(11)를 설치하면 제동볼(10)의 오염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청소용 개구부(11)는 제동볼에 부착된 오물 등이 외부로의 자연적인 배출을 돕는 동시에 청소용 면봉과 같은 청소기구 등을 수납하여 제동볼 안내로(7)내를 청소할 수 있다. 상기 청소용 개구부(11)는 제동볼(10)이 제동볼 안내로(7)에서 인출될 수 없는 크기로 형성된다.
제동볼(10)은 스텐레스제의 구체로 구성되고 그 표면은 마모가 어렵고 오물이 부착되기 어렵도록 매끄러운 상태로 가공된다. 제동볼(10)은 제 1 위치(7a)로부터 제 2 위치(7b)로 투입 코인에 의해 누름 동작되고, 그후 안내홈(8, 9)과 구름 접촉되면서 제 1 위치(7a)로 자중 낙하된다. 따라서, 제 1 위치로 복귀할 때마가 투입 코인과의 충돌에 노출되는 부분이 교체되어 제동볼의 마모 및 오물 부착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효과로서 제동볼(10)이 제 1 위치(7a)로부터 제 2 위치(7b)까지 자중 낙하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특별한 부품을 필요로 하지 않고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 경비가 저렴하다는 효과를 갖는다.
[제 2 실시예]
제 4 도를 참조하여 제 2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한다. 도면부호 20은 누름 복귀부재인 코일 스프링이다. 코일 스프링(20)의 스프링 정수는 투입 코인의 치수, 중량의 관계로부터 최적인 것으로 한다. 제동볼(10)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코일 스프링(20)에는 고정되지 않는다.
투입코인(A)의 충돌에 의해 제 1 위치(7a)에 있는 제동볼(10)은 코일 스프링(20)의 스프링력에 대항하면서 제 2 위치(7b)로 이동된다. 그후 제동볼(10)은 코일 스프링(20)의 복귀력에 의해 제 2 위치(7b)로부터 제 1 위치(7a)로 강제로 누름 복귀된다.
이 경우에도 제동볼(10)은 안내홈(8, 9)과 구름 접촉되면서 이동하기 때문에 제 1 위치로 복귀할 때마다 투입 코인의 충돌에 노출되는 부분이 교체되어 제동볼의 마모와 오물 부착을 방지할 수 있다.
제 5 도를 참조하여 제 3 실시예를 설며한다.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부호를 사용한다. 도면부호 30은 누름 복귀부재인 탄성체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성체(30)로서 우레탄 고무가 이용된다. 우레탄 고무의 단단함도 코인의 치수 및 중량의 관계에 따라 결정된다. 제동볼(10)은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도록 탄성체(30)에는 고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의 작용 효과는 제 2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코인 선별 장치에는 내마모성이 높고 오물부착이 어려운 낙하속도 조정 수단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장기간에 걸쳐 사용되어도 낙하속도 조정 수단의 댐퍼 효과가 저하되지 않는다. 이와같이 낙하속도 조정수단의 성능 저하를 방지하고 조립의 양태에도 맞출 수 있는 코인 선별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코인이 투입되는 코인 투입구(4)와, 상기 코인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코인을 통과시키는 코인 통로와, 상기 코인 통로를 따라 설치되어 투입 코인의 낙하 속도를 조정하는 속도 조정 수단과, 상기 코인 통로를 따라 설치된 코인 선별 수단을 구비한 코인 선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코인 속도 조정 수단은 투입 코인과 접촉하는 제동볼과 상기 제동 볼을 안내하는 볼 안내로로 구성되고, 상기 제동 볼 안내로는 투입 코인과 상기 제동 볼이 접촉하는 제 1 위치와 투입 코인과 상기 제동 볼의 접촉에 의해 누름 작동된 상기 제동 볼이 도달하는 제 2 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위치가 상기 제 2 위치보다 낮으므로써 상기 제 2 위치에 도달된 제동 볼(10)이 제 1 위치(7a)에 자중 낙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선별 장치.
  2. 코인이 투입되는 코인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로부터 투입된 코인을 통과시키는 코인 통로와, 상기 코인 통로를 따라 설치되어 투입 코인의 낙하 속도를 조정하는 속도 조정 수단과, 상기 코인 통로를 따라 설치된 코인 선별 수단을 구비한 코인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속도 조정 수단은 투입 코인과 접촉하는 제동볼과 상기 제동 볼을 안내하는 제동 볼 안내로로 구성되고, 상기 제동 볼 안내로는 투입 코인과 상기 제동 볼이 접촉하는 제 1 위치와 투입 코인과 제동 볼의 접촉에 의해 누름 작동된 상기 제동 볼이 도착되는 제 2 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위치에 도달된 제동볼을 상기 제 1 위치로 누름 복귀시키는 누름 복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선별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복귀부재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선별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복귀부재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선별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인 통로가 2 개의 측판에 의해 구성되고, 상기 볼 안내로가 상기 2 개의 측판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선별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측판이 적어도 한쪽에 상기 제동 볼 안내로에 연결되는 청소용 개구부가 설치되고, 상기 청소용 개구부는 제동 볼이 제동 볼 안내로로부터 빠져나올 수 없는 크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선별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속도 조정 수단은 코인 통로의 폭방향으로 대향하여 2 개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인 선별 장치.
KR1019940028715A 1993-11-04 1994-11-03 코인 선별장치 KR01378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308496 1993-11-04
JP30849693 1993-1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155A KR950015155A (ko) 1995-06-16
KR0137827B1 true KR0137827B1 (ko) 1998-06-15

Family

ID=17981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8715A KR0137827B1 (ko) 1993-11-04 1994-11-03 코인 선별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577591A (ko)
KR (1) KR01378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524963A1 (de) * 1995-07-08 1997-01-09 Bosch Gmbh Robert Schaltnetzteil mit B-Steuerung
KR19990028994A (ko) * 1995-07-14 1999-04-15 말콤 레지날드 할라스 벨 코인 식별장치
GB9601335D0 (en) 1996-01-23 1996-03-27 Coin Controls Coin validator
GB9611659D0 (en) 1996-06-05 1996-08-07 Coin Controls Coin validator calibration
GB2326964B (en) 1998-03-23 1999-06-16 Coin Controls Coin changer
JP2002024775A (ja) * 2000-07-06 2002-01-25 Nippon Conlux Co Ltd コイン型icカード用リーダライタ
DE10057614A1 (de) * 2000-11-21 2002-06-06 Nat Rejectors Gmbh Münzprüfer
US7381126B2 (en) * 2003-11-03 2008-06-03 Coin Acceptors, Inc. Coin payou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4680A (en) * 1956-02-14 Gravity-actuated closure for coin-
US896965A (en) * 1907-02-13 1908-08-25 American Vending Machine Co Coin-way for vending-machines.
GB418423A (en) * 1934-05-04 1934-10-24 Erik Wittenborg Improvements in devices for testing coins in automatic vending machines and the like
US4376480A (en) * 1979-05-25 1983-03-15 Asahi Seiko Co., Ltd. Coin sorting device
JPS58195994A (ja) * 1982-05-11 1983-11-15 旭精工株式会社 電子式硬貨選別装置
US4469213A (en) * 1982-06-14 1984-09-04 Raymond Nicholson Coin detector system
GB9013054D0 (en) * 1990-06-12 1990-08-01 Landis & Gyr Communications Coin escr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5155A (ko) 1995-06-16
US5577591A (en) 1996-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7827B1 (ko) 코인 선별장치
EP028895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rejecting coins
US6257394B1 (en) Part-conveying apparatus
KR0156436B1 (ko) 코인 선별장치
JPH08101939A (ja) コイン選別装置
US3332430A (en) Disk assorting and counting apparatus
US598834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rejecting coins
KR200189621Y1 (ko) 요철식 동전 및 표면 인지식 동전인식기
EP043917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and rejecting coins
LV11234B (en) Device for testing coins, tokens or other flat objects
JP2504813B2 (ja) 硬貨処理装置
KR0116349Y1 (ko) 코인 선별 장치(Coin discriminating apparatus)
JPH083876B2 (ja) 硬貨選別装置
CN108269345B (zh) 一种转盘式介质处理装置
JPS6315389A (ja) 硬貨処理装置
EP1548656A1 (en) A low force coin dispensing apparatus
KR100560373B1 (ko) 코인 전동식의 셀렉터
JP4403242B2 (ja) 球体送り出し装置
JP4134339B2 (ja) バイメタルコインのセレクタ
KR200192823Y1 (ko) 주화선별장치
US3241645A (en) Coin sorting device
US20010015312A1 (en) Apparatus for separating and rejecting coins
JP2004154393A (ja) 搬送装置
JP4505585B2 (ja) 球体送り出し装置
KR940001325Y1 (ko) 주화 선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