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567B1 - 옥사졸리돈 고리를 포함하는 친수성수지 및 그것을 포함하는 코팅조성물 - Google Patents

옥사졸리돈 고리를 포함하는 친수성수지 및 그것을 포함하는 코팅조성물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567B1
KR0136567B1 KR1019920023387A KR920023387A KR0136567B1 KR 0136567 B1 KR0136567 B1 KR 0136567B1 KR 1019920023387 A KR1019920023387 A KR 1019920023387A KR 920023387 A KR920023387 A KR 920023387A KR 0136567 B1 KR0136567 B1 KR 0136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acid
resin
active hydrogen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33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시유끼 이시이
미쓰오 야마다
모또이 다니모또
겐시로오 도비나가
Original Assignee
후지이 히로시
닛뽄 페인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이 히로시, 닛뽄 페인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이 히로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5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epoxy resin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02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02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 C08G59/04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of polyhydroxy compounds with epihalohydrins or precurso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02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 C08G59/12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of polycarboxylic acids with epihalohydrins or precurso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4Polycondensat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59/1433Polycondensat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59/1438Polycondensat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G59/1444Mono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4Polycondensat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59/1433Polycondensat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59/1438Polycondensate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G59/1455Monocarboxylic acids, anhydrides, halides, or low-molecular-weight est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2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epoxy compounds used
    • C08G59/22Di-epoxy compounds
    • C08G59/26Di-epoxy compounds hetero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42Polycarboxylic acids; Anhydrides, halides or low molecular weight ester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50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4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curing agents used
    • C08G59/62Alcohols or 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44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for electrophoretic applications
    • C09D5/4419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for electrophoretic applications with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D5/443Polyepoxides
    • C09D5/4434Polyepoxide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epoxy binder
    • C09D5/4442Binder characterised by functional groups
    • C09D5/4449Heterocyclic groups, e.g. oxazolidi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Epoxy Resins (AREA)

Abstract

디글리시딜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 및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간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옥사졸리돈 고리-함유 에폭시수지(a)는 에폭시기에 비례하는 활성수소원자의 견지에서 화학양론적 보다 적게 1가 또는 2가알코올, 모노-또는 디카르복실산등의 제 1활성수소화합물(b)과 반응하고, 이이서 잔존하는 에폭시기에 비례하는 화학양론적 양으로 아민 또는 황화물-산 혼합물 또는 폴리카르복실산등의 제 2활성수소화합물(c)과 반응한다.
얻어진 친수성 개질수지는 이온화될 수 있는 기를 말단에 가진 옥사졸리돈 고리-함유 주쇄를 지니다. 수성페인트는 가교제 또는 중화제를 함유하는 수성매질에서 분산에 의해 친수성 개질수지로부터 제조된다.

Description

옥사졸리돈 고리를 포함하는 친수성수지 및 그것을 포함하는 코팅조성물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주쇄(back bone)의 말단에 이온화될 수 있는 기와 옥사졸리돈 고리를 포함하는 주쇄를 갖는 신규 친수성 수지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수지를 포함하는 수성 페인트 조성물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비스우레탄, 즉 1가알코올로 씌워진 유기성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디글리시딜 화합물을 반응시켜 옥살리돈 고리를 포함하는 개질된 에폭시 수지를 만들 수 있음이 이와꾸라(Iwakura)등의 J.Polymer Sci. Part A-1, 4, 751(1966)에 알려져 있다. 상기의 수지는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디글리시딜 화합물을 직접 반응시켜 제조할 수도 있다.(Sander et al., J. Appl. Polymer Sci., 9, 1984(1966).
수지는 각 말단이 에폭시기로 종결되어 있고, 따라서 이온화될 수 있거나 친수성인 기를 갖고 있지 않으므로, 전착(electrodeposition) 페인트 및 다른 수성페인트의 제조에 사용될 수 없다.
유럽특허출원공보 No.0449072는 음극성(cathodic) 전착페인트의 제조에 사용되는 에폭시 수지-아민 부가물의 생산방법을 공개하고 있다.
이 방법에 따라, 모노- 또는 디글리시딜 화합물과 유기 모노-또는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얻은, 옥사졸리돈 고리를 포함하는 화합물에 전형적인 디에폭시 수지와 함께 아민으로 개환반응을 직접 시켰다.
이 결합제(binder) 수지를 포함하는 전착페인트의 사용에는 300 볼트의 비교적 고전압이 필요하다. 아연도금된 철판(galvanized steel sheet)의 전착코팅에 응용할 때, 페인트는 종종 많은 핀홀(pinhole)의 발생이 없는 실제 필름두께의 필름으로 되며, 이는 그러한 고전압의 사용에 기인한다. 이는 물론 외관뿐 아니라 또한 결과되는 마감(finish)의 보호적 수행능력도 저하시킨다. 이 유럽특허는 또한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와 글리시딜 화합물을 브롬화리튬 촉매의 존재하에 직접 반응시켜, 옥사졸리돈 고리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제조방법도 공개하고 있다. 글리시딜 화합물과 직접 반응시키는 경우, 디이소시아네이트는 부반응으로 삼량화(trimerization) 되는 경향이 있다. 이런 부반응이 일어난다면, 결과로 얻게 되는 개질수지는 너무 점성도가 있게 되고, 옥사졸리돈 함량이 적어지게 된다. 알칼리금속 할로겐화물 촉매는 여전히 개질수지에 잔존한다.
전착코팅에 사용될 때 특히 바람직하지 못하며, 이는 코팅배스(bath)에 어떤 전해질이라도 존재한다면, 쿨롱효율(coulomb efficiency) 및 균일전착성(throwing power)과 같은 전착수행뿐 아니라 여기에서 만들어진 필름의 내부식성에도 역으로 영향을 끼칠 것이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종래 수지 및 조성물의 이러한 결점 및 기타 결점들을 없애거나 개선하려고 한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옥사졸리돈 고리를 포함하는 주쇄 및 주쇄의 말단에 이온화될 수 있는 기를 갖는 신규의 친수성 수지를 제공한다. 이 친수성 수지는 다음식의 옥사졸리돈 고리를 포함하는 에폭시 수지를 개질시켜 얻는다.
여기에서 R은 글리시딜록시기가 제거된 디글리시딜에테르 또는 에스테르 화합물의 잔기이며, R1은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제거된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잔기이고, n은 정수이다.
본 발명에 따라, 출발물질인 에폭시수지(a)를 1가알코올, 2가알코올, 모노카르복실산 및 디카르복실산으로 구성되어 있는 기로부터 선택된, 제1활성수소화합물(b)과 반응시켜 (a)의 에폭시 고리부분을 개환시킨후, 제2활성수소화합물(c)로 잔존 에폭시고리들을 개환시키는 반응에 의해 이온화될 수 있는 기를 도입한다.
얻어진 개질수지는 이온화될 수 있는 기로 종결되는 그 주쇄에 복수의 옥사졸리돈 고리를 갖는다.
바람직한 구체예에서, 출발물질인 에폭시수지(a)는 비스페놀에폭시 수지를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그 블록(blocked) 생성물과 반응시킨 생성물이다. 제1활성수소화합물(b)이 폴리에테르디올, 또는 폴리에스테르디올, 비스페놀, 지방족 또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과 같이 2 관능성(bifunctionality)일 때, 사슬연장(chain extending) 반응이 일어난다. 2 관능성 제1활성화합물 및 지방족 1차알코올, 모노페놀과 같은 단일관능성 제1활성화합물, 지방족 또는 방향족 모노카르복실산을 대신하거나 추가하여 출발물질인 에폭시수지(a)와 반응시킬 수 있다.
출발물질인 에폭시수지(a)가 가지는 모든 에폭시고리가 제1활성수소화합물과의 반응에서 모두 소모되어야 하는 것이 아님을 주지해야 한다.
따라서, 출발물질인 에폭시화합물(a)과 반응하는 제1활성수소화합물(b)의 양은 최소 10%, 바람직하게는 20-8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70%의 반응을 하지 않은 에폭시수지가 평균적으로 남아 있도록 당량적 양보다 적어야 한다.
출발물질인 에폭시수지(a)와 제1활성수소화합물(b)간의 생성물을 잔존 에폭시고리를 개환하기에 충분한 양의 제2활성수소화합물(c)과 반응시켜, 이온화될 수 있는 기를 도입한다. 양이온성(cationic)수지를 원하는 경우, 제2활성수소화합물은 1차 또는 2차 아민, 또는 3차 아민의 산부가염일 수 있다. 달리, 황화물-산(sulfide-acid) 혼합물이 술포늄 양이온수지를 얻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음이온성수지를 원하는 경우, 제2활성수소화합물은 폴리카르복실산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보아,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방법에 의해 제조한 친수성수지로 이루어진 수성페인트를 제공한다. 멜라민수지 또는 블록된(blocked)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같은 가교제(crosslinking agent) 및, 양이온성수지의 경우 산 또는 음이온성 수지의 경우 염기의 중화제(nentralizing agent)를 포함하는 친수성매체에 친수성수지를 분산시킨다.
본 발명의 수성페인트는 전기적으로 사용될 때 높은 균일전착성을 나타내며, 개선된 외양 및 내부식성을 가진 경화(cured) 필름을 제공한다.
전착(electrodeposition) 페인트의 균일전착성 및 내부식성이 비교적 높은 유리전이온도(Tg)를 갖는 결합제수지를 이용하여 개선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시도는 더 높은 유리전이온도가 결합제수지의 유동성에 불리하게 영향을 주고 그리하여 경화필름의 형태를 손상시키기 때문에 실패하였다.
본 발명의 개질수지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것은 경화필름의 양호한 형태를 유지하면서 개선된 내부식성 및 균일전착성을 나타낸다. 그것에 대한 이유로서, 분자내에 옥사졸리돈고리가 삽입되었기 때문에 본 발명 수지의 유리전이온도가 비교적 높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만족할만한 유동성을 유지한다는 것이 가정되었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복수개의 옥사졸리돈고리를 갖는 출발물질인 에폭시수지(a)가 공지되어 있다. 출발물질수지(a)는 Iwakura 등이 개시한 방법 즉 글리시딜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가 전형적으로 비스우레탄형태로 차단된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는 방법(이 방법은 하기에서는 BI방법으로 타나낸다)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고, 또는 Sander등이 개시한 방법 즉 유리된 디이소시아네이트가 직접적으로 디글리시딜 화합물과반응하는 방법(이 방법은 하기에서 직접방법으로 나타낸다)에 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직접방법은 종종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삼량화 부반응이 수반될 수 있기 때문에, BI방법이 바람직하다.
디글리시딜 화합물의 전형적인 실례는 EPIKOTE 828(에폭시 당량 180-190), EPIKOTE 1001(에폭시 당량 450-500) 또는 EPIKOTE 1010(에폭시 당량 3000-4000) 등의 비스페놀 A 에폭시수지, 및 EPIKOTE 807(에폭시 당량 170) 등의 비스페놀F 에폭시수지인데, 이것 모두 Yuka Shell Epoxy K.K.에 의하여 판매된다. 또한 이용가능한 디글리시딜 화합물에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 4-부탄디올, 1, 6-헥산디올,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등 따위의 지방족 2가 알코올의 디글리시딜에테르, 및 지방족, 지방족 고리 또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디글리시딜 에스테르가 포함된다.
이용가능한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실례에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TDI),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XDI), 4, 4'-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MDI)등의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MDI),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IPDI), 4, 4-메틸렌비스(시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및 지방족고리 디이소시아네이트가 포함된다.
BI방법에서는, 유리된 디이소시아네이트가 차단제(blocking agent)로 차단되어야 한다. 차단제는 디글리시딜 화합물과의 반응전 또는 반응동안 유리된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는 차단제가 디글리시딜 화합물속에 용해될 수 있고 그 다음 유리된 디이소시아네이트가 혼합물에 첨가되어 본래의 위치에서 차단된 디이소시아네이트를 형성할 수 있다.
많은 차단제가 당업계에 잘 공지되어 있다. 그것의 실례에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n-부탄올, 2-에틸헥산올, 에틸렌글리콜 모노부틸 에테르, 시클로헥산올 등의 지방족알코올;페놀, 니트로페놀, 에틸페놀 등의 페놀;메틸, 에틸, 케톡심 따위의 옥심; 및 ε-카프로락탐 따위의 락탐이포함된다. 각 터미널(terminal) 말단에 에폭시드작용기를 갖는 출발에폭시수지(a)를 생성하기 위해서는, 디글리시딜 화합물의 적어도 n+1몰이 차단된 디이소시아네이트 n몰과 반응해야 한다. 반응은 바람직하게는 60℃와 200℃ 사이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반응이 진행함에 따라서, 차단제가 방출된다. 이 차단제는 반응혼합물속에 남아 있을 수도 있고 또는 그것이 통상적인 기술을 이용하여 반응혼합물로부터 제거될 수도 있다.
3차아민은 대응하는 2-옥사졸리디논 화합물의 합성에서 에폭시화합물과 카르바민산염 에스테르 사이의 원활한 반응을 촉매한다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 원리는 또한 BI방법에도 유용하게 적용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3차아민의 실례에는 N, N-디메틸벤질아민, 트리에틸아민, N, N-디메틸시클로헥실아민, N, N, N', N'-테트라에틸에틸렌디아민, N-메틸모르폴린, 1, 8-디아자비시클로[5.4.0]운데센, 1, 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 피리딘, 퀴놀린, 이미다졸 등이 포함된다.
3차아민촉매와 결합하여, 디-n-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염화제일주석, 옥텐산제일주석, 디부틸주석옥시드, 디옥틸주석옥시드, 1, 3-디아세트옥시테트라부틸디주석옥산, 1, 3-디클로로테트라부틸디주석옥산, 디부틸디부톡시주석 등을 포함하는 주석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온화가능기의 도입전에, 그렇게 생성된 출발에폭시수지(a)는 2개의 작용기를 갖는 폴리알코올 또는 2개의 작용기를 갖는 폴리카르복실산과의 반응에 의하여 사슬-연장될 수 있다. 이 목적에 사용되는 2개의 작용기를 갖는 폴리알코올의 실례에는 에틸렌글리콜, 1, 2-프로판디올, 1, 3-프로판디올, 1, 4-부탄디올, 1, 6-헥산디올 등의 지방족 2 가알코올;1, 2-시클로헥산디올, 1, 4-시클로헥산디올 등의 지방족고리 2가알코올;비스페놀A, 비스페놀 F, 레소르시놀, 히드로퀴논 등의 방향족 디히드록시 화합물;디카르복실산 및 저분자량 글리콜의 폴리축합물 따위의 2개의 작용기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폴리 알코올(M.W. 300-3,000), 또는 개시제로서 저분자량 글리콜을 이용하는 카프로락톤의 중합반응에 의하여 생성되는 폴리카프로락톤 2가알코올;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따위의 2개의 작용기를 갖는 폴리에테르폴리알코올(M.W. 300-3000), 이러한 폴리알킬렌글리콜의 임의의 또는 블록 공중합체가 있다. 디카르복실 사슬연장제의 실례는 숙신산, 아디프산, 아제라산, 도데칸디오산, 디메르산, C18-C20지방 디카르복실산, 카르복실말단의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등이다.
사슬연장을 원하지 않을때에는, 단일작용기의 활성수소화합물을 출발에폭시수지(a)와 반응시킨다. 단일작용기의 활성수소화합물의 실례에는 n-부탄올, 에틸렌 글리콜모노부틸 에테르, 옥탄올, 스테아릴 알코올 등 따위의 지방족 일차알코올;페놀, 크레졸, 크실레놀, p-t-부틸페놀, p-노닐페놀 등 따위의 모노페놀;아세트산, 락트산, 부티르산, 옥타노산, 시클로헥산 카르복실산, 라우르산, 스테아르산,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 등 따위의 지방족모노카르복실산; 및 벤조산, 1-나프토산 등 따위의 방향족 모노카르복실산이 포함된다.
1가알코올/2가알코올 또는 모노카르복실산/디카르복실산의 조합이 또한 출발에폭시 수지(a)와 반응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단일작용기의 활성수소화합물은 사슬연장의 조절제로서 작용한다.
출발물질 에폭시수지가 함유하는 모든 에폭시드 작용기가 첫 번째 활성수소화합물(b), 즉 1가-또는 2가알코올, 모노-또는 디카르복실산(어느하나 또는 조합)과의 반응에서 소모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에폭시드작용기중 적어도 평균 10%, 바람직하게는 20-80%, 더 바람직하게는 30-70%가 원래대로 남아 있어야 한다.
출발에폭시수지(a)를 제1활성수소화합물(b)로 개질시킨 후에, 원하는 극성의 이온화 될 수 있는 기를 제2활성수소화합물(c)과 남아있는 에폭시드작용기의 개환반응을 이용하여 개질수지에 도입시킬 수 있다. 포지티브 즉 양이온의 극성을 원할때에는, 제2활성수소화합물(c)이 일차 또는 이차아민, 삼차아민의 산부가염, 또는 부틸아민, 옥틸아민 디에틸아민, 디부틸아민, 메틸부틸아민,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N-메틸에탄올아맨, 트리에틸아민 염화수소, N, N-디메틸에탄올아민 아세테이트, 디에틸설피드-아세트산 혼합물 등 따위의 황화물-산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아미노에틸에탄올아민 또는 디에틸렌트리아민 따위의 일차아민의 케티민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아민과 케티민의 어떤 조합을 이용할 수도 있다. 일차아민을 이용할때에는 그것이 또한 사슬연장제의 역할을 하여 수지를 너무 점성이 있게 만들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네가티브 즉 음이온의 극성을 원할때에는, 제2활성수소화합물(c)이 숙신산, 말레산, 푸마르산, 프탈산, 아디프산, 아제라산 따위의 디카르복실산일 수 있다. 제2활성수소화합물(c)의 양은 남아있는 에폭시기에 거의 비례하는 화학적 양이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생긴 개질친수성수지는 바람직하게는 GPC 방법에 의해 측정된 평균분자량이 600내지 4,000이었다. 분자량이 너무 낮으면, 수지가 만족할 만한 필름을 형성하지 않을 것이다. 반대로, 분자량이 너무 높으면, 수지가 덜 친수성으로 되어 수성매체에서의 유화 또는 분산이 어렵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수지가 0.3-4.0meq/g의 아민 또는 산 당량을 가져야 한다. 아민 또는 산 당량이 너무 낮으면,수성매체에서의 유화 또는 분산이 어렵게 된다.
반대로, 아민 또는 산 당량이 너무 높으면, 만족스러운 내수성을 갖는 필름을 나타내는 것이 거의 가능하지 않다. 개선된 평활도, 내부식성 및 균일전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개질수지가 고체기준으로 성분(a)의 35 내지 95중량%, 바람직하게는 45 내지 85중량%를 함유해야 한다.
본 발명의 친수성수지는 멜라민수지 또는 차단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따위의 교차 결합작용제로 경화될 수 있다. 수용성페인트 특히 전착페인트로 제조될 때, 수지는 가장 완전한 정도로 그것의 유용한 특징을 나타낼 수 있다.
아민-개질 비스페놀 에폭시수지가 수성페인트, 특히 전착페인트에 널리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그것으로부터 만들어진 경화필름은 필수적으로 만족스러운 성질을 갖지는 않았고 그리하여 내부식성 및 그것의 다른 전기적 및 기계적 성질을 개선할 필요가 존재하였다. 본 발명의 개질수지는 이러한 필요를 충족하여 선행기술 수지에 대해 내부식성 및 균일전착성을 포함하여 개선된 성질을 나타낼 수 있었다.
본 발명의 개질수지는 중화제를 함유하는 수성매체내에 수지와 교차결합작용제를 분산시킴으로써 전착페인트를 포함하여 수용성페인트로 제조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교차결합작용제는 출발물질에폭시수지(a)의 제조에 대해 상기에 예시된 차단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에테르화된 메틸올멜라민수지이다. 음극의 전착페인트를 원할때에는, 수지가 아미노 또는 술포늄 따위의 양이온기를 가져야만 하고 중화제가 염산, 질산, 인산, 포름산, 아세트산 또는 락트산 따위의 산이어야 한다. 양극의 전착페인트를 원할때에는, 수지가 카르복실기를 가져야 하고 중화제는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암모니아 또는 유기아민 따위의 염기이다. 교차결합작용제의 양은 수지내에 함유된 아미노, 히드록실 또는 카르복실기와의 교차 결합반응을 통해서 견고한 필름을 형성하기에 충분해야만 하며 일반적으로 고체기준으로 개질수지의 5 내지 50중량% 범위이다. 중화제의 양은 개질수지의 적어도 20%,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가 중화될 수 있는 정도이다.
차단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교차결합제일 때에는, 페인트제제는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디부틸주석 옥시드 따위의 촉매 또는 다른 우레탄-절단촉매의 차단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0.1 내지 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페인트제제는 물론 그것의 특별한 적용에 따라 좌우되는 많은 통상적인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다. 그것의 실례는 이산화티탄, 카본블랙 또는 산화제이철 따위의 도장염료;염기의 납규산염 또는 알루미늄 포스포몰리브데이트 따위의 녹막이염료;고령토, 활석 또는 점토 따위의 중량염료; 및 물-혼합성 유기용매,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자외선흡수제 등 따위의 다른 첨가물이다.
본 발명의 최종적인 수성페인트는 전착공정뿐만 아니라 분무법, 침지법 및 다른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기판에 적용될 수 있다.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고 본 발명을 더욱 기술하도록 의도된다. 여기서 모든 비율 및 퍼센트는 다른 표시가 없으면 무게단위이다. 수지의 모든 에폭시당량, 아민당량 및 산당량은 건조함유량 기준이다.
실시예 1
반응기를 EPIKOTE 828(Yuka Shell Epoxy K.K.에서 구입한 비스페놀 A 에폭시수지, 에폭시당량 188) 752.0부, 메탄올 77.0부, 메틸이소부틸케톤(MIBK) 200.3부 및 디부틸 주석 디라우레이트 0.3부로 충전시켰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여 용액을 만들었다. 용액에 2, 4-/2, 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8:2 혼합물 174.2부를 50분간 첨가하였다. 발열반응이 일어나서 내부온도가 70℃로 올라갔다.
IR분광측정법은 2280cm-1에서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흡광이 없고 1730cm-1에서 우레탄카르보닐기의 흡광이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N, N-디메틸벤질아민의 2.7부를 첨가한 후에, 반응이 120℃에서 계속 되도록 하고 에폭시당량 463에 도달할때까지 반응혼합물로부터 메탄올을 계속 제거했다. 반응의 이 단계에서의 IR분광측정법은 1730cm-1에서 우레탄카르보닐기의 흡광이 없고 1750cm-1에서 옥사졸리돈카르보닐의 흡광이 존재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반응혼합물에 p-노닐페놀 220.0부 및 MIBK 83.3부를 첨가하고 에폭시당량 1146에 도달할때까지 반응이 125℃에서 더 계속되도록 하였다. 혼합물이 110℃까지 냉각되도록 하였다. 그 다음, 아미노에틸에탄올아민 케티민(79% MIBK 용액) 47.2부, 디에탄올아민 42.0부, N-메틸에탄올아민 30.0부 및 MIBK 17.3부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20℃로 가열하고 2시간 반응시켰다. 74%의 옥사졸리돈 수지함량을 갖는 개질수지를 얻었다. 수지의 고체함량은 80%였고 아민당량은 0.96mmol/g였다.
실시예 2
반응기를 EPIKOTE 828의 730.9부, 메탄올 64.3부, MIBK 176.0부 및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0.3부로 충전시켰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여 용액을 만들었다. 이것에 4, 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08.8부를 30분간 한방울씩 첨가하였다. 발열반응이 내부온도가 70℃로 올라가게 하였다.
IR분광측정법은 2280cm-1에서 이소시아네이트작용기의 부재 및 1730cm-1에서 우레탄카르보닐의 존재를 나타냈다.
N, N-디메틸벤질아민의 2.7부를 첨가한 후에, 혼합물을 130℃로 가열하고 에폭시당량 424에 도달할때까지 메탄올을 증류제거하면서 반응을 시켰다.
이 단계에서의 IR분광측정법은 1730cm-1에서 우레탄카르보닐의 흡광의 부재 및 1750cm-1에서 옥사졸리돈 카르보닐의 흡광의 존재를 나타냈다.
그 다음 반응혼합물에 비스페놀 A 62.4부, p-노닐페놀 147.4부 및 MIBK 108.4부를 첨가했고, 에폭시당량 1150에 도달할때까지 130℃에서 반응시켰다.
혼합물을 110℃로 냉각시킨 후에, 아미노에틸에탄올아민 케티민(79% MIBK 용액) 47.2부, 디에탄올아민 42.0부, N-메틸에탄올아민 30.0부 및 MIBK 17.3부를 거기에 첨가하였다. 그 다음 혼합물을 120℃에서 2시간 반응시켜서 67%의 욕사졸리돈 수지함량, 80.0%의 고체함량 및 0.95mmol/g의 아민당량을 갖는 개질수지를 얻었다.
실시예 3
반응기를 EPIKOTE 828의 667.4부, 메탄올 48.7부, MIBK 124.7부 및 디부틸주석 디라우레이트 0.2부로 충전시켰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여 용액을 만들었다. 여기에 2, 4-/2, 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8:2 혼합물 110.1부를 30분간 첨가하였다.
발열반응이 내부오도를 80℃로 올렸다. IR분광측정법은 2280cm-1에서 유리된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흡광의 부재 및 1730cm-1에서 우레탄카르보닐의 흡광의 존재를 나타냈다. N, N-디메틸벤질아민 1,7부를 첨가한 후에, 에폭시당량 340에 도달할 때까지 메탄올을 증류제거하면서 반응을 120℃에서 계속시켰다. 이 단계에서의 IR분광측정법은 1730cm-1에서 우레탄카르보닐의 흡광의 부재 및 1750cm-1에서 옥사졸리돈 카르보닐의 흡광의 존재를 나타냈다.
그 다음 산값 195를 갖는 디메르산(Henkel Hakusui K.K.의 VERSADYME 288의) 329.2부 및 12-히드록시스테아르산의 43.0부를 첨가했고 에폭시당량 1150에 도달할때까지 120 ℃에서 계속 반응시켰다.
반응혼합물을 110℃로 냉각시킨 후에, 아미노에틸에탄올아민 케티민(79% MIBK 용액) 47.2부, 디에탄올아민 42.0부 및 N-메틸에탄올아민 30.0부를 거기에 첨가하였다. 그 다음 혼합물을 120℃에서 2시간동안 반응시켜서 47%의 옥사졸리돈 수지함량, 90%의 고체함량 및 0.75mmol/g의 아민당량을 갖는 개질수지를 얻었다.
실시예 4
EPIKOTE 828 649.4부, 메탄올 56.0부, MIBK 84부 및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0.2부로 반응기를 채웠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여 용액으로 만들었다. 여기에 30분동안 2, 4/2,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8:2 혼합물 126.6부를 첨가하였다. 흡열반응에 의해 내부온도가 80℃까지 증가하였다. IR스펙트럼 결과는 2280cm-1에서 유리된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부재 및 1730cm-1에서 우레탄 카르보닐의 존재를 나타내었다. N, N-디메틸벤질아민 2.0부를 첨가한 후, 반응을 120℃에서 지속시켜 388의 에폭시당량이 얻어질 때까지 메탄올을 증발시켰다. 이어서 분자량 약 530을 갖는 폴리프로락톤 다가알코올(PCL-205H, 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에서 구입) 265.0부 및 N, N-디메틸벤질아민 2.0부를 첨가하고 1040의 에폭시당량이 얻어질 때까지 120℃에서 반응시킨후, 반응혼합물을 110℃로 냉각시켰다. 거기에 아미노에틸에탄올아민 케티민(MIBK의 79% 용액) 47.2부, 디에탄올아민 42.0부, N-메틸에탄올아민 30.0부 및 MIBK 188.4부를 첨가하여 120℃에서 2시간동안 반응시켰다. 59%의 옥사졸리돈수지 함량, 80.0%의 고체함량 및 1.04mmol/g의 아민당량을 지니는 개질수지를 얻었다.
실시예 5
EPIKOTE 828 711.0부, 에탄올 68.6부, MIBK 93.6부 및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0.2부로 반응기를 채웠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여 용액으로 만들었다. 여기에 2, 4-/2, 6-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8:2 혼합물 155.2부를 첨가하였다.
발열반응에 의해 내부온도가80℃로 증가하였다. IR스펙트럼 결과는 2280cm-1에서 유리된 이소시아네이트의 부재 및 1730cm-1에서 우레탄카르보닐의 존재를 나타내었다. N, N-디메틸벤질아민 2.4부를 첨가한 후, 반응을 120℃에서지속시켜 388의 에폭시등가물이 얻어질때까지 메탄올을 증발시켰다. 이 단계에서의 IR스펙트럼 결과는 1730cm-1에서 우레탄카르보닐의 부재 및 1750cm-1에서 옥사졸리돈카르보닐의 존재를 나타내었다.
이어서 168mg KOH/g(Sanyo Chemical Industries, Ltd에서 구입한 NEUPOLE BPE-100)의 히드록실을 지니는 334.0부의 비스페놀A-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N, N-디메틸벤질아민 2.4부를 첨가하여 1,200의 에폭시등가물이 얻어질때까지 150℃에서 반응시킨후, 반응 혼합물을 110℃에서 냉각시켰다. 아미노에틸에탄올아민 케티민(MIBK의 79%용액) 47.2부, 디에탄올아민 42.0부, N-메틸에탄올아민 30.0부 및 MIBK 87.0부를 거기에 첨가하여 12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63%의 옥사졸리돈 수지함량, 87.0%의 고체함량 및 0.92mmol/g의 아민등가물을 지니는 개질수지를 얻었다.
실시예 6
반응기를 EPIKOTE 807 629.3부(Yuka Shell Epoxy K.K.에서 구입한 비스페놀 F 에폭시수지, 에폭시등가물 170), 메탄올 88.3부, MIBK 155.9부 및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 0.4부로 채웠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여 용액으로 만들었다. 여기에 30분동안 4, 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86.6부를 적가하였다. 발열반응에 의해 내부온도가 90℃로 증가하였다. IR스펙트럼 결과는 2280cm-1에서 유리된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부재 및 1730cm-1에서 우레탄카르보닐의 존재를 나타내었다. N, N-디메틸벤질아민 3.1부를 첨가한후, 반응을 120℃에서 지속시켜 550의 에폭시당량이 얻어질때까지 메탄올을 증발시켰다.
이 단계에서의 IR스펙트럼 결과는 1730cm-1에서 우레탄카르보닐의 부재 및 1750cm-1에서 옥사졸리돈 카르보닐의 존재를 나타내었다.
이어서 p-노닐페놀 171.6부 및 MIBK 43.6부를 첨가하여 1151의 에폭시등가물이 얻어질때까지 115℃에서 반응시킨후 반응혼합물을 110℃로 냉각시켰다.
아미노에틸에탄올 아민 47.2부(MIBK의 79%용액), 디에탄올아민 42.0부, N-메틸에탄올 아민 30.0부 및 MIBK 101.9부를 거기에 첨가하여 12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77%의 옥사졸리돈 수지함량, 80.0%의 고체함량 및 0.95mmol/g의 아민당량을 지니는 개질수지를 얻었다.
실시예 7(비교예)
EPIKOTE 1001 935.8부(Yuka Shell Epoxy K.K에서 구입한 비스페놀 A 에폭시수지, 에폭시등가물 475)를 MIBK 125.7부에 녹인후 120℃에서 1시간 동안 환류시켜 미량의 물을 제거하였다. p-노닐페놀 213.4부 및 N, N-디메틸벤질아민 2.7부를 용액에 첨가하고, 1149의 에폭시당량이 얻어질때까지 120℃에서 반응시킨후 반응혼합물을 110℃로 냉각시켰다. 이어서 아미노에틸에탄올아민 케티민 47.2부(MIBK의 79% 용액), 디에탄올아민 42.0부, N-메틸에탄올아민 30.0부 및 MIBK 2.1부를 거기에 첨가하여 12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90.0%의 고체함량을 지니는 아민-개질 에폭시수지를 얻었다.
실시예8(비교예)
EPIKOTE 1001 950부를 MIBK 105.6부에 용해시킨후 120℃에서 1시간 동안 환류시켜 미량의 물을 제거하였다. 분자량 약 530을 갖는 폴리카프로락톤 다가알코올265.0부(Daicel Chemical Industries, Ltd에서 구입한 PCL-205H) 및 N, N-디메틸벤질아민3.0부를 용액에 첨가하여 1215의 에폭시당량이 얻어질때까지 125℃에서 반응시킨후 반응혼합물을 110℃로 냉각시켰다. 이어서 아미노에틸에칸올아민 케티민 47.2부(MIBK의 79% 용액), 디에탄올아민 42.0부, N-메틸에탄올아민 30부 및 MIBK28.5부를 첨가하여 120℃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90.0%의 고체함량을 지니는 아민-개질 에폭시수지를 얻었다.
실시예9(블록 롤리이소시아네이트)
2, 4-/2, 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8:2 혼합물 291부를 반응기에 넣었다. 내부온도를 40℃에서 유지시키면서 여기에 2-에틸헥산올 218부를 첨가하여 40℃에서 30분간 더 반응시켰다. 이어서 반응혼합물을 60℃로 가열한후 트리메틸올프로판 75부 및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0.08부를 거기에 첨가하였다.
IR 스펙트림으로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흡수가 탐지되지 않을때까지 혼합물을 12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혼합물을 에틸렌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249부로 희석하였다.
실시예10(블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삼량체 199부(Nippon Polyurethane K.K에서 구입한 CORONATEHX)를 MIBK 30부와 희석시킨후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0.2부를 거기에 첨가하였다. 내부온도를 50℃로 유지시키면서 메틸에틸케톡심 87부를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IR스펙트럼으로 이소시아네이트기의 흡수가 탐지되지 않을때까지 혼합물을 70℃에서 1시간 동안 더 반응시켰다. 반응혼합물을 MIBK 36부 및 n-부탄올4부로 희석시켰다.
실시예11 내지 15 및 비교예 1 내지 2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8의 수지 및 실시예 9 내지 10의 가교제를 사용하여 다양한 접착페인트를 제조한 후 온도가 28℃인 배스에서 50 내지 250볼트로 3시간 동안 20미크론두께의 건조필름이 되도록 인산아연-처리의 강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적용하였다. 얻어진 필름을 170℃에서 20분동안 구은후 외양, 부식저항성(염 스프레이 시험) 및 균일전착성에 대해 시험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2에 나타냈다.
[표 1] 제조(부분)
[표 2] 페인트 성능
표 2의 각주:
1) JIS K5400에 따름. 값은 횡단면에서 측정한 테스트플레이트에 생긴 적갈색 도료의 너비를 나타낸다.
2) 테스트 조성물을 28℃의 온도가 유지되는 내경 140mm 및 깊이 350mm의 원통형 스테인레스강 셀(cell)에 넣었다.
400mm길이×16mm너비×0.8mm 두께의 인산아연-처리의 강조각을 17.5mm×400mm길이의 스테인레스강 파이프의 구멍에 삽입시켰다. 이 집합물을 파이프 및 조각의 하부가장자리가 물에 잠기고 셀벽에서 20mm 떨어져서 위치하도록 수직으로 액체에 침지시켰다. 집합물을 하나의 전극으로 직류전원에 연결하였다. 스테인레스강 셀을 역전극으로 사용하였다.
이어서 20미크론 두께의 필름을 형성시키는데 필요한 기정된 전압으로 3분간 양전극에 전류를 인가하였다. 코팅배스(bath)를 전탁과정동안 교반하여 와동시켰다.
이어서 강조작물을 코팅배스에서 제거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부착된 필름의 길이를 기록하였다. 균일전착성을 부착된 필름의 평균길이로 나타냈다.
실시예 17
EPIKOTE 828 752.0부, 메탄올 77.0부, MIBK 200.3부 및 N, N-디메틸벤질아민 0.3부로 반응기를 채웠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여 용액으로 만들었다. 여기에 2, 4-/2, 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8:2혼합물 174.2부를 50분간을 걸쳐 적가하였다. 발열반응에 의해 내부온도가 70℃로 증가하였다. IR스펙트럼 결과는 2280cm-1에서 이소시아노기의 부재 및 1730cm-1에서 우레탄 카르보닐의 존재를 나타내었다. N, N-디메틸벤질아민 2.7부를 첨가한 후, 463의 에폭시당량이 얻어질때까지 120℃에서 반응을 지속시켜 메탄올을 증발시켰다. 이 단계에서의 IR스펙트럼 결과는 1730cm-1에서 우레탄카르보닐의 부재 및 1750cm-1에서 옥사졸리돈카르보닐의 존재를 나타내었다.
이어서 p-노닐페놀 220.0부 및 MIBK 83.3부를 첨가하여 1146의 에폭시당량이 얻어질때까지 125℃에서 반응시켰다. 반응혼합물을 0.75mmol/g의 산당량이 얻어질 때까지 MIBK 47.0부중의 아젤라산 188.2부와 더 반응시켰다. 80%의 고체함량을 지니는 개질수지를 얻었다. 이 수지를 70℃로 냉각시키고 실시예10의 가교제 1270.9부, 디부틸렌디라우레이트33.4부 및 트리에틸아민 40.4부와 완전히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탈이온수 7633부로 희석하여 20%의 고체함량을 지니는 유화액으로 만들었다. 이 유화액을 160볼트에서 3분간 인산아연-처리의 강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적용하였다. 양질의 외양을 지니는 20미크론 두께의 경화된 필름을 얻었다.
실시예 18
EPIKOTE 828 649.4부, 메탄올 56.0부, MIBK 84.0부 및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0.2부로 반응기를 채웠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여 용액으로 만들었다. 여기에 2, 4-/2, 6-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의 8:2 혼합물을 적가하였다. 발열반응에 의해 내부온도가 80℃로 증가하였다. IR스펙트럼 결과는 2280cm-1에서 이소시아네이트기의 부재 및 1730cm-1에서 우레탄카르보닐의 존재를 나타내었다.
N, N-디메틸벤질아민 2.0부를 첨가한후, 338의 에폭시등가물이 얻어질때까지 120℃에서 반응을 지속시켜 메탄올을 증발시켰다. 이 단계에서의 IR스펙트럼 결과는 1730cm-1에서 우레탄카르보닐의 부재 및 1750cm-1에서 옥사졸리돈카르보닐의 존재를 나타내었다. 이어서 PCL-205H 265.0부 및 N, N-디메틸벤질아민 2.0부를 첨가한후 1040의 에폭시당량이 얻어질때까지 125℃에서 반응시켰다. 이 반응생성물을 MIBK 47.2부의 아젤라산 188.2부와 115℃에서 반응시켜 90%의 고체함량을 지니는 개질수지 및 0.81mmol/g의 산당량을 만들었다. 70℃로 냉각시킨후, 수지를 실시예 9의 가교제 1170.7부, 디부틸틴티라우레이트 30.7부 및 트리에틸아민 40.4부와 완전히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탈이온수 8110부로 희석하여 20%의 고체함량을 갖는 유화액으로 만들었다. 이 유화액을 160볼트에서 3분동안 인산아연-처리된 강플레이트에 전기적으로 적용한후, 170℃에서 20분간 소성하였다. 양질의 외양과 20미크론의 필름두께를 지니는 경화된 필름을 얻었다.

Claims (12)

  1. 친수성 개질수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식에서 R은 글리시딜옥시기가 제거된 디글리시딜 에테르 또는 에스테르화합물의 잔기이고, R'은 이소시아네이트기가 제거된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잔기이고, 및 n은 정수를 나타낸다)의 옥사졸리돈 고리-함유 에폭시수지(a)를 활성수소원자/에폭시기 비에 의하여 화학양론적인 양보다 적게 1가알코올, 2가알코올, 상기 1가- 및 2가알코올의 혼합물, 모노카르복실산, 디카르복실산 및 상기 모노- 및 디카르복실산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1활성수소화합물(b)과 반응시키는 단계; 및 얻어진 생성물을 적어도 잔존하는 에폭시기에 비례하는 양으로 이온성기를 상기의 개질된 친수성수지로 삽입시킬 수 있는 제2활성수소화합물(c)과 반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옥사졸리돈 고리-함유 에폭시수지는 상기의 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그것의 블록생성물을 지닌 상기의 디글리시딜에테르 또는 에스테르기의 반응생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제1활성수소화합물(b)은 지방족 2가알코올, 지환식 2가알코올, 방향족 디히드록실 화합물, 2관용성 폴리에스테르 다가알코올 또는 2 관용성 폴리에테르 다가알코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제1수소활성화합물(b)은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카르복실말단의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제1활성수소화합물(b)은 지방족 1차알코올 또는 모노페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제1활성수소화합물(b)은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 또는 방향족 모노카르복실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의 제2활성수소화합물(c)은 1차아민, 2차아민, 3차아민의 산부가염 또는 황화물-산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활성수소화합물은 폴리카르복실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친수성 개질수지.
  10. 가교제 및 중성화제를 함유하는 수성매체에 분산되어 있는 제9항의 친수성 개질수지를 포함하는 수성페인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블록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페인트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멜라민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성페인트.
KR1019920023387A 1991-12-06 1992-12-05 옥사졸리돈 고리를 포함하는 친수성수지 및 그것을 포함하는 코팅조성물 KR01365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349631 1991-12-06
JP34963191 1991-1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6567B1 true KR0136567B1 (ko) 1998-04-25

Family

ID=18405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3387A KR0136567B1 (ko) 1991-12-06 1992-12-05 옥사졸리돈 고리를 포함하는 친수성수지 및 그것을 포함하는 코팅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276072A (ko)
EP (1) EP0546479B1 (ko)
KR (1) KR0136567B1 (ko)
CA (1) CA2084455C (ko)
DE (1) DE6921873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2189A (en) * 1992-10-19 1993-12-21 Ppg Industries, Inc. Reduced yellowing electrodepositable coating composition
TW319781B (ko) * 1993-05-17 1997-11-11 Nippon Painting Co Ltd
JP2829814B2 (ja) * 1993-05-17 1998-12-02 日本ペイント株式会社 ソフトセグメントを含んでいる電着用変性エポキシ樹脂
JPH07233238A (ja) * 1994-02-22 1995-09-05 Nippon Paint Co Ltd 硬化剤およびそれを含むカチオン電着塗料組成物
KR0168710B1 (ko) 1994-08-11 1999-01-15 후지이 히로시 내식성 음극전착도료
JPH09188736A (ja) * 1996-01-08 1997-07-22 Nippon Paint Co Ltd 表面平滑性にすぐれたカチオン電着塗料
US6020069A (en) * 1998-06-18 2000-02-0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Cathodic electrocoating composition containing an epoxy resin chain extended with a primary amine
US6509099B1 (en) * 1999-08-02 2003-01-21 Nkk Corporation Phosphate-treated steel plate
JP2002285392A (ja) * 2001-03-28 2002-10-03 Nippon Paint Co Ltd 電着塗装方法
JP2003138202A (ja) * 2001-11-07 2003-05-14 Nippon Paint Co Ltd 抗菌性無鉛性カチオン電着塗料組成物
EP1546271B1 (en) * 2002-10-01 2016-03-30 PPG Industries Ohio, Inc. Electrodepositable coating compositions and related methods
JP2008538383A (ja) * 2005-04-07 2008-10-23 日本ペイント株式会社 複層塗膜形成方法
EP1818044A1 (en) 2005-11-25 2007-08-15 DSMIP Assets B.V. Cosmetic or personal care composition comprising a polymer comprising oxazolidon groups
JP5555569B2 (ja) 2010-07-27 2014-07-23 日本ペイント株式会社 硬化電着塗膜および多層塗膜の形成方法
KR20180066107A (ko) * 2015-10-13 2018-06-18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고처리량 제조 공정에서 사용하기 위한 속경화 에폭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6402807A (ko) * 1963-04-23 1964-10-26
US3694406A (en) * 1970-07-31 1972-09-26 Us Air Force Preparation of polyoxazolidones
AT393686B (de) * 1990-03-22 1991-11-25 Vianova Kunstharz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kationischen lackbindemitteln und deren verwendung
CA2038786A1 (en) * 1990-03-22 1991-09-23 Rudolf Schipfer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cationic binders for coatings and their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218733T2 (de) 1997-11-27
EP0546479B1 (en) 1997-04-02
CA2084455C (en) 1996-09-17
CA2084455A1 (en) 1993-06-07
EP0546479A1 (en) 1993-06-16
DE69218733D1 (de) 1997-05-07
US5276072A (en) 1994-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6567B1 (ko) 옥사졸리돈 고리를 포함하는 친수성수지 및 그것을 포함하는 코팅조성물
KR100211079B1 (ko) 전착에 사용하기 적합한 양이온 수지 및 캡핑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경화제
JP2983370B2 (ja) 電着塗料組成物
JP3345687B2 (ja) オキサゾリドン環含有水性樹脂および塗料
JP2001509833A (ja) 陽イオン電着塗料用の水性結合剤分散液
EP0249884B2 (en) Resin composition for use in electrodeposition paints
JPH0826254B2 (ja) 電着への使用に適するブロックイソシアネート基を含有するカチオン性樹脂
US6664345B2 (en) Oxazolidone ring-containing epoxy resin
KR20060129973A (ko) 아민 변성 에폭시 수지의 제조방법 및 양이온 전착 도료조성물
JP2005502759A (ja) ヒドロキシル−カーボネートブロックポリイソシアネート架橋剤を含有する陰極電着組成物
US5770642A (en) Cathodic electrodeposition paint
JP4430759B2 (ja) アミノポリエーテル変性エポキシ樹脂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カチオン電着塗料組成物
US20050279633A1 (en) Cationic electrodeposition coating composition
US5057556A (en) Coating compositions comprising non-gelled amine-epoxide reaction products
JP3490991B2 (ja) カチオン性塗料組成物
JPH04502933A (ja) 導電性支持体の被覆法、水性ラッカー、ウレタン基含有付加生成物の製法及びウレタン基含有付加生成物
KR0156620B1 (ko) 연질 세그먼트-함유 변성 에폭시 수지 및 그것을 함유하는 양이온 전착용 페인트
JP3168381B2 (ja) セリウムを含む陰極電着塗料組成物
WO1992002589A1 (en) Amide diol extended cathodic electrodeposition resins
JP4460699B2 (ja) 可塑剤を含むカチオン電着塗料組成物
JP2000007960A (ja) 鉛フリーカチオン電着塗膜の暴露耐食性を向上させる方法
JPH07331130A (ja) カチオン性電着塗料用樹脂組成物
JP2004339524A (ja) 熱硬化性カチオン性塗料組成物
JPH09235495A (ja) 低鉛含有カチオン電着塗料
JP2002241690A (ja) カチオン性塗料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5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