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583B1 -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화소구동신호생성장치(pixel driv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projector) - Google Patents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화소구동신호생성장치(pixel driv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projector)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583B1
KR0137583B1 KR1019940031628A KR19940031628A KR0137583B1 KR 0137583 B1 KR0137583 B1 KR 0137583B1 KR 1019940031628 A KR1019940031628 A KR 1019940031628A KR 19940031628 A KR19940031628 A KR 19940031628A KR 0137583 B1 KR0137583 B1 KR 0137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horizontal
vertical
generating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1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0461A (ko
Inventor
강재봉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40031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583B1/ko
Publication of KR9600204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04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5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7Use of pixel shift techniques, e.g. by mechanical shift of the physical pixels or by optical shift of the perceived 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ject the image of a two-dimensional display, such as an array of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or a C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8Sepa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from pictur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02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using two-dimensional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 H04N9/312Driving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화소구동신호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액티브 매트릭스기판(10)내에 매트릭스 어레이형태로 배치된 다수의 화소구동소자(10a)와 각 화소구동소자(10a)에 의해 경사각이 조절되어 입사광의 광변조를 행하는 액츄에이터(20)를 갖추어 구성된 AMA장치를 채용한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에서, 복합영상신호로부터 동기신호(Csync, Vsync, Hsync)를 분리하는 동기분리수단(40)과, 상기 수평동기신호(Hsync)를 기준으로 수직동기신호(Vsync)를 분주하여 상기 화소구동소자(10a)의 기수필드 및 우수필드의 구동을 위한 필드판별/구동신호를 생성하는 필드판별/구동수단(42), 상기 수평동기신호(Hsync)와 기준클럭신호의 위상동기신호를 얻는 동기신호로크수단(44,46), 그 동기신호로크수단(44,46)에서 제공되는 동기신호를 기초로 상기 동기신호(Csync)를 지연시키는 지연수단(48,50,52), 그 지연수단(48,50,52)의 지연신호를 수취하여 수평방향 스캐닝신호를 생성하는 수평신호생성수단(54,56), 상기 지연수단(48,50,52)의 최종지연신호를 수취하여 수직방향 신호(VDSP)를 생성하는 수직신호생성수단 (58,60)및, 상기 수평신호생성수단(54,56)에서 생성된 수평방향 신호(DSPCLK)와 수직방향 신호(VDSP)를 조합하여 상기 다수의 화소구동소자(10a)를 구동하기 위한 어드레스신호(A0,---,An)를 생성하는 어드레스생성수단(62)를 갖추어 구성되어, 상기 화소구동소자(10a)를 필드단위로 고속구동할 수 있으면서, 수평방향 신호(DSPCLK)와 수직방향 신호(VDSP)의 조합에 의한 정확한 화소구동소자(10a)의 동기신호를 얻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화소구동신호생성장치
제 1 도(a)와 (b)는 일반적인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에서 컬러화상을 재현하는 광변조장치의 구동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제 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화소구동신호생성장치를 나타낸 블럭구성도,
제 3도(a) 내지 (e)는 제 2도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화소구동신호생성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제 4도(a) 내지 (1)은 제 2도에 도시된 수평동기신호분주부에서 분주된 수평동기분주신호의 파형도,
제 5도(a) 내지 (h)는 제 2도에 도시된 수직동기신호분주에서 분주된 수직동기신호의 파형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액티브 매트릭스기판,10a---화수구동소자,
40--- 동기분리부,42--- 필드판별/구동부,
44--- PLL부,46--- 기준클럭분주부,
48,50,52--- D-플립플롭,54--- 수평동기신호분주부,
56--- 수평신호생성부,58--- 수직동기신호분주부,
60--- 수직신호생성부,62--- 어드레스생성부.
본 발명은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화소구동신호생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MA(Actuated Mirror Array)장치를 사용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에 채용되는 정확한 화상동기신호를 생성하여 AMA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화소구동신호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직시형 화상표시시스템의 대표적인 CRT장치에서는 형광패널상에 1화소에 대해 R·G·B 형광점을 형성해서 화상신호의 R·G·B성분에 대응하여 도래되는 전자비임에 의해 해당하는 R·G·B형광점이 발광하여 컬러화상을 표시하게 되지만, 그 CRT장치에서는 1화소에 대해 R·G·B형광점이 형성되어야만 될 뿐만 아니라 전자비임의 유동에 필요한 절대거리가 확보되어야만 되므로 화면의 대형화가 제한받게 된다.
이에 대해,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을 이루는 LCD소자에 의한 컬러화상표시장치에서는 그 LCD소자의 균일한 액정배열을 편광판에 인가되는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에 의해 구동하여 액정의 배열을 산란시켜 컬러화상을 표시하게 되는데, 그러한 LCD소자에서는 편광판에 의한 투광율이 제어되는 형태이므로 전체적인 광효율이 저하되기 쉽다.
그러한 점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미합중국 Aura사에 의해 제안된 AMA장치를 사용하는 화상표시장치가 제안되어 실용에 적용하기 위한 개발이 진행되는 현상(現狀)인 바, 그 AMA장치에 따르면 화소의 구동을 위해 예컨대 다수의 MOS트랜지스터가 매트릭스형태로 배열된 액티브 매트릭스기판상에 각 트랜지스터에 대응하게 형성되어 그 트랜지스터에 의해 제공되는 화상신호전압에 따라 기울기가 가변되어 입사광의 변조(즉, 광로조절)를 행하는 액츄에이터를 갖추어 구성된다.
제 1도(a)와 (b)는 그러한 AMA장치를 사용한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에서 컬러화상을 재현하는 광변조장치(즉, AMA장치)의 구동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AMA장치는 액티브 매트릭스기판(10)과 그 액티브 매트릭스기판(10)상에 형성되어 입사광을 반사시키는 액츄에이터(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 액티브 매트릭스기판(10)의 내부에는 예컨대 640 x 480의 화면을 상정하는 경우 그 화면을 구성하는 전체의 화소 수에 대응하여 매트릭스 어레이 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화소구동소자가 갖추어지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그 화소구동소자는 화상신호에 반응하여 작동하는 MOS트랜지스터로 구성된다. 또, 그 액티브 매트릭스기판(10)상에는 각 구동소자, 정확하게는 MOS트랜지스터의 드레인전극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다수의 신호전극패드(12)가 형성된다.
또, 그 액티브 매트릭스기판(10)상에는 구동대상의 화소단위에 대응하도록 액츄에이터(20)가 형성되는 바, 그 액츄에이터(20)는 상기 신호전극패드(12)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그 신호전극패드(12)에 인가되는 화상신호전압에 비례하여 경사구동작용을 행함으로써 입사광의 반사각을 조절하여 광변조를 행하게 된다. 그 액츄에이터(20)는 상기 액티브 매트릭스기판(10)상에 액츄에이터(20)를 지지하는 지지부재(22)와, 그 지지부재(22)상에 적층되는 일정한 길이의 멤브레인(24), 그 멤브레이(24)상에 적층되어 상기 지지부재(22)와 멤브레인(24)을 관통하는 플러그(26)를 매개하여 상기 신호전극패드(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하부전극(28), 그 하부전극(28)상에 압전재료가 적층되어 형성된 변형부(30) 및 그 변형부(30)상에 예컨대 알루미늄을 적층함으로써 형성되어 공통전극으로 작용하면서 해당 액츄에이터(20)가 상기 신호전극패드(12)에서 인가되는 화상신호전압에 의해 경사구동되는 경우 입사광을 반사시키는 반사층으로서도 작용하는 상부전극(32)을 갖추게 된다.
그러한 액티브 매트릭스기판(10)상에 형성된 액츄에이터(20)를 구동하여 화상의 표시를 행하기 위해서는 화면의 치수가 640 x 480 인 경우 제 1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티브 매트릭스기판(10)의 내측에 그 화면치수와 대응하는 화수의 수에 대응하여 배열된 화소구동소자(10a)를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구동하여 그 화소구동소자(10a)의 드레인 측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상기 신호전극패드(12)를 매개하여 액츄에이터(20)를 구동해야 된다. 따라서, 액티브 매트릭스기판(10)에 대해서는 화소의 수에 대응하여 배열된 매트릭스 어레이형태의 화소구동소자(10a)의 수평방향(즉, 그 화소구동소자(10a)의 드레인 측)을 제어하기 위한 수평구동회로(32)와 그 매트릭스어레이형태의 화소구동소자(10b)의 수직방향(즉, 화소구동소자(10b)의 게이트 측)을 제어하기 위한 수직구동회로(34)가 채용된다.
그 수평방향구동회로(32)와 수직방향구동회로(34)는 컬러화상의표시를 제어하는 제어수단(도시 생략)으로부터 제공되는 화상스캐닝신호에 반응하여 화상의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을 스캐닝하면서 컬러화상신호에 따라 매트릭스어레이형태의 화소구동소자(10a)를 구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매트릭스 어레이형태로 배열된 각 화소구동소자(10a)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액츄에이터(20)가 경사구동하여 입사광을 조절하게 되므로, 광변조된 R·G·B신호의 광성분이 투사렌즈(도시 생략)를 통해 화면상에 투사되어 컬러화상이 표시된다.
그런데, 제 1도(b)를 참조하면 화면이 640 x 480 라인으로 구성되는 경우 화소단위로 구동하여 컬러화상을 표시하기 위해서는 전체의 라인스캐닝시간이 대폭증가하게 되어 고속의 신호처리가 요구되고, 그에 더하여 각 라인상에서 화소의 스캐닝을 위한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의 타이밍설정이 복잡하게 될 뿐만 아니라 그 타이밍을 정확하게 동기시키지 못하게 되면 화면의 왜곡 또는 화질의 열화가 초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컬러화상의 재현을 위한 화소의 수직 및 수평방향 스캐닝시 컬러화상을 구성하는 화소를 기수필드와 우수필드로 분할하여 구동하면서, 정확한 수직 및 수평동기신호를 생성하여 전체적인 화소의 스캐닝시간을 고속화함과 더불어 정확한 컬러화상의 재현이 가능하도록 된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화소구동신호생성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따르면 액티브매트릭스기판내에 매트릭스 어레이형태로 배치된 다수의 화소구동소자와 각 화소구동소자에 의해 경사각이 조절되어 입사광의 광변조를 행하는 액츄에이터를 갖추어 구성된 AMA장치를 채용한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에 있어서, 복합 영상신호로부터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 및 복합동기신호를 분리하는 동기분리수단, 상기 수평동기신호를 기준으로 수직동기신호를 분주하는 상기 화소구동소자의 기수필드 및 우수필드의 구동을 위한 필드판별/구동신호를 생성하는 필드판별/구동수단, 상기 수평동기신호와 기준클럭신호의 위상동기신호를 얻는 동기신호로크수단, 그 동기신호로크수단에서 제공되는 동기신호를 기초로 상기 복합동기신호를 지연시키는 지연수단, 그 지연수단의 1차 지연신호를 수취하여 수평방향 신호를 생성하는 수평신호생성수단, 상기 지연수단의 최종지연신호를 수취하여 수직방향 신호를 생성하는 수직신호생성수단 및, 상기 수평신호생성수단에서 생성된 수평방향 신호와 수직방향 신호를 조합하여 상기 다수의 화소구동소자를 상기 판별된 기수필드와 우수필드별로 구동하기 위한 어드레스신호를 생성하는 어드레스생성수단을 갖추어 구성된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화소구동신호생성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동기신호로크수단은 기준클럭(12.4MHz ; 788분주)을 분주하는 기준클럭분주부와 그 기준클럭분주부에서 분주된 클럭신호와 상기 수평동기신호를 로크시켜 위상동기된 신호를 생성하는 PLL(Phase locked loop)부로 구성된다.
상기 지연수단은 상기 동기신호로크수단은 위상동기된 신호를 클럭신호로 수취하여 상기 복합동기신호를 지연시키는 제 1 D-플립플롭과, 그 제 1 D-플립플롭의 반전출력을 클럭신호로 수취하여 상기 수평신호생성수단의 수평방향 신호를 분주하여 수직동기신호의 생성을 위한 타이밍신호를 생성하는 제 2 D-플립플롭과 제 3 D-플립플롭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신호생성수단은 상기 지연수단의 제 1 D-플립플롭에서 지연된 신호를 상호 다른 타이밍으로 분주하여 다수의 수평동기분주신호를 생성하는 수평동기분주부와, 그 다수의 수평동기분주신호를 조합하여 최종의 수평방향 신호를 생성하는 수평신호생성부를 갖추어 구성된다.
또, 상기 수직신호생성수단은 상기 지연수단의 제 3 D-플립플롭에서 지연된 최종지연신호를 상호 다른 타이밍으로 분주하여 다수의 수직동기분주신호를 생성하는 수직동기분주부와, 그 다수의 수직동기분주신호를 조합하여 최종의 수직방향 신호를 생성하는 수직신호생성부를 갖추어 구성된다.
또, 상기 어드레스생성수단은 상기 수평신호생성수단의 최종의 수평방향신호를 클럭신호로 하여 상기 수직신호생성수단의 최종의 수직방향 신호를 조합하여 상기 화소구동소자의 구동을 위한 다수의 어드레스를 생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화소구동신호 생성장치에 의하면, 상기 동기분리수단에서 분리된 수평 및 수직동기신호를 기초로 다수의 화소구동소자를 기수필드와 우수필드로 구동하기 위한 필드판별/구동신호를 생성하여 그 필드판별/구동신호에 따라 전체의 화소에 대한 어드레스를 생성하는 한편 수평신호생성수단과 수직신호생성수단에서 제공되는 수평방향 신호와 수직방향 신호를 조합하여 각 화소구동소자를 그 필드별로 구동하기 위한 다수의 어드레스를 생성하게 되므로 전체의 화소에 대한 스케닝시간이 단축됨과 더불어 각 화소에 대한 정확한 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2도는 제 1도(b)를 참조하여 설명한 액티브 매트릭스기판(10)의 내측에 매트릭스 어레이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화소구동소자(10a)를 구동하여 컬럭화상의 표시를 행하도록 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화소구동신호생성장치를 나타낸 블럭구성도로서, 참조부호 40은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에 의해 화면표시될 복합화상신호(Vin)을 수취하여 동기신호(Csync, Hsync, Vsync)를 분리하는 동기분리부를 나타내고, 42는 그 동기신호분리부(40)에서 분리된 수평동기신호(Hsync)를 기준신호로 하여 수직동기신호(Vsync)의 기수필드 및 우수필드를 판별(기수필드시 하이레벨, 우수필드시 로우레벨)함으로써 상기 다수의 화소구동소자(10a)에 대해 기수필드(제 1, 제 3,---, 제 479라인)와 우수필드(제 2, 제 4,---, 제 480라인)로 분할구동하기 위한 필드판별/구동신호를 제공하는 필드판별/구동부를 나타낸다. 그 필드판별/구동부(42)는 예컨대 수평동기신호(Hsync)를 클럭으로 사용하여 상기 수직동기신호(Vsync)를 분주하여 분주기와 그 분주기에서 분주된 신호를 지연하여 상기 수직동기신호(Vsync)의 기수필드와 우수필드를 판별하는 D-플립플롭에 의한 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44는 상기 동기분리부(40)에서 분리된 수평동기신호(Hsync)를 수취하여 기준클럭분주부(46; 12.4MHz, 788분주)에서 제공되는 기준클럭과 위상로크시키기위한 PLL부를 나타낸다.
48과 50 및 52는 상호 직렬종속접속되어 지연수단으로 작용하는 제 1 - 제 3 D-플립플롭을 나타내는 바, 제 1 D-플립플롭(48)은 그 클럭단에 상기 PLL부(44)로부터 위상동기된 신호가 클럭신호로서 인가되는 반면 그 데이터단(D)에는 상기 동기분리부(40)로부터 복합동기신호(Csync)가 입력되어 클럭신호에 의해 복합동기신호(Csync)를 지연시키게 되고, 제 2 D-플립플롭(50)은 그 클릭단에 상기 제 1 D-플립플롭(48)의 반전출력(Q')이 클럭신호로서 인가되는 반면 그 데이터단(D)에는 후술하는 수평신호생성수단의 수평동기신호분주부로부터 최종의 수평동기신호가 입력되어 클럭신호에 의해 그 수평동기신호를 지연시키게 되며, 제 3 D-플립플롭(52)은 그 클럭단에 상기 제 2 D-플립플롭(50)의 출력(Q)이 클럭신호로서 인가되는 반면 그 데이터단에 상기 수평동기신호분주부로부터 최종의 수평동기신호가 입력되어 클럭신호를 기초로 그 수평동기신호를 재차 지연시키게 된다. 즉, 그 제 2 D-플립플롭(50)과 제 3 D-플립플롭(50)은 상기 수평동기신호분주부로 부터 제공되는 최종의 수평동기신호를 분주하여 수직동기신호의 생성을 위한 타이밍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54는 다수 스테이지의 분주기(도시 생략)에 의해 구성되어 상기 제 1 D-플립플롭(48)의 지연신호(즉, 복합동기신호의 지연신호)를 상호 다른 타이밍을 갖도록 분주하여 제 1- 제n 수평동기분주신호(HC1,---,HCn)로 생성하는 수평동기신호분주부를 나타내고, 56은 그 수평동기신호분주부(54)에서 분주된 다수의 수평동기분주신호(HC1,---,HCn)를 조합하여 수평방향 신호(DSPCLK)를 생성하는 수평신호생성부를 나타내는 바, 그 수평동기신호분주부(54)와 수평신호생성부(56)는 수평신호생성수단으로 작용하게 되고, 상기 수평동기신호분주부(54)의 최종 수평동기분주신호(HCn)는 수직동기신호의 생성을 위한 타이밍신호를 생성하도록 상기 제 2 및 제 3 D-플립플롭(50,52)의 데이터다네 인가된다.
58은 다수 스테이지의 분주기(도시 생략)에 의해 구성되어 상기 제 3 D-플립플롭(52)의 지연신호(즉, 상기 수평동기신호분주부(54)의 최종 수평동기분주신호(HCn)의 지연신호)를 상호 다른 타이밍을 갖도록 분주하여 제 1- 제n 수직동기분주신호(VC1,---,VCn)로 생성하는 수직동기신호분주부를 나타내고, 60은 그 수직동기신호분주부(58)에서 분주된 다수의 수직동기분주신호(VC1,---,VCn)를 조합하여 수직방향 신호(VDSP)를 생성하는 수직신호생성부를 나타내는 바, 그 수직동기신호분주부(58)와 수직신호생성부(60)는 수직신호생성수단으로 작용하게 된다.
62는 다수 스테이지의 분주기(도시 생략)에 의해 구성되어 상기 수평신호생성부(56)에서 제공되는 수평방향 신호(DSPCLK)를 클럭신호로 적용해서 상기 수직신호생성부(60)에서 인가되는 수직방향 신호(VDSP)를 분주처리하여 상기 다수의 매트릭스 어레이형태의 화수구동자(10a)를 상기 필드판별/구동부(42)에의해 지정되는 필드별로 구동하기 위한 제 1 - 제 n어드레스(A0,---,An)를 생성하는 어드레스생성부를 나타낸다.
이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화소구동신호생성장치의 동작에 대해 제 3도 내지 제 5도에 도시된 타이밍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동기분리부(40)는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에 의해 화면표시될 복합화상신호(Vin)이 입력되면 그 복합화상신호(Vin)에서 동기신호(Csync, Hsync, Vsync)를 분리하게 되고, 그 동기분리부(40)에서 분리된 수평동기신호(Hsync)와 수직동기신호(Vsync; 제 3도(a) 참조)는 필드판별/구동부(42)에 인가되어 그 필드판별/구동부(42)에서는 상기 액티브 매트릭스기판(10; 제 1도(b) 참조)의 내측에 매트릭스 어레이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화소구동소자(10a)를 기수필드와 우수필드로 분할구동하기 위한 필드판별/구동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즉, 그 필드판별/구동부(42)는 상기 수평동기신호(Hsync)를 기준신호로 하여 상기 수직동기신호(Vsync)를 분주처리 및 지연처리함으로써 그 수직동기신호(Vsync)의 기수필드(하이레벨) 및 우수필드(로우레벨) 기간을 판별하여 상기 액티브 매트릭스기판(10)내의 전체 화소구동소자(10a)를 기수필드(하이레벨)와 우수필드(로우레벨)로 분할구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동기신호(Hsync)는 PLL부(44)에 인가되어 기준클럭분주부(46)에서 제공되는 기준클럭과 위상로크된 다음 지연수단의 제 1 D-플립플롭(48)에 인가된다. 그 제 1 D-플립플롭(48)은 상기 PLL부(44)에서 인가되는 위상로크된 신호를 클럭신호로서 사용하여 상기 동기분리부(40)에서 동기분리된 복합동기신호(Csync)를 1차지연시키게 되고, 그 지연된 출력신호가 수평신호수단을 구성하는 수평동기신호분주부(54)에 인가된다.
상기 수평동기신호분주부(54)는 상기 지연된 신호를 예컨대 다수 스테이지의 분주기에 의해 제 4도(a) 내지 (1) (단, 제 4도(g)는 간단화를 위해 제 4도(f)의 파형을 축소하여 도시한 파형이고 제 4도(h) 내지 (1)의 파형을 그 제 4도(g)의 파형과 동일한 축척으로 도시됨)에 도시된 파형, 즉 상호 다른 타이밍주기를 갖는 제 1 - 제 n 수평동기분주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그 수평동기신호분주부(54)에서 생성된 다수의 수평동기분주신호는 후속의 수평신호생성부(56)에 인가되고, 그 수평신호생성부(58)에서는 제 3도(c)에 도시된 수평동기구간(HDSP)에 상기 제 1 - 제n 수평동기분주신호를 조합하여 제 3도(e)에 도시된 수평방향 신호(DSPCLK)를 생성하여 어드레스생성부(62)에 인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 D-플립플롭(48)에서의 지연신호의 반전출력은 후단의 제 2 D-플립플롭(50)에 클럭신호로서 제공되고 그 제 2 D-플립플롭(50)의 출력은 후단의 제 3 D-플립플롭(52)의 클럭신호로서 제공되는데, 제 2 및 제 3 D-플립플롭(50,52)의 데이터단(D)에서는 상기 수평동기신호분주부(54)에서 분주된 최종의 수평동기분주신호(HCn)를 수취하여 그 신호를 분주하여 수직동기신호의 생성을 위한 타이밍신호로서 수직동기신호분주부(58)에 인가하게 된다.
그 수직동기신호분주부(58)에서는 상기 제 3 D-플립플롭(58)의 최종지연신호를 수취하여 예컨대 복수 스테이지의 분주기에 의해 제 5도(a) 내지 (h)에 도시된 파형, 즉 상호 다른 타이밍주기를 갖는 제 1 - 제n 수직동기분주신호(VC0-VCn)를 생성하게 된다. 이어, 상기 제1 - 제n 수직동기분주신호(VC0 - VCn)는 수직신호생성부(60)에 인가되어 제 3도(b)에 도시된 파형(VDSP)으로 조합된 다음 상기 어드레스생성부(62)에 인가된다.
상기 어드레스생성부(62)는 다수 스테이지의 분주기에 의해 상기 수평신호생성부(56)에서 제공되는 제 3도(e)에 도시된 파형(DSPCLK)을 클럭신호로 적용해서 상기 수직신호생성부(60)에서 인가되는 제 3도(b)에 도시된 파형(VDSP)을 분주하여 상기 액티브 매트릭스기판(10)내에 배열된 다수의 화소구동소자(10a)를 컬러화상신호에 따라 구동하기 위한 다수의 어드레스(A0,---,An)을 생성하게 된다. 따라서, 그 어드레스생성부(62)에서 생성된 어드레스에 의해 상기 필드판별/구동부(42)에서 지정된 화소의 기수필드와 우수필드에 대해 필드분할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컬러화상을 표시하는 화면의 치수가 640 x 480인 경우 대략 307,200의 화소 수가 존재하게 되므로 상기 어드레스생성부(62)에서 생성되 어드레스가 A0 - A19로 결정되도록 하게 되면 20- 218에 해당하는 화소의 수를 구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어드레스생성부(62)에서 생성되는 어드레스의 수는 분주기의 스테이지에 따라 가변되므로 컬러화상의 표시를 위한 화면의 치수에 적응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화소구동신호생성장치에 의하면, 복합화상신호에서 동기신호를 분리하여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에 의해 액티브 매트릭스기판상에 배열된 다수의 화소구동소자를 필드단위로 고속구동이 가능하게 되공,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의 조합에 의한 정확한 화소구동소자의 동기신호를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액티브 매트릭스기판(10)내에 매트릭스 어레이형태로 배치된 다수의 화소구동소자(10a)와 각 화소구동소자(10a)에 의해 경사각이 조절되어 입사광의 광변조를 행하는 액츄에이터(20)를 갖추어 구성된 AMA장치를 채용한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에 있어서,
    복합영상신호로부터 동기신호(Csync, Vsync, Hsync)를 분리하는 동기분리수단(40)과,
    상기 수평동기신호(Hsync)를 기준으로 수직동기신호(Vsync)를 분주하여 상기 화소구동소자(10a)의 기수필드 및 우수필드의 구동을 위한 필드판별/구동신호를 생성하는 필드판별/구동수단(42),
    상기 수평동기신호(Hsync)와 기준클럭신호의 위상동기신호를 얻는 동기신호로크수단,
    그 동기신호로크수단에서 제공되는 동기신호를 기초로 상기 복합동기 신호(Csync)를 지연시켜 수평방향 신호의 생성을 위한 타이밍신호와 최종의 수평방향 신호를 분주하여 수직동기신호의 생성을 위한 타이밍신호를 생성하는 지연수단,
    그 지연수단의 지연신호를 수취하여 수평방향 신호(DSPCLK)를 생성하고 그 최종의 수평방향 신호를 수직동기신호의 생성을 위해 상기 지연수단에 제공하는 수평신호생성수단,
    상기 지연수단의 최종지연신호를 수취하여 수직방향 신호(VDSP)를 생성하는 수직신호생성수단 및,
    상기 수평신호생성수단에서 생성된 상기 수평방향 신호(DSPCLK)와 수직방향신호(VDSP)를 조합하여 상기 다수의 화소구동소자(10a)를 구동하기 위한 어드레스신호를 생성하는 어드레스생성수단(62)을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화소구동신호생성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신호로크수단은 기준클럭(12.4 MHz ; 788분주)을 분주하는 기준클럭분주부(46)와 그 기준클럭분주부(46)에서 분주된 클럭신호와 상기 수평동기신호(Hsync)를 로크시켜 위상동기된 신호를 생성하는 PLL부(4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화소구동신호생성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신호생성수단은 상기 지연수단에서 지연된 상기 위상로크된 신호를 상호 다른 타이밍으로 분주하여 다수의 수평동기분주신호(HC0,---,HCn)를 생성하는 수평동기분주부(54)와, 그 다수의 수평동기분주신호(HC0,---,HCn)를 조합하여 상기 수평방향 신호(DSPCLK)를 생성하는 수평신호생성부(56)를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화소구동신호생성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신호생성수단은 상기 지연수단의 최종지연출력을 상호 다른 타이밍으로 분주하여 다수의 수직동기분주신호(VC0,---,VCn)를 생성하는 수직동기분주부(58)와, 그 다수의 수직동기분주신호(VC),---,VCn)를 조합하여 상기 수직방향 신호(VDSP)를 생성하는 수직신호생성부(60)를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화소구동신호생성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생성수단(62)은 상기 수평신호생성수단의 최종의 수평방향 신호(DSPCLK)를 클럭신호로 하여 상기 수직신호생성수단의 수직방향 신호(VDSP)를 조합하여 상기 화소구동소자(10a)의 구동을 위한 다수의 어드레스(HC0,---,HCn)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화소구동신호생성장치.
KR1019940031628A 1994-11-29 1994-11-29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화소구동신호생성장치(pixel driv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projector) KR0137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1628A KR0137583B1 (ko) 1994-11-29 1994-11-29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화소구동신호생성장치(pixel driv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proj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1628A KR0137583B1 (ko) 1994-11-29 1994-11-29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화소구동신호생성장치(pixel driv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proj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461A KR960020461A (ko) 1996-06-17
KR0137583B1 true KR0137583B1 (ko) 1998-05-15

Family

ID=19399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1628A KR0137583B1 (ko) 1994-11-29 1994-11-29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화소구동신호생성장치(pixel driv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projec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58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461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17636B2 (en) Image display device
EP0606162B1 (en) Image display system with pixel mosaic pattern
JPH09322099A (ja) 映像表示装置
JP2002328666A (ja) フレームレートを逓倍する方法、フレームレートマルチプライヤおよびフレームレートダブラ
KR19990067711A (ko)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및 표시장치
KR19980081010A (ko) 평면표시장치 및 표시방법
KR20050089831A (ko) 비디오 데이터 재 정렬 장치와, 집적 회로 및 비디오데이터 포맷 변환 방법
US7148910B2 (en) High-speed pulse width modulation system and method for linear array spatial light modulators
JPH08194207A (ja) 画像表示装置
US7733317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alternative current drive method
KR0137583B1 (ko)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화소구동신호생성장치(pixel driv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projector)
JPH05313116A (ja) 投影機
KR100803605B1 (ko) 스캐너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왜곡 보상 방법 및 장치
JPH08137439A (ja) 液晶表示装置及び液晶表示方法
JPH03172085A (ja) 液晶表示装置
JPH0363692A (ja) 表示装置の駆動回路
KR0137592B1 (ko)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와 열방향 구동회로
JPH0514844A (ja) 液晶パネル駆動制御回路
KR0156819B1 (ko)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필드판별회로
KR100192942B1 (ko) 다중동기 제어장치
JPH05297341A (ja) 投射型表示装置
JP3025721B2 (ja) 表示装置の同期駆動回路
KR100221478B1 (ko)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배속변환장치
RU2096925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объемного изображения
JPH0573004A (ja) 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