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384B1 - 도어 로크 핸들장치 - Google Patents

도어 로크 핸들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384B1
KR0135384B1 KR1019940015837A KR19940015837A KR0135384B1 KR 0135384 B1 KR0135384 B1 KR 0135384B1 KR 1019940015837 A KR1019940015837 A KR 1019940015837A KR 19940015837 A KR19940015837 A KR 19940015837A KR 0135384 B1 KR0135384 B1 KR 0135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
lock lever
shaft
fixed
hand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5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9509A (ko
Inventor
겐이찌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다끼모도 히데아끼
다끼겐 세이조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끼모도 히데아끼, 다끼겐 세이조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끼모도 히데아끼
Publication of KR9500295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95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3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3/0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 E05B13/10Devices preventing the key or the handle or both from being used formed by a lock arranged in the handl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52Other locks for chests, boxes, trunks, baskets, travelling bag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3/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70/00Locks
    • Y10S70/31Handle assembly, lock-controll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1043Swinging
    • Y10T292/1075Operating means
    • Y10T292/1083Rigid
    • Y10T292/1092Swinging ca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611For control and machine elements
    • Y10T70/5757Handle, handwheel or knob
    • Y10T70/5765Rotary or swinging
    • Y10T70/577Locked stationar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611For control and machine elements
    • Y10T70/5757Handle, handwheel or knob
    • Y10T70/5765Rotary or swinging
    • Y10T70/577Locked stationary
    • Y10T70/5792Handle-carried key lock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0/00Locks
    • Y10T70/50Special application
    • Y10T70/5611For control and machine elements
    • Y10T70/5757Handle, handwheel or knob
    • Y10T70/5832Lock and handle assembly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라서 도어 로크 핸들장치가 제공된다. 본 장치에서 베이스 부재(3)에 베어링부(6)가 마련되며, 베어링부(6)에 설치된 축(7)이 핸들 본체(4)에 고정되고, 로크레버(5)가 핸들 본체(4)에 고정되며, 래치케이스(18)가 핸들 본체(4)의 전단부에 고정되고, 로크 유닛(23)이 핸들 본체(4)의 로크수납부에 설치되며, 래치케이스(18)의 래치요소(27)의 데드볼트(46)와 계합하고 거기로부터 이탈되는 수납부(32)가 레버(5)의 전단부에 형성되며, 레버(5)의 대향단부의 스토퍼 돌기(14,15)가 각기 계합홈(16,17)과 계합함으로써, 핸들 본체(4)가 로크 해제된 상태를 간과할 위험성이 제거되며, 스토퍼 기구(14,15,16,17)를 통해 축(7)으로부터의 토오크가 분산 지지되므로, 로크상태에서 그런 토오크를 받더라도 유닛(23)이 변형될 위험성이 제거된다.

Description

도어 로크 핸들장치
제 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도어 로크 핸들장치(door locking handle assembly)의 잠긴 상태의 정면도,
제 2도는 제 1도에서 도시한 도어 로크 핸들장치의 배면도,
제 3도는 제 1도에서 도시한 도어 로크 핸들장치의 우측면도,
제 4도는 제 1도에서 도시한 도어 로크 핸들장치의 A-A선 단면도,
제 5도는 제 1도에서 도시한 도어 로크 핸들장치의 B-B선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도어,2 - 고정프레임요소,
3 - 베이스 부재,4 - 핸들본체,
5 - 로크레버,6 - 원통형 베어링부,
7 - 축,8 - 유지부재,
9 - 캐치판,10 - 호울더,
11 - 제 1수평핀,12 - 축구멍,
14,15 - 스토퍼 돌기,16,17 - 계합홈,
18 - 래치케이스,19 - 축구멍,
20 - 타원형구멍,21 - 제 1수평핀,
22 - 로크수납부,23 - 로크 유닛
24 - 로우터,25 - 죠인트 부재,
26 - 계합돌기,27 - 래치요소,
28 - 수납홈,29 - 홈,
30 - 계합돌기,32 - 수납부,
33 - 돌기,34 - 돌기,
35 - 스프링,36 - 육각너트,
37 - 육각볼트,40 - 고정판,
41 - 키이,44 - 0링,
46 - 데드볼트,49,50 - 나사구멍,
52 - 원호형돌기,53 - 제한돌기,
55 - 위치결정돌기,59 - 로크요소.
본 발명은 도어 로크 핸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배전반 수납용 상자등에서 도어의 개폐 및 상자의 고정프레임에 도어를 잠그기 위해 사용되는 도어 로크 핸들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본 실용신안공재 제(소)63-162075호에 게재된 것과 같은 종래의 도어 로크 핸들장치에 있어서는 핸들 본체의 로크축이 도어상에 고정된 베이스 부재의 원통형 베어링부에 회전할 수 있게 설치되며, 고정프레임의 유지부재(retainning member)와 계합하며 거기로 부터 이탈하는 캐치판이 로크축의 전단부에 고정되며, 핸들 본체가 원통형 베이링부에서 회전할 때 캐치판이 그 로크위치와 로크해제위치 사이에서 회전할 수 있게 구동된다. 캐치판은 그 로크위치에서 도어의 측면부로부터 돌출하며 그 로크 해제 위치에서 도어의 측면부 뒤의 예정된 위치로 퇴몰한다.
종래의 도어 로크 핸들장치에서 도어의 로크 위치에서 고정프레임에 도어를 잠그기 위한 수단으로서 핸들 본체의 로크축에 로크 유닛이 마련되며, 로크 유닛의 로우터의 전단부는 로우터가 회전될 때 원통형 베어링부의 수납홈과 계합하고 거기로부터 이탈하는 로크봉과 연동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도어 로크 핸들장치에서는, 적절한 키이를 사용하지 않고 핸들 본체의 전단부를 잡고 강제로 회전시키는 사람에 의해 로크 유닛이 불법적으로 열려지려고 할 때 핸들 본체의 가늘고 긴 부분은 레버의 아암으로서 작용하여 핸들 본체상의 힘을 몇배로 증대시키며 이렇게 중대된 힘은 로크 유닛의 내부 로크기구와 로크봉에 상당히 큰 굽힘 및 전단응력을 발성시키므로 로크 유닛의 내부 로크기구 및 로크봉이 변형될 위험성이 있다.
그리고, 종래의 도어 로크 핸들장치에서는, 핸들 본체가 정상적인 로크위치에 있지 않을때에도 로크 유닛을 정상적으로 조작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핸들 본체가 이렇게 로크 해제된 상태를 간과해버릴 위험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핸들 본체가 로크 위치가 아닌 다른 어떤 위치에서도 로크 유닛이 조작될 수 없으므로 사용자가 핸들 본체의 로크 해제위치를 간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핸들 본체가 로크 위치에서 불법적으로 강제로 회전될 때에도 로크레버의 스토퍼 기구를 통해 로크축으로 부터의 토오크가 분산되므로 로크 유닛이 변형되거나 파괴될 위험성이 없는 도어 로크 핸들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에 고정된 베이스 부재의 기단부와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 베어링부, 핸들 본체의 기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원통형 베어링부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축, 상기 축의 후단부에 고정되며 고정프레임요소의 유지부재와 계합하고 거기로부터 이탈되는 캐치판, 상기 핸들 본체의 상기 기단부의 저벽에 고정된 호울더, 상기 호울더의 축구멍에 삽입된 제 1수평핀, 상기 제 1수평핀에 피벗식으로 설치된 로크레버, 상기 로크레버의 전단부의 돌기와 상기 핸들 본체의 저벽의 돌기 사이에 설치된 회전부세 스프링, 상기 핸들 본체의 전단부에 고정된 기단부에 축구멍을 구비한 래치케이스, 상기 축구멍과 상기 로크레버의 전단부에 형성된 회전 억제용 타원형 구멍에 삽입된 제 2수평핀, 상기 로크레버의 상기 전단부와 일체로 형성된 중공소켓부, 상기 로크레버의 기단부와 상기 로크레버의 상기 전단부와 각기 일체로 형성된 1조의 스토퍼 돌기, 상기 스토퍼 돌기와 각기 계합하고 거기로부터 이탈되며 각기 상기 핸들 본체의 상기 기단부와 상기 핸들 본체의 상기 전단부와 일체로 형성된 1조의 계합홈, 상기 핸들 본체의 상기 전단부와 일체로 형성된 로크수납부, 상기 로크수납부에 장착수납된 로크 유닛, 상기 로크 유닛의 로우터와 연동된 죠인트 부재, 상기 죠인트 부재의 계합돌기와 계합하는 수납홈, 전진후퇴 운동을 위해 상기 죠인트 부재와 연동되며, 상기 래치케이스에 수납된 래치요소, 상기 베이스 부재에 형성된 홈과 계합하고 거기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래치요소의 후단부에 형성된 계합돌기, 및 상기 로크레버의 상기 수납부와 계합하고 거기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래치요소의 기단부에 형성된 데드볼트로 구성되며, 상기 래치요소의 상기 데드 볼트가 상기 로크레버를 로크 위치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로크레버의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며, 상기 로크레버의 상기 스토퍼 돌기가 각 상기 계합홈과 계합하여 상기 축으로부터의 토오크를 분산 지지하므로 핸들 본체가 상기 베이스 부재에 잠겨지게 되는 도어 로크 핸들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첨부도면을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도어 로크 핸들장치는 도어(1)상에 고정된 베이스 부재(3)의 기단부와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 베어링부(6), 핸들 본체(4)의 기단부에 고정되며 원통형 베어링부(6)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된 축(7), 축(7)의 후단부에 고정되며 고정프레임요소(2)의 유지부재(8)와 계합되고 거기로부터 이탈되는 캐치판(9), 핸들 본체(4)의 기단부의 저벽상에 고정된 호울더(10), 호울더(10)의 축구멍(12)에 삽입된 제 1수평핀, 제 1 수평핀(11)상에 피벗식으로 설치된 로크레버(5), 로크레버(5)의 전단부의 돌기(34)와 핸들 본체(4)의 저벽의 돌기(33)사이에 설치된 회전부세용 스프링(35), 그 기단부가 핸들 본체(4)의 전단부에 고정되며 그 기단부에 축구멍(19)을 구비하는 래치케이스(18), 및 로크레버(5)의 전단부에 형성된 회전억제용 타원형 구멍(20)과 축구멍(19)에 삽입된 제 2수평핀(21)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도어 로크 핸들장치는, 로크레버(5)의 전단부와 일체로 형성된 중공소켓부(32), 로크레버(5)의 기단부 및 로크레버(5)의 전단부와 각기 일체로 형성된 1조의 스토퍼 돌기(14,15), 각기 스토퍼 돌기(14,15)와 계합하고 거기로부터 이탈되도록 각기 핸들본체(4)의 기단부 및 핸들본체(4)의 전단부와 일체로 형성된 1조의 계합홈(16,17), 핸들본체(4)의 전단부와 일체로 형성된 로크수납부(22), 로크수납부(22)내에 설치 수납된 로크 유닛(23), 로크 유닛(23)의 로우터(24)와 연동하는 죠인트 부재(25), 죠인트 부재(25)의 계합돌기(26)와 계합하는 수납홈(28), 죠인트 부재(25)와 연동되어 전진, 후퇴 운동하며 래치케이스(18)내에 수납되어 있는 래치요소(27), 베어스 부재(3)내에 형성된 홈(29)과 계합하고 거기로부터 이탈되도록 래치요소(27)의 후단부에 형성된 계합돌기(30), 및 로크레버(5)의 수납부(32)와 계합하고 거기로부터 이탈되도록 래치요소(27)의 기단부에 형성된 데드 볼트(46)를 포함한다.
상기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도어 로크 핸들장치에 있어서, 래치요소(27)의 데드볼트(46)는 로크레버(5)를 도크 위치로 유지하기 위해 로크레버(5)의 수납부(32)에 수납되며, 로크레버(5)의 스토퍼 돌기(14,15)는 각기 계합홈(16,17)과 계합하여 축(7)으로부터의 토오크를 분산 지지하므로 핸들 본체(4)가 베이스 부재(3)에 잠기게 된다.
제 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 본체(4) 베이스 부재(3)에 정렬된 상태에서 캐치판(9)은 로크위치가 되며 캐치판(9)은 유지부재(8)와 계합되어 도어(1)를 고정프레임요소(2)에 잠그게 된다. 적당한 키이(41)가 로크 유닛(23)에 삽입되어 그 로크방향으로 회전될 때, 래치요소(27)는 그것과 연동되어 있는 로우터(24)를 통해 로크 방향으로 회전되며, 래치요소(27)의 데드볼트946)가 로크레버(5)의 수납부(32)와 계합함으로써 도어(1)가 고정프레임요소(2)에 적당히 잠기게 된다.
키이(41)의 사용에 의해 로우터(24)가 로크해제 위치로 회전되어 래치요소(27)가 그 수납부(32)로부터 분리된 후, 핸들 본체(4)를 파지하여 로크레버(5)를 예정된 만큼 후퇴시켜 로크레버(5)의 스토퍼 돌기(14,15)가 각기 계합홈(16,17)으로부터 이탈되게 한다. 그 후, 축(7)이 로크 해제방향으로 회전될 때, 캐치판(9)이 유지부재(8)로부터 이탈되어 도어(1)를 고정프레임요소(2)로부터 해제시킴으로써 핸들 본체(4)를 전향하여 당겨 도어(1)가 개방될 수 있게 된다.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축(7)과, 핸들 본체(4)는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므로, 축(7)은 핸들 본체(4)의 배면에 직교하는 접시머리볼트에 의해 핸들 본체(4)의 배면에 고정된다. 방수용 0링(44)이 원통형 베어링부(6)의 내주면과 축(7)의 중간부의 외주면 사이에 장착된다. 캐치판(9)은 축(7)의 후단부(48)에 삽입되기 위한 정사각형 구멍(47)을 구비한다. 또한, 축(7)의 후단부(48)에는 1조의 정사각형 와셔(45)가 장착된다. 그리고, 캐치판(9)이 축(7)의 후단부(48)에 고정되도록 육각볼트(37)가 축(7)의 후단부(48)의 나사구멍에 나사식으로 계합된다.
핸들 본체(4)의 저벽의 돌출부에 형성된 나사구멍(50)에 나사식으로 계합하는 컵나사(42)를 통해 호울더(10)는 핸들 본체(4)상에 고정된다. 제 1수평핀(11)이 호울더(10)의 축구멍(12)과 로크레버(5)의 축구멍(13)에 삽입되므로, 로크레버(5)는 수평핀(11)을 통해 핸들 본체(4)에 피벗식으로 설치된다. 압축코일스프링으로 된 회전부세 또는 바이어스 스프링(35)이 핸들 본체(4)의 저벽의 돌기(33)와 로크레버(5)의 전단부의 돌기(34) 사이에 삽입되어 (본 장치를 잠그기 위해 핸들 본체(4)를 파지했을때 후퇴되는) 로크레버(5)를 로크위치로 회전시키며, 거기서 스토퍼 돌기(14,15)는 각기 계합홈(16,17)과 계합된다.
베이스 부재(3)에 대한 핸들 본체(4)의 회전각을 제한하기 위한 1조의 원통형 돌기(52)가 베이스 부재(3)의 후단부(51)에 후단부(51)의 원주방향으로 마련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54)는 1조의 제한돌기(53)를 구비한다. 스토퍼 부재(54)는 그 돌기(53)가 베이스 부재(3)의 돌기(52)와 실질적으로 동심적으로 배치되게 축(7)의 후단부(48)에 고정된다. 작동시, 스토퍼 부재(54)의 제한돌기(53)는 베이스 부재(3)의 원통형 돌기(52)의 좌단부 및 우단부에 당접하여 베이스 부재(3)에 대한 핸들 본체(4)의 회전각을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각기 90도 이내로 제한한다.
베이스 부재(3)의 후단부(51)는 도어(1)의 수납구멍(54)내에 설치되며 그 위치 결정돌기(55)는 도어(1)의 위치결정구멍(56)내에 설치된다. 베이스 부재(3)의 위치결정돌기(55)는 베이스 부재의(3)의 전단부의 배면에 마련된다. 베이스 부재의(3)의 후단부(51)의 외주부는 육각너트(36)와 나사식으로 계합된 나사부(57)로 형성되지만, 베이스 부재의(3)의 위치결정돌기(55)는 고정판(40)을 통과하는 육각볼트(39)와 나사식으로 계합하는 나사구멍(18)을 구비하므로, 베이스 부재의(3)는 너트(36)와 볼트(39)를 통해 도어(1)에 고정된다.
로크수납부(22)의 후측의 중공부에 매립된 래치케이싱(18)은 4개의 접시머리볼트(43)를 통해 핸들 본체(4)에 고정된다. 로크요소(59)는 죠인트 부재(25)와 래치요소(27)로 구성된다. 로크요소(59)는 베이스 부재의(3)에 평행하게 배치된 래치케이스(18)의 가늘고 긴 구멍(60)내에 슬라이드 할 수 있게 설치된다.
제 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핸들 본체(4)가 베이스 부재의(3)와 정렬된 상태에서 캐치판(9)은 로크위치에 있으며 그 위치에서 캐치판(9)은 유지부재(8)와 계합하며 도어(1)는 고정프레임요소(2)에 잠긴다. 키이(41)가 로크 유닛(23)내로 삽입되고 로우터(24)를 로크 해제 방향으로 회전시킬때 로우터(24)와 연동되는 죠인트 부재(25)가 로크 해제 방향으로 구동되므로, 래치요소(27)는 죠인트 부재를 추종하며 그 데이볼트(46)는 로크레버(5)의 수납부(32)와 계합한다.
작동시, 키이(41)에 의해 로우터(24)가 로크 해제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래치요소(27)의 데드볼트(46)는 로크레버(5)의 수납부로부터 이탈된다. 그 후 핸들 본체(4)가 파지되어 스토퍼 돌기(14,14)가 각기 계합홈(16,17)으로부터 이탈될 때 레버(5)는 예정된 위치로 후퇴된다. 그 후 축(7)이 로크 해제 방향으로 회전될 때 캐치판(9)은 유지부재(8)로부터 이탈된다.
상기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도어 로크 핸들장치에서, 스토퍼 돌기(14,15)가 로크레버(5)의 대향단부에 마련되어 계합홈(16,17)과 계합하여 축으로부터 토오크를 분산시키므로, 본 발명의 장치는 구조상 강도가 개선되어 로크 유닛(23)의 변형 및 파괴 위험성이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도어 로크 핸들장치에서는 로크요소(59)의 데드볼트(46)가 로크레버(5)의 로크위치가 아닌 다른 어떤 위치에서도 로크레버(5)의 수납부(32)내에 수납될 수 없으므로, 축(7)에 고정된 캐치판(9)이 로크위치에 있을 때 로크 유닛(23)을 작동시킬 수 없다. 따라서 본 장치의 캐치판(9)가 로크해제된 상태를 간과할 위험성이 없으며 따라서 로크 유닛(23)을 로크 해제된 상태로 방치할 위험성이 제거되었다.

Claims (1)

  1. 도어(1)에 고정된 베이스 부재(3)의 기단부와 일체로 형성된 원통형 베어링부(6), 핸들 본체(4)의 기단부에 고정되며 상기 원통형 베어링부(6)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 축(7), 상기 축(7)의 후단부에 고정되며 고정프레임요소(2)의 유지부재(3)와 계합하고 거기로부터 이탈되는 캐치판(9), 상기 핸들 본체(4)의 상기 기단부의 저벽에 고정된 호울더(10), 상기 호울더(10)의 축구멍(12)에 삽입된 제 1수평핀(11), 상기 제 1수평핀(11)에 피벗식으로 설치된 로크레버(5), 상기 로크레버(5)의 전단부의 돌기(34)와 상기 핸들 본체(4)의 저벽의 돌기(33)사이에 설치된 회전부세 스프링(35), 상기 핸들 본체(4)의 전단부에 고정된 기단부에 축구멍(19)을 구비한 래치케이스(18), 상기 축구멍(19)과 상기 로크레버(5)의 전단부에 형성된 회전 억제용 타원형 구멍(20)에 삽입된 제 2수평핀(21), 상기 로크레버(5)의 상기 전단부와 일체로 형성된 중공소켓부(32), 상기 로크레버(5)의 기단부와 상기 로크레버(5)의 상기 전단부와 각기 일체로 형성된 1조의 스토퍼 돌기(14,15), 상기 스토퍼 돌기(14,15)와 각기 계합하고 거기로부터 이탈되며 각기 상기 핸들 본체(4)의 상기 기단부와 상기 핸들 본체(4)의 상기 전단부와 일체로 형성된 1조의 계합홈(16,17), 상기 핸들 본체(4)의 상기 전단부와 일체로 형성된 로크수납부(22), 상기 로크수납부(22)에 장착수납된 로크 유닛(23), 상기 로크 유닛(23)의 로우터(23)와 연동된 죠인트 부재(25), 상기 죠인트 부재(25), 상기 죠인트 부재(25)의 계합돌기(26)와 계합하는 수납홈(28), 전지후퇴 운동을 위해 상기 죠인트 부재(25)와 연동되며, 상기 래치케이스(18)에 수납된 래치요소(27), 상기 베이스 부재(3)에 형성된 홈(29)과 계합하고 거기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래치요소(27)의 후단부에 형성된 계합돌기(30), 및 상기 로크레버(5)의 상기 수납부(32)와 계합하고 거기로부터 이탈되도록 상기 래치요소(27)의 기단부에 형성된 데드볼트(46)로 구성되며, 상기 래치요소(27)의 상기 데드 볼트(46)가 상기 로크레버(5)를 로크 위치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로크레버(5)의 상기 수납부(32)에 수납되며, 상기 로크레버(5)의 상기 스토퍼 돌기(14,15)가 각기 상기 계합홈(16,17)과 계합하여 상기 축(7)으로부터의 토오크를 분산 지지하므로 핸들 본체(4)가 상기 베이스 부재(3)에 잠겨지게 되는 도어 로크 핸들장치.
KR1019940015837A 1994-04-11 1994-07-02 도어 로크 핸들장치 KR01353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098144A JP2573155B2 (ja) 1994-04-11 1994-04-11 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98144/1994 1994-04-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9509A KR950029509A (ko) 1995-11-22
KR0135384B1 true KR0135384B1 (ko) 1998-05-15

Family

ID=14212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5837A KR0135384B1 (ko) 1994-04-11 1994-07-02 도어 로크 핸들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490404A (ko)
JP (1) JP2573155B2 (ko)
KR (1) KR0135384B1 (ko)
CN (1) CN1062937C (ko)
GB (1) GB2288630B (ko)
HK (1) HK10013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719207B3 (en) * 1999-07-16 2000-05-04 Lockwood Security Products Pty Limited A lock for a sliding window
JP3616352B2 (ja) * 2001-06-07 2005-02-02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2箇錠型ドアロックハンドル装置
US7665335B2 (en) * 2004-07-08 2010-02-23 Burgundy Trial Pty Ltd Handle assembly
DE202006003304U1 (de) * 2006-03-02 2007-07-05 Dirak Dieter Ramsauer Konstruktionselemente Gmbh & Co. Kg Griff mit Verschlußeinsatz
CN101649702B (zh) * 2008-08-12 2012-05-23 上海杰宝大王企业发展有限公司 执手锁
USD772682S1 (en) 2014-10-23 2016-11-29 Caterpillar Inc. Handle for a vehicle
CN114016827B (zh) * 2017-11-10 2023-12-22 索斯科公司 杠杆式压缩闩锁
US20200181955A1 (en) * 2018-12-05 2020-06-11 Siemens Mobility GmbH Retaining latch, closure configuration, container and rail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73063A (en) * 1924-01-07 1926-02-16 Miner Inc W H Door operating and locking device
US2156513A (en) * 1937-11-08 1939-05-02 Grand Rapids Brass Co Latch
US4196602A (en) * 1978-05-15 1980-04-08 Elkem-Spigerverket A/S Locking latch handle for windows, doors, and the like
JPH0730843Y2 (ja) * 1993-02-12 1995-07-19 タキゲン製造株式会社 引出し回転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JPH06272434A (ja) * 1993-03-18 1994-09-27 Takigen Seizo Kk 引出し回転型扉用ロックハンド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573155B2 (ja) 1997-01-22
CN1062937C (zh) 2001-03-07
GB9413317D0 (en) 1994-08-24
CN1106495A (zh) 1995-08-09
GB2288630A (en) 1995-10-25
KR950029509A (ko) 1995-11-22
GB2288630B (en) 1997-07-23
US5490404A (en) 1996-02-13
JPH07279499A (ja) 1995-10-27
HK1001349A1 (en) 199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39796B2 (en) Dock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A2136945C (en) Door lock assembly
US4635977A (en) Door handle device unlockable from indoor side
US7752877B2 (en) Rotary actuation latch with disconnect feature
CA2312682A1 (en) Reversible mortise lock
US6082791A (en) Electric strike
US5015019A (en) Locking mechanism for equipment cabinet
US4458928A (en) Rim type panic exit actuator
US6993944B2 (en) Dead bolt lock
KR0135384B1 (ko) 도어 로크 핸들장치
EP0678644A1 (en) Removable cylinder locked mullion assembly
EP2420640A1 (en) A handle assembly
US5042857A (en) Electrically releasable door locking means
JP3790660B2 (ja) 冷却貯蔵庫の扉装置
JP4520232B2 (ja) 扉用ハンドルのロック装置
JP3816057B2 (ja) 扉用ロックハンドル
JP3051338B2 (ja) 施錠装置
JPH0318605Y2 (ko)
KR100713073B1 (ko) 도어락 장치용 락모듈
JPH083622Y2 (ja) 平面ハンドル
JP3842521B2 (ja) 冷却貯蔵庫
KR20020083362A (ko) 레버형 도어록
JP3213809B2 (ja) ロック装置
JPH05521Y2 (ko)
JPH045515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8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