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1047B1 - 냉장고용 야채실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야채실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1047B1
KR102141047B1 KR1020130060552A KR20130060552A KR102141047B1 KR 102141047 B1 KR102141047 B1 KR 102141047B1 KR 1020130060552 A KR1020130060552 A KR 1020130060552A KR 20130060552 A KR20130060552 A KR 20130060552A KR 102141047 B1 KR102141047 B1 KR 1021410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refrigerator
opening
vegetable room
out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05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9880A (ko
Inventor
박아름
이상균
박용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605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047B1/ko
Priority to EP14170005.4A priority patent/EP2808628B1/en
Priority to CN201410232057.4A priority patent/CN104215026B/zh
Priority to CN201910635800.3A priority patent/CN110319641B/zh
Priority to CN201410230991.2A priority patent/CN104215019B/zh
Priority to US14/289,013 priority patent/US9239185B2/en
Priority to US14/289,026 priority patent/US9303917B2/en
Publication of KR20140139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9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0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0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1/00Defrosting; Preventing frosting; Removing condensed or defrost water
    • F25D21/14Collecting or removing condensed and defrost water; Drip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25D23/082Strips
    • F25D23/085Breaking stri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5/00Charging, supporting or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5/021Shelves with several possible configurations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야채실 및 냉장고는,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저장물의 저장공간인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드로워; 상기 케이스의 하면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의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 내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케이스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가 해소되는 경우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냉장고용 야채실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VEGETABLES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장고용 야채실 및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저장실의 내부로 공급되는 냉기에 의해 저장물이 장기간 신선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저장실의 내부에 공급되는 냉기는 냉매의 열교환 작용에 의해서 생성된다. 저장실의 내부로 공급된 냉기는 대류에 의해서 저장실 내부에 고르게 전달되어 음식물을 원하는 온도로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냉장고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의 내부에 음식물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전면이 개방된 형태의 저장실을 구비한다. 그리고, 저장실의 전면에는 저장실의 개폐를 위한 도어가 설치된다. 도어는 본체에 힌지 결합되고 회동하여 저장실을 개폐한다.
이러한 냉장고는 통상적으로 야채를 수납 보관할 수 있는 냉장고용 야채실이 구비된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냉장고에 야채를 보관하는 경우에 최고의 신선도를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으므로 야채가 수납되는 공간이 최적의 조건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도 17은 종래 기술에 의한 냉장고용 야채실(1000)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냉장고용 야채실(1000)은 케이스(1100)와 드로워(1300)로 구성된다.
2박스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 드로워(1300)가 드로워 타입으로 케이스(1100)에 내입되어 닫히면서 야채실 내부는 밀폐되어 약진공 상태를 유지되어, 보관된 야채의 신선도를 향상시킨다.
이러한 기존의 이중박스 형태(two box type)는 서랍으로 밀폐하여 식품을 신선하고 오래 보관할 수 있게 하는데, 종래의 경우 밀폐 서랍(1300) 또는 야채실(1000)에 진공펌프를 장착하여 일정한 압력을 걸어서 야채실 내부의 진공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식품을 신선하고 오래 보관한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드로워(1300)가 내입되는 케이스(1100)의 개구는 케이스(1100)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케이스의 내부 방향으로 변형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케이스(1100)가 변형되는 경우 드로워(1300)와 케이스(1100) 사이의 밀폐가 해제되면서 외부의 공기가 케이스(1100) 내부로 유입되어서, 케이스(1100) 내의 약진공 상태가 해제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케이스(1100) 내부의 온도가 하강하면, 케이스(1100)의 내부에 이슬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케이스(1100) 내부에 발생한 이슬은 케이스(1100)의 내면에 맺혀서 사용자의 육안에 인식되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케이스(1100) 내부에 발생한 이슬이 적하되어 내부에 보관된 식품과 접촉되는 경우, 식품의 짓무름 현상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케이스(1100) 내부에 발생한 이슬이 케이스(1100)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4317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냉장고용 야채실의 내부를 약 진공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냉장고용 야채실 및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냉장고용 야채실의 내부에 발생되는 이슬을 사용자의 육안으로 관찰할 수 없도록 하고, 집수부로 안내하는 냉장고용 야채실 및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냉장고용 야채실의 내부에 발생되는 이슬을 간단하게 배출할 수 있는 냉장고용 야채실 및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야채실 및 냉장고는,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저장물의 저장공간인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드로워; 상기 케이스의 하면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의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 내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케이스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가 해소되는 경우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실시예는 개구부의 테두리를 아치형 구조로 설계하여서, 케이스의 개구부 주변이 케이스의 내부로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의 테두리에 플랜지를 형성하여서, 개구부의 테두리의 처짐을 방지하고, 밀폐부재와 드로워가 접촉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개구부의 테두리에 인접하여 보강부재가 결합되어서, 개구부 테두리에 변형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개구부 테두리의 변형이 억제되므로, 야채실 내부를 지속적으로 약 진공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케이스의 내면에 형성된 안내유로에 의해 케이스의 내면에 형성된 이슬이 골로 이동되어서 사용자의 육안에 보이게 되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케이스의 상면이 케이스의 측면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케이스의 상면에 형성된 물을 중력에 의해 케이스의 측면 방향으로 효과적으로 인도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케이스의 하면이 집수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서, 케이스의 상면 및 측면에서 유도된 물이 집수부로 효과적으로 인도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배출구에 개폐밸브가 형성되어서, 케이스 내부의 물을 손 쉽게 배출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실시예는 평상 시에는 탄성스프링의 외력에 의해 배출구가 개폐밸브에 의해 밀폐되므로, 케이스 내부의 약진공 상태를 유지하고, 드로워를 개방할 때 자동적으로 개폐밸브가 오픈되어 케이스 내부에서 생성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개폐밸브가 케이스의 개구부에 인접하여 배치되어서, 드로워가 케이스에서 완전히 탈거되지 않으면 사용자의 육안에 인식되지 않으므로, 미감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실시예는, 드로워가 닫혀서 케이스 내부가 약진공 상태가 되는 경우 2개의 밀착립이 밀착되어서, 케이스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서, 케이스 내부의 약진공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고, 드로워가 열려서, 케이스 내부의 약진공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2개의 밀착립이 이격되어서, 케이스 내부에서 생성된 물이 케이스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별도의 제어부나 구동부를 구비하지 않고, 단순한 구성으로, 케이스 내부의 약진공을 유지하면서, 케이스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야채실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야채실을 개방하였을 때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와 보강부재의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케이스의 일부 평면도,
도 10a는 도 9의 Ⅰ-Ⅰ 선을 취한 단면도,
도 10b, 도 10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내유로의 단면도,
도 11은 도 7의 B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개폐밸브가 개방될 때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밸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4은 비교예에 따른 케이스의 변형 정도를 도시한 도면,
도 15은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변형 정도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측단면도,
도 17은 종래기술에 따른 냉장고용 야채실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구성 요소들과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 시 구성요소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를 뒤집을 경우, 다른 구성요소의 "아래(below)"또는 "아래(beneath)"로 기술된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의 "위(above)"에 놓여질 수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실시예를 이루는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냉장고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냉장고의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실(F)(R)이 형성된 본체(2)와, 저장실(F)(R)을 냉각시키는 냉각 장치(40)와, 저장실(F)(R)을 여닫는 도어(4)(6)를 포함한다.
냉각 장치(40)는 외부와 열교환하여서 저장실(F)(R)을 냉각시킨다. 냉각 장치(40)는 압축기와 응축기와 팽창기구와 증발기를 포함하는 냉동 사이클 장치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재질이 다르고 이격되게 배치된 제 1, 2 금속으로 전류를 인가하여 제 1 금속과 제 2 금속 중 하나가 흡열되고 다른 하나가 발열되게 하는 열전 소자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하 냉동 사이클 장치로 이루어진 것으로 설명한다.
냉각 장치(40)는 냉매는 압축기->응축기->팽창기구->증발기->압축기로 순환되면서 증발기를 냉각시킨다.
냉각 장치(40)는 증발기가 저장실(F)(R) 외벽에 접촉되어 저장실(F)(R)을 직접 냉각시키는 것도 가능하고, 저장실(F)(R)의 공기를 증발기와 저장실(F)(R)로 순환시키는 냉기 순환팬(50)을 더 포함하여 저장실(F)(R) 내의 공기가 저장실(F)(R)과 증발기를 순환하면서 저장실(F)(R)을 냉각시킬 수도 있다.
본체(2)의 저장실(F)(R)의 내부에는 음식재료나 반찬 등의 저장물이 올려지는 선반(8)(1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2)의 저장실(F)(R)의 내부에는 야채 및 과일이 저장되는 냉장고용 야채실(100)가 설치될 수 있다.
냉장고용 야채실(100)는 저장실(F)(R)의 내부에 출납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고정되어 설치될 수 있다.
도어(4)(6)는 본체(2)에 좌우 방향과 상하 방향 중 한 방향으로 회전되게 배치되고, 도어(4)(6)를 닫았을 때 저장실(F)(R)을 향하는 면(즉, 배면)에 생수, 우유, 주스, 주류 등의 음료나 아이스크림 등의 빙과류 등이 보관되는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5)이 배치된다.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5)은 도어(4)(6)에 상하 이격되게 복수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장실(F)(R)은 냉동실(F)과 냉장실(R)을 포함하고, 도어(4)(6)는 냉동실(F)을 여닫는 냉동실 도어(4)와, 냉장실(R)을 여닫는 냉장실 도어(6)를 포함하며, 선반(8)(10)은 냉동실(F)에 배치된 냉동실 선반(8)과, 냉장실(R)에 배치된 냉장실 선반(10)을 포함하고, 냉장고용 도어 바스켓(5)은 빙과류 등의 냉동물이 보관되는 냉동실에 설치될 수도 있고, 우유, 주스, 주류 등의 음료 등의 냉장물이 보관되는 냉장실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냉장고용 야채실(100)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야채실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야채실을 개방하였을 때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와 보강부재의 결합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케이스의 일부 평면도, 도 10a는 도 9의 Ⅰ-Ⅰ 선을 취한 단면도,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안내유로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용 야채실(100)는 케이스(110)와, 드로워(120)와, 배출구(180)와, 개폐밸브(170)와, 안내유로(200a-200d)를 포함한다.
케이스(110)는 냉장고용 야채실(100)의 외관을 형성하고, 냉장고의 본체(2) 내의 저장실(F)(R)에 설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또한, 케이스(110)는 이너 케이스와 아우터 케이스의 이중구조를 가지고, 아우터 케이스는 저장실(F)(R)에 고정되고, 이너 케이스가 아우터 케이스에 출납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110)는 전방에 개구부(113) 형성되고, 내부에 저장물의 저장공간인 수납공간(A)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케이스(110)는 내부에 수납공간(A)이 형성된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케이스(110)는 드로워(120)가 수납 또는 인출되는 전방(개구부(113))만이 개방되고 나머지 5면은 차단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2를 기준으로, 케이스(110)는 전방에 개구부(113)가 형성되고, 후방에는 케이스의 후면(110d)이 배치되며, 위와 아래에는 케이스의 상면(110a) 및 케이스의 하면(110c)이 배치되고, 양측면에는 케이스의 측면(110b)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케이스의 상면(110a) 및 케이스의 하면(110c)은 케이스의 측면(110b) 보다 넓은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케이스(110)의 일 측에는 케이스(110)의 내부에 부압(과진공)을 형성하는 감압부(190)가 설치될 수 있다. 감압부(190)는 예를 들면, 펌프(진공펌프)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감압부(190)는 케이스(110)와 연결관에 의해 연결될 수도 있다. 이에 의해 케이스(110)의 내부에 드로워(120) 수납 시 케이스(110)의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여 케이스(110)의 내부를 감압할 수 있다
개구부(113)의 테두리에는 수납공간(A)의 외측으로 연장된 플랜지(119)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케이스(110)의 전방에 외측으로 확장되어서, 플랜지(119)가 형성될 수 있다.
플랜지(119)는 케이스의 측면(110b) 및 상하면과 수직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수직되게 배치된다 함은 플랜지(119)가 케이스(110)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술한 수직의 의미는 수학적 의미에서의 완전한 수직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공학적 의미에서 오차를 포함하는 범위의 수직을 의미한다.
플랜지(119)는 케이스의 상면(110a) 및 하면(110b)과 수직되게 배치되어서, 케이스(110) 내부의 부압에 의해 발생하는 개구부(113)의 테두리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플랜지(119)가 케이스(110)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어서, 개구부(113)의 테두리에 발생하는 휨 응력에 저항하는 휨 응력 지지체로써 기능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119)는 드로워(120)가 케이스(110)의 내부를 밀폐하는 경우, 드로워(120)와 접촉되는 영역을 제공한다. 특히, 케이스(110)의 내부를 진공에 가깝게 유지하는 경우, 케이스(110)의 내부는 외부와 완전히 밀폐되어야 하는데, 플랜지(119)는 드로워(120)가 접촉되는 공간을 제공하므로, 냉장고용 야채실(100)의 밀폐성능을 향상시킨다. 또한, 드로워(120)와 케이스(110) 사이의 접촉영역에 밀폐부재(140)가 사용되는 경우, 밀폐부재(140)가 접촉하는 공간을 제공하기도 한다.
적어도 개구부(113)의 테두리의 일면은 중앙 부위가 수납공간(A)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아치형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구부(113)의 테두리는 케이스의 상면(110a), 케이스의 하면(110c) 및 케이스의 측면(110b)으로 이루어진 사각형의 형상을 가진다. 케이스의 상면(110a)과 케이스의 하면(110c)은 케이스의 측면(110b) 보다 길게 형성되는 것이 보통이고, 이에 의해 케이스의 상면(110a)과 케이스의 하면(110c)은 케이스(110)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로 인해 발생하는 휨 응력 때문에 큰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개구부(113)의 테두리의 일면(예를 들면, 케이스의 상면(110a)의 선단부)이 중앙 부위가 수납공간(A)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아치형 구조를 가지면, 케이스(110)의 내부 방향으로 작용하는 휨 응력에 효과적으로 대항할 수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개구부(113)의 테두리를 아치형 구조로 설계하는 경우, 케이스(110)의 개구부(113) 주변이 케이스(110)의 내부로 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케이스(110)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리브(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강리브(111)는 케이스(110)가 변형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부재이고, 케이스(110)와 일체로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강리브(111)는, 케이스(110)의 내부의 수납공간(A)의 확보를 위해서, 케이스(110)의 외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방향으로 다수 개의 보강리브(111)가 형성되고 제1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다수 개의 보강리브(111)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의 내면에는 드로워(120)가 서랍식으로 출납되도록 드로워(120)를 인도하는 레일(117)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레일(117)은 케이스(110)의 내면 중 측면에 형성되고, 전방에서 후방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케이스의 하면(110c)드로워(120)는 케이스(110)의 내부를 밀폐하고, 케이스(110)와 함께 냉장고용 야채실(100)의 외관을 형성한다.
예를 들,드로워(120)는 내부에 저장물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수납부(123)와 수납부(123)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면부(121)를 구비할 수 있다.
수납부(123)는 케이스(110)의 내부로 서랍식으로 출납된다. 예를 들면, 수납부(123)의 외면에는 케이스(110)의 레일(117)에 대응되게 가이드(129)가 형성되어서, 수납부(123)는 케이스(110)의 내부로 레일(117)의 인도에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예를 들면, 수납부(123)는 상부와 전방이 개구된 육면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면부(121)는 수납부(123)의 전방에 배치되고 수납부(123)에 비해 확장된 크기를 가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면부(121)의 테두리는 개구부(113)의 테두리와 접촉되어 케이스(110)를 밀폐시키게 된다.
전면부(121)는 대략 직사각형(직육면체)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개구부(113)의 플랜지(119)의 크기 및 형상과 대응되는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면부(121)는 케이스(110)의 플랜지(119)와 접촉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면부(121)에는 인출 또는 수납을 위한 손잡이(125)가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125)는 전면부(121)의 상부영역에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125)는 예를 들면,전면부(121)의 표면으로부터 파지 공간이 형성되게 후방으로 함몰되게 형성될 수 있다.
드로워(120)에 의해 케이스(110)의 내부가 밀폐되는 경우, 케이스(110)의 내부와 외부는 압력차이가 발생한다. 즉, 드로워(120)에 의해 케이스(110)의 내부가 밀폐되면 감압부에 의해 케이스(110)의 내부가 감압되어서 케이스(110)의 외부 보다 압력이 낮은 상태가 된다.
드로워(120)의 전면부(121)와 개구부(113)의 테두리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드로워(120)의 수납 시 케이스(110)의 내외부를 밀폐되게 하는 밀폐부재(140)가 구비될 수 있다.
밀폐부재(140)는 예를 들면,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밀폐부재(140)는 개구부(113)의 테두리(또는 플랜지(119))를 따라 폐루프(closed-loop)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케이스(110)와 드로워(120) 사이에는 드로워(120)의 수납 시 드로워(120)와 케이스(110)의 내부가 외부에 대해 밀폐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밀폐유지장치(160)가 구비될 수 있다.
밀폐유지장치(160)는 예를 들면, 드로워(120)와 케이스(110) 중 어느 일측에 결합되는 걸림부와 드로워(120)와 케이스(110) 중 나머지 타측에 결합되어 걸림부와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5,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배출구(180)는 케이스의 하면(110c)에 형성되어 케이스(110) 내부에서 생성되는 물을 집수하는 장소이다. 그리고, 배출구(180)는 케이스의 하면(110c)을 관통하여 형성되어서, 케이스(110) 내부에서 생성되는 물을 케이스(110) 외부로 배출시키는 통로가 된다..
배출구(180)는 케이스(110) 내부에서 생성되는 물이 중력에 의해 집수되도록 케이스의 하면(110c) 보다 낮게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110) 내부의 물은 이슬점 온도 이하로 온도가 하강하는 경우, 케이스(110) 내부의 습기가 포화되어 발생되는 이슬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중력에 의해 흐르는 물을 배출구(180)로 효과적으로 유도하기 위해서 케이스의 하면(110c)은 배출구(18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180)는 다양한 개수가 배치될 수 있지만, 배출구(180)가 하나로 배치되는 경우, 대략적으로 케이스의 하면(110c)의 중앙 부위에 배치되는 것이 집수에 유리하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케이스(110) 내부의 드로워(120)가 케이스(11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때, 개폐밸브(170)가 방해되지 않도록, 케이스의 하면(110c)의 후방의 중앙 부위에도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배출구(180)에는 배출구(180)를 개폐시켜서, 집수된 물의 배출을 조절하는 개폐밸브(170)가 형성될 수 있다. 개폐밸브(17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안내유로(200a-200d)는 케이스(110)의 내면에 형성되어 케이스(110) 내부에서 생성되는 물을 배출구(180) 방향으로 안내한다. 또한, 안내유로(200a-200d)는 케이스(110) 내부에서 생성되는 이슬이 육안에 보이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안내유로(200a-200d)는 케이스(110)의 내면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안내유로(200a-200d)는 케이스(110)의 모든 내면에 형성될 수 있다.
안내유로(200a-200d)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안내유로(200a-200d)는 케이스(110)의 내면이 함몰 및 돌출되어 형성되어, 배출구(180) 방향으로 물을 안내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안내유로(200a-200d)는 케이스(110)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2개의 산(210)과, 산(210) 사이에 배치되고, 케이스(110)의 외측으로 함몰되는 골(2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산(210)은 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서 케이스(110) 내부에서 생성된 물이 골(220)로 흐를 수 있도록 골(220) 보다 돌출된 부분이다. 골(220)은 산(210)과 산(210) 사이에 산(210) 보다 낮게 형성되어서 물이 안내되는 경로를 제공하게 된다.
특히, 도 10을 참조하면, 산(210)의 단면 형상은 삼각형, 사각형 및 반원 형상 중 어느 하나를 가질 수 있다. 즉, 산(210)의 단면 형상이 삼각형 또는 반원 형상을 가지는 경우, 케이스(110)의 내면에 형성된 이슬이 골(220)로 쉽게 이동되어서 사용자의 육안에 보이게 되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
더욱 구체적으로, 산(210)은 2개의 경사면(211)(212)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즉, 산(210)은 2개의 경사면(211)(212)을 가지는 삼각형 또는 사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산(210)과 산(210) 사이의 피치(pitch)(P)는 1.5mm 내지 2.5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210)과 산(210) 사이의 피치(P)가 2.5mm 보다 큰 경우, 케이스(110)의 내면에 맺힌 이슬이 쉽게 골(220)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고, 산(210)과 산(210) 사이의 피치(P)가 1.5mm 보다 작은 경우, 골(220)이 이슬이 모이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지 못해서 육안으로 이슬이 보이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산(210)의 높이는 1.5mm 내지 2.5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210)의 높이가 너무 높은 경우 케이스(110)의 강도를 저하시키고, 산(210)의 높이가 너무 낮은 경우, 골(220)이 이슬이 모이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 케이스(110)의 각 면에 형성되는 안내유로(200a-200d)에 대해 상술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안내유로(200a-200d)는 상면 안내유로(200a)와, 측면 안내유로(200b)와, 후면 안내유로(200d)와, 하면 안내유로(200c)를 포함할 수 있다.
상면 안내유로(200a)는 케이스의 상면(110a)의 내면에 형성된다. 상면 안내유로(200a)의 산(210)과 골(220)은 케이스의 양측면(110b)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면 안내유로(200a)의 산(210)과 골(220)은 케이스(110)의 전방에서 케이스의 후면(110d) 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케이스의 상면(110a) 내면에서 생성된 물이 상면 안내유로(200a)를 따라 케이스의 측면(110b)으로 중력에 의해 안내될 수 있도록 케이스의 상면(110a)은 중앙에서 케이스의 양측면(110b)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8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의 상면(110a)은 중앙 부위가 케이스(110)의 상부로 돌출된 아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케이스의 상면(110a)이 상술한 바와 같이 형성되면, 케이스의 상면(110a)의 강도가 증가하고, 케이스의 상면(110a)에 형성된 물을 중력에 의해 케이스의 측면(110b) 방향으로 인도할 수 있다.
측면 안내유로(200b)는 케이스의 양측면(110b)의 내면에 형성된다. 측면 안내유로(200b)의 산(210)과 골(220)은 케이스의 상면(110a)에서 케이스의 하면(110c)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케이스의 측면(110b)에서 생성된 물이 케이스의 하면(110c) 방향으로 중력에 의해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케이스의 상면(110a)에 형성된 물이 케이스의 측면(110b)으로 효과적으로 안내되기 위해서, 상면 안내유로(200a)와 측면 안내유로(200b)의 골(220)은 서로 연결(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면 안내유로(200d)는 케이스의 후면(110d)의 내면에 형성된다. 후면 안내유로(200d)의 산(210)과 골(220)은 케이스의 상면(110a)에서 케이스의 하면(110c)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케이스의 후면(110d)에서 생성된 물이 케이스의 하면(110c) 방향으로 중력에 의해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하면 안내유로(200c)는 케이스의 하면(110c)의 내면에 형성된다.
하면 안내유로(200c)의 산(210)과 골(220)은 배출구(180)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케이스(110) 내부에서 생성된 물이 배출구(180) 방향으로 중력에 의해 흐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더욱 효과적인 집수를 위해서, 하면 안내유로(200c)는 배출구(180)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면 안내유로(200c)는 배출구(180)를 중심으로 하는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효과적인 집수를 위하여, 상면 안내유로(200a)의 골(220)과, 측면 안내유로(200b)의 골(220)과 하면 안내유로(200c)의 골(220)은 서로 연통(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 8과 같이, 케이스(110)의 내에서 생성된 물(이슬)은 물 이동경로(f)를 따라 배출구(180)로 집수될 수 있다.
보강부는 케이스(110)의 강도를 보강하는 기능을 한다.
예를 들면, 보강부는 적어도 케이스(110)의 일면에 결합되는 보강부재(130)로 구현될 수 있다. 케이스(110)의 전방에 개구부(113)가 형성되면, 케이스(110)의 내부의 압력이 케이스(110)의 외부의 압력 보다 낮아서, 개구부(113)의 테두리가 케이스(110)의 내부 방향으로 처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데, 보강부재(130)가 배치되면 이러한 처짐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개구부(113)의 테두리는 케이스의 상면(110a), 케이스의 하면(110c) 및 케이스(110) 양측면(110b)의 전방 선단부를 의미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보강부재(130)는 케이스(110)의 면 중에 면적이 가장 넓은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110)가 전방에 개구부(113)가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케이스(110) 내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변형이 가장 크게 발생되는 위치는 케이스(110)의 면 중 면적이 가장 넓은 면(케이스의 상면(110a) 및 하면(110c))의 선단부이다. 따라서, 보강부재(130)가 개구부(113)의 테두리와 인접하면서, 케이스(110)의 면 중 면적이 가장 넓은 면에 배치되는 것이 개구부(113)의 변형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보강부재(130)는 케이스의 상면(110a)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보강부재(130)가 케이스(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경우, 수납공간(A)이 줄어드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보강부재(130)는 케이스의 상면(110a)의 외측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구부(113)의 테두리에서 가장 큰 변형이 발생하기 때문에, 보강부재(130)는 개구부(113)에 인접하여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강부재(130)는 개구부(113)의 테두리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평행의 의미는 수학적 의미의 평행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공학적 의미에서 오차를 포함하는 평행을 의미한다. 또한, 평행은 직선간의 평행 뿐 만이 아니고, 곡선에서 서로 일정한 거리를 가지고 대응되게 배치되는 것도 포함하는 것이다. 보강부재(130)가 개구부(113)의 테두리와 평행하게 배치되면, 개구부(113)의 테두리의 변형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강부재(130)는 케이스의 상면(110a) 또는/및 하면(110b)에 배치되고, 일측이 플랜지(119)와 결합될 수 있다. 개구부(113) 테두리의 변형을 플랜지(119)와 보강부재(130)의 결합으로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다.
보강부재(130)는 휨 응력에 저항성이 좋은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보강부재(130)는 제1부재(131)와, 제1부재(131)와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부재(133)와, 제1부재(131)와 제2부재(133)를 연결시키고, 케이스(110)에 체결되는 볼트가 관통되는 관통공(136)이 형성된 연결부재(135)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보강부재(130)는 휨 응력에 저항성이 좋은 ㄷ 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케이스(110)에는 관통공(136)에 대응되는 위치에 볼트가 체결되는 보스(114)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훰응력에 저항력을 높이기 위해, 제1부재(131) 및 제2부재(133)는 케이스(110)의 상면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부재(131) 및 제2부재(133)는 케이스(110)의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보강부재(130)가 차지하는 공간을 줄이기 위해서, 제1부재(131) 및 제2부재(133)의 일단은 케이스(110)의 일면과 접촉하고, 보강리브(111)와 같은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재(135)는 보강부재(130) 상단과 같은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보강부재(130)는 케이스(110) 보다 큰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강부재(130)는 금속재질, 합금재질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스틸(Steel), 스틸합금, 알루미늄 합금, 티타늄 합금, 스테인레스 및 스테인레스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1은 도 7의 B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개폐밸브가 개방될 때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폐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배출구(180)는 집수부(181)와, 토출부(182)로 구획될 수 있다. 이하에서 언급하는 방향은 도11 및 12를 기준으로 한다.
배출구(180)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케이스의 하면(110c)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홀 형태이다. 배출구(18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고, 물이 배출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다양한 형상이 가능하다. 다만, 배출구(180)의 내부에서 개폐밸브(170)가 위치할 수 있도록 개폐밸브(170)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집수부(181)는 케이스(110) 내부의 물이 집수되도록 케이스의 하면(110c)의 일부 영역이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집수부(181)는 케이스(110)에서 생성된 물이 케이스(110)의 내면을 타고 흘러서 모이는 장소이다.
토출부(182)는 집수부(181)에 집수된 물이 케이스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집수부(181)와 케이스(110)의 외부를 연통시킨다. 토출부(182)는 집수부(181) 보다 작은 폭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폭은 도 11을 기준으로 좌우 방향의 길이를 의미한다. 또한 폭에 한정되지 않고, 토출부(182)는 집수부(181) 보다 작은 크기 또는 내경을 가질 수도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집수부(181)와 토출부(182)는 모두 홀 형상을 가지고, 중심축을 공유할 수 있고, 집수부(181)의 외경은 토출부(182)의 외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케이스의 하면(110c)의 일부 영역이 함몰되어 집수부(181)가 형성되고, 집수부(181)의 하면이 관통되어 케이스(110) 외부와 연통되는 토출부(182)가 형성될 수 있다.
집수부(181)의 내경 또는 폭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도 있지만, 후술하는 고정부의 걸림턱이 걸릴 수 있는 단턱이 형성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토출부(182)는 집수부(181)의 바닥에 형성되는 관통홀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개폐밸브(170)는 배출구(180) 내에 설치되어 배출구(180)를 개폐한다. 개폐밸브(170)는 케이스(110)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에 의해 폐쇄되고, 케이스(110)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가 해소되는 경우 개방될 수 있다. 개폐밸브(170)는 케이스(110)의 압력 차에 의해 변형될 수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연성 및 탄성을 가지는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개폐밸브(170)는 고정부(171)와, 밀착립(175)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71)는 내부에 물이 배출되는 공간을 가지고 배출구(180) 내에 삽입 고정된다. 즉, 고정부(171)는 배출구(180)의 내부형상에 대응되는 외형을 가지고 내부에 물이 배출되는 공간을 가지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배출구(180)의 내부에 고정되는 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출구(180)가 원통 형상을 가지는 경우, 고정부(171)의 외형은 배출구(180)의 내경에 대응되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고정부(171)의 내부에는 물이 배출되는 공간을 가진다.
고정부(171)는 배출구(180)에 걸림되는 걸림턱(172)과, 밀착립(175)과 연결되어 2개의 밀착립(175)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턱(172)은 개폐밸브(170)를 배출구(180)에 걸리게 한다. 즉, 개폐밸브(170)는 케이스(110)와 별도로 제작되어서, 케이스(110)에 형성된 배출구(180)에 삽입되는 구조이므로, 개폐밸브(170)가 배출구(180)에 삽입될 때 고정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때에, 걸림턱(172)이 배출구(180)의 내부에 단차지게 형성된 턱에 걸림되어서, 개폐밸브(170)를 배출구(180) 내에 고정시킨다.
걸림턱(172)은 고정부(171)의 외주에서 확장된 크기를 가져서, 고정부(171)가 단타를 가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172)이 결합되는 장소는 배출구(180) 내에 단차지게 형성된 단턱이다. 단턱의 위치는 제한이 없다. 예를 들면, 도 11과 같이, 단턱은 토출부(182) 내의 일부 영역이 토출부(182) 내측으로 돌출되어서 형성될 수 있다.
간격유지부(173)는 밀착립(175)과 연결되어 2개의 밀착립(175)의 간격을 유지한다. 즉, 간격유지부(173)는 밀착립(175)과 걸림턱(172)을 연결하고, 2개의 밀착립(175)이 일정한 이격거리를 가질 수 있도록 한다. 즉, 케이스(110) 내부가 약진공상태가 되는 경우, 케이스(110)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간격유지부(173)가 변형되어서 2개의 밀착립(175)이 접촉될 수 있고, 케이스(110) 내부가 약진공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2개의 밀착립(175) 및 간격유지부(173)의 자중에 의해 2개의 밀착립(175) 사이가 이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간격유지부(173)는 걸림턱(172)에서 밀착립(175) 방향으로 갈수록 서로의 거리가 줄어드는 적어도 2개의 경사면(173a)(173b)을 가질 수 있다. 즉, 간격유지부(173)는 내부에 물이 배출되는 통로를 가지는 호퍼형상을 가지도록, 적어도 2개의 경사면(173a)(173b)이 형성된 형태이다.
즉, 간격유지부(173)는 케이스(110)의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갈수록 서로의 거리가 줄어드는 적어도 2개의 경사면(173a)(173b)을 가질 수 있다.
드로워(120)가 닫히는 경우, 케이스(110) 내부의 압력은 외부의 압력 보다 낮은 약진공 상태가 되고, 드로워(120)가 열리는 경우, 케이스(110) 내부의 압력은 외부의 압력과 동일한 대기압이 된다. 따라서, 드로워(120)가 닫히는 경우, 케이스(110) 내부와 케이스(110) 외부의 압력차이가 너무 커서, 밀착되었던 밀착립(175)이 다시 오픈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 간격유지부(173)는 일정한 강성을 가지고 케이스(110)의 내부에서 외부 방향으로 갈수록 서로의 거리가 줄어드는 적어도 2개의 경사면(173a)(173b)을 가질 수 있다.
2개의 경사면(173a)(173b)은 간격유지부(173)의 내부에 물이 배출되는 통로의 모양을 위에서 보았을 때(도 11,12 기준), 슬릿(Slit) 형태로 변형시킨다. 즉, 밀착립(175)에 인접한 2개의 경사면(173a)(173b) 사이의 간격은 좁고, 경사면(173a)(173b)의 전후폭은 경사면(173a)(173b) 사이의 간격 보다 상대적으로 커서, 간격유지부(173)의 내부에 물이 배출되는 통로의 형상은 좁고 긴 틈을 가지는 슬릿형태가 된다.
간격유지부(173) 내의 물이 배출되는 공간의 형상이 2개의 경사면(173a)(173b)에 의해 슬릿(Slit) 형태로 되면, 2개의 경사면(173a)(173b)의 선단에 결합되는 2개의 밀착립(175)이 좁고 긴 틈을 가지고 이격되게 된다. 따라서, 케이스(110)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가 발생하게 되면, 쉽게 2개의 밀착립(175)이 접속할 수 있고, 넓은 접촉 면적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2개의 경사면(173a)(173b)은 플레이트 형태의 2개의 밀착립(175)이 서로 좁은 틈을 가지고 이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간격유지부(173)의 내부의 통로가 너무 넓은 경우, 케이스(110)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밀착립(175)이 접촉이 어려울 수 있고, 케이스(110)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될 수 있다. 그리고, 간격유지부(173) 내부의 통로가 너무 좁은 경우, 케이스(110) 내부의 물이 외부로 쉽게 배출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2개의 경사면(173a)(173b)은 간격유지부(173)의 내부의 통로의 형상을 좁고 긴 틈을 가지는 슬릿(Slit) 형태로 만들어서, 밀착립(175)의 접촉력이 우수하게 하면서도, 케이스(110) 내부의 물이 배출되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밀착립(175)에 인접한 2개의 경사면(173a)(173b)의 간격은 케이스(110) 내부의 약진공압과, 간격유지부(173) 및 밀착립(175)을 자중을 고려하여서, 결정하게 된다. 즉, 2개의 경사면(173a)(173b) 하부의 간격은 밀착립(175)의 접촉력이 우수하게 하면서도, 케이스(110) 내부의 물이 배출되는 충분한 공간을 가질 수 있도록 결정된다.
밀착립(175)은 고정부(171)의 아래에 연결되어 케이스(110)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서로 밀착된다.
예를 들면, 밀착립(175)은 간격유지부(173)의 경사면(173a)(173b)의 선단에 결합되고, 서로 일정거리 이격된다. 밀착립(175)은 플레이트(Plat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밀착립(175)은 변형 가능한 재질을 가져서, 케이스(110) 내부의 압력이 케이스(110) 외부의 압력 보다 낮은 경우 밀착립(175)이 서로 밀착되어 개폐밸브(170)를 폐쇄하고, 케이스(110)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가 해소되는 경우 밀착립(175)이 이격되어 개폐밸브(170)를 개방할 수 있다.
즉, 2개의 밀착립(175)은 2개의 경사면(173a)(173b)에 의해 슬릿(Slit) 형태의 간격을 가지고 이격 배치된다. 즉, 케이스(110) 내부가 약진공상태가 되는 경우, 케이스(110)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간격유지부(173)가 변형되거나, 밀착립(175)의 일부가 변형되어, 2개의 밀착립(175)이 접촉될 수 있고, 케이스(110) 내부가 약진공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2개의 밀착립(175) 및 간격유지부(173)의 자중에 의해 2개의 밀착립(175) 사이가 이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2개의 밀착립(175)은 서로 면 접촉될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게 배치되며, 충분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납작한 판형상을 가지고, 밀착립(175)의 면 중 가장 넓은 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2개의 밀착립(175)은 2개의 경사면(173a)(173b)의 선단에 경사면(173a)(173b)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실시예는 케이스(110) 내부와 외부의 과도한 압력차에 의해 개폐밸브(170)의 고정부(171)가 과도하게 변형되어서, 밀착립(175)이 이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형상유지부(1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형상유지부(175)는 내부에 물이 배출되는 공간을 가지고, 고정부(171)의 상부에서 고정부(171)의 내로 삽입되어 고정부(171)의 형상을 유지한다.
예를 들면, 형상유지부(175)는 원통형상인 고정부(171)의 내경에 대응되는 외경을 가질 수 있고, 개폐밸브의 재질 보다 큰 강성을 가질 수 있다.
형상유지부(175)에는 고정부(171)의 내부로 케이스(110) 내부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유입방지턱(175a)이 형성될 수 있다.
유입방지턱(175a)은 형상유지부(175)의 상단 외주에 서로 일정 간격을 가지고 위로 돌출되어 다수개가 배치된다. 유입방지턱(175a) 사이의 간격은 케이스(110) 내부에서 고정부(171) 유입되는 이물질의 크기를 조절하게 된다.
유입방지턱(175a)은 형상유지부(175)에서 위로 돌출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유입방지턱(175a)은 케이스의 하면(110c) 보다 위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케이스의 하면(110c)에 형성되는 배출구(180)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방지하기 위해서 유입방지턱(175a)의 상면은 케이스의 하면(110c) 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배출구(180)에 집수부(181)가 형성되는 경우, 유입방지턱(175a)은 집수부(181)의 하면보다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유입방지턱(175a)이 형성되지 않는 형상유지부(175)의 상면은 케이스(110) 내부의 물이 개폐밸브(17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케이스의 하면(110c) 보다 낮거나 같은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는, 드로워(120)가 닫혀서 케이스(110) 내부가 약진공 상태가 되는 경우 2개의 밀착립(175)이 밀착되어서, 케이스(110)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어서, 케이스(110) 내부의 약진공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고, 드로워(120)가 열려서, 케이스(110) 내부의 약진공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2개의 밀착립(175)이 이격되어서, 케이스(110) 내부에서 생성된 물이 케이스(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즉, 별도의 제어부나 구동부를 구비하지 않고, 단순한 구성으로, 케이스(110) 내부의 약진공을 유지하면서, 케이스(110) 내부의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여, 개폐밸브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을 참조하면, 초기에 드로워(120)가 닫혀서 케이스(110) 내부가 약진공 상태가 된다. 이 때, 케이스(110)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케이스(110) 외부에서 내부 방향으로 힘이 발생하게 되어서 간격유지부(173)의 간격이 줄어들고, 2개의 밀착립(175)이 밀착되게 된다.
2개의 밀착립(175)이 밀착되면, 케이스(110) 내부로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케이스(110) 내부의 약진공 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드로워(120)가 열리거나, 다른 수단에 의해 케이스(110) 내부의 약진공 상태가 해제되는 경우, 케이스(110)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가 해제되어서, 간격유지부(173)는 중력에 의해 2개의 밀착립(175) 사이를 이격시킨다.
2개의 밀착립(175)이 이격되는 경우, 개폐밸브(170)가 오픈되므로, 케이스(110) 내부의 물이 케이스(110)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도 14은 비교예에 따른 케이스의 변형 정도를 도시한 도면, 도 15은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변형 정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은 비교예에 따른 케이스(110)의 내부에 부압을 형성하는 경우 변형되는 정도를 도시하고 있다. 케이스(110) 내부의 부압에 의하여 개구부(113)의 테두리에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개구부(113)의 테두리의 상면 중앙 부위에 13.22mm의 큰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이 경우, 개구부(113)에 플랜지(119)와 드로워(120) 사이 접촉이 해제되며, 외부의 공기가 케이스(11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따라서, 케이스(110)의 내부를 부압상태로 유지하기 어렵게 된다.
도 15은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110)의 내부에 부압을 형성하는 경우 변형되는 정도를 도시하고 있다. 실시예는 비교예와 동일한 부압에서 개구부(113)의 테두리의 상면 중앙 부위에 약 1.5mm의 작은 변형만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개구부(113)에 플랜지(119)와 드로워(120) 사이의 접촉은 유지되며, 외부의 공기가 케이스(110)의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결과적으로, 케이스(110)의 내부를 부압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케이스(110) 내부에 보관된 야채 등을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다.
도 1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의 측단면도이다.
실시예의 냉장고용 야채실(100)은 도 7의 실시예와 비교하면, 배출구(180)의 위치가 상이하다. 이하에서는 도 7의 실시예와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도록 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실시예의 냉장고용 야채실(100)은 배출구(180)가 케이스의 하면(110c)의 후방의 중앙 부위(케이스의 후면(110d)에 인접)에 배치된다. 이는 케이스(110) 내부의 드로워(120)가 케이스(110)의 내부에서 슬라이딩 이동할 때, 개폐밸브(170)가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케이스의 하면(110c)은 배출구(180) 방향으로 경사지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9)

  1.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저장물의 저장공간인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드로워;
    상기 케이스 내부의 물이 배출되도록 상기 케이스의 하면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 내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케이스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에 의해 폐쇄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가 해소되는 경우 개방되고,
    상기 개폐밸브는,
    내부에 물이 배출되는 공간을 가지고 상기 배출구 내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아래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서로 밀착되는 적어도 2개의 밀착립을 포함하고,
    상기 밀착립은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는 냉장고용 야채실.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내부의 압력이 상기 케이스 외부의 압력 보다 낮은 경우 상기 밀착립이 서로 밀착되어 상기 개폐밸브를 폐쇄하고,
    상기 케이스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가 해소되는 경우 상기 밀착립이 이격되어 상기 개폐밸브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야채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배출구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야채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배출구에 걸림되는 걸림턱과;
    상기 밀착립과 연결되어 상기 2개의 밀착립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용 야채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는,
    상기 걸림턱에서 상기 밀착립 방향으로 갈수록 서로의 거리가 줄어드는 적어도 2개의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야채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밸브의 재질은 고무 또는 실리콘 재질을 포함하는 냉장고용 야채실.
  8. 제1항에 있어서,
    내부에 물이 배출되는 공간을 가지고, 상기 고정의 상부에서 상기 고정부의 내로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의 형상을 유지하는 형상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용 야채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부는 상기 개폐밸브의 재질 보다 큰 강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야채실.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부에는 상기 상기 고정부의 내부로 케이스 내부의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유입방지턱을 더 포함되고,
    상기 유입방지턱은 상기 케이스의 하면 보다 위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야채실.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는,
    상기 케이스의 하면이 일영역 함몰되어 형성되는 집수부와;
    상기 집수부와 상기 케이스의 외부를 연통시키는 토출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용 야채실.
  12.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착립들은,
    상기 경사면의 선단에 결합하고,
    서로 면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야채실.
  13.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에서 생성되는 물을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유로를 포함하는 냉장고용 야채실.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유로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적어도 2개의 산과;
    상기 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외측으로 함몰되는 골을 포함하는 냉장고용 야채실.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하면은,
    상기 배출구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냉장고용 야채실.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드로워에 의해 상기 케이스의 내부가 밀폐되는 경우,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외부는 압력차이가 발생하는 냉장고용 야채실.
  17.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부압을 형성하는 감압부를 더 포함하는 냉장고용 야채실.
  18.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강부는,
    적어도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결합되고,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여 위치하며, 상기 케이스 보다 큰 강도를 가지는 보강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야채실.
  19. 저장실을 갖는 본체와;
    상기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냉각 장치와;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본체의 저장실에 설치되는 냉장고용 야채실을 포함하고,
    상기 냉장고용 야채실은,
    전방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부에 저장물의 저장공간인 수납공간이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드로워;
    상기 케이스의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 내부의 물이 배출되는 배출구; 및
    상기 배출구 내에 설치되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밸브는,
    상기 케이스 내부와 외부의 압력 차에 의해 페쇄되고, 상기 케이스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가 해소되는 경우 개방되며,
    상기 개폐밸브는,
    내부에 물이 배출되는 공간을 가지고 상기 배출구 내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아래에 연결되어 상기 케이스의 내부와 외부의 압력차에 의해 서로 밀착되는 적어도 2개의 밀착립을 포함하고,
    상기 밀착립은 변형 가능한 재질을 포함하는 냉장고.


KR1020130060552A 2013-05-28 2013-05-28 냉장고용 야채실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21410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552A KR102141047B1 (ko) 2013-05-28 2013-05-28 냉장고용 야채실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EP14170005.4A EP2808628B1 (en) 2013-05-28 2014-05-27 Vegetable container for refrigerator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CN201410232057.4A CN104215026B (zh) 2013-05-28 2014-05-28 用于冰箱的蔬菜容器和具有该蔬菜容器的冰箱
CN201910635800.3A CN110319641B (zh) 2013-05-28 2014-05-28 用于冰箱的蔬菜容器和具有该蔬菜容器的冰箱
CN201410230991.2A CN104215019B (zh) 2013-05-28 2014-05-28 用于冰箱的蔬菜容器和具有该蔬菜容器的冰箱
US14/289,013 US9239185B2 (en) 2013-05-28 2014-05-28 Vegetable container for refrigerator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14/289,026 US9303917B2 (en) 2013-05-28 2014-05-28 Vegetable container for refrigerator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0552A KR102141047B1 (ko) 2013-05-28 2013-05-28 냉장고용 야채실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880A KR20140139880A (ko) 2014-12-08
KR102141047B1 true KR102141047B1 (ko) 2020-08-04

Family

ID=52457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0552A KR102141047B1 (ko) 2013-05-28 2013-05-28 냉장고용 야채실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0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8044Y1 (ko) * 2016-03-05 2018-12-06 이민규 캔 트레이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0172A (ja) * 1998-10-29 2000-05-09 Nissan Diesel Motor Co Ltd アフタクーラの結露水排出装置
JP2001311574A (ja) 2000-04-28 2001-11-09 Fujitsu General Ltd 給水装置を備えた冷蔵庫
KR100379484B1 (ko) 2000-12-06 200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냉장고
KR100379483B1 (ko) 2000-12-06 200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냉장고
KR100386584B1 (ko) 2000-12-07 2003-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냉장고의 칸칸 진공제어장치
US20040107726A1 (en) 2002-06-12 2004-06-1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JP2004218924A (ja) 2003-01-14 2004-08-05 Toshiba Corp 冷蔵庫
JP2004263950A (ja) 2003-03-03 2004-09-24 Fujitsu General Ltd 給水装置を備えた冷蔵庫
JP2005351580A (ja) 2004-06-11 2005-12-22 Toshiba Corp 冷蔵庫
CN2750132Y (zh) 2004-08-27 2006-01-04 孙占全 自闭式排水阀
KR100595433B1 (ko) 1999-11-18 2006-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100687924B1 (ko) 2005-06-11 2007-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20070295023A1 (en) 2006-06-23 2007-12-27 Lg Electronics Inc. Water tank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080041089A1 (en) 2006-08-15 2008-02-21 Choi Seung J Ice tray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JP4115383B2 (ja) 2003-12-22 2008-07-09 三洋電機株式会社 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
US20100077770A1 (en) 2007-04-26 2010-04-01 Panasonic Corporation Refrigerator, and electr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4363U (ko) * 1977-11-07 1979-05-26
US4249392A (en) * 1978-05-22 1981-02-10 Shimano Industrial Company, Limited Constant temperature box
US5201192A (en) * 1990-06-29 1993-04-13 Hoshizaki Denki Kabushiki Kaisha Water droplet collector
KR960009019B1 (en) * 1992-05-27 1996-07-1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US5303563A (en) * 1992-07-09 1994-04-19 Hydro-Crisper, Inc. Vegetable crisper
US5417080A (en) * 1992-07-09 1995-05-23 Hydro-Crisper, Inc. Vegetable crisper
KR0136469Y1 (ko) * 1996-10-28 1999-03-20 김광호 워터디스펜서용 밸브장치
KR19990033606A (ko) * 1997-10-25 1999-05-15 윤윤진 진공냉장실이 구비된 냉장고
CN1153945C (zh) * 1999-09-03 2004-06-16 Lg电子株式会社 冰箱内的蔬菜室
US8052235B2 (en) 2007-06-06 2011-11-08 Electrolux Home Products, Inc. Storage compartment
KR20100096704A (ko) * 2009-02-25 2010-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0172A (ja) * 1998-10-29 2000-05-09 Nissan Diesel Motor Co Ltd アフタクーラの結露水排出装置
KR100595433B1 (ko) 1999-11-18 2006-07-0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JP2001311574A (ja) 2000-04-28 2001-11-09 Fujitsu General Ltd 給水装置を備えた冷蔵庫
KR100379484B1 (ko) 2000-12-06 200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냉장고
KR100379483B1 (ko) 2000-12-06 2003-04-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냉장고
KR100386584B1 (ko) 2000-12-07 2003-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공 냉장고의 칸칸 진공제어장치
US20040107726A1 (en) 2002-06-12 2004-06-10 Lg Electronics Inc. Refrigerator
JP2004218924A (ja) 2003-01-14 2004-08-05 Toshiba Corp 冷蔵庫
JP2004263950A (ja) 2003-03-03 2004-09-24 Fujitsu General Ltd 給水装置を備えた冷蔵庫
JP4115383B2 (ja) 2003-12-22 2008-07-09 三洋電機株式会社 自動製氷機付き冷蔵庫
JP2005351580A (ja) 2004-06-11 2005-12-22 Toshiba Corp 冷蔵庫
CN2750132Y (zh) 2004-08-27 2006-01-04 孙占全 自闭式排水阀
KR100687924B1 (ko) 2005-06-11 2007-02-27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US20070295023A1 (en) 2006-06-23 2007-12-27 Lg Electronics Inc. Water tank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US20080041089A1 (en) 2006-08-15 2008-02-21 Choi Seung J Ice tray assembly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US20100077770A1 (en) 2007-04-26 2010-04-01 Panasonic Corporation Refrigerator, and electr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9880A (ko) 2014-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08628B1 (en) Vegetable container for refrigerator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EP3194868B1 (en) Refrigerator
EP2594876A2 (en) Refrigerator
US20060192469A1 (en) Slide guide for pushing/drawing box into/out of refrigerator
US10359224B2 (en) Refrigerator
EP2743617A2 (en) Refrigerator having centrifugal fan-duct assembly
US20150107291A1 (en) Refrigerator appliance
KR102141047B1 (ko) 냉장고용 야채실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2184537B1 (ko) 냉장고용 야채실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080022470A (ko) 냉장고
KR20170116868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서랍가이드 어셈블리
KR102104439B1 (ko) 냉장고용 야채실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2042220B1 (ko) 냉장고용 야채실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2068179B1 (ko) 냉장고용 야채실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130053215A (ko) 냉장고
JP2006242464A (ja) 冷蔵庫
US10928122B2 (en) Dual asymmetrical and symmetrical architecture cantilever positioning
KR100651308B1 (ko) 냉장고
JP6919008B2 (ja) 冷蔵庫
KR20140139881A (ko) 냉장고용 야채실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9990039125A (ko) 냉장고의 냉동실과 냉장실의 관통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