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3566Y1 - 자동차용 트렁크등 및 글로브박스등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트렁크등 및 글로브박스등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3566Y1
KR200143566Y1 KR2019960057519U KR19960057519U KR200143566Y1 KR 200143566 Y1 KR200143566 Y1 KR 200143566Y1 KR 2019960057519 U KR2019960057519 U KR 2019960057519U KR 19960057519 U KR19960057519 U KR 19960057519U KR 200143566 Y1 KR200143566 Y1 KR 2001435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glove box
light
battery power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75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4384U (ko
Inventor
신민철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600575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3566Y1/ko
Publication of KR199800443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43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35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35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2Switch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 lighting, e.g. switching by tilting the l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2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lighting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mounted on specific fittings of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 B60Q3/225Small compartments, e.g. glov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3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for compartments other than passenger or driving compartments, e.g. luggage or engin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3/00Arrangement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interiors
    • B60Q3/80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 B60Q3/88Means for plugging to the electrical power supply of the vehicle, e.g. by using cigarette lighter sock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6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below dash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트렁크등 및 글로브박스등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용 트렁크등 및 글로브박스등을 점소등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일정시간동안 구동신호를 출력시키는 타이머(12)와, 상기 타이머(12)로부터 출력된 구동신호로 자화되는 코일부(11)와, 상기 코일부(11)의 자기장으로 스위칭되어 배터리전원(B+)을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릴레이스위치(10)와, 상기 릴레이스위치(10)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배터리전원(B+)으로 점등되는 트렁크등(14)과, 상기 트렁크등(14)을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트렁크스위치(18)와, 상기 릴레이스위치(10)에 연결되고 트렁크등(14)과 병렬로 연결되어 인가되는 배터리전원(B+)으로 점등되는 글로브박스등(16)과, 상기 글로브박스등(16)을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글로브박스스위치(20)와, 상기 트렁크등(14)의 일단에 연결되어 타이머(12)로 배터리전원(B+)을 인가시키는 제 1다이오드(D1)와, 상기 글로브박스등(16)의 일단에 연결되어 타이머(12)로 배터리전원(B+)을 인가시키는 제 2다이오드(D2)가 포함되어 트렁크등이나 글로브박스등으로 무단으로 인가되는 배터리전원을 차단시키는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트렁크등 및 글로브박스등 제어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용 트렁크등 및 글로브박스등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렁크등이나 글로브박스등으로 무단으로 인가되는 배터리전원을 차단시키는 자동차용 트렁크등 및 글로브박스등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트렁크등을 점소등시키는 전기배선도로, 트렁크리드의 일측에 장착되어 트렁크후드를 개폐시킬 때에 온 또는 오프되는 트렁크스위치(1)와, 상기 트렁크스위치(1)에 연결되고, 트렁크의 내부일측에 구성되어 인가되는 배터리전원(B+)으로 트렁크내부를 조명시키는 트렁그등(2)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트렁크등은 운전석의 전면일측에 구성된 트렁크개폐스위치를 조작시키거나 자동차용 시동키로 트렁크후드를 잠금 또는 개방시키면, 트렁크리드의 일측에 구성된 트렁크스위치(1)는 온 또는 오프된다. 즉, 트렁크후드를 개방시키면 트렁크스위치(1)가 온되고, 트렁크후드를 닫게되면 트렁크스위치(1)는 오프상태가 된다. 이때, 트렁크스위치(1)는 푸시풀형 스위치로 트렁크후드의 개폐에 의해 점등 또는 소등된다. 트렁크등(2)은 야간이나 어두운 장소 등에서 트렁크후드를 개방시켰을 때에 트렁크내부를 조명시켜 트렁크내에 실려 있는 물품을 용이하게 찾거나 또는 트렁크내부로 물품을 싣기 용이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트렁크등(2) 및 트렁크스위치(1)의 작동과 유사하게 조수석의 전면에 구비된 인스트루먼트패널에 구성된 글로브박스의 경우도 동일한 작동이 수행된다. 글로브박스는 운전에 필요한 물품을 보관하거나 귀중품 등을 보관하는 공간이다.
그러나 종래에 트렁크나 글로브박스의 개폐에 따라 온 또는 오프되는 스위치가 트렁크나 글로브박스를 빈번하게 개폐시켜 스위치가 망실되었거나 스위치의 고장으로 인하여 트렁크나 글로브박스를 닫아도 계속 스위치가 온상태로 유지되어 트렁크등이나 글로브박스등이 점등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로 인하여 트렁크등이나 글로브박스등은 무단으로 배터리전원을 소모시켜 자동차용 배터리를 방전시키거나 트렁크등이나 글로브박스등의 특성이 변화되는 등의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트렁크나 글로브박스에 구성된 스위치가 망실이나 고장이 났을 때에 트렁크등이나 글로브박스등으로 무단 인가되는 배터리전원을 차단시키는 자동차용 트렁크등 및 글로브박스등 제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 목적이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트렁크등을 점소등시키는 전기배선도
도 2는 본 고안에 관한 자동차용 트렁크등 및 글로브박스등 제어장치의 전기배선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8: 드렁크스위치2, 14: 드렁크등
10: 릴레이스위치11: 코일부
12: 타이머16: 글로브박스등
20: 글로브박스스위치D1, D2: 다이오드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자동차용 트렁크등 및 글로브박스등을 점소등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일정시간동안 구동신호를 출력시키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로부터 출력된 구동신호로 자화되는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의 자기장으로 스위칭되어 배터리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릴레이스위치와, 상기 릴레이스위치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배터리전원으로 점등되는 트렁크등과, 상기 트렁크등을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트렁크스위치와, 상기 릴레이스위치에 연결되고 트렁크등과 병렬로 연결되어 인가되는 배터리전원으로 점등되는 글로브박스등과, 상기 글로브박스등을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글로브박스스위치와, 상기 트렁크등의 일단에 연결되어 타이머로 배터리전원을 인가시키는 제 1다이오드와, 상기 글로브박스등의 일단에 연결되어 타이머로 배터리전원을 인가시키는 제 2다이오드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이 특징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자동차용 트렁크등 및 글로브박스등 제어장치에 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관한 자동차용 트렁크등 및 글로브박스등 제어장치의 전기배선도이다.
타이머(12)는 일정시간(약 5분내외)동안 구동신호를 출력시키는 것으로, 인가되는 배터리전원(B+)을 구동신호로 변환시켜 출력시킨다.
코일부(11)는 상기 타이머(12)로부터 출력된 구동신호로 자화되는 것이고, 릴레이스위치(10)는 상기 코일부(11)의 자기장으로 스위칭되어 배터리전원(B+)을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것이다. 릴레이스위치(10)는 항시 온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트렁크등(14)은 상기 릴레이스위치(10)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배터리전원(B+)으로 점등되는 것이고, 글로브박스등(16)은 상기 릴레이스위치(10)에 연결되고 트렁크등(14)과 병렬로 연결되어 인가되는 배터리전원(B+)으로 점등되는 것이다.
트렁크스위치(18)는 상기 트렁크등(14)을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것이고, 글로브박스스위치(20)는 상기 글로브박스등(16)을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것이다.
제 1다이오드(D1)는 상기 트렁크등(14)의 일단에 연결되어 타이머(12)로 배터리전원(B+)을 인가시키고, 제 2다이오드(D2)는 상기 글로브박스등(16)의 일단에 연결되어 타이머(12)로 배터리전원(B+)을 인가시키는 것이다.
상기 타이머(12)는 제 1다이오드(D1) 또는 제 2다이오드(D2)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신호로 카운트가 시작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관한 자동차용 트렁크등 및 글로브박스등 제어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트렁크를 개방시키기 위하여 차실내의 트렁크개폐스위치를 조작시키거나 트렁크후드에 구성된 키실린더의 잠금상태를 개방시키면, 트렁크후드에 의해 트렁크스위치(18)는 온상태가 된다. 트렁크스위치(18)의 온으로 트렁크등(14)은 릴레이스위치(10)를 거쳐 인가된 배터리전원(B+)으로 점등상태가 된다. 이때, 트렁크등(14)의 점등과 동시에 제 1다이오드(D1)를 통해 인가된 전류신호는 타이머(12)로 입력된다.
타이머(12)는 전류신호가 입력되면, 일정시간을 카운트하게 된다. 타이머(12)가 일정시간동안 카운트를 완료하면, 타이머(12)는 코일부(11)로 구동신호를 출력시킨다. 따라서, 코일부(11)는 인가되는 구동신호로 자화되어 온상태의 릴레이스위치(10)를 오프시킨다. 릴리이스위치(10)가 오프되면, 트렁크등(14)로 인가되던 배터리전원(B+)은 차단되어 트렁크등(14)은 소등된다. 이는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트렁크후드를 개방시킨 후에 닫지 않았거나 트렁크후드를 닫았더라도 트렁크스위치(18)가 망실이나 고장으로 인하여 트렁크등(14)을 소등시키지 못하였을 때에 배터리전원(B+)이 무단으로 방전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또한, 글로브박스등(16)의 경우에도 글로브박스를 개방시키면, 글로브박스스위치(20)가 온되어 배터리전원(B+)이 글로브박스등(16)을 점등시킨다. 이때에도 글로브박스등(16)에 연결된 제 2다이오드(D2)를 통해 인가된 전류신호는 타이머(12)로 인가되어 타이머(12)로 하여금 일정시간동안 카운트시킨다. 따라서, 글로브박스가 장시간동안 닫혀지지 않았거나 글로브박스스위치(20)가 망실이나 고장일 경우에 배터리전원(B+)이 무단으로 글로브박스등(16)로 인가되어 방전되는 것을 방지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차용 트렁크등 및 글로브박스등 제어장치는 트렁크등 또는 글로브박스등을 점등시키는 드렁크스위치나 글로브박스스위치가 망실 또는 고장이 발생하였거나 운전자의 부주의로 트렁크후드나 글로브박스를 장시간동안 닫지 않았을 때에 타이머, 코일부 및 릴레이스위치의 구동에 의해 배터리전원이 트렁크등 및 글로브박스등으로 무단인가되어 방전되는 것을 방지시키므로 자동차의 운용에 편의를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자동차용 트렁크등 및 글로브박스등을 점소등시키는 장치에 있어서,
    일정시간동안 구동신호를 출력시키는 타이머(12)와,
    상기 타이머(12)로부터 출력된 구동신호로 자화되는 코일부(11)와,
    상기 코일부(11)의 자기장으로 스위칭되어 배터리전원(B+)을 공급 또는 차단시키는 릴레이스위치(10)와,
    상기 릴레이스위치(10)에 연결되어 인가되는 배터리전원(B+)으로 점등되는 트렁크등(14)과,
    상기 트렁크등(14)을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트렁크스위치(18)와,
    상기 릴레이스위치(10)에 연결되고 트렁크등(14)과 병렬로 연결되어 인가되는 배터리전원(B+)으로 점등되는 글로브박스등(16)과,
    상기 글로브박스등(16)을 점등 또는 소등시키는 글로브박스스위치(20)와,
    상기 트렁크등(14)의 일단에 연결되어 타이머(12)로 배터리전원(B+)을 인가시키는 제 1다이오드(D1)와,
    상기 글로브박스등(16)의 일단에 연결되어 타이머(12)로 배터리전원(B+)을 인가시키는 제 2다이오드(D2)가 포함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트렁크등 및 글로브박스등 제어장치.
KR2019960057519U 1996-12-26 1996-12-26 자동차용 트렁크등 및 글로브박스등 제어장치 KR2001435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7519U KR200143566Y1 (ko) 1996-12-26 1996-12-26 자동차용 트렁크등 및 글로브박스등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7519U KR200143566Y1 (ko) 1996-12-26 1996-12-26 자동차용 트렁크등 및 글로브박스등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384U KR19980044384U (ko) 1998-09-25
KR200143566Y1 true KR200143566Y1 (ko) 1999-06-15

Family

ID=19483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7519U KR200143566Y1 (ko) 1996-12-26 1996-12-26 자동차용 트렁크등 및 글로브박스등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356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973B1 (ko) * 2011-02-01 2014-06-17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전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384U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43566Y1 (ko) 자동차용 트렁크등 및 글로브박스등 제어장치
KR920008964Y1 (ko) 도어/트렁크 개방시 차량의 발진방지장치
KR200155886Y1 (ko) 자동차의 트렁크 개방장치
KR200143799Y1 (ko) 자동차의 도어 잠금 표시 장치
KR200265577Y1 (ko)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구동장치
KR100190397B1 (ko) 차량용 변속레버 락킹장치
KR100214939B1 (ko) 해치백 차량 트렁크 오픈 확인 장치
RU2040413C1 (ru) Электросистема автомобиля
KR19980013295U (ko) 자동차의 실내 조명장치
KR200151079Y1 (ko) 자동차의 윈도우 열림 경고장치
KR19980044424U (ko) 자동차의 도난방지용 실내등 점등장치
KR19980044423U (ko) 자동차용 실내등 구동장치
KR100209076B1 (ko) 차량의 트렁크개방 감지장치
KR20020048731A (ko) 자동차의 엔진룸용 조명등 조립체
KR0152337B1 (ko) 자동차 도어 스위치의 백 라이팅장치
KR960008394Y1 (ko) 주차시 주차브레이크 미작동경보장치
KR970002497Y1 (ko) 키꽂이 주변을 위한 실내 램프
KR0150315B1 (ko) 자동차의 실내등 작동장치
KR19980018016U (ko) 차량의 조명등에 의한 배터리 방전방지 경보장치
KR19980036326A (ko) 배터리 방전방지용 부저장치
KR19980022525U (ko) 광감지수단에 의한 조명등 점소등장치
KR19980046910A (ko) 차량의 도난 경보장치
KR19980039523U (ko) 이그니션 키 뭉치의 조명 장치
KR19980047198U (ko) 자동차용 선루프의 개폐장치
KR19980052292U (ko) 도어 및 프론트 룸램프 자동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