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953Y1 - 자동차용 인사이드 도어핸들의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인사이드 도어핸들의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953Y1
KR0135953Y1 KR2019960010106U KR19960010106U KR0135953Y1 KR 0135953 Y1 KR0135953 Y1 KR 0135953Y1 KR 2019960010106 U KR2019960010106 U KR 2019960010106U KR 19960010106 U KR19960010106 U KR 19960010106U KR 0135953 Y1 KR0135953 Y1 KR 01359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door handle
vehicle speed
inside door
r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101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8666U (ko
Inventor
박준홍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101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953Y1/ko
Publication of KR9700586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866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9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9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E05B85/12Inner doo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10Illuminating devices on or for locks or keys; Transparent or translucent lock parts; Indicator lights

Landscapes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인사이드 도어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차속을 감지하는 차속감지수단(20)을 자동차의 일측에 설치하고, 차속감지수단(20)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해 자동차용 배터리전원(B+)을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릴레이(30)의 작동에 따라 온/오프(On/Off)되는 램프(40)를 인사이드 도어핸들(10)의 외주연에 설치함으로써, 야간운행시 인사이드 도어핸들(10)을 도어트림(2)의 내측부위에서 승객이 손쉽게 식별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인사이드 도어핸들의 표시장치
제1도는 종래의 도어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인사이드 도어핸들을 표시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도어의 인사이드 도어핸들에 램프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 2 : 도어트림
10 : 인사이드 도어핸들 20 : 차속감지수단
30 : 릴레이 32 : 릴레이코일
34 : 릴레이스위치 40 : 램프
본 고안은 자동차용 인사이드 도어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야간운행시 자동차의 실내로 승차한 승객이 인사이드 도어핸들을 간편하면서도 손쉽게 찾을 수 있도록 한 인사이드 도어핸들의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자동차의 좌.우측에 설치되어 운전자 및 탑승자가 승.하차할 수 있도록 개폐되는 것으로서, 도어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어트림(2)의 상부에는 도어트림(2) 내측에 설치된 조절버튼(4a)의 작동에 의해 상하이동을 하는 유리(4)가 설치되고, 도어트림(2)의 중심부에는 차량의 실내로 승차한 탑승객이 팔을 편안하게 안착시킬 수 있는 암레스트(6)가 설치된다. 도어트림(2)의 상단부에는 탑승객이 도어(1)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록버튼(8)이 구비되고, 도어록버튼(8)의 해제시 탑승객이 도어(1)를 열도록 인사이드 도어핸들(10)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용 인사이드 도어핸들은 도어트림의 내측에 설치된 위치가 자동차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자동차의 야간운행시 탑승객이 목적지에 도착하여 하차하고자 할 때에는 도어트림에 설치된 인사이드 도어핸들을 단번에 찾기가 어려워 한참을 당황해야 하는 불편한 문제를 갖고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자동차의 종류에 상관없이 인사이드 도어핸들을 야간운행시에도 탑승객이 간편하면서도 손쉽게 식별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자동차용 인사이드 도어핸들의 표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은 자동차의 일측에 장착되어 차속을 감지하는 차속감지수단과, 상기 차속감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해 자동차용 배터리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릴레이와, 인사이드 도어핸들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상기 릴레이의 작동에 따라 온/오프(On/Off)되는 램프를 구비하여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렐리이는 차속감지수단이 감지한 차속이 0일 때에 램프로 전원을 공급토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인사이드 도어핸들의 표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에는 부호를 동일하게 부여한다).
제2도를 참고하면, 차속감지수단(20)은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도록 자동차의 일측에 설치된다. 차속감지수단(20)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해 자동차용 배터리전원(B+)을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릴레이(30)가 설치되고, 릴레이(30)의 작동에 따라 온/오프되는 램프(40)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트림(2)의 내측에 구비된 인사이드 도어핸들(10)의 외주연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다른 실시예로써 도면으로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인사이드 도어핸들(10)의 설치되는 램프(40)를 상,하 또는 좌,우로만 설치할 수도 있고, 또 다른 실시예로써 인사이드 도어핸들(10)의 외주연으로 야광채를 장착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인사이드 도어핸들(10)의 외주연에 설치된 램프(40)가 자동차의 속도에 따라 작동되는 상태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동차가 진행할 경우(즉, 차속이 0' 이상임)에는 차속감지수단(20)에서 신호가 출력되지 않아 릴레이(30)의 릴레이코일(32)에서는 자장이 발생되지 않는다. 릴레이코일(32)에서 자장이 발생되지 않음에 따라 릴레이스위치(34)는 오프(Off)상태가 되어 배터리전원(B+)은 램프(40)로 전원을 공급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자동차의 일측에 설치된 차속감지수단(20)이 감지한 차속이 0일 때(즉, 자동차가 정지한 상태를 말한다.)에는 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차속감지수단(20)에서 출력된 신호에 의해 릴레이(30)의 릴레이코일(32)에서는 자장이 발생되고, 릴레이스위치(34)는 상기 릴레이코일(32)에서 발생된 자장에 의해 온(On)상태를 이루게 됨으로 인해 배터리전원(B+)이 공급되어 인사이드 도어핸들(10)의 외주연에 설치된 램프(40)가 점등되는 것이다.
상기 램프(40)는 자동차가 정지된 상태에서만 점등됨에 따라 자동차의 야간운행시 승객이 목적지에 도착하여 하차하고자 할 때 인사이드 도어핸들(10)의 외주연에 설치된 램프(40)의 점등상태를 육안으로 손쉽게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자동차의 종류에 상관없이 인사이드 도어핸들(10)의 위치를 정확하게 찾아서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인사이드 도어핸들의 표시장치는 차속을 감지하는 차속감지수단을 자동차의 일측에 설치하고, 차속감지수단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해 자동차용 배터리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릴레이의 작동에 따라 온/오프되는 램프를 인사이드 도어핸들의 외주연에 설치함에 따라 야간운행시 인사이드 도어핸들을 도어트림의 내측부위에서 승객이 손쉽게 식별하여 도어를 개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자동차의 일측게 장착되어 차속을 감지하는 차속감지수단(20)과, 상기 차속감지수단(20)으로부터 출력된 신호에 의해 자동차용 배터리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릴레이(30)와, 인사이드 도어핸들(10)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상기 릴레이(30)의 작동에 따라 온/오프(On/Off)되는 램프(40)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인사이드 도어핸들의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30)는 차속감지수단(20)이 감지한 차속이 0일 때에 램프(40)로 전원을 공급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인사이드 도어핸들의 표시장치.
KR2019960010106U 1996-04-30 1996-04-30 자동차용 인사이드 도어핸들의 표시장치 KR01359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0106U KR0135953Y1 (ko) 1996-04-30 1996-04-30 자동차용 인사이드 도어핸들의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10106U KR0135953Y1 (ko) 1996-04-30 1996-04-30 자동차용 인사이드 도어핸들의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666U KR970058666U (ko) 1997-11-10
KR0135953Y1 true KR0135953Y1 (ko) 1999-03-30

Family

ID=19455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10106U KR0135953Y1 (ko) 1996-04-30 1996-04-30 자동차용 인사이드 도어핸들의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95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666U (ko) 1997-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5953Y1 (ko) 자동차용 인사이드 도어핸들의 표시장치
US5254907A (en) Lighting system for use in vehicle cabin
JPH11266502A (ja) 電気自動車の電源表示装置
JP2003182365A (ja) 自動車の衝突事故防止装置
KR0138728Y1 (ko) 차량의 인사이드 도어핸들부 위치표시장치
KR19980010593U (ko) 야간식별 가능한 자동차용 도어핸들
KR200147133Y1 (ko) 자동차룸 램프 제어장치
KR200143566Y1 (ko) 자동차용 트렁크등 및 글로브박스등 제어장치
KR20030009002A (ko) 차량문 안전경보시스템
KR0176361B1 (ko) 자동차의 도어핸들 조명장치
KR200151079Y1 (ko) 자동차의 윈도우 열림 경고장치
KR0160022B1 (ko) 자동차 도어 레버 표시 장치
KR0137319Y1 (ko) 위치식별 기능을 갖는 인사이드 핸들
KR0135437B1 (ko) 자동차의 룸 램프 점등모드 절환장치
KR920004187Y1 (ko) 자동차용 램프의 자동 온 · 오프 제어회로
KR970006405Y1 (ko) 도어 개도에 따른 램프 제어장치
KR19980039278U (ko) 자동차의 실내등
US3755775A (en) Automobile light-on indicator
KR19990010883A (ko) 야간의 차량용 도어 핸들 식별방법 및 그 장치
KR100190397B1 (ko) 차량용 변속레버 락킹장치
JPH0530523Y2 (ko)
JPH0253649A (ja) 自動車の室内灯装置
KR19990018611A (ko) 자동차의 실내등 점등제어장치
KR19980044423U (ko) 자동차용 실내등 구동장치
KR20020048731A (ko) 자동차의 엔진룸용 조명등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