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718B1 - 지퍼체인의 하단정지구의 용융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지퍼체인의 하단정지구의 용융성형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718B1
KR0134718B1 KR1019940032460A KR19940032460A KR0134718B1 KR 0134718 B1 KR0134718 B1 KR 0134718B1 KR 1019940032460 A KR1019940032460 A KR 1019940032460A KR 19940032460 A KR19940032460 A KR 19940032460A KR 0134718 B1 KR0134718 B1 KR 01347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slide member
zipper chain
space
coupl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2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7168A (ko
Inventor
사토시 타카마추
Original Assignee
요시다 다다히로
와이케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다 다다히로, 와이케이케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다 다다히로
Publication of KR950017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7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7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7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5/00Producing elements of slide fasteners; Combined making and attaching of elements of slide fastener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9/00Slide fasteners
    • A44B19/42Making by processes not fully provided for in one other class, e.g. B21D53/50, B21F45/18, B22D17/16, B29D5/00
    • A44B19/60Applying end stops upon stringer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5/00Elements of slide faste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e Fasteners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단정지구 용융성형장치는 지퍼체인(C)를 안내하기 위한 이동안내면(10a)와 상측 용융성형부재(40)을 슬라이드안내하기 위한 수직슬라이드안내공(10b)와 하류측단부가 개방된 터널형 슬라이드부(10c)를 갖는 하우징(10)을 구비한다. 제1슬라이드부재(20)은 슬라이드부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측 용융성형부재(40)의 수직이동과 동시에 소정거리 범위내에서 지퍼체인의 이동방향을 따라서 왕복운동할수 있다. 공간부(S)의 일단부와 접촉하는 록킹돌출부(30a)를 갖는 제2슬라이드부재(30)은 제1슬라이드부재와 결합되어 상호작용하여 제1슬라이드부재(20)과는 독립적으로 상기 슬라이드부내에서 왕복운동할 수 있다. 제2슬라이드부재(30)이 소정거리(D1)이상 이동되고 록킹돌출부(30a)가 공간부(S)의 단부에 접촉되었을 때 검출부재(24)가 지퍼체인(C)의 이동을 정지시키고 상측 용융성형부재(40)을 하강시키므로 커플링요소열(ER)의 단부를 하단정지구 형태로 용융성형한다.

Description

지퍼체인의 하단정지구의 용융성형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서 지퍼체인상에 하단정지구를 용융성형하는 장치의 특징부를 일부 절결한 분해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장치의 융착 또는 용융성형부재의 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록킹돌출부가 공간부의 단부와 접촉한 상태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장치의 특징부의 수직단면도.
제4도는 록킹돌출부가 홀로 지퍼체인의 하류측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내는 수직단면도.
제5도는 커플링요소열의 단부가 용융성형부재에 의해 용융성형된 상태를 나타내는 수직단면도.
제6도는 제1도에 도시한 특징부를 이용한 하단정지구 용융성형 장치의 일반적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7도는 커플링요소열의 단부가 용융성형부재에 의해 융착되는 동안의 지퍼체인을 나타내는 부분사시도.
제8도는 상호결합된 커플링요소가 서로 융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횡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형성된 하단정지구의 형태와 구조를 나타내는 지퍼체인의부분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a : 센서레버 3b : 마이크로스위치
10 : 하우징 10a : 이동안내면
10b : 슬라이드안내공 10c : 터널형 슬라이드부
10-1 : 상측블록부재 10-2 : 하측블록부재
10-3 : 커버부재 20 : 제1슬라이드부재
21 : 제1슬라이드부재본체 22 : 측방날개부
23 : 스페이서 24 : 위치검출부재
25 : 유압실린더 26 : 볼트
27 : 볼트부재 28 : 압축스프링
30 : 제2슬라이드부재 31 : 슬라이드본체
32 : 피봇레버 33 : 압축스프링
40 : 상측용융성형부재 41 : 제1홈
42 : 제2홈 43 : 노치
50 : 하측용융성형부재 51 : 기다란 돌출부
C : 지퍼체인 ER : 커플링요소열
S : 공간열부 D1 : 거리
본 발명은 서로 결합된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코일형상 커플링요소열을 갖는 연속하는 지퍼체인에 지퍼체인의 공간부의 일단부에 인접하는 커플링 요소열의 일부를 융착하여 하단정지구를 용융성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상호결합된 코일형상 커플링요소열을 갖는 연속하는 지퍼체인에 하단정지구를 용융성형하기 위한 여러가지 방법이 공지되어 있는데, 이 중에서 지퍼체인의 공간부의 일단부 다음에 위치하는 커플링요소열의 일부의 커플링헤드가 초음파에너지를 이용한 하단정지구 성형수단의 사용에 의해 압축되고 용융성형되어 하단정지구를 형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공지된 하단정지구 용융성형장치, 예를 들어 일본국 실용신안 공고 제63-26021호(미합중국 특허 제4,615,668호)에 있어서, 좌우측 스트링거에 대향하는 내측 길이방향 및 엣지에 부착된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상호결합된 코일형상 커플링요소의 연속적으로 이격된 열을 갖는 연속하는 지퍼체인이 계속적으로 공급된다. 지퍼체인의 공간부가 검출되었을 때 위치결정부재의 일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돌출부가 공간부의 일단부 모서리와 접촉하며 이 돌출부에 인접하는 위치결정부재를 통해 연장되는 수직 안내홈 속에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되는 앤빌이 상부로부터 가압하므로서 하강하므로 상호 결합된 코일형상의 커플링요소열을 일부가 앤빌과 초음파뿔부 사이에 조여져 하단정지구 형태로 용융성형된다. 이 장치의 앤빌은 위치결정부재에 의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되기 때문에 돌출부와 앤빌 사이의 위치관계가 불변적으로 유지되며, 따라서, 공간부에 인접위치하는 커플링요소가 확실하게 융착 및 용융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본국 공보에 제시된 하단정지구 용융성형장치에 있어서 또는 이와 관련된 종류의 장치에 의존하는 종래의 하단정지구 성형방법에 있어서 커플링요소열의 상호결합된 커플링헤드부가 서로 일체로 융착되어 하단정지구를 용융성형한다. 이는 커플링요소가 그 다리 부분에 융착될 때 일어날 수 있는 지퍼테이프와 재봉부의 융착을 피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술한 공간부는 지퍼체인에 소정간격으로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커플링요소가 없는 부분중의 하나이다. 공간부를 형성하기 위해 펀치 및 다이가 사용되어 공간형성부에 위치하는 커플링요소열의 일부로부터 커플링헤드를 절제한다. 따라서, 코일형상의 커플링요소의 경우에는 형성된 공간부의 각 단부에 두개의 요소절단단부가 생긴다.
그러나, 종래의 하단정지구 성형방법에 따르면 커플링요소열의 상호 결합 커플링헤드가 서로 융착되기 때문에 각각의 공간부에 처리되지 않은 요소절단단부를 남긴 채 하단정지구가 형성된 지퍼체인이 후속공정으로 공급될 것이다. 많은 경우에서 요소절단단부는 지퍼테이프로부터 돌출하므로 예를 들어 재봉공정에서 재봉작업자의 손가락에 상처를 주기 쉽게 된다.
종래 기술의 상기 결점에 비추어 본 발명의 목적은 지퍼체인에 공간부를 형성할 때 생기는 좋지 않은 요소절단단부를 남기지 않고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코일형상 커플링요소를 갖는 지퍼체인에 하단정지구를 용융성형 수 있는 하단정지구 용융성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호결합된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연속하는 코일 형상의 커플링요소열과 인접하는 상호결합된 커플링요소열 사이에 배치되며 커플링요소가 없는 공간부를 가지고 체인공급경로를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공급되는 연속하는 지퍼체인에 하단정지구를 용융성형하기 위해 체인공급경로에 배치되는 하단정지구에 용융성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장치는 상호결합된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연속하는 코일형상의 커플링요소열과 인접 커플링요소열 사이에 배치되며 커플링요소가 없는 공간부를 가지고 체인공급경로를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공급되는 연속하는 지퍼체인에 하단정지구를 용융성형하는 장치에 있어서, 지퍼체인을 안내하기 위한 이동안내면, 수직이동가능한 상측 용융성형부재를 내부에서 슬라이드 안내하기 위한 수직슬라이드 안내공 및 하류측단부가 개방된 터널형 슬라이드부를 제공하도록 형성된 하면을 갖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상기 슬라이드부속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상측 용융성형부재의 수직이동과 동시에 지퍼체인의 이동에 평행한 방향으로 소정 거리 범위내에서 왕복이동 가능한 제1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에 결합되어 상호 작용하며,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와는 독립적으로 상기 하우징의 상기 슬라이드부속을 따라서 왕복이동가능하며, 공간부의 단부와 접촉가능한 록킹돌출부를 갖는 제2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가 소정거리 이상 이동되고 상기 록킹돌출부가 상기 공간부와 접촉 유지될 때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를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과, 상기 검출수단의 검출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상측 용융성형부재를 하강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으로 구성되는 연속 지퍼체인용 하단정지구 용융성형장치로 구성된다.
지퍼체인이 고속으로 진행하는 동안 공간부가 검출되고 이때, 공급롤러의 회전속도가 감속되어 지퍼체인을 저속으로 진행시킨다. 공간부가 제2슬라이드 부재의 록킹돌출부에 도착하기 전에 제1 및 제2슬라이드부재는 제2슬라이드부재의 록킹돌출부가 놓여지는 위치에 유지되므로 커플링요소열에 의해 상승된다. 공간부가 록킹돌출부 아래의 위치속으로 움직이기 시작할 때 록킹 돌출부는 계속하여 하방으로 가압되면서 공간부 속으로 들어간다. 지퍼체인이 더욱 진행함에 따라서 공간부의 하류측단부가 록킹돌출부와 접촉한 후 제1슬라이드부재와는 관계없이 록킹돌출부와 제2슬라이드부재를 하류측방향으로 소정거리만큼 이동시킨다. 이때, 제1슬라이드부재는 하류측 방향으로의 이동에 대하여 일정위치로 고정된다.
제2슬라이드부재가 혼자서 하류측방향으로 소정거리 이상 이동되었을 때 제2슬라이드부재의 하류측 단부가 위치검출부재에 의해 검출되어 공급롤러의 동작이 정지되며, 이때 제1슬라이드부재가 하류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상측 용융성형부재가 하방으로 이동하기 시작하므로 상측 용융성형부재의 하측의 경사 또는 테이퍼면이 제1슬라이드부재의 상류측 단부에서 경사 또는 테이퍼면을 따라서 슬라이드하여 제1슬라이드부재를 하류측방향으로 상기 소정거리만큼 이동시킨다. 이때, 제2슬라이드부재는 부동상태로 유지된다. 하류측을 소정거리 이상 이동한 후에 제1슬라이드부재는 제2슬라이드부재와 함께 하류측방향으로 더욱 이동된다.
상측 용융성형부재는 하방으로 계속 이동하므로 상측 용융부재의 하측에 형성된 수용부와 하측 용융성형부재의 용융성형부 사이에서 커플링요소열의 단부의 상호결합된 커플링헤드를 일체로 융착하는 한편, 이 단부를 조이며 동시에 커플링요소열에 인접한 공간부를 조여 하단정지구가 형성된다. 이 경우 제2슬라이드부재의 록킹돌출부가 커플링요소열의 단부로부터 소정거리만큼 하류측으로 이동되므로 상측 용융성형부재의 수용부와 하측 용융성형부재의 용융성형부 사이에 조여질 부분이 커플링요소열을 완전히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공간부의 형성시에 생긴 요소 절단단부가 하단정지구 속으로 완전히 융착되도록 요소열의 단부가 전체적으로 확실히 융착된다.
하단정지구 용융성형공정의 완료후에 상측 용융성형부재는 상방으로 이동한다. 동시에 제1슬라이드부재가 제2슬라이드부재와 함께 상류측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하고 제1 및 제2슬라이드부재가 최종적으로 초기의 대기상태로 복귀된다. 상기 동작순서를 반복하여 지퍼체인의 공간부의 상류 측단부에 연속적으로 하단정지구를 용융성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그외의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본 발명의 원리를 이용한 바람직한 구조적 구체예가 예로서 도시된 첨부도면 및 이후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 의해 명백히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단정지구 용융성형장치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하는 지퍼체인(C)가 공급되는 공급경로에 배치된다. 공급경로는 앞으로 체인공급경로라고 칭할 것이며, 여기서 사용하는 상류측과 하류측이라는 용어는 체인공급경로를 따라서 이동하는 지퍼체인(C)의 이동방향으로부터 본 발명을 말한다. 제7도-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퍼체인(C)는 상호 결합된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코일형상 커플링요소열(ER)과 인접하는 상호결합커플링요소열(ER)사이에 소정의 길이방향 간격으로 배치되며 커플링요소열(ER)이 없는 공간부(S)를 갖는다. 하단정지구 용융성형장치는 각 공간부(S)의 일단부에 인접하는 커플링요소열(ER)의 일부의 커플링헤드(ER-1)을 상호 융착시키도록 구성된다. 하단정지구 용융형성장치는 제1도에 도시한 구조를 갖는데 이 구조는 본 발명의 특징부를 구성한다.
이 구조(1)은 체인공급경로를 포함하는 면위에 배치되며 장치의 프레임(도시하지 않음)에 견고히 장착되는 하우징(10)을 구비한다. 하우징(10)은 지퍼체인(C)의 커플링요소열(ER)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하기 위한 홈(10')를 갖는 이동안내면(10a)와, 상측 융착 또는 용융성형부재(40)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안내하기 위해 하우징(10)을 통해 수직하게 연장되는 슬라이드 안내공(10b)와, 하류측 단부에서 개방되며 제1 및 제2슬라이드부재(20) 및 (30)을 안내하기 위해 상부 및 바닥벽과 좌우측 벽을 갖는 터널형 슬라이드부(10c)를 제공하도록 형성된 하측면을 갖는다. 도시한 구체예에서 하우징(10)은 수직하게 분리되고 대체로 L형의 한쌍의 상측 및 하측 블록부재(10-1) 및 (10-2)와 하우징(10)을 결합조립하기 위해 상측 및 하측 블록부재(10-1),(10-2)의 전방측에 부착된 커버부재(10-3)으로 구성된다. 상측 및 하측 블록부재(10-1) 및 (10-2)는 상측 용융성형부재(40)의 슬라이드 안내공(10b)를 형성하기 위해 커버부재(10-3)에 의해 비스듬히 폐쇄되며 수직하게 연결되는 오목부(10b-1') 및 (10b-2')를 갖는다. 후술할 상측블록부재(10-1)과 제1슬라이드부재(20)사이에 연장되는 텐숀스프링(11)의 일단부는 상측블록부재(10-1)에 부착된다.
도시한 구체예에 있어서 하측 융착 또는 용융성형부재(50)은 초음파뿔부로 구성되며, 상측 용융성형부재(40)은 초음파뿔부(50)의 상대부를 구성하는 앤빌로 구성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초음파뿔부(50)은 그 상측면에서 융착 또는 용융성형이 실시될 때 상호 결합 커플링헤드(ER-1)을 따라서 커플링요소열(ER)의 일부와 접촉하는 기다란 돌출부(51)을 갖는다. 한편, 앤빌(40)은 그 하측면에서 돌출부(51)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연속하여 형성되고 지퍼체인(C)의 공급경로를 따라서 앤빌(40)의 상류측단부와 하류측단부로부터 연속적으로 연장되는 제1홈(41) 및 제2홈(42)와, 상기 제1 및 제2홈(41), (42)로부터 떨어져 앤빌(40)의 하측면의 하류측단부 코너에 형성된 경사면 또는 테이퍼면(43a)를 갖는 노치(43)을 갖는다. 제1홈(41)은 지퍼체인(C)의 안내홈(10a')와 대체로 같은 단면을 가지며 또한 제1홈(41)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연장되며 초음파뿔부(50)의 돌출부(51)과 유사한 기다란 돌출부(41a)를 갖는다.
제2홈(42)는 공간부(S)를 클램프하기 위해 초음파뿔부(50)의 평면과 상호작용하는 클램프면(42a)를 갖는다. 노치(43)의 테이퍼면(43a)는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으로 상향으로 기울어지며, 앤빌(40)이 하강할 때 제1슬라이드부재(20)을 하류측방향으로 가압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측 및 하측 용융성형부재(40), (50)은 도시한 구조에 한정되어서는 안되며, 초음파뿔부 대신에 전기히터 같은 열용접부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1슬라이드부재(20)은 거의 중심부의 본체(21)의 하면에 형성된 사각 절제오목부(21a)를 갖는 프리즘형태의 본체(21)과 본체(21)의 상면으로부터 제1슬라이드부재의 전방측으로 돌출되는 측방날개부(22)로 구성된다. 프리즘본체(21)의 하류측단부에는 U형 단면을 갖는 스페이서(23)이 나사에 의해 부착된다. 볼트(26)은 볼트(26)의 전방단부가 사각형오목부(21a)속으로 소정거리만큼 돌출되도록 프리즘본체(21)의 하류측 단부속으로 나사결합된다. 본체(21)상면은 상류측단부가 기울어져 앤빌(40)의 테이퍼면(43a)와 접촉하는 테이퍼면(21b)를 제공한다. 제2슬라이드부재(30)의 이동 또는 변위된 위치를 검출하기 위해 스페이서(23)의 하류측단부의 외측면에는 위치검출부재(24)가 부착된다. 위치검출부재(24)는 하단부에서 포크형부분(24a)를 갖는다. 본체(21)은 하우징(10)의 슬라이드부재(10c)의 길이와 앤빌(40)의 슬라이드안내공(10b)의 폭의 대략 절반길이를 합한 길이를 갖는다. 본체(21)의 높이는 슬라이드부(10c)의 높이와 같다. 본체(21)의 폭과 날개부(22)의 길이의 합은 슬라이드부(10c)의 폭과 정확히 같다. 스페이서(23)은 슬라이드부(10c)의 높이보다 큰 높이를 가지므로 슬라이드부(10c)로부터 상부로 돌출하는 스페이서(23)의 일부가 하우징(10)의 하류측단부와 접촉하여 본체(21)이 상방으로 더이상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포크부(24a)는 날개부(22)아래에 형성된 공간부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연장된다. U형 스페이서(23)의 바닥벽(제1도의 후방측)에는 볼트(23a)가 부착되며, 상측블록부재(10-1)에 부착된 텐숀스프링(11)의 타단부 볼트(23a)에 연결된다.
제2슬라이드부재(30)은 제1슬라이드부재(20)의 날개부(22)아래의 공간부속에 수용된 상태에서 하우징(10)의 슬라이드부(10c)속에 배치된다. 제2슬라이드부재(30)은 전체길이에 걸쳐 연장되는 길이방향 홈(31a)를 갖는 역 U자형 단면의 기다란 슬라이드본체(31)과, 홈(31a)에 헐렁하게 결합되고 중심부가 홈(31a)의 거의 중앙부에 피봇상태로 결합된 피봇레버(32)로 구성된다. 피봇레버(32)는 그 상류측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되는 록킹돌출부(30a)를 갖고 하류측단부에서 박편부(32a)를 갖는다. 제2슬라이드부재(30)이 하류측방향으로 배치되었을 때 박편부(32a)가 포크부(24a)속으로 이동하므로 광센서(도시하지 않음)같은 적절한 검출수단이 박편부(32a)의 위치를 검출하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검출신호를 체인공급수단의 정지동작으로 보낸다. 압축스프링(33)(제3도 및 제5도 참조)은 슬라이드본체(31)과 피봇레버(32)사이에서 작용하여 피봇레버(32)를 제3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가압하여 록킹돌출부(30a)를 하방으로 이동시킨다.
위치검출부재(24)의 하류측에는 유압실린더(25)가 배치된다. 실린더(25)는 실린더(25)의 로드의 외측단부에 부착되어 로드의 연장부로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볼트부재(27)를 갖는다. 볼트부재(27)은 위치검출부재(24)를 지나 제1슬라이드부재(20)쪽으로 상류측으로 연장되며, 제1슬라이드부재(20)의 하류측단부와 접촉 지지되는 헤드부(27a)를 갖는다.
상기 구성의 하우징(10), 제1슬라이드부재(20) 및 제2슬라이드부재(30)은 후술하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먼저, 제1슬라이드부재(20)의 본체(21)은 하우징(10)의 하측블록부재(10-2)의 L형 슬라이드면상에 위치하며 테이퍼면(21b)는 체인공급경로의 상류측으로 향한다. 그후 제2슬라이드부재(30)은 제1슬라이드부재(20)의 날개부(22)와 하측블록부재(10-2)사이에 형성된 공간속에 조립된다. 이 경우 오목부(21a)속에서 돌출하는 볼트(26)에 압축스프링(28)이 결합되며, 제2슬라이드부재(30)의 측벽으로부터 돌출하는 측방돌출부(30b)가 오목부(21a)의 단부벽과 볼트(26)의 전방 단부 사이의 공간속에 결합되는데 압축스프링(28)은 소정의 정도로 예비가압되거나 압축되어 있다.
돌출부(30b)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압축스프링(28)의 힘에 의해 오목부(21a)의 상류측 단부벽에 대하여 정상상태에서 가압되므로 돌출부(30b)는 볼트(26)의 전방단부로부터 소정거리(D1)만큼 이격된다. 이 경우, 제1슬라이드부재(20)의 본체(21)의 상류측단부와 피봇레버(32)의 공간부(S)가 하측블록부재(10-2)의 하측면을 통과함에 따라서 록킹돌출부(30a)가 위로부터 공간부(S)로 들어가게 하기 위해, 하측블록부재(10-2)는 슬릿형 절제부(10-2')를 갖는다. 제2슬라이드부재(30)이 조립되었을 때 록킹돌출부(30a)는 절제부(10-2')속에 결합된다.
제2슬라이드부재(30)이 설치된 후, 상측블록부재(10-1)이 다수의 볼트(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하측블록부재(10-2)와 조립되는데 이 동안 제1슬라이드부재(20)의 본체(21)의 하류측 단부에 부착된 스패이서(23)이 상측 및 하측 블록부재(10-1) 및 (10-2) 외측에 유지된다. 그후 커버부재(10-3)이 나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상측 및 하측블록부재(10-1) 및 (10-2)의 전방측에 부착되므로서 하우징(10)을 조립한다. 이렇게 조립된 하우징(10)은 제3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장치의 도시하지 않은 프레임에 견고히 장착되고, 앤빌(40)은 슬라이드 안내공(10b)속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어 대기상태로 유지된다.
제6도는 지퍼체인(C)용의 하단정지구 용융성형장치의 일반적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여기서 본 발명의 특징부를 구성하는 상술한 구조(1)이 이용되었다. 구조(1)을 제외한 장치의 모든 부분은 일본국 실용신안 공고 제63-26021호(미합중국 특허 제4,615,668호)에 도시한 것으로 구성된다. 즉, 가이드롤러(2)가 구조(1)의 상류측에 배치되는데 가이드롤러(2)와 구조(1)의 사이에는 공간검출부(3)이 개재된다. 공간검출부(3)은 그 검출부를 통과하는 어떤 공간부(S)속으로 들어가도록 피봇장착된 센서레버(3a)와 센서레버(3a)의 피봇동작에 의해 작동하는 마이크로스위치(3b)를 갖는다. 구조(1)의 하류측에는 한쌍의 상호작용공급롤러(4)가 배치된다. 공급롤러(4)는 지퍼체인(C)를 정상적인 고속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1속도와 지퍼체인을 저속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2속도로 선택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마이크로스위치(3b)가 동작할 때 공급롤러(4)가 제2속도로 회전하여 지퍼체인(C)의 공급속도를 감속시킨다. 제6도에서 도면부호(5)로 지시한 것은 앤빌(40)을 구동시키기 위한 유압실린더(도시하지 않음)에 장착된 장치의 헤드부이다.
제3도-제6도에서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하단정지구 성형공정을 장치의 여러부분의 동작과 함께 후술한다. 연속하는 지퍼체인(C)가 가이드롤러(2)위로 지나가고 공급롤러에 의해 체인공급경로를 따라서 고속으로 진행한다. 지퍼체인(C)의 진행중에 공간검출부(3)의 센서레버(3a)가 공간부(S)속으로 들어가 마이크로스위치(3b)가 동작하여 공급롤러(4)의 회전을 저속으로 변속시키므로 지퍼체인(C)의 진행속도를 감속시킨다. 이 경우 제1 및 제2슬라이드부재(20) 및 (30)은 제3도에 도시한 상태로 배치되는데, 여기서 제2슬라이드부재(30)의 록킹돌출부(30a)가 커플링요소열(ER)위에 놓이므로 커플링요소열(ER)에 의해 상승된다. 센서레버(3a)를 통과한 후 공간부(S)는 록킹돌출부(30a)의 아래위치에 도달하고 이때 록킹돌출부(30a)는 하방으로 연속적으로 가압됨에 따라서 공간부(S)속으로 들어간다. 지퍼체인(C)가 더욱 진행함에 따라서 공간부(S)의 상류측단부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킹돌출부(30a)와 접촉한 후 제1슬라이드부재(20)와는 독립적으로 압축스프링(28)의 힘에 대항하여 록킹돌출부(30a)와 제2슬라이드부재(30)을 거리(D1)(도시한 구체예에서는 3mm)이상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제2슬라이드부재(30)상의 측방돌출부(30b)가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슬라이드부재(20)의 오목부(21a)속에서 돌출하는 볼트(26)의 전방단부와 접촉한다.
제2슬라이드부재(30)이 하류측방향으로 거리(D1)만큼 변위되었을 때 제2슬라이드부재(30)의 얇은 하류측단부(32a)가 위치검출부재(24)에 의해 검출되며, 위치검출부재(24)로부터의 검출신호가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공급롤러(4)의 구동원(도시하지 않음)에 전달되어 공급롤러(4)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동시에 실린더의 피스톤로드를 일방향으로 진출시키도록 작용하는 유압실린더(25)의 유압이 해제되므로 피스톤로드에 부착된 볼트부재(27)이 하류측방향으로 이동하여 실린더(25)의 피스톤로드를 철수시킨다. 이와 동시에 앤빌(40)이 하방으로 움직이기 시작한다. 이런 앤빌(40)의 하향이동에 의해 앤빌(40)의 하측의 테이퍼면(43a)가 제1슬라이드부재(20)의 상류측단부에서 테이퍼면(21b)와 면대면 접촉하여 제1슬라이드부재(20)을 하방으로 거리(D1)만큼 이동시킨다. 이 경우, 제2슬라이드부재(30)의 측방돌출부(30b)가 압축스프링(28)의 힘에 의해 동일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제1슬라이드부재(20)이 거리(D1)이상 이동되었을 때 측방돌출부(30b)는 오목부(21a)의 상류측 단부벽과 접촉한다. 따라서, 그후 제1슬라이드부재(20)에 의해 가압된 제1슬라이드부재(20)와 제2슬라이드부재(30)이 테이퍼(43a)가 제1슬라이드부재(20)의 테이퍼면(21b)를 지나 하강할 때까지 함께 하류측 방향으로 이동한다(제5도 참조).
앤빌(40)이 계속 하향이동하므로서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부(S)의 하류측단부에 인접한 커플링요소열(ER)의 일부의 상호결합 커플링헤드(ER-1)이 서로 융착되는 한편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플링요소열(ER)의 부분이 앤빌(40)의 하면상의 돌출부(41a)와 초음파뿔부(50)의 돌출부(51)사이에서 조여지는 한편 커플링요소열(ER)에 인접한 공간부(S)는 앤빌(40)의 클램프면(42a)와 초음파뿔부(50)의 상면 사이에서 조여진다. 따라서, 지퍼체인(C)상에 하단정지구가 형성된다. 이 경우 제2슬라이드부재(30)의 록킹돌출부(30a)가 커플링요소열(ER)의 선단부로부터 거리(D1)만큼 하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커플링요소열(ER)의 선단부는 앤빌(40)의 돌출부(41a)와 초음파뿔부(50)의 돌출부(51) 사이에 조여지는 지퍼체인(C)의 부분속에 완전히 포함된다. 따라서,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간부(S)의 형성시에 만들어진 커플링요소 절단단부가 공간부(S)와 일체로 융착되도록 커플링요소열(ER)의 선단부가 완전하고 확실하게 융착된다.
이렇게 하단정지구 용융성형공정이 완료되었을 때 앤빌(40)이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에 의하여 상방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실린더(25)에 유압이 공급되어 피스톤로드와 볼트부재(27)을 상방으로 진출시키므로 제1슬라이드부재(20)과 제2슬라이드부재(30)이 볼트부재(27)의 헤드부(27a)에 의해 가압되어 제3도에 도시된 각각의 대기상태로 복귀시킨다. 그후 상기 작동순서가 반복되어 공간부(C)의 상류측단부(후미단부)에서 지퍼체인(C)에 연속적으로 하단정지구를 용융성형한다.
지퍼체인용의 본 발명의 하단정지구 용융성형장치에 따른 상기 설명으로부터 공간부에 인접한 상호결합된 코일형상의 커플링요소열의 단부가 단일 구조의 하단정지구로 확실하게 융착 또는 용융성형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공간부 성형시에 생긴 요소절단단부는 더이상 존재하지 않으며 지퍼체인으로부터 돌출하지도 않는다. 이렇게 형성된 하단정지구는 외관이 보기 좋으며 이후의 재봉공정에서 재봉작업자에게 상처를 주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여러가지 부변형 및 수정이 상술한 기술 내용에 비추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내에서 상술한 것 이외의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Claims (6)

  1. 상호결합된 열가소성 합성수지의 연속하는 코일형상의 커플링요소열(ER)과 인접 커플링요소열사이에 배치되며 커플링요소가 없는 공간부(S)를 가지고 체인공급경고를 따라서 길이방향으로 공급되는 연속하는 지퍼체인(C)에 하단정지구를 용융성형하는 장치에 있어서, 지퍼체인(C)를 안내하기 위한 이동안내면(10a), 수직이동 가능한 상측 용융성형부재(40)을 내부에서 슬라이드 안내하기 위한 수직슬라이드 안내공(10b) 및 하류측단부가 개방된 터널형 슬라이드부(10c)를 제공하도록 형성된 하면을 갖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의 상기 슬라이드부(10c)속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상측 용융성형부재(40)의 수직이동과 동시에 지퍼체인(C)의 이동에 평행한 방향으로 소정거리 범위내에서 왕복이동 가능한 제1슬라이드부재(20)과,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20)에 결합되어 상호 작용하며,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20)과는 독립적으로 상기 하우징(10)의 상기 슬라이드부(10c)속을 따라서 왕복이동 가능하며, 공간부(S)의 단부와 접촉 가능한 록킹돌출부(30a)를 갖는 제2슬라이드부재(30)과,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30)이 소정 거리이상 이동되고 상기 록킹돌출부(30a)가 상기 공간부(S)와 접촉유지될 때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30)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수단(24)와, 상기 검출수단(24)의 검출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상측 용융성형부재(40)을 하강시키기 위한 구동수단(5)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지퍼체인용 하단정지구 용융성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20)은 상기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각형 오목부(21a)를 갖는 기다란 본체(21)과 상기 오목부(21)의 일단부로부터 상기 일단부의 상류측에 위치하는 타단부쪽으로 상기 오목부(21a)속에서 돌출하는 볼트(26)과 상기 오목부(21a)내에서 상기 볼트(26)주위에 결합된 압축스프링(28)을 구비하며,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30)은 상기 오목부(21a)속에 수용되어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20)의 상기 본체(21)과 상기 압축스프링(28) 상기 탄력적으로 유지되는 측방돌출부(30b)를 갖는 기다란 슬라이드본체(31)을 구비하며, 상기 측방돌출부(30b)를 갖는 기다란 슬라이드본체(31)을 구비하며, 상기 측방돌출부(30b)는 정상상태에서 상기 볼트(26)의 전방단부로부터 상기 소정거리(D1)만큼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지퍼체인용 하단정지구 용융성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20)은 스프링(11)에 의하여 상기 하우징(10)에 대하여 상류측방향으로 가압되며,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20)의 상기 기다란 본체(21)은 일단부에서 테이퍼면(21b)를 가지며, 상기 상측 용융성형부재(40)은 상기 테이퍼면(21b)와 슬라이드접촉하여 상기 테이퍼면과 상호작용하여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20)을 상기 스프링(11)의 힘에 대항하여 하류측방향으로 가압하는 테이퍼면(43)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지퍼체인용 하단정지구 용융성형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30)의 상기 기다란 슬라이드본체(31)은 역 U자형이며, 종방향으로 연장형성된 홈(31a)를 가지며, 상기 제2슬라이드본체(31)은 또한 상기 홈(31a)속에 수용되어 중간부가 상기 슬라이드본체(31)에 피봇상태로 연결된 피봇레버(32)를 구비하며, 상기 록킹돌출부(30a)는 상기 피봇레버(32)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하방으로 돌출하며, 상기 피봇레버(32)는 정상상태에서 일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록킹돌출부(30a)를 하방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지퍼체인용 하단정지구 용융성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하우징(10)의 하류측에 배치된 유압실린더(25)와 상기 실린더(25)의 피스톤로드에 부착되고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20)과 접촉지지되어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20)이 하류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볼트부재(27)을 구비하며, 상기 실린더(25)는 상기 검출수단(24)가 상기 제2슬라이드부재(30)을 검출했을 때 상기 볼트부재(27)을 상류측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일방향으로 작용하는 상기 실린더(25)내의 유압이 해제되어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20)이 하류측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검출수단(24)에 작동상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지퍼체인용 하단정지구 용융성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또한 체인공급경로를 따라서 연장되는 제1의 기다란 돌출부(51)이 상면에 형성된 하측 용융성형부재(50)을 구비하며, 상기 상측용융성형부재(40)은 그 하면에서 커플링요소열(ER)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한 제1홈(41)과 상기 제1홈(41)의 하류측으로 연속되는 제2홈(42)를 가지며, 상기 제1홈(41)은 상기 제1홈(41)의 길이방향 중심선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제1의 기다란 돌출부(51)과 상호작용하여 공간부(S)의 상기 일단부에 인접한 커플링요소열(ER)의 부분의 상호결합된 커플링헤드(ER-1)을 융착시키도록 하는 제2의 기다란 돌출부(41a)를 가지며, 상기 제2홈(42)는 상기 하측 용융성형부재(50)의 상기 상면과 상호작용하여 공간부(S)를 조이고 융착시키는 클램프면(42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지퍼체인용 하단정지구 용융성형장치.
KR1019940032460A 1993-12-02 1994-12-01 지퍼체인의 하단정지구의 용융성형장치 KR01347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304993 1993-12-02
JP93-303049 1993-1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168A KR950017168A (ko) 1995-07-20
KR0134718B1 true KR0134718B1 (ko) 1998-04-18

Family

ID=17916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2460A KR0134718B1 (ko) 1993-12-02 1994-12-01 지퍼체인의 하단정지구의 용융성형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0134718B1 (ko)
CN (1) CN1108769C (ko)
DE (1) DE4442830C2 (ko)
TW (1) TW3852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307834B (zh) * 2015-06-24 2019-07-16 上海吉田拉链有限公司 拉链切割装置以及拉链切割方法
EP3892149A4 (en) * 2018-12-06 2021-12-08 YKK Corporation ZIPPER, STOPPER MANUFACTURING PROCESS AND MOLD DEVICE
CN115092523B (zh) * 2022-05-17 2023-08-15 立兆股份有限公司 带有封端组件的夹链条与夹链袋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40072C2 (de) * 1980-10-24 1982-10-21 Optilon W. Erich Heilmann GmbH, 6330 Cham Spritzvorrichtung für das Aufspritzen von Anfangsstoppteilen und/oder Entstoppteilen auf Reißverschluß-Halbzeugband
JPS6098411U (ja) * 1983-12-12 1985-07-04 ワイケイケイ株式会社 スライドフアスナチエ−ンの下止溶融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85274B (en) 2000-03-21
KR950017168A (ko) 1995-07-20
CN1109723A (zh) 1995-10-11
CN1108769C (zh) 2003-05-21
DE4442830C2 (de) 1997-08-14
DE4442830A1 (de) 1995-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118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eat sealing strap in a strapping machine
US7311647B2 (en) Methods for sensing features on moving fastener tape during automated production
KR840002315B1 (ko) 슬라이드 파스너 체인의 개리감삽구 부착부분에 대한 보강대 부착방법 및 장치
KR0134718B1 (ko) 지퍼체인의 하단정지구의 용융성형장치
US6403917B1 (en) Welding head for a looping machine
US4615668A (en) Apparatus for melt-forming bottom stop of slide fastener chain
US4299027A (en) Apparatus for applying reinforcing film pieces to a pair of slide fastener stringers
US3813459A (en) Process for making the stops of a slide fastener
JPS6152801A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チェーンのスペース部加工装置
JPH0740962B2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上止め具取付け装置
KR860000943B1 (ko) 은폐형슬라이드파스너의 상지구 형성 방법 및 그 장치
FI81243B (fi) Anordning foer avbrutning av en kontinuerlig dragked.
EP0160983B1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slide fastener with separable end stop
JPH08322612A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チェーンのスペース部におけるファスナーエレメント除去方法及びその装置
KR840000625B1 (ko) 스라이드 파스너의 상지구 부착장치
KR900001801Y1 (ko) 한쌍의 파스너 요소 조립장치
EP0648443B1 (en) Apparatus for inspecting the attached state of slide fastener stop boxes, and stop boxes attaching machine equipped with the same
JPS6126191B2 (ko)
JPH084525B2 (ja) スライドファスナーの上止め取付け装置
CA1188083A (en) Space forming and stop fixing apparatus for fastener chains
KR870000902Y1 (ko) 긴 슬라이드 파스너 체인의 마무리장치
KR860002984Y1 (ko) 파스너 스트링어 조합장치
US4697319A (en) Apparatus for attaching boxes to slide fasteners with separable box and pin of synthetic resin
KR100429774B1 (ko) 양단에 경사면을 갖는 플라스틱 창틀의 모헤어 삽입장치
JP3560218B2 (ja) 成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16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