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370B1 - 사설교환기용 타게트 추적교환방법 - Google Patents

사설교환기용 타게트 추적교환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370B1
KR0135370B1 KR1019940023847A KR19940023847A KR0135370B1 KR 0135370 B1 KR0135370 B1 KR 0135370B1 KR 1019940023847 A KR1019940023847 A KR 1019940023847A KR 19940023847 A KR19940023847 A KR 19940023847A KR 0135370 B1 KR0135370 B1 KR 0135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telephone
private exchange
identification number
ca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3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105A (ko
Inventor
윤여송
Original Assignee
정장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장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장호
Priority to KR1019940023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370B1/ko
Publication of KR960013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3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64Distributing or queue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선방식 사설교환기 환경에서 통화를 하고 싶은 사람, 즉 타게트(target)가 특정전화기 근처에 존재하지 않더라도 동일 사설교환기에 접속된 임의의 전화기 근처에 존재할 경우 타게트를 자동으로 추적하여 교환할 수 있는 사설교환기의 타게트 추적교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콜러로부터 소재를 알 수 없는 타게트의 전하번호를 호출하는 경우 콜러 또는 수신자가 타게트의 식별번호를 다이얼링하는 단계; 상기 다이알링 값이 전화번호가 아닌 수신자 식별번호인 것을 상기 사설교환기 시스템에서 인식하여 동일한 사설교환기에 접속된 다수의 전화기 각각에 인접하여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자 식별번호가 해당 전화번호에 종속되는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상기 타게트의 식별번호가 종속되어 있는 전화번호로 링을 인가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사설교환기용 타게트 추적교환방법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선방식 사설교환기 환경하에서 타게트가 특정전화기 근처에 존재하지 않더라도 동일 사설 교환기에 접속된 임의의 전화기 근처에 존재할 경우 타게트를 자동으로 추적하여 교환할 수 있는 사설 교환기의 타게트 추적 교환방법을 제공하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콜러로부터 소재를 알 수 없는 타게트의 전화번호를 호출하는 경우 콜러 혹은 수신자가 타게트의 식별번호를 다이얼링하는 단계; 상기 다이얼링 값이 전화번가 아닌 수신자 식별번호인 것을 상기 사설교환기 시스템에서 인식하여 동일 사설교환기에 접속된 다수의 전화기 각각에 인접하여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신자 식별번호가 해당 전화번호에 종속되는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상기 타게트의 식별번호가 종속되어 있는전화번호로 링을 인가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게트 추적교환을 수행하기 위한 사설교환기의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타게트 추적교환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사설교환기의 타게트 추적교환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선방식 사설교환기 환경에서 통화를 하고 싶은 사람, 즉 타게트(taget)가 특정전화기 근처에 존재하지 않더라도 동일 사설교한기에 접속된 임의의 전화기 근처에 존재할 경우 타게트를 자동으로 추적하여 교환할 수 있는 사설교환기의 타게트 추적교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사설교환기는 내선포트에 1페어 또는 2페에의 아날로그 또는 디지탈 전화기가 접속되어 있으며, 각각의 내선포트에 특정번호를 부여하고, 각각의 전화번호에 종속되는 개념의 사용자 테이블(table)(통상, 전화번호부)을 사설교환기 사용자들이 공유하여 전화를 받을 사람에게 할당된 전화기로 다이얼하여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 경우 전화를 거는 사람(이하, 콜러(Caller)라 한다)이 통화를 하고 싶은 사람, 즉 타게트(target)에게 할당된 전화번호를 기억하거나 전화번호부를 확인하여 다이얼하면, 사설교환기는 다이얼된 번호를 분석하여 해당전화기의 벨을 울린다.
이때, 벨이 울린 전화기 근처에 임의의 사람이존재하면 전화를 받게 되며, 전화를 받은 사람(이하 수신자라 함)은 콜러가 원하는 타게트가 누구인지를 확인하며 수신자가 타게트와 동일인이면 통화를 시작한다.
그러나, 만약 수신자가 타게트와 동일인이 아니면 타게트의 위치를 파악하여 근처에 존재하는 타게트에 이를 알려서 통화가 이루어진다.
이때, 타게트가 근처에 없다면 타게트의 행선을 파악하여 타게트의 행선(다른 전화번호)를 알고 있을 때는 그 번호로 호전환(call transfer)하여 통화를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수신자가 타게트의 행선지를 모르는 경우에는 현재 통화를 종료하고, 메모를 남겨서 이후에 타게트가 할당된 전화기 근처에 돌아 왔을때 콜러에게 전화를 하든지, 아니면 콜러가 다시 전화를 하여 원하는 통화를 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수신자 교한방법에서는 타게트들은 자신에게 할당된 전화기 근처를 떠날 때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행선지를 알려서 타게트에게 걸려오는 전화를 호전환하여 받거나, 누군가가 타게트에게 걸려오는 전화관련 정보를 메모하여야 하며, 그 결과 콜러가 원하는 시간에 통화가 성공될 확률이 낮게 된다.
사설 교환기의 기능중에서 상기한 호전환방식 이외에 타게트가 자신에게 할당된 전화로 걸려오는 모든 콜(call)을 다른 전화기에서 받는 콜 포워딩(Call forwarding)방식이 있으나, 전화기를 여러 사람이 공유할때는 다른 타게트에게 걸려오는 콜이 모두 포워딩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음에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에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설교환기에 대한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을 참고하면 사설교환기는 교환기의 최상위 레벨의 타스크를 제어하고 수행하는중앙처리장치(CPU) (10)와, 16.4MHz 기본클럭을 분주하여 각종 클럭을 발생하는 톤/클럭 발생부(30)와, 요금 등산과 고객 데이터의 생산/변경을 지원하는 관리(administration) 용 직렬입출력부(SIO)(40)와, 사설 교환 시스템에 사용디는 모든 정보데이타를 저장하는 SRAM(50) 과 축적 프로그램 방식을 지원하는 FROM(60),과 듀얼톤 다중주파수(DTMF:Dual Tone Multi Frequency)신호에 의해서 제어하는 DTMF 제어부(70)와, 1:1 의 트랜스패런트(transparant)통화와 1:n의 회의 통화를 지원하는 시위칭부(80)와, 각 포트에서 올라오는 DTMF신호들을 받아들이고 이를 번역하는 DTMF수신부(90)와, 병렬버스(parallel bus:PB)와 송신가입자비트(transmit subscriber bit: TSB)와 수신가입자 비트(receive subcriber bit:RSB)의 데이터들을 해당 메모리에 읽고 쓰는 메모리 제어부(100)와, 메모리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각 포트의 상태감시/제어데이타와 음성데이타(speech data)를 저장하는 제 1 메모리부(110)와, 각 포트의 인터럽트, 링깅(RINGING), 극성감시 등 신호를 전달하는 포트제어버퍼(120)와, 각 포트별로 상태를 보고하는 TSB버퍼(TSB BUF)(160)와, 각 포트의 상태를 제어하는 RSB버퍼(RSB BUF)(150)와, PCM화 된 음성/데이타 하이웨이 (High Way)를 제공하는 송신 하이웨이버퍼(T X HW BUF)(130) 및 수신 하이웨이버퍼(R X HW BUF)(140)와, 로칼 프로세서들과의 제어신호를 주고 받는 병렬 버스 버퍼(170)등으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사설교환기를 이용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교환동작을 실행한다.
A.전화번호에 의한 통화기능
상기 PROM(60)에는 교환기 운용 프로그램 및 고객 데이터의 프로그램이 실장디어 있다. 상기 고객 데이터는 단말기의 종류,특성, 전화번호 및 전화번화에 종속되는 다수의 사용자 식별번호(ID)를 포함한다. 교환기 시스템에 전원이 인가되면, CPU(20)는 CPU자체 및 주변회로들을 초기화시키며, 이때 병렬버스버퍼(170)를 통하여 각 로칼 프로세서에 그들이 관장하는 전화기의 전화번호 및 사용자 ID관련 정보를 알려주고 교환 서비스를 시작한다. 그후, 내선가입자(콜러)가 송수화기를 드는 것이 TSB 버퍼(160)를 통하여 시스템에 보고되면, 시스템에서는 이를 인지하여 포트 제어버퍼(120)를 통하여 톤/클럭 발생부(30)에서 제동하는 다이얼톤를 보낸다.
콜러가 다이얼톤을 듣고 다이얼하면, 저화기로부터 DTMF신호가 발생되어 로칼프로세서를 거치거나 또는 직접 병렬버스버퍼(170)를 통하여 메모리 제어부(100)의 제어에 따라 제 1메모리(110)에 기록됨과 동시에 CPU10)에 보고된다.
CPU(10)는 DTMF 수신부(90)에 의해 DTMF 신호로 부터 다이얼된 번호를 판독하여 착신번호가 국선일 경우는 국선을 점유하여 번호를 넘겨주며, 내선일 경우는 포트 제어버퍼(120)를 통하여 해당 포트에 링(Ring)을 인가한다. 그후, 해당 포트에 접속된 전화기에서 송수화기를 들면 시스템은 콜러와 콜러에 할당된 타임 슬롯에 맞추어 스위칭부(80)를 제어하여 음성 혹은 데이터 통신의 경로(path)를 제공한다. 통화를 마치고 콜러 및 상대방 즉, 수신자가 송수화기를 내려놓으면 시스템은 TSB 버퍼(160)를 통하여 입력되는 정보를 감지하여 모든 관련 부분의 데이터를 아이들 상태로 복귀시킨다.
B. 사용자 ID에 의한 통화기능
상기 SRAM(50)에 기록되어 있는 각 포트별 전화번호와 이에 종속되는 다수의 사용자 ID가 1:n으로 구성되는 데이터 베이스(DB)를 사설교환기 시스템 환경하에 있는 모든 사용자들이 자신의 현재 종속되어 있는 모든 사용자들이 자신의 현재 종속되어 있는 전화 또는 임의의 다른 전화기를 사용하여 자신의 ID가 종속되는 전화번호를 다음방법으로 갱신(update) 또는 등록한다.
① 오프푹, ② #버튼 2회 작동, ③ 사용자 ID(최대 6 디지트)입력, ④ 변경하고자 하는 전화번호(3 디지트)입력, ⑤ # 버튼 1회 작동, ⑥ 온훅.
상기와 같이 ①∼⑤의 절차를 진행하면 시스템에서는 데이터 베이스(DB)를 갱신 또는 등록하고 정상적인 사용자 ID, 전화번호임이 확인되면 변경완료되었음을 알리는 멜로디를 톤/클럭 발생부(30)를 제어하여 송출한다. 시스템은 데이터 베이스를 관리할 때 모든 사용자 ID별로 ID가 종속되면 전화가 오직 1개반이 등록될 수 있도록 관리한다. 즉, 가장 최근에 갱신된 정보만을 갖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각 전화번호마다 그 전화번호에 종속된 복수의 사용자 ID에 대한 등록이 완료된 경우 다음과 같이 사용자 ID에 의한 통화가 이루어진다.
상기(A)에 의해 전화번호에 의한 통화는 이루어졌으나 콜러가 타게트와 통화를 할 수 없는 상황일 때 (즉, 수신자가 타게트가 아니고 또한 타게트의 소재를 알 수 없는 경우), 콜러는 현재의 통화를 끊고 타게트의 ID를 전화기의 번호키를 사용하여 다이얼한다.
이 다이얼 값들은 병렬버스버퍼(170), 메모리 제어부(100)를 거쳐서 제 1 메모리(110)에 기록되며, CPU(10)는 제 1 메모리(110)에 기록된 정보를 해석한다. 이때, CPU(10)는 해석된 다이얼값이 전화번호가 아닌 사용자 ID인 것을 인식하여 데이터베이스(DB)를 읽어서 현재 사용자 ID가 종속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읽어 들인다. 그 후, 읽어들인 전화번호로 링을 인가함에 의해 콜러는 수신자에게 타게트를 요구하여 통화를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모든 수신자들이 자신이 현재 종속되어 있는 전화기에서 전화를 받을 수 없고, 다른 전화기에서 전화를 받을 수 있는 경우, 즉 동일한 사설교환기 환경하의 다른 장소에 있는 경우는 언제든지 임의의 전화기를 사용하여 자신의 ID를 가장 근처에 있는 전화기의 전화번호에 종속되도록 데이터베이스를 갱신시켜 가면서 운용한다. 상기 타게트 추적교환동작을 포함한 사설교환기의 개략적인 동작과정의 흐름도가 도 2에 되시되어 있다.
먼저, 넘버링 프랜에 의거하여 해당 포트에 대응하는 전화번호 및 이에 종속 되는 사용자 ID에 관한 데이터베이스를 생산한다(S20). 물론, 이 데이터 베이스는 상기한 방식에 따라 사용자가 위치를 이동할 경우, 이에 따른 데이터 베이스에 대한 갱신등록절차를 밟는다.
이러한 상태에서 교환기가 작동하는 동안 무한 루프내에 포함되는 절차로서, 먼저 콜이 걸려온 경우 이를 분석하여 해당하는 번호가 유효한지를 확인하고, 이에 대한 링 신호를 제공하며, 사용자 ID에대한 데이터베이스 갱신등록 등의 일(Job)들이 발생될 때마다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처리한다(S21). 이어서, 착신번호가 내선인지를 판단하여(S23), 국선인 경우는 해당 국선타입별로 브랜치시켜 서비스를 행하고(S25), 만약 국선이 내선일 경우 즉, 사설교환기의 내부전화인 경우 다이얼 값의 제일 첫째값이 #인지를 판단한다(S27). 만약, 첫 번째 다이얼 값이 #인 경우에는 사용자 ID로 전화한 것으로 인식하여 #다음에 입력되는 현재 사용자 ID값이 어느 전화기(즉, 전화번호)에 종속되어 있는지를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고(S29), 분석된 대로 상대방 포트에 링을 제공한다(S31). 또한 첫번째 다이얼 값이 #이 아닌 경우는 전화번호인 것으로 인식하고 (S30), 해당번호가 분석된 대로 상대방 전화번호 즉, 상대방 포트에 링을 제공한다(S31).
링이 울림에 따라 상대방이 응답하는 경우 통화로를 형성하기 위한 양방향스위칭(bothway switching)을 행한다(S33). 콜러와 타케트와의 1:1 통화가 이루어진 후 (S34), 통화가 종료되면( S35) 관련부위의 데이터를 아이들 상태로 복귀시킨다.(S37).
본 발명에 있어서는 콜러가 타게트의 ID를 사전에 알고 있는 경우에는 전화번호 대신에 타게트의 ID를 다이얼링함에 의해 상기한 방식과 같이 디지트분석, 데이터베이스의 조회 및 타게트의 전화번호 입수 절차를 거쳐 타게트가 있는 전화번호로 직접 링이 인가된도록 할 수 있다.
상기환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수신자가 타게트의 위치를 모르더라도 단지 타게트의 ID를 다이얼함에 의해 콜러는 타게트와 통화를 할 수 있으므로 통화 성공률을 높일수 있게 된다. 또한, 1 대의 전화기에 종속된 사용자들이 자신이 종속된 전화기를 떠날 때 자신이 받을 수 있는 전화번호 또는 다시 돌아올 시간 등을 다른 사람에게 알려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어진다. 더욱이, 타게트를 위하여 수신자가 어떤 전화메모를 남겨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앨 수 있다.

Claims (3)

  1. 콜러로 부터 소재를 알 수 없는 타게트의 전화번호를 호출하는 경우 콜러 또는 수신자가 타게트이 식별번호를 다이얼링하는 단계; 상기 다이알링 값이 전하번호가 아닌 수신자 식별번호인 것을 상기 사설교환기 시스템에서 인식하여 동일한 사설교환기에 접속된 다수의 전화기 가각에 인접하여 있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식별번호가 해당 전화번호에 종속되는 데이터베이스를 조회하여 상기 타게트의 식별번호가 종속되어 있는 전화번호로 링을 인가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기의 타게트 추적 교환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수신자가 사설교환기 환경내에서 장소를 이동할 때 이동한 장소에 인접한 전화기의 전화번호로 수신자의 식별번호가 종속되도록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갱신하는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기의 타게트 추적 교환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자 식별번호를 갱신하는 단계는, 전화기를 오프훅 상태에서 "#"버튼을 2회 작동하는 단계와, 사용자 식별번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변경하고자 하는 전화번호를 입력하는 단계와, "#"버튼을 1회 작동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설교환기의 타게트 추적교환방법.
KR1019940023847A 1994-09-22 1994-09-22 사설교환기용 타게트 추적교환방법 KR0135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3847A KR0135370B1 (ko) 1994-09-22 1994-09-22 사설교환기용 타게트 추적교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3847A KR0135370B1 (ko) 1994-09-22 1994-09-22 사설교환기용 타게트 추적교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105A KR960013105A (ko) 1996-04-20
KR0135370B1 true KR0135370B1 (ko) 1998-04-27

Family

ID=19393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3847A KR0135370B1 (ko) 1994-09-22 1994-09-22 사설교환기용 타게트 추적교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37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105A (ko) 199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5295A (en) Caller directed routing of a telephone call based on a dialed suffix
EP0526764B1 (en) Method for contacting a subscriber of a mobile telephone network
JP2002271478A (ja) 電話機及び呼接続制御方法
KR0135370B1 (ko) 사설교환기용 타게트 추적교환방법
KR100360226B1 (ko) 사설간이전자교환장치를이용한발신자전화번호의저장,조회및호출방법
JPH07307797A (ja) 仮想親子電話方式
GB2407228A (en) A method of selectively transferring a call
JPH05145963A (ja) パーソナル通信追跡接続方法
JPH08331620A (ja) 発信者番号の利用サービス登録方法
JPH06133044A (ja) 交換機システム
JP2000041109A (ja) 多重電話番号管理方法
JPH04284765A (ja) 被呼者名表示方式
JPH03214947A (ja) パーソナル通信接続方式
JPS61150450A (ja) メツセ−ジ登録方式
JP2001211255A (ja) 構内交換機の公衆網発信者番号表示方式
KR100654859B1 (ko) 지능망 서비스 직접 억세스 통화 제어 방법
JPH0758842A (ja) 構内交換システム
JP2865121B2 (ja) パーソナルカード通信方法
JP3003644B2 (ja) 小規模加入者向けpbx接続方式
JPS63153950A (ja) 短縮ダイヤルサ−ビス方式
JPS6397051A (ja) 内線加入者識別方式
JPH03208447A (ja) 短縮ダイヤル自動登録装置
JPS61150449A (ja) 音声呼出方式
JP2000295356A (ja) 電話転送方法および電話転送システム
JPS5975745A (ja) 自動交換機の着信応答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2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