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405Y1 - 도어 개도에 따른 램프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개도에 따른 램프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405Y1
KR970006405Y1 KR2019950026786U KR19950026786U KR970006405Y1 KR 970006405 Y1 KR970006405 Y1 KR 970006405Y1 KR 2019950026786 U KR2019950026786 U KR 2019950026786U KR 19950026786 U KR19950026786 U KR 19950026786U KR 970006405 Y1 KR970006405 Y1 KR 9700064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amp
hinge
conducto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67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2989U (ko
Inventor
강윤관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500267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405Y1/ko
Publication of KR97001298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298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4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4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5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 B60Q1/52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automatically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in traffic or with pedestrians, e.g. after risk assessment using the vehicle sensor data
    • B60Q1/535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other intentions or conditions, e.g. request for waiting or overtaking automatically indicating risk of collision between vehicles in traffic or with pedestrians, e.g. after risk assessment using the vehicle sensor data to prevent rear-end collisions, e.g. by indicating safety distance at the rear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93Appurten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2661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mounted on parts having other fun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요약없음

Description

도어 개도에 따른 램프 제어장치
제1도는 종래 자동차의 도어 개폐에 따른 램프 제어장치의 개략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도어 개도에 따른 램프 제어장치에 개략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도어 개도에 따른 램프 제어장치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어3 : 도어 힌지
4 : 차체 힌지5 : 램프
6 : 브링크회로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 개도에 의한 램프 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도어의 열린각(개도)에 따라 램프를 점등시키거나 점멸시켜 후속차량에서 앞차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한 도어 개도에 의한 램프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자동차에 있어서 도어 개폐에 따른 램프 제어장치은 첨부된 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시된 바와같이, 종래의 도어 개폐에 따른 램프 제어장치는 도어의 개폐에 따라 도어 스위치부(1)내의 도어 스위치가 온 또는 오프된다.
램프부(2)는 도어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라 램프를 점등 또는 소등시킨다.
다시말해 도어에 부착된 램프는 도어가 열리게 되면 점등되고 도어가 닫히게 되면 소등된다.
이렇게 도어의 개폐에 따라 램프가 점등 또는 소등되는 종래의 도어 개폐에 따른 램프 제어장치는 도어가 열리게 되면 단순히 점등만 되므로 후속차량에서 앞차를 쉽게 식별하기가 어려워 사고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도어의 열릴각(개도)에 따라 램프를 점등시키거나 점멸시켜 후속차량에서 앞차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도어 개도에 따른 램프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은 도어가 차체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 도어 힌지와, 상기 도어의 개도가 소정각 이내일 때 상기 도어 힌지 주위에 형성된 제1도체와 차체 힌지에 형성된 제3도체와의 접속에 의해 점등되는 램프와, 상기 도어의 개도가 소정각 이상일 때 상기 도어 힌지 주위에 형성된 제2도체와 차체힌지에 형성된 제3도체가 접속되면 상기 램프가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브링크 회로로 이루어진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의 도어 개도에 따른 램프 제어장치 개략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도어(1)가 차체(2)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 도어 힌지(3)와, 상기 도어 힌지(3)와 연결되는 차체 힌지(4)로 구성된다.
제3도는 제2도의 A-A선 단면도로서, 도어 힌지(3)에는 도어의 열림각을 판단하기 위한 제1 및 제2도체(3a)(3b)가 구성되고, 차체 힌지(4)에는 상기 제1 및 제2도체(3a)(3b)와 도어 열림각에 의해 접속되는 제3도체(4a)가 구비된다.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도어 개도에 따른 램프 제어장치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 고안에 의한 램프 제어장치는 도어 힌지(3)에 형성된 제1 및 제2도체(3a)(3b)와 도어 개도가 소정각 이내일 때 상기 제1도체(3a)와 차체 힌지내의 제3도체(4a)와의 접속으로 구동되는 램프(5)와, 상기 제2도체(3b)와 차체 힌지내의 제3도체(4a)가 접속되면 상기 램프(5)를 점멸시키는 브링크 회로(6)로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도어 개도에 따른 램프 제어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1)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어 힌지(3)내의 제1 및 제2도체(3a)(3b)와 차체 힌지 (4) 주위에 형성된 제3도체(4a)가 접속되지 못하므로 램프(5)는 오프된다.
이와는 달리 사용자가 도어(1)를 열게되면 도어 힌지(1)의 주위에 형성된 제1도체(3a)가 고정된 차체 힌지(4)내의 제3도체(4a)와 접속이 되고, 이와같이 제1도체(3a)와 제3도체(4a)가 접속되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5)에 발광전원이 공급되어 램프는 점등된다.
이와 같이 램프(5)가 점등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1)를 좀더 열게 되면 도어(1)의 열림량과 동일하게 도어 힌지(3)에 설치된 제1 및 제2도체(3a)(3b)가 회전을 하게되는데, 이때 도어 개도가 소정각 이상이 되면 제1도체(3a)와 제3도체(4a)와 접속이 오픈되고, 제2도체(3b)와 제3도체(4a)가 접속된다.
그리하면 브링크 회로(6)에는 그에 따른 신호가 입력되고, 브링크회로(6)는 입력되는 신호에 의해 램프(5)에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하여 램프(5)가 점멸되도록 한다.
이와같이 램프(5)가 점멸을 하게되면 야간에 후방의 차가 전방에 차량이 있음을 용이하게 인지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야간에 도어 열림각에 따라 램프의 제어를 점등 또는 점멸 시키므로서 후방의 차량에서 전방에 차가 있음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도어가 차체에 연결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형성된 도어 힌지와,
    상기 도어의 개도가 소정각 이상일 때 상기 도어 힌지 주위에 형성된 제1도체와 차체 힌지에 형성된 제3도체와의 접속에 의해 점등되는 램프와,
    상기 도어의 개도가 소정각 이상일 때 상기 도어 힌지 주위에 형성된 제2도체와 차체 힌지에 형성된 제3도체가 접속되면 상기 램프가 점멸되도록 제어하는 브링크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개도에 따른 램프 제어장치.
KR2019950026786U 1995-09-28 1995-09-28 도어 개도에 따른 램프 제어장치 KR9700064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6786U KR970006405Y1 (ko) 1995-09-28 1995-09-28 도어 개도에 따른 램프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6786U KR970006405Y1 (ko) 1995-09-28 1995-09-28 도어 개도에 따른 램프 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2989U KR970012989U (ko) 1997-04-25
KR970006405Y1 true KR970006405Y1 (ko) 1997-06-24

Family

ID=19424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6786U KR970006405Y1 (ko) 1995-09-28 1995-09-28 도어 개도에 따른 램프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40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2989U (ko) 199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6405Y1 (ko) 도어 개도에 따른 램프 제어장치
JPH1097897A (ja) トンネル内照明制御システム
JPS59114137A (ja) 車両用灯火制御装置
JPH0773987B2 (ja) 自動車の室内灯制御装置
KR0154516B1 (ko) 차량용 프론트 시트의 대시보드 조명장치
KR0182378B1 (ko) 도어 커티시 램프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KR0166286B1 (ko) 차량의 헤드램프 점등제어장치
KR100439911B1 (ko) 자동차의 도어 램프 구동 장치
KR0122912Y1 (ko) 버스의 스텝램프 조정 회로
KR0150315B1 (ko) 자동차의 실내등 작동장치
KR0135437B1 (ko) 자동차의 룸 램프 점등모드 절환장치
KR0152188B1 (ko) 자동차의 룸 램프와 스텝 램프 점등 장치
KR0140697Y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램프 제어장치
JPH0530523Y2 (ko)
KR0126060Y1 (ko) 자동차의 실내등 점등회로
KR970002498Y1 (ko) 자동차 실내 조명장치
KR0126924Y1 (ko) 차량의 도어 열림 경고장치
KR950004428Y1 (ko) 승합차출입문의 작동안전장치
KR200141720Y1 (ko) 차량용 도어램프
KR19980039523U (ko) 이그니션 키 뭉치의 조명 장치
JPH0737989Y2 (ja) 車両のライトコントローラ
KR19990020203A (ko) 룸 램프 자동 오프장치
KR19980037000U (ko) 트렁크 램프 점등장치
KR19980023378U (ko) 자동차 룸램프 가압커버의 접지구조
KR980001359A (ko) 차량의 개문 표시등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