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825B1 - 자동차의 자동 환기 장치 회로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자동 환기 장치 회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825B1
KR0134825B1 KR1019950060786A KR19950060786A KR0134825B1 KR 0134825 B1 KR0134825 B1 KR 0134825B1 KR 1019950060786 A KR1019950060786 A KR 1019950060786A KR 19950060786 A KR19950060786 A KR 19950060786A KR 0134825 B1 KR0134825 B1 KR 01348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oxygen
comparator
circuit
oxygen concent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0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4488A (ko
Inventor
남춘우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60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825B1/ko
Publication of KR970034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4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8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8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28Ventilators, e.g. spee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21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 B60H1/00428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ir qua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8Optimized components or subsystems, e.g. lighting, actively controlled glas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자동차의 환기 장치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자동차 환기 장치는 차내의 산소 농도를 고려하지 않고 운전자의 임의로 선택되도록 되어 있어서 불편할 뿐만 아니라 에어콘 또는 히터를 장시간 작동시킬 경우 차실내의 산소 부족으로 인하여 졸음 운전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음.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실내의 산소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산소 센서를 이용하여 적정값 이하로 산소 농도가 떨어지면 자동으로 블로워를 작동시켜 차실내를 환기시킴.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자동차의 환기 장치에 이용됨.

Description

자동차의 자동 환기 장치 회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자동 환기 장치 회로도.
제2도는 Ka 단자 작동 조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산소센서,2 : 비교기,
3 : 릴레이,4 : 블로워 모터
본 발명은 자동차의 환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내의 산소 농도가 적정값 이하로 떨어지면 자동으로 블로워(Blower)를 작동시켜 항상 차내를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자동차의 자동 환기 장치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환기는 에어콘디쇼너(Airconditioner)제어장치의 모드(Mode) 선택 스위치에 있는 '실내 환기 모드'를 선택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상기 모드 선택 스위치가 '실내 환기 모드'에 있는 경우 블로워를 구동하는 블로워 모터와 바람을 일으키는 휀(Fan)으로 구성된 블로워를 작동시켜 외부의 공기가 차실 내로 유입되면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차 환기 장치를 이용할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노출시켰다.
즉,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자동차 환기 장치는 차내의 산소 농도를 고려하지 않고 운전자의 임의로 선택되도록 되어 있어서 불편할 뿐만 아니라 에어콘 또는 히터를 장시간 작동시킬 경우 차실내의 산소 부족으로 인하여 졸음 운전 등의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차실 내의 산소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산소 센서를 이용하여 적정값 이하로 산소 농도가 떨어지면 자동으로 블로워 모터를 작동시켜 차실내를 환기시켜 줌으로써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는 자동차의 자동 환기 장치 회로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실 내의 산소 농도에 대응하는 소정의 전압 신호를 발생시키는 산소 센서와, 상기 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산소 센서로부터의 전압 신호와 기준 전압 신호를 비교하여 소정의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비교기로부터의 출력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릴레이 수단과, 상기 릴레이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릴레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전원 공급 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차실내에 외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블로워 모터를 구비하여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자동 환기 장치 회로도로서 이에 따르면, 도면 부호 1은 산소(O2)센서로서, 차실내의 산소농도에 대응하는 소정의 전압 신호를 발생시키는 산소 센서이다. 다음에, 도면 부호 2는 비교기로서, 상기 산소센서 1에 연결되어 상기 산소 센서 1로부터의 전압 신호와 기준 전압 신호(Vref)를 비교하여 소정의 출력신호를 발생시키는 비교기이다. 다음에는, 도면 부호 3은 상기 비교기 2에 연결되어 상기 비교기 2로부터의 출력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릴레이 수단이다. 다음에, 도면 부호 4는 상기 릴레이 수단 3에 연결되어 상기 릴레이 수단 3의 제어에 따라 전원 공급 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차실 내에 외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블로워 모터이다. 이 때, 상기 전원 공급 수단은 Ka단자 작동 조건일 때 전원이 공급되는데,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차 열쇠(IG Key : Lgnition Key)을 삽입한 상태에서 Ⅰ단, II단, Ⅲ단을 거쳐 시동을 걸기까지 전원이 공급되고, 자동차 열쇠를 삽입하지 않으면 전원 공급이 중단되는 것을 Ka단자 작동 조건이라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자동 환기 장치 회로의 동작 상태를 살펴보면, 먼저 에어콘 또는 히터를 장시간 작동시킬 경우 차실내의 산소가 부족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비교기 1로부터 차실내의 산소 농도에 대응하는 소정의 전압 신호와 기준전압을 비교하여 소정의 출력신호 1를 발생한다. 다음에, 상기 비교기 1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따라 상기 릴레이 3이 동작하게 되고, 상기 릴레이 3의 동작에 따라 전원이 상기 블로워 모터 4에 인가되어 상기 블로워 모터 4가 구동함으로써 외부 공기가 유입된다. 그리고 외부 공기가 유입되어 차실내의 산소 농도가 다시 적정값을 유지하게 되면 상기 비교기 2로부터 출력신호 0가 발생하여 상기 릴레이 3은 동작하지 않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자동 환기 장치 회로를 이용함으로써, 에어콘 또는 히터를 장시간 작동시킬 경우 등 차내의 산소가 부족한 경우 자동으로 블로워를 작동하도록 하여 운전자의 졸음 운전을 방지할 수 있으며, 차내를 항상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자동차의 자동 환기 장치 회로에 있어서, 차실내의 산소 농도에 대응하는 소정의 전압 신호를 발생시키는 산소 센서와, 상기 센서에 연결되어 상기 산소 센서로부터의 전압 신호와 기준 전압 신호를 비교하여 소정의 출력 신호를 발생시키는 비교기와, 상기 비교기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상기 비교기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따라 작동하는 릴레이 수단과, 상기 릴레이 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릴레이 수단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전원 공급 수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차실내에 외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블로워 모터를 포함해서 이루어진 자동차의 자동 환기 장치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전원 공급 수단은 Ka 단자 조건일 때 전원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의 자동 환기 장치회로.
KR1019950060786A 1995-12-28 1995-12-28 자동차의 자동 환기 장치 회로 KR01348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0786A KR0134825B1 (ko) 1995-12-28 1995-12-28 자동차의 자동 환기 장치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0786A KR0134825B1 (ko) 1995-12-28 1995-12-28 자동차의 자동 환기 장치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4488A KR970034488A (ko) 1997-07-22
KR0134825B1 true KR0134825B1 (ko) 1998-04-28

Family

ID=19445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0786A KR0134825B1 (ko) 1995-12-28 1995-12-28 자동차의 자동 환기 장치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82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4488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4825B1 (ko) 자동차의 자동 환기 장치 회로
JPH0311922B2 (ko)
JP4424191B2 (ja) モータ制御装置および車両用換気制御装置
KR100191253B1 (ko) 자동차의 습도 조절 장치
JP2009061884A (ja) 車両用ソーラ換気装置
KR0145385B1 (ko) 차실내 압력 자동조절장치
KR100852418B1 (ko) 자동차의 블로어 모터 제어회로 및 제어방법
KR0171723B1 (ko) 자동차용 차실공기 배출장치
JPS6124610A (ja) カ−エアコン制御装置
JP2000043655A (ja) 車両用電源回路
KR0155042B1 (ko) 자동차용 자동 환기장치
KR19990049502A (ko) 차내 온도 자동조절방법
JPH0769037A (ja) 車両用空調装置
KR0131688B1 (ko) 바이메탈을 이용한 온도조절장치
KR100339913B1 (ko) 자동차 실내온도 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0124995Y1 (ko) 자동차의 실내 공기 순환장치
KR970001272B1 (ko) 블로우어를 이용한 차량실내온도조절장치
KR20000001641A (ko) 차량의 실내 공기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25473A (ko) 실내 질식 방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44858U (ko) 차량 실내 유해 가스 경고 장치
JPH04244413A (ja) 車両用換気装置
JPH0648160A (ja) 車両の換気装置
KR19980048509A (ko)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의 내, 외기 변환 장치
KR980008651A (ko) 자동차 환기제어장치
KR19980031398A (ko) 차량용 파워윈도우 자동조정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