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894Y1 - 다가지형 디프로스터 장치 - Google Patents

다가지형 디프로스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894Y1
KR0136894Y1 KR2019960037411U KR19960037411U KR0136894Y1 KR 0136894 Y1 KR0136894 Y1 KR 0136894Y1 KR 2019960037411 U KR2019960037411 U KR 2019960037411U KR 19960037411 U KR19960037411 U KR 19960037411U KR 0136894 Y1 KR0136894 Y1 KR 013689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roster
nozzle
air
damp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74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4023U (ko
Inventor
최성철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600374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6894Y1/ko
Publication of KR199800240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40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89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89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23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including defroster or demis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4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gas, e.g. hot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프로스터를 다가지형으로 설계하여 댐퍼와 노즐을 직접연결함으로써 디프로스터의 소음을 줄이고, 성에제거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다가지형 디프로스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인 디프로스터 장치는 디프로스터 덕트와 노즐 사이에는 빈 공백이 있어, 히팅장치를 통해 분사되는 에어가 디프로스트 및 노즐 사이의 패널에 부디칠 때에는 그대로 직진하지 못하고 반대방향으로 역류하거나 소용돌이를 일으켜 성에제거가 제대로 행하여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 본 고안은 히팅장치의 에어를 디프로스터의 노즐에 직접 연결할 수 있도록 댐퍼를 다가지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댐퍼와 디프로스터 노즐을 각각 호스로 연결 구성함으로써, 디프로스터의 소음을 줄이고 성에제거를 충분히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Description

다가지형 디프로스터 장치
본 고안은 다가지형 디프로스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댐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디프로스터의 노즐에 직접 연결하기 위해 디프로스터 노즐과 에어공급 댐퍼를 호스로 연결함으로써, 디프로스터의 소음을 줄이고 성에제거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가지형 디프로스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컨디셔너는 버스의 승객들에게 차가운 공기 및 더운공기를 제공코자 설치되는 것으로, 콤프레셔와 압력해제밸브와 머플러와 응축기와 증발기 및 히터코어 등으로 구성되고, 에어콘 시스템 작동은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패드에 있는 스위치 및 레버의 작동에 의해 제어되어 진다.
콤프레셔 클러치와 송풍기 모터는 배선으로 콘트롤 헤드에 연결되어 있는데 작동중지 모드에서는 송풍기회로는 연결되어 있지 않지만 작동중지 모드외에 다른모드에서는 송풍기가 4단계로 회전되어 공기가 유입되게 된다.
기능모드로써는 최대냉방, 보통냉방, 실내 상하구분 냉난방 및 서리제거 모드에서는 냉각 및 제습된 공기가 실내로 유입된다.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조절은 온도조절 스위치에 연결되어 히터코어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한다.
온도조절도어의 작동위치는 에어콘 모드 선택 스위치(에어콘 로터리 스위치)의 선택 위치에 관계없이 온도조절 스위치에 의해 독립적으로 조절된다.
상기 스위칭 작용에 따른 내부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라디에이터 앞에 설치된 응축기 코어는 냉매가 통과하는 코일과 급속하게 열교환을 시켜주는 냉각핀으로 되어 있으며, 응축기는 고압기체상태의 냉매가스를 고압액체생태로 응축시켜줌에 따라 응축기 코어를 통과하는 공기는 차가워진다.
증발기는 공기가 실내로 들어가기전에 공기를 냉각하고 습기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고압액체상태의 냉매는 오리피스튜브를 통해 흘러 저압액체상태로 변하여 증발기의 저압측으로 유입된다. 증발기 코어를 통과하는 공기의 열은 코어의 표면으로 전달되어 공기가 냉각되게 된다. 이때 공기중의 열이 증발기 코어 표면으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공기중의 습기가 증발기 코어 표면에 응축되어 응축된 물이 차체 밖으로 배출되어 진다.
이러한 내부장치를 통해 생성된 냉각 및 히팅된 에어가 인스트루먼트 패널을 통해 분출되는 경로를 살펴보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1은 차량의 일반적인 냉난방 공급 시스템으로써, 히터는 내기순환과 외기도입의 선택이 가능한 온수식 히터로서,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중앙과 양측에 벤티레이터, 앞좌석 승객의 발부분에 따뜻한 공기 토출구 및 전면유리창 부근 좌우에 디프로스터를 설치함으로써 항상 적절한 환기 및 난방이 행하여 진다.
도면에서 1은 사이드 토출구를 나타내고, 2는 사이드 디미스터 토출구를 나타내며, 3은 센터 토출구를 나타내고, 4는 발부분 투출구를 나타내며, 5는 디프로스터이다.
상기의 디프로스터 장치는 도 2에 나타낸 바와같이 좌우에 디프로스터 덕트(6)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디프로스터 덕트(7)에는 각각 3개의 노즐(8)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성에를 제거하기 위해 디프로스터 스위치를 작동시키면, 히팅장치의 팬이 회전하고 따라서 히터코어를 통해 에어가 가열된다. 여기서 가열된 에어는 최초 댐퍼(도 3에 나타냄)를 거치게 되고, 이후 디프로스터 덕트(6)로 각각 나누어져 전달되며, 전달되는 에어는 노즐(7)을 통해 분사되어 글래스에 맷힌 성에를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이때 실제 디프로스터를 통해 분출되는 공기의 양은 최초 히팅장치에서 출력한 공기의 양보다 많이 줄어드는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디프로스터 덕트와 노즐 사이에는 빈 공백이 있어, 히팅장치(8)를 통해 분사되는 에어가 노즐(7)과 노즐 사이의 패널에 부디칠 때에는 그대로 직진하지 못하고 반대방향으로 역류하거나 소용돌이를 일으키는 현상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충분한 에어공급이 이루어지지 않아 성에가 부분적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글래스의 측면 또는 가운데 부분에 맷힌 성에를 충분히 제거하지 못하게 된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코자 하는 것으로, 다가지형 댐퍼를 형성하여 노즐과 댐퍼 사이를 호스로 직접 연결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에어공급 시스템.
도 2는 일반적인 냉난방 공급시스템.
도 3은 본 고안 다가지형 디프로스터 장치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사이드 토출구 2: 사이드 디미스터 토출구
3: 센터 토출구 4: 발부분 토출구
5: 디프로스터 6: 덕트
7: 노즐 8: 히터
9: 댐퍼 10: 호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은 댐퍼로부터 공급되는 에어를 디프로스터의 노즐에 직접 연결하기 위해 디프로스터 노즐과 에어공급 댐퍼를 호스로 연결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도로써, 히팅장치(8)의 에어를 디프로스터의 노즐(7)에 직접 연결할 수 있도록 댐퍼(9)를 다가지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댐퍼(8)와 디프로스터 노즐(7)을 각각 호스(10)로 연결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본 고안은 댐퍼(9)를 다가지형으로 형성하여 디프로스터의 노즐(7)에 호스(10)를 통해 각각 연결하기 때문에, 히팅장치(8)로부터 분사된 에어가 직접 노즐(7)로 연결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노즐(7)과 노즐 사이의 패널에 에어가 부디쳐 역류하거나 소용돌이를 일으켜 실제 공급되는 에어의 출력이 감소하지만, 본 고안은 노즐(7)에 각각 에어를 공급하기 때문에 에어가 역류하거나 소용돌이를 일으킬 염려가 없어 최초 공급되는 에어가 그대로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서는 노즐이 6개 이기 때문에 댐퍼(9)의 가지수 및 호스(10)는 6개로 하면 되고, 노즐(7)의 개수에 따라 댐퍼 및 호스의 가지수는 변형시키면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을 이용하게 되면 히팅장치의 출력을 그대로 성에제거에 적용시킬 수가 있어, 효율적인 성에제거 작업이 이루어 진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은 디프로스터를 다가지형으로 설계하여 댐퍼와 노즐을 직접연결함으로써 디프로스터의 소음을 줄이고, 성에제거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본 고안은 디프로스터를 다가지형으로 설계하여 댐퍼와 노즐을 직접연결함으로써 디프로스터의 소음을 줄이고, 성에제거의 효율성을 높이는데 그 목적이 있다.

Claims (1)

  1. 히팅장치(8)의 에어를 디프로스터의 노즐(7)에 직접 연결할 수 있도록 댐퍼(9)를 다가지형으로 형성하고, 상기 댐퍼(9)와 디프로스터 노즐(7)을 각각 호스(10)로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가지형 디프로스터 장치.
KR2019960037411U 1996-10-31 1996-10-31 다가지형 디프로스터 장치 KR013689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411U KR0136894Y1 (ko) 1996-10-31 1996-10-31 다가지형 디프로스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7411U KR0136894Y1 (ko) 1996-10-31 1996-10-31 다가지형 디프로스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023U KR19980024023U (ko) 1998-07-25
KR0136894Y1 true KR0136894Y1 (ko) 1999-04-01

Family

ID=194721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7411U KR0136894Y1 (ko) 1996-10-31 1996-10-31 다가지형 디프로스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6894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217B1 (ko) * 2005-07-05 2007-02-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제상덕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3217B1 (ko) * 2005-07-05 2007-02-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제상덕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4023U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30226B2 (ja) 車両用空調装置
US20150033782A1 (en) Vehicle heat pump air-conditioning system
JPS6246706A (ja) 自動車用暖房兼空気調和装置
JP3233771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CN110481277A (zh) 车辆用热管理装置
CN105452027A (zh) 车辆用空调装置
JP2000052757A (ja) 自動車用冷暖房装置
JP3563094B2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0136894Y1 (ko) 다가지형 디프로스터 장치
KR100601834B1 (ko) 자동차 시트 공기조화장치
KR101276223B1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응축기 냉각장치
JP2555635B2 (ja) バス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200140923Y1 (ko) 난방 증대용 히터배관
JPH08310227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5247114A (ja) 車両用空調装置
JPH0858358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1211215B1 (ko) 차량용 후방 팽창밸브 냉각현상 방지구조
JP6607144B2 (ja) 車両用暖房装置
KR100642132B1 (ko) 자동차 시트 공기조화장치
JP4015303B2 (ja) 蓄冷ユニットを備えた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0134402Y1 (ko) 자동차의 냉난방장치
KR20240062389A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15605362A (zh) Hvac模块和包括这样的模块的hvac系统
JP2000043545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9980023986U (ko) 차량용 히터가 내장된 승객용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