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529Y1 - 사출 금형 - Google Patents

사출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529Y1
KR0136529Y1 KR2019930028784U KR930028784U KR0136529Y1 KR 0136529 Y1 KR0136529 Y1 KR 0136529Y1 KR 2019930028784 U KR2019930028784 U KR 2019930028784U KR 930028784 U KR930028784 U KR 930028784U KR 0136529 Y1 KR0136529 Y1 KR 013652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roduct
injection mold
slide core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87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7246U (ko
Inventor
김영규
Original Assignee
이대원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원,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대원
Priority to KR20199300287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6529Y1/ko
Publication of KR95001724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724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52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52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4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 B29C45/4435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for undercut articles using inclined, tiltable or flexible undercut forming elements driven by the ejector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출금형을 개시한다.
본 고안은 상호 형합된 상하부 금형과, 이 상하부 금형과 결합되어 성형하고자하는 제품과 동일한 형상의 캐비티를 형성하는 슬라이드 코어을 구비하여 구성된 사출금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상기 캐비티를 이루는 슬라이드 코어가 복수개로 분할되어 형분리시 순차적으로 분리되는 것에 특징이 있으며, 이는 형분리에 따른 이형저항을 극소화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사출 금형
제1도는 종래 사출금형을 도시한 입단면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사출금형을 도시한 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상부금형 22 : 하부금형
30 : 슬라이드 코어 31 : 분할코어
본 고안은 사출금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금형의 분리시 성형된 제품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사출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사출금형은 상부금형과 하부 금형이 상호 형합되어 성형하고자하는 제품이 형상과 동일한 캐비티가 형성되도록 하고 이 캐비티에 용융된 수지를 주입하여 제품을 성형하게 된다. 그러나 성형하고자 하는 제품의 형상이 복잡하여 상하부 금형으로서의 성형시 형분리가 되지 않은 경우에는 슬라이드 코어를 설치하여 상하부 금형이 형분리되지 않는 부분을 성형하고 있다.
제1도에는 이러한 슬라이드 코어가 설치된 사출금형의 일예를 나타내 보였다.
이것은 상호 형합된 상하부 금형(11)(12)과, 이 상하부 금형(11)(12)과 결합되어 성형하고자하는 제품과 동일한 형상의 캐비티를 형성하는 슬라이드 코어(13)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사출금형은 상하부 금형(11)(12)과 슬라이드 코어(13)가 형합된 상태에서 상기 캐비티에 용융된 수지를 주입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된 후 형을 분리하게 되는데, 상기 슬라이드 코어(13)의 분리시 제품이 변형되게 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었다. 즉, 슬라이드 코어(13)는 제품의 형상이 복잡한 부분이나 취약한 부분을 성형하게 되는데, 슬라이드 코어(13)이 형 분리시 성형된 제품(10)의 온도가 금형의 온도보다 높으므로 형분리에 따른 제품과 코어와의 이형 저항이 외력의 형태로작용하게 되어 제품이 변형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형 분리에 따른 형과 제품과의 분리저항을 극소화하여 형분리시 제품의 변형을 극소화 할 수 있는 사출금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품이 지지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형을 분리하여 제품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사출금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호 형합된 상하부 금형과, 이 상하부 금형과 결합되어 성형하고자하는 제품과 동일한 형상의 캐비티를 형성하는 슬라이드 코어를 구비하여 구설된 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를 이루는 슬라이드 코어가 복수개로 분할되어 형분리시 순차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사출금형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하부 금형(21)(22)과 슬라이드 코어(30)가 상호 형합되어 성형하고자하는 제품의 캐비티(25)을 형성하게 되는데, 슬라이드 코어(30)은 캐비티(25)의 일부를 이루는 면적을 복수개로 분할하고 이 분할된 각 면적마다 접촉되는 복수개의 분할 코어(31)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분할 코어(31)는 실린더, 전자변등에 의해 개별적이 이송이 가능하거나 일측 분할코어의 형분리 후 인접하는 분할코어가 연동되어 분할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사출금형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사출금형을 이용하여 제품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상하부 금형(21)(22)과 슬라이드 코어(30)을 형합하여 성형하고자 하는 제품의 형상과 동일한 캐비티를 하고 이 캐비티에 용융된 수지를 주입한다. 그리고 용융된 수지의 주입이 완료되면 형합된 사출금형을 분리하게 되는데, 상기 슬라이드 코어(30)은 복수개의 분할 코어(31)로 이루어져 있고 순차적으로 분리되게 되어 있으므로 성형된 수지의 변형을 극소화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슬라이드 코어(30)는 다단으로 분리되어 성형의 완료된 제품의 표면과 접촉되는 접촉저항을 극소화 할 수 있으므로 분할 코어(31)의 형분리에 따른 이형 저항을 줄여 성형품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형분리에 따른 이형 저항은 형과 성형된 제품과의 접촉면적에 비례하게 되는데, 본 고안에 따른 사출금형의 슬라이드 코어(30)은 복수개의 분할 코어(31)로 분할되어 있으므로 형성품과의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줄어 이형저항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사출금형은 복수개의 분할 코어(31)중 적어도 하나의 분할코어가 분할되는 동안 다른 분할코어는 사출성형품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형분리에 다른 성형품의 변형을 극소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고안 사출금형은 형분리에 따른 이형저항을 극소화할 수 있으므로 성형품의 치수 및 형상의 안정화를 기할 수 있으며, 제품이 성형 온도에 따른 영향을 줄일 수 있다.

Claims (1)

  1. 상호 형합된 상하부 금형과, 이 상하부 금형과 결합되어 성형하고자하는 제품과 동일한 형상의 캐비티를 형성하는 슬라이드 코어를 구비하여 구성된 사출금형에 있어서, 상기 상기 캐비티를 이루는 슬라이드 코어가 복수개로 분할되며 형분리시 순차적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금형.
KR2019930028784U 1993-12-21 1993-12-21 사출 금형 KR013652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8784U KR0136529Y1 (ko) 1993-12-21 1993-12-21 사출 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8784U KR0136529Y1 (ko) 1993-12-21 1993-12-21 사출 금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246U KR950017246U (ko) 1995-07-20
KR0136529Y1 true KR0136529Y1 (ko) 1999-05-15

Family

ID=19371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8784U KR0136529Y1 (ko) 1993-12-21 1993-12-21 사출 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652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246U (ko) 199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41509A1 (en) Injection mold for over-molding articles and an injection molding machine and method therefore
US2876499A (en) Methods of molding plastic material around flexible inserts
KR0136529Y1 (ko) 사출 금형
US4073854A (en) Method of multi-material injection moulding
KR100320515B1 (ko) 실리콘 고무를 이용한 금형 제조 방법
JPH08108451A (ja) 多色成形方法
JP3724243B2 (ja) 成形金型構造およびその成形品構造
KR900005803Y1 (ko) 사출금형의 3단 금형을 이용한 언더컷 처리장치
JPH0538892Y2 (ko)
JP3579839B2 (ja) 成形品の製造用型及び製造方法
JP2745261B2 (ja) 成形方法
JPS59218736A (ja) 半導体樹脂封止装置
JPH0243609B2 (ja) Shashutsuseikeiyonotsukidashipinkoteihoho
JP2985291B2 (ja) インサート成形品
KR900005724Y1 (ko) 사출금형의 3단 취출장치
JP2658362B2 (ja) 射出成形用金型
KR200144524Y1 (ko) 사출금형
JPH07195453A (ja) プラスチック成形型およびその成形品
JPH0214825Y2 (ko)
JPH03132321A (ja) 合成樹脂製パレットの製造方法
JPH07156190A (ja) インサート成形方法
JPS59201429A (ja) 半導体樹脂封止装置
JP2000158466A (ja) フェノール樹脂成形品
KR19990033888U (ko) 사출금형에 있어서 바아(bar)를 이용한 언더컷홀(undercut hole)성형장치
JPS6241009A (ja) アウトサ−ト成形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2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