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6704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6704A
KR20100096704A KR1020090015728A KR20090015728A KR20100096704A KR 20100096704 A KR20100096704 A KR 20100096704A KR 1020090015728 A KR1020090015728 A KR 1020090015728A KR 20090015728 A KR20090015728 A KR 20090015728A KR 20100096704 A KR20100096704 A KR 201000967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storage chamber
storage container
vacuum pump
pump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5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일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15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96704A/ko
Publication of KR20100096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670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25D17/08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using du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상기 냉장공에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시키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수용 가능하며, 내부에 저장 챔버가 형성되는 저장 용기; 및 상기 저장 챔버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 챔버의 공기를 상기 저장 용기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진공 펌프 어셈블리가 포함된다.
냉장고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실시예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음식물을 저온의 상태로 보관하는 기기이다.
상기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저장실을 개폐시키는 도어가 포함된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저장실을 구획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선반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선반은 상기 본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선반에는 음식물이 수용되기 위한 저장 용기가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목적은, 저장 용기에 수용되는 음식물의 장기 보관이 가능한 냉장고를 제안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시키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수용 가능하며, 내부에 저장 챔버가 형성되는 저장 용기; 및 상기 저장 챔버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 챔버의 공기를 상기 저장 용기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진공 펌프 어셈블리가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 상기 저장실 내부 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저장실과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저장 챔버; 상기 저장 챔버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 챔버의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진공 펌프 어셈블리; 상기 저장 챔버의 공기를 상기 저장 챔버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유로; 상기 배출 유로를 개폐시키는 개폐 부재; 상기 저장 챔버의 내부로, 상기 저장 챔버의 외부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기 위한 흡입 유로; 및 상기 흡입 유로를 개폐시키는 밸브 유닛이 포함된다.
제안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저장 용기의 저장 챔버가 실질적인 진공 상태로 조성되어, 음식물의 장기 보관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저장 챔버의 공기를 상기 저장 용기의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음식물의 부패 또는 상함의 원인인 세균 등의 번식에 필요한 공기가 상기 저장 챔버에서 희박하도록 하여, 음 식물의 장기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저장 챔버의 진공 상태 여부가 외부로 표시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저장 용기의 진공 상태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진공 상태임을 확인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무리하게 상기 저장 용기를 당기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저장 용기가 분리된 상태의 냉장고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선반과 저장 용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1에는 일 례로 냉장실이 냉동실의 상측에 위치되는 바텀 프리저 타입의 냉장고가 도시되나, 본 실시예의 사상은,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측에 위치되는 탑 마운트 타입의 냉장고 또는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로 배치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일 례로 저장 용기가 냉장실에 구비되는 것이 설명되나, 이와 달리 냉동실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에는,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10)가 포함된다.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11)과 도시되지 않은 냉동실이 포함된다. 상기 냉장실(11)은 냉장실 도어(20)에 의해서 개폐되고, 상기 냉동실은 냉동실 도어(22)에 의해서 개폐된다.
상기 냉장실 도어(20)는 상기 본체(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상기 냉동실 도어(22)는 상기 본체(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냉장실(11)을 상하로 구획하는 하나 이상의 선반(150)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선반(150)에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저장 용기(100)가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선반(150)은 상기 본체(1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상기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선반(150)이 상기 본체(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저장 용기(100)는 상기 본체(10)에 움직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저장 용기(100)는 상측 개구를 가지며, 저장 챔버(102)을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저장 용기(100)는 상기 선반(150)의 측면 플레이트(15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저장 용기(100)의 상측 개구는 상기 저장 용기(100)가 상기 본체(10)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선반(150)에 의해서 커버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 용기(100)의 상측 개구 둘레에는 실링을 위한 실러(106)가 구비된다.
상기 저장 용기(100)의 내부, 즉, 상기 저장 챔버(102)에는 상기 저장 챔버(102)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진공 펌프 어셈블리(1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 용기(100)에는 상기 저장 챔버(102)의 공기가 배출되기 위한 저장 용기 배출구(104)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저장 용기(100)의 전면에는 상기 진공 펌프 어셈블리(130)의 작 동을 선택하기 위한 입력부(112)와, 상기 진공 펌프 어셈블리(130)의 작동 상태 여부 또는 상기 저장 용기(100)의 진공 상태 여부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14)와, 진공 상태의 저장 챔버(102)로 상기 냉장실(11)의 냉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밸브 유닛(120)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저장 용기(100)에는 상기 저장 챔버(102)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센서(14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저장 용기(100)에는 전원 공급을 위한 제1연결부(144)가 후방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10)에는 상기 제1연결부(144)가 결합되는 제2연결부(3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저장 용기(100)가 상기 본체(10)에 완전하게 인입되면, 상기 제1연결부(144)가 상기 제2연결부(30)에 삽입되어, 상기 진공 펌프 어셈블리(130)로 전원 공급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선반(150)에는, 상기 저장 용기 배출구(104)를 통하여 배출된 공기가 상기 냉장실(11)로 배출되도록 하는 선반 배출구(152)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선반(150)의 측면 플레이트에(151)는 상기 저장 용기(100)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 레일(160)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 용기(100)의 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에 결합되는 가이드 리브(151)가 형성된다.
도 4는 도 1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진공 펌프 어셈블리(130)는 상기 저장 용기(100)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진공 펌프 어셈블리(130)에는, 흡입구(132)와 배출구(133) 가 형성되는 하우징(131)과 상기 하우징(131) 내부에 수용되는 진공 펌프(135)가 포함된다.
한편, 상기 저장 용기(100)에는 상기 배출구(133)에서 배출된 공기가 통과하는 연통홀(103)과, 상기 연통홀(103)과 상기 저장 용기 배출구(104)를 연통시키는 연결 유로(105)가 포함된다.
상기 저장 용기 배출구(104)는 상기 저장 용기(100)가 상기 냉장실(11)에 완전하게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선반 배출구(152)와 정렬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입구(132), 배출구(133), 연통홀(103), 연결 유로(105), 저장 용기 배출구(104) 및 선반 배출구(152)는 상기 저장 챔버(102)의 공기가 상기 저장 챔버(102)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배출유로를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연통홀(103)은 개폐 부재(108)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개폐된다. 상기 개폐 부재(108)는 힌지(109)에 의해서 상기 저장 용기(1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 때, 상기 힌지(109)에는 탄성 부재(109a)가 결합되어 상기 개폐 부재(108)가 상기 연통홀(103)을 닫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상기 개폐 부재(108)로 가한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개폐 부재 또는 상기 연통홀에는 실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개폐 부재(108)는 상기 진공 펌프(135)의 작동 시 상기 개폐 부재(108)로 송풍되는 공기에 의해서 회전되어, 상기 연통홀(103)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개폐 부재(108)는 상기 진공 펌프 어셈블리(130)에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개폐 부재는 상기 흡입구(13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상 기 진공 펌프 어셈블리 내부와 상기 저장 챔버가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100)에는, 상기 진공 펌프(135)를 작동시키기 위한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112)와, 상기 저장 챔버(102)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센서(142)와, 상기 진공 펌프(135)의 작동 상태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14)와, 상기 진공 펌프(135)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7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입력부(112)는 일 례로 상기 진공 펌프(135)를 온시키기 위한 진공 버튼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입력부(112)로부터 상기 진공 펌프(135)의 작동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진공 펌프(135)를 작동시킨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압력 센서(142)에서 감지된 압력이 제 1 설정압에 도달하면(설정압 이하가 되면) 상기 진공 펌프(135)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한편, 상기 디스플레이부(114)는 상기 냉장실 도어(20)가 개방된 상태에서만 전원이 공급되거나, 활성화될 수 있다. 즉, 상기 저장 용기가 상기 본체에 인입되고, 상기 냉장실 도어가 상기 냉장실을 닫은 상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4)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14)가 작동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따라서, 도시되지 않은 도어 개방 감지부에 의해서 냉장실 도어의 개방이 감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14)로 전원 공급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4)가 활성 화되어 불필요한 전력 소모가 최소화되도록 한다.
도 6은 저장 용기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저장 용기(100) 내부에 음식물이 수용되고, 상기 저장 용기(100)가 상기 본체(10)에 완전하게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112)에 의해서 상기 진공 펌프(135)의 작동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진공 펌프(135)가 작동한다. 상기 진공 펌프(135)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14)에서는 상기 진공 펌프(135)의 작동 중임을 알리기 위한 정보가 표시된다.
상기 진공 펌프(135)가 작동하게 되면, 상기 저장 챔버(102)의 공기(냉기)가 상기 하우징(131)으로 유입된다. 상기 하우징(131)으로 유입된 공기는 상기 배출구(133) 및 연통홀(103)을 통과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연통홀(103)을 통과하는 공기에 의해서 상기 개폐 부재(108)가 회전되어 상기 연통홀(103)이 개방된다. 상기 연통홀(103)을 통과한 공기는 상기 연결 유로(105)를 유동한 후에 상기 저장 용기 배출구(104) 및 상기 선반 배출구(152)를 통하여 상기 냉장실(11)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저장 용기(10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 상기 압력 센서(142)는 상기 저장 챔버(102)의 압력을 감지한다. 상기 저장 용기(100) 내부의 공기가 배출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저장 용기(100) 내부의 압력이 감소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압력 센서(142)에서 감지된 압력이 제 1 설정압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진공 펌프(135)의 작동을 정지시킨다. 그러면, 상기 저장 챔버(102)는 실질적인 진공 상태가 된다. 여기서, 실질적인 진공 상태라 함은 완전한 진공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진공과 유사한 상태를 의미 한다. 물론, 실질적인 진공 상태에서의 압력은 대기압 보다 낮다.
그리고, 상기 저장 챔버(102)에서 공기가 배출되면, 상기 실러(106)와 상기 선반(150)의 접촉력이 증가되어 상기 저장 챔버(102)의 실질적인 진공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장 챔버(102)가 진공 상태가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14)에서는 실질적 진공 상태를 외부로 알리기 위한 정보가 표시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저장 용기의 저장 챔버가 실질적인 진공 상태로 조성되어, 음식물의 장기 보관이 가능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즉, 상기 저장 챔버의 공기를 상기 저장 용기의 외부로 배출시킴으로써, 음식물의 부패 또는 상함의 원인인 세균 등의 번식에 필요한 공기가 상기 저장 챔버에서 희박하도록 하여, 음식물의 장기 보관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저장 챔버의 진공 상태가 외부로 표시되므로, 사용자가 상기 저장 용기의 현재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진공 상태임을 확인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무리하게 상기 저장 용기을 당기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 용기(100)에 제1연결부(144)가 구비되고, 상기 본체에 상기 제2연결부(30)가 구비되므로, 상기 저장 용기(100)가 상기 본체(10)에 완전히 인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14)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저장 용기의 완전 인입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저장 용기의 진공 상태에서의 도 3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이고, 도 7의 저장 용기의 진공 해제 상태(비진공 상태)의 도 3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밸브 유닛(120)은, 상기 냉장실(11)의 냉기가 상기 저장 챔버(102)로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 유닛(120)은 일 례로 수동 조작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밸브 유닛(120)에는, 상기 저장 용기(100)의 외부에 위치되는 조작부(121)와, 상기 저장 용기(100)의 내부에서 상기 조작부(121)와 결합되는 밸브 부재(122)와, 일측이 상기 저장 용기(100)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조작부(121)를 탄성 지지하는 탄성 부재(123)와, 상기 조작부(121)와 상기 밸브 부재(122)를 체결시키기 위한 체결 부재(124)가 포함된다.
한편, 상기 저장 용기(100)에는 상기 냉장실(11)의 냉기가 상기 저장 챔버(102)로 흡입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흡입유로(107)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 부재(122)는 상기 조작부(121)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흡입유로(107)을 선택적으로 개폐시킨다.
상기 조작부(121)가 조작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 부재(123)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기 밸브 부재(122)가 상기 흡입유로(107)를 닫는다. 따라서, 상기 저장 챔버(102)가 실질적인 진공 상태가 된 경우에는 상기 흡입유로(107)를 통하여 공기가 흡입되지 않는다. 이러한 진공 상태에서는 상기 실러(106)와 상기 선반(150)의 밀착력이 크므로, 상기 저장 용기를 상기 냉장실(11)의 외부로 인출하기 어렵다. 따라서, 상기 밸브 유닛(120)을 조작하여 상기 저장 챔버(102)의 실질적인 진공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상기 진공 상태를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조작부(121)가 조작되면, 상기 밸브 부재(122)가 상기 흡입유로(107)에서 이격되어 상기 흡입유로(107)이 개방된다. 그러면, 상기 냉장실(11)의 냉기가 상기 흡입 유로(107)를 통하여 상기 저장 챔버(102)로 흡입된다. 상기 저장 챔버(102)로 냉기가 흡입되면, 상기 저장 챔버(102)의 압력이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 센서(142)에서는 상기 저장 챔버의 압력이 감지되고, 상기 제어부(170)에서는 감지된 압력과 제 2 설정압(제 1 설정압 보다는 높으며, 대기압과 유사한 값을 가짐)을 비교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된 압력이 제 2 설정압에 도달할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14)에서는 비진공 상태가 표시된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121)를 조작하는 중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14)에서 비진공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상기 조작부(121)의 지속 조작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14)에서 진공 상태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121)를 지속적으로 가압하게 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14)에서 비진공 상태가 표시되면, 사용자는 이를 인지하여 상기 조작부(121)를 가압하는 힘을 제거할 수 있다.
도 9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개폐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고, 다만, 개폐 부재의 동작 방식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을 참조하면, 상기 저장 용기(100)에는 연통홀(103)을 개폐시키기 위한 개폐 부재(208)와, 상기 개폐 부재(208)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210)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 모터(210)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설치부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입력부(112)를 통하여 상기 진공 펌프(135)의 동작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구동 모터(210)에 의해서 상기 개폐 부재(208)가 구동되어 상기 연통홀(103)이 개방되고, 상기 진공 펌프(135)가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 챔버(102)의 압력이 제 1 설장압에 도달하면, 상기 진공 펌프(135)는 정지하고, 상기 구동 모터(210)에 의해서 상기 개폐 부재(208)가 구동하여 상기 연통홀(103)이 닫히게 된다.
도 10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본 실시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이전 실시예 들과 동일하고, 다만, 밸브 유닛의 작동 방법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저장용기에는, 진공 펌프(350)와, 신호 입력을 위한 입력부(320)와, 상기 저장 챔버(102)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압력 센서(340)와, 상기 진공 펌프(350)의 작동 상태 또는 상기 저장 챔버(102)의 진공 상태 여부를 디스플레이 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330)와, 상기 냉장실(11)과 상기 저 장 챔버(102)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한 밸브 유닛(370)과, 상기 밸브 유닛(370)를 구동시키기 위한 밸브 구동부(360)와, 적어도 상기 진공 펌프(350) 및 상기 밸브 구동부(36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10)가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입력부(320)에는, 상기 저장 용기(100)를 진공 상태로 변화시키기 위하여 선택하는 진공 버튼(322)과, 상기 저장 용기(100)의 진공 상태를 해제시키기 위하여 선택하는 해제 버튼(324)이 포함된다.
상기 진공 버튼(322)이 선택되면, 상기 진공 펌프(350)에 의해서 상기 저장 용기(10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어 상기 저장 용기는 진공 상태가 된다.
반면, 상기 해제 버튼(324)이 선택되면, 상기 밸브 구동부(360)에 의해서 상기 밸브 유닛(370)이 작동하여, 상기 냉장실(11)의 냉기가 상기 저장 용기 내부로 유입되어 진공 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상기 저장 용기(100)의 진공 상태 또는 비진공 상태를 이전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디스플레이부(330)에서 디스플레이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해제 버튼을 조작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냉장실의 냉기가 상기 저장 용기(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가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제 1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도어가 개방된 상태의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저장 용기가 분리된 상태의 냉장고의 사시도.
도 3은 제 1 실시예에 따른 선반과 저장 용기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도 1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5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
도 6은 저장 용기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7은 저장 용기의 진공 상태에서의 도 3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
도 7의 저장 용기의 진공 해제 상태(비진공 상태)의 도 3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9은 제 2 실시예에 따른 저장 용기의 개폐 부재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구조를 보여주는 블럭도.

Claims (11)

  1. 저장실이 형성되는 본체;
    상기 저장실을 개폐시키는 도어;
    상기 저장실에 수용 가능하며, 내부에 저장 챔버가 형성되는 저장 용기; 및
    상기 저장 챔버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 챔버의 공기를 상기 저장 용기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진공 펌프 어셈블리가 포함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에는 제 1 연결부가 포함되고,
    상기 본체에는 상기 진공 펌프 어셈블리로 전원이 공급되기 위하여, 상기 제 1 연결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제 2 연결부가 포함되는 냉장고.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에는, 상기 진공 펌프 어셈블리의 작동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저장 챔버의 진공 상태 여부를 디스플레이기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되는 냉장고.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제 1 연결부와 상기 제 2 연결부가 연결되고 상기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 활성화되는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펌프 어셈블리에는,
    흡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진공 펌프가 포함되는 냉장고.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펌프 어셈블리와 상기 저장 챔버 또는 상기 진공 펌프 어셈블리와 상기 저장실을 선택적으로 연통시키기 위한 개폐 부재가 더 포함되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에는, 상기 저장실의 공기가 상기 저장 챔버로 선택적으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한 밸브 유닛이 포함되는 냉장고.
  8. 저장실;
    상기 저장실 내부 공간에 위치되며, 상기 저장실과 선택적으로 구획되는 저장 챔버;
    상기 저장 챔버에 구비되어 상기 저장 챔버의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진공 펌프 어셈블리;
    상기 저장 챔버의 공기를 상기 저장 챔버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 유로;
    상기 배출 유로를 개폐시키는 개폐 부재;
    상기 저장 챔버의 내부로, 상기 저장 챔버의 외부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기 위한 흡입 유로; 및
    상기 흡입 유로를 개폐시키는 밸브 유닛이 포함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유로의 공기는 상기 저장실로 배출 가능하고,
    상기 저장실의 공기는 상기 흡입 유로로 흡입 가능한 냉장고.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에 선택적으로 인입되며, 상기 저장 챔버를 정의하는 저장 용기가 더 포함되며,
    상기 저장 용기가 상기 저장실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진공 펌프 어셈블리로 전원 공급이 가능한 냉장고.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 용기에는, 상기 진공 펌프 어셈블리의 작동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와,
    상기 저장 챔버의 진공 상태 여부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가 포함되는 냉장고.
KR1020090015728A 2009-02-25 2009-02-25 냉장고 KR2010009670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728A KR20100096704A (ko) 2009-02-25 2009-02-25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5728A KR20100096704A (ko) 2009-02-25 2009-02-25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6704A true KR20100096704A (ko) 2010-09-02

Family

ID=43004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5728A KR20100096704A (ko) 2009-02-25 2009-02-25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96704A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4150A (ko) * 2013-04-16 2014-10-2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멀티-룸 냉장고 및 멀티-롬 냉장고의 식별자 표시 방법
KR20140125154A (ko) * 2013-04-18 2014-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저온저장장치
KR20140139880A (ko) * 2013-05-28 2014-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야채실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CN104501497A (zh) * 2014-11-28 2015-04-08 河南新飞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外接真空保鲜装置的冰箱
CN105466134A (zh) * 2015-12-08 2016-04-06 广东奥马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可换装搁架的冰箱
KR102300855B1 (ko) * 2020-03-24 2021-09-10 최준호 이중 격벽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진공 보관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24150A (ko) * 2013-04-16 2014-10-24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멀티-룸 냉장고 및 멀티-롬 냉장고의 식별자 표시 방법
KR20140125154A (ko) * 2013-04-18 2014-10-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저온저장장치
KR20140139880A (ko) * 2013-05-28 2014-1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야채실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CN104501497A (zh) * 2014-11-28 2015-04-08 河南新飞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外接真空保鲜装置的冰箱
CN104501497B (zh) * 2014-11-28 2016-10-26 河南新飞电器有限公司 一种具有外接真空保鲜装置的冰箱
CN105466134A (zh) * 2015-12-08 2016-04-06 广东奥马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可换装搁架的冰箱
KR102300855B1 (ko) * 2020-03-24 2021-09-10 최준호 이중 격벽 구조를 이용한 스마트 진공 보관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15394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100096704A (ko) 냉장고
US8161768B2 (en) Modular food preservation system
EP3062050B1 (en) Carbonated water production unit,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5650971B (zh) 冰箱
US8006502B2 (en) Dispenser related technology
US9702616B2 (en) Apparatus for producing carbonated water,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737956B1 (ko) 냉장고
EP2679942A2 (en) Refrigerator
US20100262295A1 (en) Refrigerator control technology
KR101436157B1 (ko) 냉장고
KR20090020185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545022B1 (ko)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00760B1 (ko) 냉기 유로 개폐 장치 및 이를 갖는 냉장고
KR100281838B1 (ko) 냉장고의 홈바룸 온도제어 장치
KR20160088665A (ko) 냉장고 제어 방법
KR102674196B1 (ko) 냉장고
KR101611706B1 (ko) 탄산수 제조 장치, 탄산수 제조 장치가 구비된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1192694B1 (ko) 냉장고의 공기제거 장치
KR101695817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200232953Y1 (ko) 워터 디스펜서를 갖춘 냉장고
EP2124001A2 (en) Modular food preservation system
KR200278166Y1 (ko) 김치저장고의 도어 열림 방지구조
KR0159696B1 (ko) 에어커튼구조를 갖춘 냉장고와 이의 제어방법
KR100339532B1 (ko) 냉장고의 냉기 제어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