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6819B1 -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필드판별회로 - Google Patents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필드판별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6819B1
KR0156819B1 KR1019950023302A KR19950023302A KR0156819B1 KR 0156819 B1 KR0156819 B1 KR 0156819B1 KR 1019950023302 A KR1019950023302 A KR 1019950023302A KR 19950023302 A KR19950023302 A KR 19950023302A KR 0156819 B1 KR0156819 B1 KR 0156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image display
field discrimination
cloc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3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9328A (ko
Inventor
김철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23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6819B1/ko
Publication of KR970009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6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68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1Testing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7/00Systems with reflecting surfaces, with or without refracting elements
    • G02B17/02Catoptric systems, e.g. image erecting and reversing system
    • G02B17/023Catoptric systems, e.g. image erecting and reversing system for extending or folding an optical path, e.g. delay lin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ject the image of a two-dimensional display, such as an array of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or a C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8Sepa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from pictur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MA장치를 사용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에서 AMA장치(AMA패널)에 매트릭스 어레이형태로 배열된 트랜지스터의 열방향구동시 보다 정확한 기수.우수필드판별신호를 구동신호로서 제공하도록 된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필드판별회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최소한 M X N의 화소에 대응하는 트랜지스터어레이가 내재된 액비트 매트릭스 기판과, 그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상에서 상기 트랜지스터 어레이에 의해 구동되어 화상의 표시를 위한 광의 광로를 조절하는 다수의 액츄에이터를 갖춘 AMA 패널을 채용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에서, 동기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수평동기신호를 기초로 시스템클럭을 발생시킴과 더불어 그 시스템클럭을 n분주하여 필드판별용 카운트신호로서 출력하는 PLL회로부(80)와, 상기 PLL회로부(80)에서 출력되는 카운트신호를 클럭신호로 해서 상기 동기분리수단으로부터의 수직동기신호를 비교하는 제1비교부(82), 인버터(IV)를 통해 반전된 상기 카운트신호를 클럭신호로 해서 상기 수직동기신호를 비교하는 제2비교부(84) 및, 상기 제1비교부(82)로부터의 신호를 클럭신호로 헤서 상기 제2비교부(84)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소정의 필드판별신호를 출력하는 판단부(86)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필드판별회로
제1도는 종래의 일예에 따른 투사형 화상표시장치로서 채용되는 AMA장치(Actuated mirror array 裝置)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
제2도는 종래의 일예에 따른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열방향 구동회로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필드판별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4도(a)와 (b)는 제3도에 도시된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열방향 구동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는 파형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필드판별회로를 설명하는 블록구성도.
제6도는 제5도에 도시된 PLL회로부의 구성회로도.
제7도는 제5도에 도시된 비교부 및 판단부의 연결회로도.
제8도(a) 및 (b)는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필드판별회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각 부의 출력신호에 대한 타이밍챠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매트릭스 기판 12 : 신호전극패도
20 : 액츄에이터 22 : 지지부재
24 : 멤브레인 26 : 하부전극
28 : 변형부 30 : 상부전극
32 : 플러그 40 : 동기신호 분리부
50 : 필드판별부 52 : 멀티바이브레이터
54 : 분주부 56 : D플립플롭
60a : 제1열방향 구동회로 60b : 제2열방향 구동회로
70 : AMA패널 80 : PLL회로부
82 : 제1비교부 84 : 제2비교부
86 : 판단부
본 발명은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필드판별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트랜지스터 어레이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다수의 반사형 액츄에이터로 이루어진 AMA(Actuated mirror array)패널을 갖춘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에서 화상의 표시를 위해 AMA패널에 내재된 다수의 트랜지스터 어레이를 열방향구동(row drive)시 기수필드와 우수필드의 판별을 보다 정확히 할 수 있도록 한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필드판별회로에 관한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화상표시장치로서는 CRT장치로서 대표되는 직시형 표시장치와 LCD장치로서 대표되는 투사형 표시장치로서 대별되고, 그 중 직시형 표시장치인 CRT장치는 형광패널상에 R·G·B형광점이 형성되어 전자비임이 그 R·G·B형광점에 집광되는 경우 해당하는 형광점이 발광되어 컬러화상의 표시가 가능하게 되지만, 그러한 CRT장치에서는 1화소에 대해 R·G·B형광점이 형성되어야만 되므로 화면의 대형화에 제한을 받게 될 뿐만 아니라 제조공정이 복잡하여 제조단가도 상승된다.
이에 대해, 투사형 표시장치인 LCD장치에서는 액정의 균일한 배열로부터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액정구동전압으로서 인가하여 편광판에 의해 액정의 배열방향을 조절함으로써 목표로 하는 화상의 표시를 행하게 되므로 비교적 경량박형화(輕量薄刑化)가 가능하게 되지만, 그러한 LCD장치에서는 전체의 입사광량에 대한 투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편광판에 의해 광손실이 증대되는 불리함이 초래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미합중국 Aura사에 의해 AMA(Actuated mirror array)를 사용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장치가 제안되었는 바, 그 AMA를 사용한 화상표시장치는 AMA를 1차원으로 배열한 상태에서 스캐닝 미러(Scanning mirror)를 이용하여 M X 1개의 광속을 선주사시키는 1차원 구조, 또는 M X N개의 광속을 투사시켜 M X N화소의 어레이를 갖는 영상을 나타내는 2차원 구조로 구성된다.
제1도는 종래의 일예에 따른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에 적용되는 AMA장치의 원리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참조부호10은 1차원 또는 2차원 구조의 AMA장치를 구동하기 위해 예컨대 구동대상의 화소의 수에 대응하는 수량의 트랜지스터가 매트릭스 어레이형태로 내장된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을 나타내고, 그 액티브 매트릭스기판(10)상에는 AMA장치의 액츄에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매트릭스어레이형태로 배열된 각 트랜지스터의 소오스측에서 도출되는 다수의 신호전극패드(12)가 형성된다. 또, 20은 그 액티브 매트릭스기판(10)의 신호전극패드(12)에 대응하게 접속되어 광로를 조절하기 위한 액츄에이터를 나타내는바, 그 액츄에이터(20)는 상기 액티브 매트릭스기판(10)의 신호전극패드(12)를 에워싸도록 형성된 지지부재(22)와, 그 지지부재(22)상에서 일정한 길이로 연장되도록 예컨대 Si3N4로 형성되는 멤브레인(24), 그 멤브레인(24)의 상측에 하부전극(26)과 압전재료(PZT)로 형성된 변형부(28) 및 상부전극(30)을 갖추어 구성된다. 또, 상기 신호전극패드(12)와 상기 하부전극(26)의 사이는 그 신호전극패드(12)로부터 상기 지지부재(22)를 관통하여 연장되는 플러그(32)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신호전극패드(12)상에 나타나는 상기 트랜지스터에 의한 구동전압이 상기 하부전극(26)에 전달됨에 따라 그 액츄에이터(20)의 기울기가 결정되어 상기 상부전극(30)에 입사되는 광의 경로조절이 가능하게 되고, 그 경로 조절된 광이 투사렌즈에 전달되어 투사됨으로써 컬러화상의 표시가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대체로 화면의 치수가 640화소 X 480화소로 구성되는 경우를 고려하면, 2차원구조의 경우 액티브 매트릭스기판(10)에 구비된 트랜지스터의 수도 640 X 480으로 되고, 그 때문에 하나의 화면을 구성하기 위해 액티브 매트릭스기판(10)의 트랜지스터 어레이를 컬러표시성분에 기초하여 행·열방향에서 구동하는 경우에는 대응하는 화소의 컬러표시상태에 스캐닝구동되어야만 되므로 구동효율이 저할될 뿐만 아니라 화소의 컬러표시상태에 대한 응답성도 불량해지기 쉽다. 더구나, 그러한 매트릭스 어레이형태의 트랜지스터를 일괄적으로 구동하여 화면의 표시를 행하는 경우 화소의 수가 증대되는 경우에는 그 화소에 대응하는 트랜지스터의 구동이 더욱 용이하지 않게 된다.
그리하여 AMA 장치를 사용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에서 AMA장치(AMA패널)에 매트릭스 어레이형태로 배열된 트랜지스터의 열방향 구동에 대해 기수필드와 우수필드로 분할하여 구동하는 방식을 적용하여 신호데이터의 전송효율이 양호해지도록 하면서 화소의 컬러표시상태에 대한 응답성도 개선되도록 한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열방향 구동회로가 제안되었는 바, 그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열방향 구동회로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최소한 M X N의 화소에 대응하는 트랜지스터 어레이가 내재된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과, 그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상에서 상기 트랜지스터 어레이에 의해 구동되어 화상의 표시를 위한 광의 광로를 조절하는 다수의 액츄에이터를 갖춘 AMA패널(70)을 채용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에 의해 표시될 복합 영상신호에서 수평동기신호(Hsync)와 수직동기신호(Vsync)를 분리하는 동기신호분리부(40)와, 그 동기신호분리부(40)에 의해 분리된 수평동기신호를 기초로 수직동기신호의 기수필드와 우수필드를 판별하여 상기 AMA패널(70)에 내재된 M X N트랜지스터 어레이에 대한 필드별 열방향 구동신호를 생성하는 필드판별부(50)를 갖추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필드판별부(50)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평동기신호(Hsync)를 일정한 시정수(52a,52b)로 펄스폭이 변환된 신호로 출력하는 멀티바이브레이터(52)와, 그 멀티바이브레이터(52)에서 출력되는 제1출력과 그 제1출력과 반전된 제2출력을 제1 및 제2클럭신호로 해서 상기 수직동기신호(Vsync)를 분주한 제1출력과 제2출력을 생성하는 분주부(54) 및, 그 분주부(54)에서 출력되는 제1출력을 클럭신호로 적용해서 상기 분주부(54)의 제2출력을 분주하여 기수 및 우수필드의 판별신호를 생성하는 D플립플롭(56)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분주부(54)에는 상기 멀티 바이브레이터(52)의 제1출력과 제2출력을 각기 클럭신호로서 수신하고 상기 수직동기신호(Vsync)를 데이터로서 공동수신하는 복수의 D플립플롭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열방향 구동회로에 따르면, 투사형태로 화면표시될 복합영상신호가 동기신호분리부(40)에 인가되면, 그 동기신호분리부(40)에서는 복합영상신호에 포함된 수평동기신호(Hsync)와 수직동기신호(Vsync)를 분리하게 되고, 그 분리된 수평동기신호(Hsync)와 수직동기신호(Vsync)는 필드판별부(50)로 인가된다.
그 필드판별부(50)에 인가된 수평동기신호(Hsync)는 저항(52a)과 캐패시터(52b)에 의해 소정의 시정수가 설정도니 멀티바이브레이터(52)로 인가되어 그 멀티바이브레이터(52)의 시정수에 의한 펄스폭을 갖는 파형으로 발진되고, 그 멀티바이브레이터(52)에서 발진된 제1 및 제2 출력(Q,Q')이 후단의 분주부(54)를 구성하는 각 D플립플롭에 인가된다. 그 경우, 그 분주부(54)를 구성하는 각 D플립플롭의 데이터단(D)에는 상기 동기신호분리부(40)에서 분리된 수직동기신호(Vsync)가 입력되고, 그에 따라 분주부(54)의 각 D플립플롭에서는 그 분주부(54)의 제1 및 제2 출력으로서 제4도(a)에 도시된 1사이클의 대략 16.7ms인 수직동기신호(Vsync)와 그 반전신호가 출력되고, 그 수직동기신호(Vsync)와 반전신호가 후속의 D플립플롭(56)에 클럭신호와 데이터로서 입력된다. 따라서, 그 D플립플롭(56)에서는 제4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32.3ms의 기수필드와 우수필드를 구별된 레벨차를 가진 필드판별신호로서 출력시킨다.
그 필드판별신호에서 하이레벨의 기수필드기간에는 제1열방향 구동회로(60a)가 활성화되어 AMA패널(70)에서 기수에 해당하는 트랜지스터가 구동되고 우수필드기간에는 제2열방향 구동회로(60b)가 활성화되어 AMA패널(70)에서 우수에 해당하는 트랜지스터가 구동된다. 따라서, 필드분할적으로 구동되는 AMA패널(70)의 트랜지스터어레이에 대해 그 드레인에 신호전압을 인가하게 되면 소오스측에 접속된 액츄에이터(제1도 참조)의 기울기가 조정되어 광로의 조절이 행해지게 되며, 그 광로조절된 광이 투사렌즈에 의해 화면투사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열방향 구동회로에 의하면, 특히 필드판별부(50)에서의 멀티바이브레이터(52)의 시정수는 저항(52a)과 캐패시터(52b)에 의해 설정되도록 되어 있는데, 그 필드판별부(50)는 아날로그 신호인 수평동기신호를 입력받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시키는 과정에서 전압(Vcc)을 너무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전압변동이 발생하게 되고, 그 전압변동시에는 그 시정수소자의 감도가 저하되어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없게 되므로 결국에는 오차가 큰 부정확한 필드판별신호를 출력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AMA장치를 사용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에서 AMA장치(AMA패널)에 매트릭스 어레이형태로 배열된 트랜지스터의 열방향 구동시보다 정확한 기수·우수필드 판별신호를 구동신호로서 제공하도록 된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필드판별회로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필드 판별회로는, 최소한 M X N의 화소에 대응하는 트랜지스터 어레이가 내재된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과, 그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상에서 상기 트랜지스터 어레이에 의해 구동되어 화상의 표시를 위한 광으 광로를 조절하는 다수의 액츄에이터를 갖춘 AMA패널을 채용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동기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수평동기신호를 기초로 시스템클럭을 발생시킴과 더불어 그 시스템클럭을 n분주하여 필드판별용 카운트신호로서 출력하는 PLL회로부와, 그 PLL회로부에서 출력되는 카운트신호를 클럭신호로 해서 상기 동기분리수단으로부터의 수직동기신호를 비교하는 제1비교부, 인버터를 통해 반전된 상기 카운트신호를 클럭신호로 해서 상기 수직동기신호를 비교하는 제2비교부 및, 상기 제1비교부로부터의 신호를 클럭신호로 해서 상기 제2비교부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소정의 필드판별신호를 출력하는 판단부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동기분리수단으로부터의 수평동기신호는 PLL회로부에 의해 시스템 클럭신호와 필드판별용 카운트신호로 출력되고, 그 카운트신호는 수직동기신호와 함께 제1비교부에서 클럭동기된 후 클럭신호화되어 판단부로 인가되는 한편 그 카운트신호는 인버터에 의해 반전되어 수직동기신호와 함께 제2비교부에서 클럭동기된 후 데이터신호화되어 판단부로 인가되며, 그 판단부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비교부로부터의 신호를 기초로 필드판별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필드판별회로를 설명하는 블럭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장치는 PLL회로부(80), 제1비교부(82), 제2비교부(84), 판단부(86)로 구성된다.
PLL(Phase-Locked Loop:위상동기루프)회로부(80)는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에 의해 투사되는 복합영상신호[예컨대, 합성동기신호(Csync)]로부터 수평동기신호(Hsync)와 수직동기신호(Vsync)를 분리해 내는 동기분리수단(도시 생략)에서 추출해 낸 수평동기신호(Hsync)를 이용하여 소정의 동작주파수(예컨대 12.38MHz)용 시스템 클럭을 발생시킨 후에 시스템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만들어 냄과 더불어 그 동작주파수의 위상에 로크되도록 상기 시스템클럭을 n분주한 신호(H-fb)를 필드판별용 카운트신호로서 출력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기PLL회로부(80)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자(SIGN-IN)로 입력되는 동기분리수단(도시 생략)으로부터의 수평동기신호(Hsync)에 대해 단자(COMP)로 입력되는 분주기(도시 생략)로부터의 피드백신호(H-fb)와의 위상차를 검출하여 그에 상응하는 오차신호(예컨대, 전압성분의 신호)를 단자(PC2)를 통해 저역필터(80A)로 인가하고, 그 저역필터(80A)에서는 상기 위상검출동작에서 생기는 고주파성분을 제거하여 단자(VCD-IN)로 인가하게 되며, 시정수소자(R1,R2,C1)에 의해 전압제어발진기(VCD:도시 생략)의 출력이 약 12.38MHz에 맞추어져서 단자(VCO-OUT)를 통해 시스템 클럭신호로서 출력되도록 되어 있다.
제1비교부(82)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PLL회로부(80)에서 출력되는 카운트신호(H-fb)를 클럭단지(1CLK)로 수취하고 동기분리수단(도시 생략)에서 제공되는 수직동기신호(Vsync)를 입력단자(1D)로 수취하여 그 두신호[즉, 카운트신호(H-fb)와 수직동기신호(Vsync)]를 상호 비교(예컨대, 클럭동기화)한 후 출력단자(1Q)를 통해 비교결과신호(V2)로서 출력하게 된다.
제2비교부(84)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PLL회로부(80)에서 출력되어 인버터(IV)를 통해 반전된 카운트신호(H-fb')를 클럭단자(2CLK)로 수취하고 동기분리수단에서 제공되는 수직동기신호(Vsync)를 입력단자(2D)로 수취하여 그 두신호[즉, 카운트신호(H-fb')와 수직동기신호(Vsync)]를 상호 비교(예컨대, 클럭동기화)한 후 출력단자(2Q)를 통해 비교결과신호(VI)로서 출력하게 된다.
판단부(86)는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비교부(82)로부터의 비교결과신호(V2)를 크럭단자(1CLK)로 수취하고 상기 제2비교부(84)로부터의 비교결과신호(VI)를 입력단자(1D)로 수취한 후 상호의 신호를 클럭동기화하여 기수필드 및 우수필드에 대한 필드판별신호(F-ID)를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비교부(82,84)와 상기 판단부(86)는 D플립플롭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필드판별회로의 동작에 대해 제8도의 타이밍 챠트를 기초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8도(a)에 있어서, 투사형태로 화면표시될 복합영상신호의 합성동기신호(Csync:(a)참조)가 프레임 단위로 입력되면 동기분리수단(도시 생략)에서는 그 합성동기신호(Csync)에 포함된 수평동기신호(Hsync)와 수직동기신호(Vsync)를 추출해 내게 되는 바, PLL회로부(80)는 상기 수평동기신호(Hsync:(b)참조)를 입력받음과 더불어 이전의 필드판별용 카운트신호(H-fb)를 피드백(Feedback)입력받아 내부회로동작에 따라 시스템 제어용 클럭신호(예컨대 12.38MHz)를 출력시킴과 더불어 그 시스템제어용 클럭신호를 n분주하여 그 시스템제어용 클럭신호에 위상로크된 새로운 필드판별용 카운트신호(H-fb:(c)참조)를 출력시키게 된다.
이어, 상기 PLL회로부(80)에서 출력되는 카운트신호(H-fb)는 제1비교부(82)의 클럭단자(1CLK)로 입력되고 그 제1비교부(82)의 입력단자(1D)에는 동기분리수단(도시 생략)에서 제공되는 수직동기신호(Vsync:(d)참조)가 입력되는 한편, 상기 PLL회로부(80)에서 출력되는 카운트신호(H-fb)는 인버터(IV)를 통해 반전된 후에 제2비교부(84)의 클럭단자(2CLK)로 입력되고 그 제2비교부(84)의 입력단자(2D)에는 동기분리수단에서 제공되는 수직동기신호(Vsync:(d)참조)가 입력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1비교부(82)에서는 입력된 수직동기신호(Vsync)를 클럭신호화된 상기 카운트신호(H-fb)에 동기시켜서 소정의 하이레벨폭을 지닌 비교결과신호(V2:(f)참조)로서 판단부(86)의 클럭단자(1CLK)로 인가하게 되고, 상기 제2비교부(84)에서는 입력된 수직동기신호(Vsync)를 클럭신호화된 카운트신호(H-fb')에 동기시켜서 소정의 하이레벨폭을 지닌 비교결과신호(VI:(e)참조)로서 판단부(86)의 입력단자(1D)로 인가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판단부(86)는 상기 제2비교부(84)로부터의 비교결과신호(VI)를 클럭신호화된 상기 제1비교부(82)로부터의 비교결과신호(V2)에 동기시킴으로써, 출력단자(1Q)를 통해 필드분할적인 로우레벨(또는 하이레벨)의 기수 필드판별신호 및 하이레벨(또는 로우레벨)의 우수필드판별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g)참조]
한편, NTSC방식의 경우 총주사선수에 대해 분리추출가능한 수직동기신호(Vsync)의 수는 262.5(525/2)이므로, 그 수직동기신호의 주기가 262.5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8도(A)의 타이밍 챠트를 기초로 설명한 동작과 다소 차이가 나게 되는 바, 그에 대한 설명은 제8도(b)의 타이밍 챠트를 기초로 기술한다.
일단, 투사형태로 화면표시될 복합영상신호의 합성동기신호(Csync:(a)참조)가 프레임단위로 입력되면 동기분리수단(도시 생략)에서는 그 합성동기신호(Csync:(a)참조)에 포함된 수평동기신호(Hsync)과 수직동기신호(Vsync)를 추출해 내게 된다.
그 수평동기신호(Hsync:(b)참조)는 PLL회로부(80)로 입력되고 그 PLL회로부(80)의 단자(COMP)에는 이전의 필드판별용 카운트신호(H-fb)가 피드백되어 입력되므로, 그 PLL회로부(80)내의 회로동작에 따라 시스템제어용 클럭신호 및 그 시스템제어용 클럭신호를 n분주하여 그 시스템 제어용 클럭신호를 위상로크된 새로운 필드판별용 카운트신호(H-fb:(c)참조)를 출력시키게 된다.
이어, 상기 PLL회로부(80)에서 출력되는 카운트신호(H-fb)는 제1비교부(82)의 클럭단자(1CLK)로 입력되고 그 제1비교부(82)의 입력단자(1D)에는 262.5주기에 해당하는 수직동기신호(Vsync:(d)참조)가 입력되는 한편, 상기 PLL회로부(80)에서 출력되는 카운트신호(H-fb)는 인버터(IV)를 통해 반전된 후에 제2비교부(84)의 클럭단자(2CLK)로 입력되고 그 제2비교부(84)의 입력단자(2D)에는 262.5주기에 해당하는 수직동기신호(Vsync:(d)참조)가 입력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1비교부(82)에서는 상기 262.5주기에 해당하는 수직동기신호(Vsync)를 클럭신호화된 상기 카운트신호(H-fb)에 동기시켜서 소정의 하이레벨폭을 지는 비교결과신호(V2:(f)참조)로서 판단부(86)의 클럭단자(1CLK)로 인가하게 되고, 상기 제2비교부(84)에서는 입력된 수직동기신호(Vsync)를 클럭신호화된 카운트신호(H-fb')에 동기시켜서 소정의 하이레벨폭을 지닌 비교결과신호(V1:(e)참조)로서 판단부(86)의 입력단자(1D)로 인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비교부(82)로부터의 비교결과신호(V2)는 상기 제2비교부(84)로부터의 비교결과신호(V1)의 위상보다 1/2H 정도 앞서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판단부(86)는 상기 제2비교부(84)로부터의 비교결과신호(V1)를 클럭신호화된 상기 제1비교부(82)로부터의 비교결과신호(V2)에 동기시킴으로써, 출력단자(1Q)를 통해 필드분할적인 하이레밸(또는 로우레벨)의 우수필드 및 로우레벨(또는 하이레벨)의 기수필드판별신호를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g)참조].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저항과 캐패시터를 이용하지 않고도 디지탈적인 필드판별용 카운트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원공급원의 변동에 따른 카운트신호의 영향이 없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이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에 적용된 경우를 예로써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 경우로 한정되지는 않고 CRT장치를 이용하는 직시형 화상표시장치 또는 LCD패널을 이용하는 화상표시장치에 대해서도 적절하게 적용가능하다.

Claims (1)

  1. 최소한 M X N의 화소에 대응하는 트랜지스터 어레이가 내재된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과, 그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상에서 상기 트랜지스터 어레이에 의해 구동되어 화상의 표시를 위한 광의 광로를 조절하는 다수의 액츄에이터를 갖춘 AMA패널을 채용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동기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수평동기신호를 기초로 시스템클럭을 발생시킴과 더불어 그 시스템클럭을 n분주하여 필드판별용 카운트신호로서 출력하는 PLL회로부(80)와, 상기 PLL회로부(80)에서 출력되는 카운트신호를 클럭신호로 해서 상기 동기분리수단으로부터의 수직동기신호를 비교하는 제1비교부(82), 인버터(IV)를 통해 반전된 상기 카운트신호를 클럭신호로 해서 상기 수직동기신호를 비교하는 제2비교부(84) 및, 상기 제1비교부(82)로부터의 신호를 클럭신호로 해서 상기 제2비교부(84)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소정의 필드판별신호를 출력하는 판단부(8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필드판별회로.
KR1019950023302A 1995-07-31 1995-07-31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필드판별회로 KR0156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3302A KR0156819B1 (ko) 1995-07-31 1995-07-31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필드판별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3302A KR0156819B1 (ko) 1995-07-31 1995-07-31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필드판별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328A KR970009328A (ko) 1997-02-24
KR0156819B1 true KR0156819B1 (ko) 1998-11-16

Family

ID=19422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3302A KR0156819B1 (ko) 1995-07-31 1995-07-31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필드판별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681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781B1 (ko) * 2008-09-10 2010-10-13 경원훼라이트공업 주식회사 압전 소자를 이용한 액츄에이터 및 액츄에이터 구동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7781B1 (ko) * 2008-09-10 2010-10-13 경원훼라이트공업 주식회사 압전 소자를 이용한 액츄에이터 및 액츄에이터 구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328A (ko) 1997-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44445A (en) Solid-state image pickup apparatus having a plurality of photoelectric transducers arranged in a matrix
EP0078045A1 (en) Synchronizing signal generating circuit for solid-state colour video camera
US561066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intaining synchronism between a picture signal and a matrix scanned array
JPH07104278A (ja) 光軸変換装置及びビデオプロジェクター
JPH08194207A (ja) 画像表示装置
KR0156819B1 (ko)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필드판별회로
EP0966153B1 (en) Video signal synchronizing apparatus
EP0464606B1 (en) Synchronisation between image pick-up devices for combining their image signals
KR0137592B1 (ko)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와 열방향 구동회로
US4745480A (en) Solid-state image pick-up device having an arrangement to avoid adverse effects on the waveform of picture elements signal by the read-out start pulse
JPS6038987A (ja) 電荷転送撮像装置
KR0137583B1 (ko)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화소구동신호생성장치(pixel drive signal processing apparatus for projector)
JPS5952589B2 (ja) タイミング信号発生装置
KR200147281Y1 (ko)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동기신호 극성판별회로
KR100192942B1 (ko) 다중동기 제어장치
JPH0514844A (ja) 液晶パネル駆動制御回路
KR100221478B1 (ko)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배속변환장치
SU1688455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писи информации на светочувствительный носитель
JP2841392B2 (ja) 映像信号回路
JPH0771214B2 (ja) テレビジヨンカメラ装置
KR100188221B1 (ko) 동기극성 변환회로
JP2877376B2 (ja) テレビカメラの同期回路
JP3302024B2 (ja) スタティクコンバーゼンス回路
JPH03163586A (ja) マトリクス表示装置の画素クロック信号の発生回路
JPH08331441A (ja) テレビジョンカメ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