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979Y1 - 스티어링 펌프 슬리트 고정 구조 - Google Patents

스티어링 펌프 슬리트 고정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979Y1
KR0136979Y1 KR2019960038657U KR19960038657U KR0136979Y1 KR 0136979 Y1 KR0136979 Y1 KR 0136979Y1 KR 2019960038657 U KR2019960038657 U KR 2019960038657U KR 19960038657 U KR19960038657 U KR 19960038657U KR 0136979 Y1 KR0136979 Y1 KR 01369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fixing
slit
slits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86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5822U (ko
Inventor
이영일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20199600386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6979Y1/ko
Publication of KR1998002582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82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9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9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62Details, component parts
    • B62D5/063Pump driven by vehicle eng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5Boun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종래의 스티어링 펌프 슬리트 고정 구조가 가이드 브라켓의 재질이 일반적으로 알류미늄으로 되어 있어 슬리트의 체결시 고정나사에 가해지는 토크를 이기지 못하고 가이드 브라켓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슬리트와 슬리트 아답터에 각각 고정 핀과 핀 홈을 형성하여 고정 나사 체결시 고정 핀이 슬리트를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고정 나사의 체결시 고정 핀이 슬리트의 회전을 방지되므로 분해 조립시 작업 시간이 줄어들어 작업 편의성이 좋아지고, 슬리트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브라켓이 필요 없게 되므로 원가가 절감되고 가이드 브라켓의 변형으로 인한 오일 누설이 방지되는 스티어링 펌프 슬리트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티어링 펌프 슬리트 고정 구조
제1도는 동력 조향(Power Steering)의 원리가 도시된 구성도.
제2도는 종래의 스티어링 펌프 슬리트 고정 구조가 도시된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스티어링 펌프 슬리트 고정 구조가 도시된 도면으로서, (a)는 스티어링 펌프 슬리트 고정 구조의 사시도, (b)는 스티어링 펌프 슬리트의 분해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펌프 풀리 52 : 오일 유입 호스
53 : 오일 유출 호스 54 : 슬리트 아답터
55 : 오일 펌프 56 : 슬리트
57 : 고정 나사 58 : 고정 핀
59 : 핀 홈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동력 조향(Power Steering)에서 사용되는 스티어링 펌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슬리트의 고정시 슬리트가 고정 나사와 더불어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 핀과 핀 홈이 형성되어 분해 조립시 작업 편의성이 향상되는 스티어링 펌프 슬리트 고정 구조에 관한 것이다.
대형 자동차나 저압 타이어를 사용한 경우에는 앞바퀴의 접지 저항이 증대하므로, 조향 휠의 조작력이 커지며 신속한 조향 조작을 할 수 없게 된다. 특히, 정지 상태에서 조향을 할 경우에는 앞바퀴의 접지 저항이 대단히 커지므로 조향 조작이 매우 어려워진다. 이와 같은 경우에 가볍고 신속한 조향 조작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동력 조향이 사용되고 있다.
동력 조향은 조향 장치의 도중에 배력 장치를 설치하여 조향 휠의 조작력을 그의 배력 작용에 의해 경감시키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엔진이 오일 펌프를 구동하여 발생한 유압의 유로를 제어함으로써 작동이 가능하다.
동력 조향 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이 저장된 오일 탱크(11)와, 엔진에 의해 구동되어 유압을 발생시키는 오일 펌프(12)와, 핸들(21) 하부의 조향 칼럼(22)에 의해 회전되는 피트먼 암(13)과, 상기 피트먼 암(13)에 의해 좌우 이동되는 밸브 스풀(14)과, 내부에 상기 밸브 스풀(14)이 위치되어 파워 실린더(16)로 보내는 오일 유로를 조절하는 컨트롤 밸브실(15)과, 파워 실린더(16)내에 위치되고 프레임(20)에 고정되어 유압에 따라 파워 실린더(16)를 좌우 이동시키는 피스톤(17)과, 상기 파워 실린더(16)에 고정되어 바퀴(19)를 선회시키는 타이 로드(18)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동력 조향 장치는 상기 오일 펌프(12)가 유압을 발생시키면 밸브 스풀(14)이 이동되면서 유로를 변경하여 오일을 파워 실린더(16)로 보내게 되고, 파워 실린더(16)가 유압에 의해 이동되면서 타이 로드(18)가 바퀴(19)를 선회시키게 된다.
상기 오일 펌프(12)가 유압을 발생시키면 오일은 컨트롤 밸브실(15)및 파워 실린더(16)를 통과하여 오일 탱크(11)로 리턴하게 된다. 운전자가 핸들(21)을 조작하면 피트먼 암(13)이 회전하면서 상기 밸브 스풀(14)을 이동시키게 되고, 따라서 컨트롤 밸브실(15)에서의 오일 유로가 변경되게 된다.
컨트롤 밸브실(15)의 오일이 파워 실린더(16)로 공급되면 피스톤(17)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파워 실린더(16) 자체가 유압에 의해 이동된다. 파워 실린더(16)가 이동함에 따라 타이 로드(18) 역시 이동하면서 바퀴(19)를 선회시키게 된다.
이때, 오일 펌프(12)는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펌프 풀리에 의해 작동되고 그 고정 구조는 다음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다.
종래의 스티어링 펌프 슬리트 고정 구조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에 의해 회전되는 펌프 풀리(31)와, 오일 탱크(미 도시)의 오일이 유입되는 오일 유입 호스(32)와, 컨트롤 밸브실(미 도시)로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유출 호스(33)와, 내부에 오일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오일 유입 호스(32)와 오일 펌프(35)를 연결하는 슬리트 아답터(34)와, 역시 내부에 오일 유로가 형성되고 슬리트 아답터(34)의 상측에 위치되며 오일 펌프(35)와 오일 유출 호스(33)를 연결하는 슬리트(36)와, 상기 슬리트(36)와 슬리트 아답터(34)를 결합시키는 고정 나사(37)와, 상기 슬리트 아답터(34)에 고정되어 고정 나사(37)로 슬리트(36)를 체결할 때 슬리트(36)의 회전을 방지하는 가이드 브라켓(38)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브라켓(38)의 끝단에는 슬리트(36)의 홈부에 삽입되어 고정 나사(37)의 체결시 슬리트(36)의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38')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티어링 펌프 슬리트 고정 구조는 슬리트 아답터(34)와 슬리트(36)가 고정 나사(37)에 의해 동시에 체결되도록 되어 있고, 가이드 브라켓(38)은 스토퍼(38')로 하여금 고정 나사(37)의 체결시 슬리트(36)가 회전되는 것을 막도록 하고 있다.
엔진과 연결된 펌프 풀리(31)가 회전하게 되면 오일은 슬리트 아답터(34)를 통해 오일 펌프(35)에 공급되고 오일 펌프(35)에서 가압된 오일은 슬리트(36)를 통해 오일 유출 호스(33)로 토출되어 컨트롤 밸브실(미 도시)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스티어링 펌프 슬리트 고정 구조는 상기 가이드 브라켓(38)의 재질이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으로 되어 있어 슬리트(36)의 체결시 고정 나사(37)에 가해지는 토크를 이기지 못하고 가이드 브라켓(38)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가이드 브라켓(38)이 파손되면 슬리트(36) 역시 고정 나사(37)와 동시에 회전하게 되므로 정확한 체결이 곤란하고, 둘 사이가 정확히 체결되지 않으면 오일이 누설되어 유압이 감소된다. 오일 누설로 유압이 감소되면 동력 조향이 불가능해지고, 따라서 조향 작동이 불분명해져 사고의 위험이 커지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슬리트 아답터와 슬리트에 고정 핀과 핀 홈을 형성하여 고정 핀이 슬리트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분해·조립이 용이하고 원가가 절감되는 스티어링 펌프 슬리트 고정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행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오일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오일 유입 호스와 오일 펌프를 연결하는 슬리트 아답터와, 역시 내부에 오일 유로가 형성되고 슬리트 아답터의 상측에 위치되며 오일 펌프와 오일 유출 호스를 연결하는 슬리트와, 상기 슬리트와 슬리트 아답터를 결합시키는 고정 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티어링 펌프 슬리트 고정 구조에 있어서, 슬리트와 슬리트 아답터에 각각 고정 핀과 핀 홈을 형성하여 고정 나사 체결시 고정 핀이 슬리트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스티어링 펌프 슬리트 고정 구조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진에 의해 회전되는 펌프 풀리(51)와, 오일 탱크의 오일이 유입되는 오일 유입 호스(52)와, 컨트롤 밸브실(미 도시)로 오일을 공급하는 오일 유출 호스(53)와, 내부에 오일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오일 유입 호스(52)와 오일 펌프(55)를 연결하는 슬리트 아답터(54)와, 역시 내부에 오일 유로가 형성되고 슬리트 아답터(54)의 상측에 위치되며 오일 펌프(55)와 오일 유출 호스(53)를 연결하는 슬리트(56)와, 상기 슬리트(56)와 슬리트 아답터(54)를 결합시키는 고정 나사(57)와, 상기 슬리트 아답터(54)에 형성된 고정 핀(58)과, 상기 슬리트(56)에 형성되고 고정 핀(58)이 삽입되는 핀 홈(59)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엔진과 연결된 펌프 풀리(51)가 회전하게 되면 오일은 슬리트 아답터(54)를 통해 오일 펌프(55)에 공급되고 오일 펌프(55)에서 가압된 오일은 슬리트(56)를 통해 오일 유출 호스(53)로 토출되어 컨트롤 밸브실(미 도시)로 공급된다. 컨트롤 밸브실(미 도시)에 공급된 오일은 유압 회로를 따라 이동하면서 타이 로드를 작동시켜 차량의 조향 조작을 하게 된다.
일단 슬리트 아답터(54)의 고정 핀(58)을 슬리트(56)의 핀 홈(59)에 삽입시키고 고정 나사(57)를 회전시키면 슬리트(56)는 고정 핀(58)에 고정되어 회전하지 않으므로 고정 나사(57)만이 강력하게 회전되어 슬리트(56)를 슬리트 아답터(54)와 체결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스티어링 펌프 슬리트 고정 구조는 고정 나사의 체결시 고정 핀이 슬리트의 회전을 방지하므로 분해 조립시 작업 시간이 줄어들어 작업 편의성이 좋아지는 잇점이 있다.
또한, 슬리트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가이드 브라켓이 필요 없게 되므로 원가가 절감되고 가이드 브라켓의 변형으로 인한 오일 누설이 방지되는 다른 잇점이 있다.

Claims (2)

  1. 내부에 오일 유로가 형성되어 있고 오일 유입 호스와 오일 펌프를 연결하는 슬리트 아답터와, 역시 내부에 오일 유로가 형성되고 슬리트 아답터의 상측에 위치되며 오일 펌프와 오일 유출 호스를 연결하는 슬리트와, 상기 슬리트와 슬리트 아답터를 결합시키는 고정 나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스티어링 펌프 슬리트 고정 구조에 있어서, 슬리트와 슬리트 아답터에 각각 고정 핀과 핀 홈을 형성하여 고정 나사 체결시 고정 핀이 슬리트를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펌프 슬리트 고정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핀은 슬리트 아답터에 설치되고, 핀 홈은 슬리트에 설치되어, 고정 핀이 슬리트의 핀 홈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티어링 펌프 슬리트 고정 구조.
KR2019960038657U 1996-11-06 1996-11-06 스티어링 펌프 슬리트 고정 구조 KR01369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8657U KR0136979Y1 (ko) 1996-11-06 1996-11-06 스티어링 펌프 슬리트 고정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8657U KR0136979Y1 (ko) 1996-11-06 1996-11-06 스티어링 펌프 슬리트 고정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822U KR19980025822U (ko) 1998-08-05
KR0136979Y1 true KR0136979Y1 (ko) 1999-03-20

Family

ID=19472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8657U KR0136979Y1 (ko) 1996-11-06 1996-11-06 스티어링 펌프 슬리트 고정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697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822U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05276A (en) Poer steering system with minimum pressure maintained within the power steering motor
US6468044B1 (en) Variable displacement pump
KR0136979Y1 (ko) 스티어링 펌프 슬리트 고정 구조
SU833151A3 (ru) Гидравлическое рулевое управление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KR100230051B1 (ko) 자동 조향장치
JP3312995B2 (ja) コンクリートミキサ車のドラム駆動回路
KR100188415B1 (ko) 파워 스티어링의 유압 제어밸브
JPH11245831A (ja) 油圧式動力舵取装置
KR100221581B1 (ko) 자동차 유압식 동력조향장치의 보조유압장치
EP4159590B1 (en) Hydraulic steering arrangement
KR0128520Y1 (ko) 휠타입 중장비의 비상 조향장치
KR200187365Y1 (ko) 동력조향장치용 고압호스의 지지구조
KR100378302B1 (ko) 차량용조향장치
JP3905669B2 (ja) 動力舵取装置
KR0175749B1 (ko) 동력절감형 베인펌프
KR100231178B1 (ko) 자동차의 파워 스티어링 노이즈 저감장치
KR19980044936U (ko) 고속주행시 조향력이 상승되는 동력조향장치
KR200202991Y1 (ko) 동력조향장치의 오일저장탱크내 소용돌이 방지구조
KR100218181B1 (ko) 파워 스티어링의 과부압 방지구조를 갖는 동력 실린더
JP2564393Y2 (ja) クローラ車両の駆動油圧回路
KR19990056646A (ko) 동력조향장치의 작동실린더구조
KR0133250B1 (ko) 파워 스티어링 유로응용의 차량도난방지장치
KR0132364B1 (ko) 자동차의 파워스티어링 장치
KR100248884B1 (ko) 조향장치와 연동되는 아웃사이드 리어뷰 미러
KR19980045425U (ko) 파워 스티어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