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976B1 - 무정류자모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정류자모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976B1
KR0136976B1 KR1019940019125A KR19940019125A KR0136976B1 KR 0136976 B1 KR0136976 B1 KR 0136976B1 KR 1019940019125 A KR1019940019125 A KR 1019940019125A KR 19940019125 A KR19940019125 A KR 19940019125A KR 0136976 B1 KR0136976 B1 KR 0136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tator motor
delay time
rotor
puls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9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2028A (ko
Inventor
유한주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19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6976B1/ko
Publication of KR9500220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20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9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a single m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7/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 H02P7/06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14Electronic commutators
    • H02P6/15Controlling commutation time
    • H02P6/153Controlling commutation time wherein the commutation is advanced from position signals phase in function of the spe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7/00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 H02P7/06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 H02P7/18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 H02P7/24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 H02P7/28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H02P7/282Arrangement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electric DC motors for regulating or controlling an individual dc dynamo-electric motor by varying field or armature current by master control with auxiliary power using discharge tubes or semiconductor devi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controlling field supply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정류자모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무정류모터의 구동시 적어도 어느하나의 권선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큰 토크를 유지하도록 한 무정류자모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무정류자모터의 원전제어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회전자위치검출부와 회전수설정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무정류자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펄스신호들을 출력하되, 상기 펄스신호들은 RPM을 조정하기위한 소정의 딜레이시간이 상기 무정류자모터의 어느하나의 상권선에 흐르는 전류가 차단되기 전에 다른 하나의 상권선에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시간을 갖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정류자모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제1도는 종래의 무정류자모터의 운전제어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제2도는 상기 제1도의 주요부분에서의 출력파형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류자모터의 운전제어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제4도는 상기 제3도의 주요부분에서의 출력파형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류자모터의 운전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회전자위치검출부120:회전수설정부
130:마이크로프로세서140:스위칭회로부
150:무정류자모터
본 발명은 무정류자모터의 운전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정류자모터의 구동시 적어도 하나이상의 권선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여 큰 토크를 유지하도록 한 무정류자모터의 운전제어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류모터는 교류모터에 비하여 소형이면서도 효율이 좋으며, 연속적인 가변속운전이 가능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상기 직류모터는 회전자로 직류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 스위칭수단으로서 브러쉬를 사용하는데, 브러쉬를 사용하는 경우 기계적인 접촉에 의해 마찰손실 등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발생되었다.
이에 따라 상기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상기 기계적 스위치수단을 전자적인 스위칭수단으로 대체한 무정류자모터가 개발되었고, 이는 냉장고나 공기조화기등의 각종 제품에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다.
제1도는 종래의 무정류자모터의 운전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보인 블록도로서, 2상의 전기자권선을 가지는 무정류자모터의 운전제어장치가 예시되어 있다.
상기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무정류자모터의 운전제어장치는, 무정류모터(70)의 회전자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회전자위치검출부(10)와, 상기 회전자위치검출부(10)로 부터의 펄스신호를 분주하는 분주회로부(20)와, 상기 분주회로부(20)로 부터의 펄스신호를 이용하여 소정의 위상차를 가지는 n개의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제1펄스분배회로부(30)와, 상기 회전자위치검출부(10)로 부터의 펄스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무정류자모터(70)의 회전수를 조정하기 위한 펄스신호들을 발생시키는 회전수설정부(50)와, 상기 제1펄스분배회로부(30)로 부터의 펄스신호들을 이용하여 소정의 위상차를 가지는 2n개의 펄스신호들을 발생하고, 이 신호들과 회전수설정부(50)로 부터의 신호들에 의거하여 상기 무정류자모터(70)의 각 상권선의 통전시간을 결정하는 제2펄스분배회로부(40)와, 상기 제2펄스분배회로부(4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동작하여 상기 무정류자모터(70)를 구동하는 스위칭회로부(60)로 구성되어진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무정류모터(70)의 회전자의 각 극, 예를들어 N극과 S극에는 2진코드로 1 또는 0에 해당하는 마크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에서 회전자위치검출부(10)는 홀센서로 양호하게 구현되며, 분주회로부(20)는 플립플롭을 사용하게 양호하게 구현할 수 있다.
제2도는 상기 제1도에 도시한 장치의 주요부분에 있어서의 출력파형도이다.
상기 제2도에서 A는 상기 무정류자모터(70)가 저속으로 회전할 경우에 대한 파형도이고, B'는 상기 무정류자모터(70)가 고속으로 회전할 경우에 대한 펴형도이다.
그러나, 편의상 동일한 펄스폭을 가지는 것으로 도시하였다.
우선, 상기 제2도(a)는 상기 무정류자모터(70)의 회전자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회전자위치검출부(10)가 검출한 펄스의 파형이다.
상기 펄스는 분주회로부(20)와 회전수설정부(50)에 입력된다.
상기 분주회로부(20)는 상기 파형을 2분주하여 제2도(b)에 도시된 바와같은 펄스를 출력한다.
상기 펄스는 제1펄스분배회로부(30)에 입력된다.
상기 제1펄스분배회로부(30)는 상기 펄스를 이용하여 소정의 위상차를 가지는 펄스를 발생한다.
상기 펄스는 제2도(c)에 도시된 바와같다.
상기 제1펄스분배회로부(30)는 상기 펄스와 제2도(b)에 도시된 바와같은 펄스를 출력한다.
상기 펄스들은 제2펄스분배회로부(40)에 입력된다.
상기 제2펄스분배회로부(40)는 상기 펄스들을 이용하여 소정의 위상차를 가지는 펄스를 발생한다.
상기 펄스들은 각각 제2도(d) 및 (e)에 도시된 바와같다.
한편, 회전수설정부(50)는 상기 회전자위치검출부(10)에서 출력되는 제2도(a)와 같은 펄스를 입력받아 상기 무정류자모터의 속도를 조정하기 위한 2개의 펄스를 출력한다.
즉, 상기 제2도(a)와 같은 펄스의 하강엣지에서 하강하고, 소정시간(t1)이 경과한 후 상승하여 소정시간(T1) 동안 하이레벨을 유지하는 제2도(f)에 도시된 바와같은 펄스와, 상기 제2도(a)과 같은 펄스의 상승엣지에서 하강하고, 소정시간(t1)이 경과한 후 상승하여 소정시간(T1) 동안 하이레벨을 유지하는 제2도(g)에 도시된 바와같은 펄스를 발생한다.
상기 회전수설정부(50)에서 발생한 펄스는 상기 제2펄스분배회로부(40)에서 입력된다.
상기 제2펄스분배회로부(40)는 상기 회전수설정부(50)에서 발생된 펄스들과 상기 제2도(b)-(e)에 도시된 바와같은 펄스를 논리곱하여 출력한다.
즉 상기 제2도(b)와 (f),(c)와 (f),(b)와 (g),(c)와 (g)를 논리곱하여 제2도(h),(i),(j),(k)와 같은 펄스들을 출력한다.
상기 펄스들을 상기 스위칭회로부(60)에 입력된다.
상기 스위칭회로부(60)는 통상적으로 트랜지스터들(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되며, 상기 제2도(h),(i),(j),(k)와 같은 펄스들의 하이레벨에서 상기 트랜지스터들이 동작되며, 상기 무정류자모터(70)의 상권선에는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상기 무정류자모터(70)가 구동을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무정류자모터(70)의 회전속도는 상기 회전수설정부(50)에서 출력되는 제2도(f)와 (g)에서 로우레벨 또는 하이레빌의 시간(t1)(t2) 또는 (T1)(T2)을 변화시키는 것에 의해 가능케 한다.
그러나, 상기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무정류자모터의 운전제어장치에서는 제2도의늬 B와 같이 상기 무정류자모터(70)의 회전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적어도 어느하나의 권선에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문제가 없지만, 제2도의 A와 같이 회전속도가 느린 경우에는 권선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부분이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무정류자모터(70)의 회전자는 권선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부분에서 관성에 의해 회전을 하여야 되므로 토크가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무정류자모터의 구동시 적어도 어느하나의 권선이 통전되어 큰 토크를 갖도록 한 무정류자모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정류자모터의 운전제어장치는, 무정류자모터의 회전자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회전자위치검출부와, 상기 무정류자모터의 회전수를 조정하기 위한 회전수설정부와, 상기 회전자위치검출부와 회전수설정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무정류자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펄스신호들을 출력하되, 상기 펄스신호들을 RPM을 조정하기 위한 소정의 딜레이시간을 갖으며, 상기 딜레이시간은 상기 무정류자모터의 어느하나의 상권선에 흐르는 전류가 차단되기 전에 다른하나의 상권선에 전류가 흐를수 있는 시간을 갖도록 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들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무정류자모터의 상권선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거나 차단시켜 상기 무정류자모터가 구동되도록 하는 스위칭회로부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무정류자모터의 운전제어방법은, 상기 무정류자모터의 구동여부를 판단하여 초기구동상태이면 회전자의 위치에 따라 소정의 초기구동신호를 출력하여 무정류자모터를 구동시키는 제1단계와, 상기 무정류자모터가 구동을 하면 RPM을 조정하기 위한 딜레이시간을 갖는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무정류자모터를 구동시키는 제2단계과,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상기 무정류자모터의 어느하나의 상권선에 흐른 전류가 차단되기 전에 다른 하나의 상권선에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딜레이시간을 조절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정류자모터의 운전제어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무정류자모터의 운전제어장치는, 무정류자모터(150)의 회전자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회전자위치검출부(110)와, 상기 무정류자모터(150)의 회전수(RPM)를 조정하기 위한 회전수설정부(120)와, 상기 회전자위치검출부(110)와, 회전수설정부(120)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무정류자모터(150)를 구동시키기 위한 펄스신호들을 출력하되, 상기 펄스신호들을 RPM을 조정하기 위한 소정의 딜레이시간을 갖으며, 상기 딜레이시간은 상기 무정류자모터(150)의 어느하나의 상권선에 흐르는 전류가 차단되기 전에 다른 하나의 상권선에 전류가 흐를수 있는 시간을 갖도록 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130)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0)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들에 의해 동작되어 상기 무정류자모터(150)의 상권선에 전류가 흐르도록 하거나 차단시켜 상기 무정류자모터(150)을 구동하는 스위칭회로부(14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무정류자모터(150)는 2상의 전기자권선을 구비한 것으로 예시하고 있는데, 이에 따라 각각의 상권선에는 쌍으로 된 트랜지스터(도시되지 않음)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무정류자모터(150)의 회전자에는 전술한 바와같이 각 극에 대응되는 마크가 부착되는데, 상기한 마크를 판독하는 것에 의해 회전자의 각 극의 현재의 위치를 알 수 있게 된다.
상기 회전수설정부(120)는 장치의 외부에서 상기 무정류자모텨(150)의 회전수를 설정하기 위하여 필요한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0)에서 각종 변수들에 의거하여 회전수를 자체적으로 산출할 수도 있다.
따라서 상기 제3도에서 상기 무정류자모터(150)가 회전을 하면, 상기 회전자위치검출부(110)는 제4도(a)에 도시된 바와같은 펄스의 파형을 초래한다.
상기 펄스는 마이크로프로세서(130)에 입력된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0)는 상기 회전자위치검출부(110)로 부터 출력되는 펄스신호에 따라 상기 무정류자모터(150)의 회전상태를 감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무정류자모터(150)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즉 상기 제4도(a)에 도시된 바와같은 파형이 입력되면, 이를 연산하여 제4도(b)(c)(d)(e)와 같이 소정의 위상차를 갖느 펄스들을 발생하여 상기 스위칭회로부(140)에 출력되게 된다.
이때 소정의 위상차를 갖는 상기 펄스들은 상기 회전수설정부(120)에 의하여 조정된 RPM이 유지되도록 A만큼의 딜레이시간을 갖는 파형들이다.
여기서, 상기 딜레이시간(A)은 상기 회전자위치검출부(110)에서 출력되는 파형의 하이 또는 로우의 한 구간(X또는 Y구간)보다 짧게 설정하여야 한다. 만일 상기 딜레이시간(A)이 상기 회전자위치검출부(110)에서 출력되는 파형의 하이 또는 로우의 한 구간보다 길게 설정되면,상기 무정류자모터(150)는 소정각도 (약 90°)를 회전한 후 나머지는 관성에 의해서 회전하게 되므로 그만큼의 토크가 줄어들게 된다.
즉, 상기 무정류자모터(150)의 어느하나의 전기자권선에 전류가 흐르지 않는 순간부터 다른 전기자권선에 전류가 흐르는 순간까지의 사이에 시간차가 발생하므로 이 사이에는 회전자가 관성에 의해 회전을 하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딜렝시간(A)이 길게 설정되었다면 이를 조금씩 짧게 재설정하면서 적어도 어느하나의 전기자권선이 연장될 수 있는 파형을 발생하도록 한다.
상기 스위칭회로부(140)는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0)에서 출력받은 제4도(b)-(e)에 도시된 바와같은 펄스에 따라 동작하여 상기 무정류자모터(150)를 구동시킨다.
이하에서는 제5도에 도시된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무정류자모터의 운전제어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계(S10)에서는 상기 무정류자모터(150)가 운전을 하여야할 조건인가를 판단한다.
예를들어 상기 무정류자모터(150)가 냉장고의 압축기에 적용되는 경우이며나, 냉장고내의 온도가 올라가서 압축기를 운전하여야 하는 상태인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단계(S10)에서 상기 무정류자모터(150)를 운전하여야 할 조건이 아닌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무정류자모터(150)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초기구동모드로 변경한다.
상기에서 운전하여야 할 조건으로 판단되면, 단계(S20)에서 상기 무정류자모터(150)가 초기구동상태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 단계(S20)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무정류자모터(150)가 초기구동상태가 아니면, 구동모드가 연속모드인 것으로 판단하여 단계(S80) 이후의 동작을 수행한다. 만일 상기 단계(S20)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무정류자모터(150)가 초기구동상태에 있으면, 단계(S30)에서 회전자위치검출부(110)에 의하여 회전자의 위치(극의 종류)를 판단한다.
즉, 상기 단계(S30)에서는 회전자위치검출부(110)로 부터의 출력펄스(Pr)가 소정의 레벨(본원에서는 하이레벨)을 유지하고 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단계(S30) 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회전자위치검출부(110)로 부터의 출력펄스(Pr)가 하이레벨이면 현재의 회전자의 극이 N극 또는 S극(본원에서는 N극)이라고 판단하고 단계(S40)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S40)에서는 대응되는 위치의 전기자권선이 S극 또는 N극(본원에서는 S극)으로 여자될 수 있도록 소정의 병렬펄스세트(Np)를 출력한다.
예를들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0)의 출력포트(P1-P4)에 1001로 되는 펄스들을 병렬로 출력하게 된다.
만일 상기 단계(S30)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회전자위치검출부(110)로 부터의 출력펄스(Pr)가 로우레벨이면 현재의 회전자의 극기 S극이라고 판단한 후 단계(S50)로 진행하여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0)에 미리 저장된 소정의 병렬펄스세트(Np)를 출력한다.
예를들어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0)의 츨력포트(P1-P4)에 1001로 되는 펼스들을 병렬로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0)에는 상기 무정류자모터(150)의 회전자가 순차적으로 일정각도의 회전할 수 있도록 전기자권선에 교번자계를 형성시키는 병렬펄스세트(Np)가 저장되어 있다.
예를 들러 제1펄스세트로 1001, 제2펄스세트로 101, 제3펄스세트로 110, 제4펄스세트로 1010이 미리 저장되어 있다.
한편, 상기에서 출력된 펄스들은 스위칭회로부(140)에 입력되고, 상기 스위칭회로부(140)는 상기 펄스들에 의해 동작을 하여 상기 무정류자모터(150)를 구동하게 된다.
단계(S60)에서는 상기한 단계(S40 또는 S50)의 실행에 의하여 회전자가 회전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즉, 상기 회전자위치검출부(110)로 부터 출력되는 제4도(a)와 같은 펄스(Pr)의 상태에 변화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함에 의해 회전자가 회전하였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상기의 판단결과 회전작 회전하기 않은 경우에는 상기 회전자위치검출부(110)로 부터 출력되는 펄스(Pr)의 상태가 변화되지 않은 경우로서 다시 단계(S30)로 진행하여 재구동을 시도하게 된다.
상기 단계(S60)에서 펄스(Pr)의 상태에 변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무정류자모터(150)가 구동을 개시한 것이므로 단계(S70)에서 상기 무정류자모터(150)의 동작모드를 연속모드로 변경한 후 단계(S80)를 수행한다.
상기 단계(S80)에서는 상기 무정류자모터(150)의 RPM을 조정하기 위한 딜레이시간(A)이 경과하였는지를 판단하다.
즉,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0)에서는 회전수설정부(120)에서 설정된 회전수(또는 강, 중, 약)를 입력받아 상기 무정류자모터(150)의 각 상권선이 통전될 시간을 산출하며, 이에 따라 딜레이시간(A)이 결정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딜레이시간(A)이 경과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단계(S90)에서 펄스(Pr)의 상태가 변화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즉, 제3도에서 X구간 동안에는 병렬펄스세트 1001가 출력되는데, 제4도(e)에 도시된 바와같은 펄스는 상기 무정류자모터(150)의 회전수에 따라 설정되는 소정의 딜레이시간(A)을 갖고 출력되고, 상기 딜레이시간(A)이 경과되기 전에 제4도(a)에 도시된 바와같은 펄스신호(Pr)의 상태가 변화하였는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단계(S80, S90)의 수행중 딜레이시간(A)이 경과되기 전에 제4도(a)에 도시된 바와같은 펄스(Pr)의 상태가 변화되면 단계(S100)에서 딜레이시간(A)을 감소시킨다.
즉, 상기 지연시간(A)이 경과되기 전에 펄스(Pr)의 상태에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무정류자모터(150)의 어느하나의 권선에도 전류가 흐르지 않고 있다는 것으로서, 이때에는 상기 무정류자모터(150)가 관성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상기 지연시가(A)을 소정의 시간단위, 예를들러 1msec를 감소시킨후 상기 단계(S80)를 수행한다.
만일 상기 단계(S80, S90)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지연시간(A)이 경과하도록 제4도(a)에 도시된 바와같이 펄스(Pr)의 상태에 변화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 무정류자모터(150)가 동작중에는 적어도 어느하나의 권선에 전류가 흐르고 있다는 것이다.
이 경우에 단계(S110-S130)에서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30)에 미리 저장된 각각의 펄스조합세트(Np)를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상기 무정류자모터(150)를 회전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제4도에서 Y구간 동안에는 병렬펄스세트 101이 출력되는데, 제4도(c)에 도시된 바와같은 펄스는 상기 무정류자모터(150)의 회전수에 따라 설정되는 소정의 딜레이시간(A)을 갖고 출력되고, 상기 딜레이시간(A)이 경과되기 전에 제4도(a)에 도시된 펄스신호(Pr)의 상태가 변화되지 않도록 상기 딜레이시간(A)을 감소시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무정류자모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은, 상기 무정류자모터가 동작할때 적어도 어느하나의 권선에 전류가 흐르므로 회전토크가 증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발명의 더욱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혀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분명히 실시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설명에서는 2상권을 가지는 무정류자모터에 대하여만 설명하였으나 3상 또는 그 이상의 권선을 가지는 무정류자모터에 대하여도 본 발명의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5)

  1. 무정류자모터의 회전자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회전자위치검출부와, 상기 무정류자모터의 회전수를 조정하기 위한 회전수설정부와, 상기 회전자위치검출부 및 상기 회전수설정부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따라 상기 무정류자모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펄스신호들을 출력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출력되는 펄스신호에 의해 상기 무정류자모터의 상권선에 흐르는 전류를 스위칭하여 상기 무정류자모터가 구동되도록 하는 스위칭회로부로 구성되고,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는 출력되는 펄스신호들은 회전자의 회전수를 조정하기 위한 소정의 딜레이사간을 갖고, 상기 딜레이시간을 상기 무정류자모터의 어느 하나의 상권선에 흐르는 전류가 차단되기 전에 다른 하나의 상권선에 정류가 흐를 수 있는 시간을 갖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류자모터의 운전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딜레이시간은 상기 무정류자모터의 회전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파형의 반주기이내로 설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류자모터의 운전제어장치.
  3. 상기 무정류자모터의 구동여부를 판단하여 초기구동상태이면 회전자의 위치에 따라 소정의 초기구동신호를 출력하여 무정류자모터를 구동시키는 제1단계와, 상기 초기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무정류자모터가 구동을 하면 회전자의 회전수를 조정하기 위한 딜레이시간을 갖는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무정류자모터를 구동시키는 제2단계와, 상기 딜레이 시간을 갖는 상기 구동신호에 의해 동작하는 상기 무정류자모터의 어느 하나의 상권선에 흐르는 전류가 차단되기 전에 다른 하나의 상권선에 전류가 흐르 수 있도록 딜레이 시간을 조절하는 제3단계로 이루어진 무정류자모터의 운전제어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딜레이 시간은 상기 무정류자모터의 회전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파형의 반주기 이내로 설정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류자모터의 운전제어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상기 무정류자모터의 회전수르 조정하기 위한 딜레이시간이 경과하였는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딜레이시간 경과 판단단계에서 상기 딜레이사간이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무정류자모터의 회전자가 회전함에 따라 발생하는 펄스의 상태가 변화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들이 수행중 상기 딜레이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상기 회전자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펄스의 상태가 변화되면 상기 딜레이사간을 감소시키는 단계와, 상기에서 딜레이시간이 경과되기 전에 상기 회전자의 회전에 의해 발생하는 펄스의 상태가 변화되지 않았으면 미리 설정된 펄스조합세트를 순차적으로 출력하여 상기 무정류자모터를 회전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류자모터의 운전제어방법.
KR1019940019125A 1993-12-08 1994-08-02 무정류자모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KR0136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9125A KR0136976B1 (ko) 1993-12-08 1994-08-02 무정류자모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30026913 1993-12-08
KR93-26913 1993-12-08
KR1019940019125A KR0136976B1 (ko) 1993-12-08 1994-08-02 무정류자모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028A KR950022028A (ko) 1995-07-26
KR0136976B1 true KR0136976B1 (ko) 1998-06-15

Family

ID=19370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9125A KR0136976B1 (ko) 1993-12-08 1994-08-02 무정류자모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532559A (ko)
JP (1) JPH07194168A (ko)
KR (1) KR01369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14578A (en) * 1996-12-19 1999-06-22 Rakov; Mikhail A. Method and systems for electrical drive control
DE19725521A1 (de) * 1997-06-17 1998-12-24 Bosch Gmbh Robert Elektronisch kommutierter Moto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93182B1 (de) * 1982-04-29 1986-09-10 Ibm Deutschland Gmbh Verfahren und Anordnung zur Konstantdrehzahlregelung von bürstenlosen Gleichstrommotoren
KR840001387B1 (ko) * 1982-11-22 1984-09-21 정영춘 무정류자 모우터
JPH0652997B2 (ja) * 1986-01-21 1994-07-06 三洋電機株式会社 ブラシレスモ−タ駆動制御装置
US4720663A (en) * 1986-03-31 1988-01-19 United Technologies Electro Systems, Inc. Brushless motor speed control
JP2875529B2 (ja) * 1987-10-31 1999-03-31 ソニー株式会社 センサレスブラシレスモータの駆動装置
US4897583A (en) * 1989-03-07 1990-01-30 Sundstrand Corporation Variable speed variable torque brushless DC motor
BR8901539A (pt) * 1989-03-27 1990-10-30 Brasil Compressores Sa Processo e circuito eletronico para controle de motor de corrente continua sem escovas
KR940001917B1 (ko) * 1990-08-28 1994-03-11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센서레스 스핀들 모터 제어 장치
US5221881A (en) * 1991-10-03 1993-06-22 Sgs-Thomson Micro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polyphase DC motors
US5233275A (en) * 1991-11-01 1993-08-03 Micropolis Corporation Simplified sensorless DC motor commutation control circuit using analog timing techniqu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7194168A (ja) 1995-07-28
US5532559A (en) 1996-07-02
KR950022028A (ko) 1995-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3299A (en) Current controller for controlling a current flowing in a load using a PWM inverter and method used thereby
US5982122A (en) Capacitively powered motor and constant speed control therefor
US5117165A (en) Closed-loop control of a brushless DC motor from standstill to medium speed
KR100301500B1 (ko) 인버터냉장고의공진주파수제어장치및방법
JPH07194193A (ja) モータ制御方法
US5990656A (en) Frequency detector
JP2002223580A (ja) インバータ装置
EP0401818B1 (en) A current controller and method for a DC motor
KR100572164B1 (ko) 정류제어기
KR0136976B1 (ko) 무정류자모터의 운전제어장치 및 방법
JP3254075B2 (ja) センサレスブラシレスモータ
JPH05227785A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の駆動装置
JP2007189887A (ja) モータ駆動装置およびその駆動方法
KR100282366B1 (ko) 센서리스 비엘디씨(bldc) 모터의 구동방법
KR19990075671A (ko) 오픈루프 구간의 제어방법
JPH08140391A (ja) ブラシレスモータ駆動装置
WO2023100549A1 (ja) モータ駆動制御装置、モータユニット、およびモータ駆動制御方法
KR100282365B1 (ko) 센서리스 비엘디씨(bldc) 모터의 구동방법
JP2502770B2 (ja) 電動機の制御装置
JPH0947076A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の制御方法
KR0176840B1 (ko) 에어컨의 모타 제어방법
JP2000014187A (ja) 直流ブラシレスモータ駆動装置とこれを用いたルームエアコン
JP3389300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の運転方法
JPH07255193A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H08223972A (ja) ブラシレスモータ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