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6469Y1 - 워터디스펜서용 밸브장치 - Google Patents

워터디스펜서용 밸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6469Y1
KR0136469Y1 KR2019960035955U KR19960035955U KR0136469Y1 KR 0136469 Y1 KR0136469 Y1 KR 0136469Y1 KR 2019960035955 U KR2019960035955 U KR 2019960035955U KR 19960035955 U KR19960035955 U KR 19960035955U KR 0136469 Y1 KR0136469 Y1 KR 01364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water dispenser
valve device
guide tub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359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2602U (ko
Inventor
오길수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600359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6469Y1/ko
Priority to JP9294672A priority patent/JPH10148438A/ja
Publication of KR199800226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260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64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646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물탱크의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를 개폐하는 워터디스펜서용 밸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밸브체와, 상기 밸브체에 연결된 자성체와, 전원의 공급시 자기를 발생하며 전원의 단속에 따라 상기 자성체를 상기 밸브체가 개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자기구동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디스펜서용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의해, 보다 안전하고 비용이 절감된 워터디스펜서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워터디스펜서용 밸브장치.
본 고안은, 워터디스펜서용 밸브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7은 종래의 워터디스펜서를 나타낸 냉장고 내부의 부분 측단면도이다. 냉장고는 격벽(55)에 의하여 상하로 구획되며, 상부에는 냉장실(51)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냉동실(52)이 형성되어 있다. 냉장실(51) 및 냉동실(52)에는 각각 도어(53, 54)가 부속되어 있다. 냉장실(51)의 하단 일측에는 물탱크(61)가 설치되어 있고, 냉동실(52)의 상단 일측에는 제빙장치(75)가 설치되어 있다. 제빙장치(75)는 급수관(77)을 통하여 물탱크(61)로부터 물을 공급받으며, 급수관(77)은 물탱크(61)의 하단에 접속되어 격벽(55)을 관통한 다음 제빙장치(75)의 제빙을 위한 물을 수용하는 트레이(71)에 그 자유단이 이어져 있다. 제빙장치(75)는 제빙을 위한 물을 수용하는 트레이(71)와, 트레이(71)로부터 이탈되는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큐브(72)와, 만들어진 얼음을 트레이(71)로부터 이탈시키는 이빙모터(73)로 이루어져 있다.
냉장실(51)의 하단 일측에 설치된 물탱크(61)의 하부에는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으며, 배출구의 하부에는 물탱크(61)에 대한 급수관(77)의 접속부내로 물의 공급을 단속하기 위한 밸브장치(70)가 마련되어 있다.
도 8은 도 7의 밸브장치의 부분 확대단면도이다. 밸브장치(70)는 밸브체(68)의 개폐구동수단으로서 전원의 인가에 의해 작동하는 솔레노이드(89)를 채용하고 있다. 밸브장치(70)에는 밸브축(63)과, 밸브축(63)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밸브축(63)이 물탱크(61)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밸브판(64)으로 형성된 밸브체(68)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밸브체(68)의 하부에는 솔레노이드축(88)과 접촉하는 밀판(85)이 마련되어, 연결간(86)에 의해 밸브체(68)와 연결되어 있다.
배출구의 주위에는 상하방향으로 물탱크(61)와 일체로 형성되어 밸브장치(70)를 지지하는 지지관(6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연결간(86)은 물탱크(61)에서 연장형성된 연결간지지부(66)에 의해 지지되며, 연결간지지부(66)에는 물의 통과를 용이하게 하는 다수의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연결간지지부(66)와 밀판(85)의 사이에는 스프링(76)이 개재되어 배출구가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한 밸브체(68)를 복귀시킨다.
밸브체(68)에 연결된 밀판(85)의 하부에는 자기를 발생시키는 솔레노이드(89)와, 자기가 발생하면 상향 이동하는 솔레노이드축(88)이 형성되어 있다. 솔레노이드축(88)은 물탱크케이스(62)를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물탱크케이스(62)의 솔레노이드축(88)이 관통된 부분에는 관통부분을 통하여 솔레노이드(89)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막(97)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자기가 발생하여 솔레노이드축(88)이 구동하면, 밀판(85)이 밀리게 되고 밸브체(68)가 상향 이동되어 물이 급수관(77)을 따라 제빙장치(75)로 공급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워터디스펜서용 밸브장치(70)는, 물탱크(61)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솔레노이드(89)에 물이 유입되었을 경우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점과, 솔레노이드(89)의 단가가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보다 안전하고 비용이 절감된 워터디스펜서용 밸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워터디스펜서용 밸브장치를 구비한 냉장고내부의 부분측단면도,
도 2는 도 1의 밸브장치의 부분 확대단면도,
도 3은 자성체지지체의 평면도,
도 4는 자기구동부의 사시도,
도 5는 다른 자기구동부의 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또 다른 자기구동부의 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워터디스펜서를 나타낸 냉장고내부의 부분 측단면도,
도 8은 도 7의 밸브장치의 부분 확대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물탱크 12 : 물탱크케이스
17 : 안내관 18 : 밸브체
29 : 자기구동부 30 : 자기작용부
27, 31 : 자기아암 28, 32 : 연결부
34 : 자성체 35 : 자성체지지체
36 : 스프링 26, 39, 44 : 전자석
40 : 고정축
상기 목적은, 물탱크의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를 개폐하는 워터디스펜서용 밸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밸브체와, 상기 밸브체에 연결된 자성체와, 전원의 공급시 자기를 발생하며 전원의 단속에 따라 상기 자성체를 상기 밸브체가 개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자기구동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디스펜서용 밸브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밸브장치는 상기 배출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자성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안내관을 가지며, 상기 자기구동부는 상기 안내관의 외측에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안내관에는 급수관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밸브체는 상기 물탱크측에서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며, 상기 자기구동부는 상기 밸브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자성체를 구동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상기 자성체는 영구자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자성체는 다수의 반경방향의 리브를 갖는 자성체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상기 자기구동부는, 전자석과, 상기 안내관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자석으로부터의 자기를 공급받아 상기 자성체를 구동하는 자기작용부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자기작용부는, 상기 안내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자기아암과, 상기 자기아암의 일단부를 상호연결하는 연결부를 갖도록 구성하고,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전자석은 자기안내봉에 의해 자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자기작용부는, 상기 안내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자기아암과, 상기 자기아암의 일단부를 상호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전자석은 상기 연결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기구동부는, 상기 안내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전자석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워터디스펜서용 밸브장치를 구비한 냉장고 내부의 측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격벽(5)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냉장실(1)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는 냉동실(2)이 마련되어 있다. 냉장실(1)과 냉동실(2)에는 각각 도어(3,4)가 부속되어 있다. 냉동실(2)의 상부 일측에는 제빙을 위한 제빙장치(25)가 마련되어 있다. 제빙장치(25)는 제빙을 위한 물을 수용하는 트레이(21)와, 트레이(21)로부터 이탈되는 얼음을 저장하는 얼음큐브(22)와, 트레이(21)에 만들어진 얼음을 트레이(21)로부터 이탈시키는 이빙모터(23)로 이루어져 있다.
냉장실(1)의 하부 일측에는 물탱크케이스(12)에 의해 고정지지되고, 냉동실(2)의 상부에 설치된 제빙장치(25)에 물을 공급하며, 하부에 배출구가 형성된 물탱크(11)가 설치되어 있다. 배출구의 하부에는 배출구를 개폐하는 밸브장치(20)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밸브장치(20)의 하부에는 제빙장치(25)의 트레이(21)로 물을 급수하는 급수관(32)이 격벽(5)을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다.
도 2는 도 1의 밸브장치(20)의 부분 확대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탱크(11)의 하부에는 밸브장치(20)를 상하로 안내하는 안내관(17)이 물탱크(1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안내관(17)의 하부에는 급수관(32)을 향해 물을 급수하는 급수공(1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관(17)의 상부에는 안착턱(15)이 형성되어 밸브축(13)과 밸브축(13)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밸브판(14)으로 이루어진 밸브체(18)가 안착된다. 밸브체(18)의 하부에는 자성체가 삽입되어 안내관(17)내에서 배출구가 개폐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자성체지지체(35)가 마련되어 있다. 이 자성체지지체(35)와 밸브체(18)는 연결간(37)에 의해 연결되어 일체로 이동하며, 연결간(37)은 안내관(17)에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된 연결간지지부(16)에 의해 지지된다.
안내관(17)의 외측에는 자기를 구동하는 자기구동부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관(17)의 측벽에는 자기구동부의 전자석으로부터 발생한 자기에 의해 자화되는 자기아암(31)이 개재되어 있으며, 자기아암(31)은 물탱크케이스(12)의 하부에 돌출형성된 고정턱(38)에 의해 고정된다. 자화된 자기아암(31)은 자성체(34)를 구동하여 자성체지지체(35)를 배출구가 개구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자성체지지체(35)와 연결된 밸브체(18)도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배출구가 개구되는 방향으로 이동한 밸브체(18)는 연결간지지부(16)와 자성체지지체(35)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스프링(36)에 의해 배출구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복귀한다.
도 3은 자성체지지체의 단면도이다. 자성체지지체(35)는 중앙영역에 자성체(34)가 삽입되어 있고, 자성체(34)의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된 다수의 리브(47)를 가지며, 각 리브(47)의 사이에는 물을 급수관(32)으로 유도하는 배출공(46)이 형성된다. 이러한 자성체지지체(35)와 마찬가지로 연결간지지부(16)도 다수의 리브가 형성되어 배출구를 통해 급수되는 물을 안내한다.
도 4는 자기구동부의 사시도이다. 자기구동부(30)는 한 쌍의 자기아암(31)과,자기아암(31)의 일단을 상호연결하는 연결부(32)를 가지며, 이 연결부(32)에는 자기를 발생시키는 전자석(39)이 자기안내봉(33)에 의해 상호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자석(39)에 자기가 발생하면, 안내관의 측벽에 설치된 자기아암(31)이 자기에 의해 자화되고 자성체가 구동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전원이 인가되면 전자석(39)에 자기가 발생하고, 발생하는 자기는 자기안내봉(33)과 안내관(17)의 외측에 형성되어 있는 자기작용부(30)를 자화시킨다. 자화된 자기작용부(30)에 의해 자성체(34)는 안내관(17) 외부의 자기아암(31)과 평행위치까지 이동하고, 이에 의해, 밸브체(20)가 상향이동된다. 그리고, 벨브체(20)가 상향이동하면 물탱크(11)의 물이 안내관(17)을 통해 하부의 급수관(27)으로 공급된다. 여기서, 일정량의 물이 제빙장치(25)의 트레이(21)에 공급되면 전원이 차단되고, 상향이동된 밸브체(20)는 안내관(17)내에 설치된 스프링(36)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복귀함으로써 물의 공급이 차단된다. 이에 의해, 배출구에서 배출되는 물은 안내관(17)을 지나 급수관(27)을 통해 트레이(21)에 공급되어, 급수유로상에 전자석(39)이 마련되지 않으므로, 종전과 같이 전자석(39)으로 물이 유입될 염려가 없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다른 자기구동부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상기 예와는 달리 자기구동부(29)는 한 쌍의 자기아암(27)과 자기아암(27)을 상호연결하는 연결부(28)와, 연결부(28)에 마련된 전자석(26)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의해, 전자석(26)에서 발생한 자기가 직접 자기아암(27)을 자화시켜 자성체가 이동하게 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또 다른 자기구동부의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석(44)이 안내관(17)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어서, 전자석(44)이 자기작용부(30)와 자기구동부(29)의 역할을 모두 하게 된다. 전자석(44)은 물탱크케이스(12)의 하부에 생성된 고정축(40)에 의해 고정지지되고, 고정축(40)의 하부에는 전자석(44)을 물탱크케이스(12)의 하부에 고정시키는 절연와셔(41)와 볼트(42)가 고정축(40)에 체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전자석(44)이 자기를 발생시키면, 안내관(17)내부의 자성체(34)에 자기가 직접 작용하여 자성체(34)를 밸브체(18)가 열리는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전자석(26,39,44)을 밸브장치(18)를 안내관(17)의 외측에 마련함으로써, 급수과정에서 급수유로상에 전자석(26,39,44)이 위치하지 않으므로 누수로 인한 전기적인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기존의 값비싼 솔레노이드 대신 값싼 부속들을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안전하고 비용이 절감된 워터디스펜서용 밸브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10)

  1. 물탱크의 하단에 형성된 배출구를 개폐하는 워터디스펜서용 밸브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밸브체와, 상기 밸브체에 연결된 자성체와, 전원의 공급시 자기를 발생하며 전원의 단속에 따라 상기 자성체를 상기 밸브체가 개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자기구동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디스펜서용 밸브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자성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는 안내관을 가지며, 상기 자기구동부는 상기 안내관의 외측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디스펜서용 밸브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관에 급수관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디스펜서용 밸브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구동부는 상기 밸브체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자성체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디스펜서용 밸브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영구자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디스펜서용 밸브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는 다수의 반경방향의 리브를 갖는 자성체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디스펜서용 밸브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구동부는, 전자석과, 상기 안내관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전자석으로부터의 자기를 공급받아 상기 자성체를 구동하는 자기작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디스펜서용 밸브장치.
  8.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작용부는, 상기 안내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자기아암과, 상기 자기아암의 일단부를 상호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연결부와 상기 전자석은 자기안내봉에 의해 자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디스펜서용 밸브장치.
  9.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작용부는, 상기 안내관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자기아암과, 상기 자기아암의 일단부를 상호연결하는 연결부를 가지며, 상기 전자석은 상기 연결부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디스펜서용 밸브장치.
  10.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구동부는, 상기 안내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 쌍의 전자석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디스펜서용 밸브장치.
KR2019960035955U 1996-10-28 1996-10-28 워터디스펜서용 밸브장치 KR01364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955U KR0136469Y1 (ko) 1996-10-28 1996-10-28 워터디스펜서용 밸브장치
JP9294672A JPH10148438A (ja) 1996-10-28 1997-10-27 冷蔵庫用給水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35955U KR0136469Y1 (ko) 1996-10-28 1996-10-28 워터디스펜서용 밸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602U KR19980022602U (ko) 1998-07-25
KR0136469Y1 true KR0136469Y1 (ko) 1999-03-20

Family

ID=19471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35955U KR0136469Y1 (ko) 1996-10-28 1996-10-28 워터디스펜서용 밸브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10148438A (ko)
KR (1) KR0136469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7685A (ja) * 2003-09-29 2005-05-19 Sanyo Electric Co Ltd 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
KR100756450B1 (ko) 2006-06-23 2007-09-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물탱크
KR102141047B1 (ko) * 2013-05-28 2020-08-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야채실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CN106765796A (zh) * 2017-01-11 2017-05-31 欧兰普电子科技(厦门)有限公司 一种磁悬浮式加水装置及空气加湿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2602U (ko) 1998-07-25
JPH10148438A (ja) 1998-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65073A (en) Liquid level control for refrigeration system
US5555743A (en) Apparatus for water supply of automatic ice making apparatus
US4441860A (en) Water level detector apparatus of float type
RU98103271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ачи воды из холодильника (варианты)
EP0685671B1 (en) A fluid supply valve
JPH09229531A (ja) 冷蔵庫用自動飲料補充装置
KR100187283B1 (ko) 냉장고의 음료공급장치
JPH0493568A (ja) 製氷機
US3134404A (en) Electro-magnetically operated floating armature valves
KR0136469Y1 (ko) 워터디스펜서용 밸브장치
PT1759068E (pt) Dispositivo de descarga automático com válvula magnética
US20110016968A1 (en) Metering device
US6435377B1 (en) Frozen dessert dispenser
US3721783A (en) Overflow float arrangement for dishwasher
US4499348A (en) Magnetic float controlled electric switch
KR940009640A (ko) 자동 제빙장치의 급수장치
KR100286827B1 (ko) 유압매체유동제어장치
GB2028160A (en) Water softening apparatus
KR100197690B1 (ko) 냉장고의 물분배기
KR19980027737A (ko) 냉장고용 급수장치
US20050263186A1 (en) System for controlling filling of a motor-vehicle tank with LPG, and a servo valve used therein
KR100213139B1 (ko) 디스펜서를 갖는 냉장고의 급수제어방법
JPS5933915Y2 (ja) 空気圧縮機
JPH05290698A (ja) フロートスイッチ
KR100698351B1 (ko) 솔레노이드 및 솔레노이드 밸브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3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