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643B1 - 천공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천공방법 및 그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643B1
KR0134643B1 KR1019940001188A KR19940001188A KR0134643B1 KR 0134643 B1 KR0134643 B1 KR 0134643B1 KR 1019940001188 A KR1019940001188 A KR 1019940001188A KR 19940001188 A KR19940001188 A KR 19940001188A KR 0134643 B1 KR0134643 B1 KR 0134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h
punching
hole
temperature blank
high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1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8147A (ko
Inventor
요시오 타카노
히로키 후지타니
타케히로 유가
Original Assignee
스즈키 마사시
티디에프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즈키 마사시, 티디에프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즈키 마사시
Publication of KR940018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8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6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76Making machine elements elements not mentioned in one of the preceding groups
    • B21K1/762Coupling members for conveying mechanical motion, e.g. univers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 B21J5/10Piercing bi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3/00Details of machines for forging, pressing, or hammering
    • B21J13/04Frames;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5/00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 B21J5/06Methods for forging, hammering, or pressing; Special equipment or accessories therefor for performing particular operations
    • B21J5/12Forming profiles on internal or external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9/00Forging presses
    • B21J9/02Special design or construction
    • B21J9/04Pierc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1/00Making machine elements
    • B21K1/06Making machine elements axles or shafts
    • B21K1/10Making machine elements axles or shafts of cylindric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21/00Making hollow articles not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sub-grou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KMAKING FORGED OR PRESSED METAL PRODUCTS, e.g. HORSE-SHOES, RIVETS, BOLTS OR WHEELS
    • B21K21/00Making hollow articles not covered by a single preceding sub-group
    • B21K21/06Shaping thick-walled hollow articles, e.g. projecti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04Processes
    • Y10T83/0481Pun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92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83/9411Cutting couple type
    • Y10T83/9423Punching to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929Tool or tool with support
    • Y10T83/9411Cutting couple type
    • Y10T83/9423Punching tool
    • Y10T83/9425Tool p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rging (AREA)

Abstract

전방압출 천공성형에 의해 고온블랭크에 종횡비(길이/직경)이 5전후의 깊은 구멍가공을 높은 정밀도이면서 한 공정으로 행할 수 있는 중공금속제품의 제조방법과 제조설비를 제공한다.
외형이 일정한 형상으로 단조가공된 고온블랭크를 하형다이스에 고정하고, 천공펀치, 유지가이드, 하형다이에 동축선상으로해서 윗금형에 고정하고, 그 윗금형의 하강에의해 유지가이드로 고온블랭크를 유지한 채로 이면서 동시에 유지가이드의 구멍에서 천공펀치를 구속한 상태로 천공펀치를 가압하고, 천공펀치의 횡변위를 방지한다. 천공펀치가 최하위위치또는 그 근방에 도달하면 그 선단은 리시버다이의 구멍에 들어가며, 구멍 뚫기를 행한다.

Description

천공방법 및 그 장치(PIERCING METHOD AND APPARATYUS)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천공성형의 실시에 사용된 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개략도.
제2도는 제1도에 나타낸 장치의 제1동작단계를 나타낸 주요부분의 개략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천공성형시의 펀치하중과 천공압력의 관계를 나타낸 특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성형된 고온블랭크의 일예의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천공성형의 실시에 사용된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6도는 종래의 천공성형시의 상태를 나타낸 부분적인 단면도.
제7도는 (a), (b)는 둘다 종래 기술로 성형된 고온블랭크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온블랭크(피가공물)1a : 확장부
1b : 축2 : 천공펀치
3 : 윗금형4 : 밑금형
5 : 유지가이드(변형방지가이드)5a : 유지가이드의 관통구멍
6 : 리시버다이6a : 리시버다이의 관통구멍
7 : 가압부재8 : 부착부재
9 : 가이드로드10 : 로드
11 : 상형다이스12 : 나사
13 : 하형다이스13a : 구멍(고온블랭크가 들어감)
14 : 전달핀15 : 백업압력 부하장치
16, 17 : 유압실린더18 : 본체(제5도)
20. 자투레기
본 발명은 축의 한 끝에 부착된 형태로 단조가공된 고온블랭크를 전방압출해서 열간 천공성형하는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 천공성형은 예를들면, 트럭용 프로펠러축의 슬리브 요크 등, 한쪽 끝에 확장부가 구비되어 있고 종횡비가 큰 중공금속제품의 제조에 바람직한 것이다.
종래, 전술한 슬리브 요크 등과 같이 축의 한 끝에 부착된 형태의 단조블랭크로부터 만들어진 중공금속제품은 그 단조가공된 고온블랭크를 냉각한 후, 드릴을 사용해 중공부를 절삭함으로써 제작이 가능하지만, 작업능률상의 문제가 있다. 그 때문에 열간 천공성형이 사용된다.
그러나, 슬리브 요크의 확장부와 같은 축단(軸端)에 확장부가 있는 제품의 경우, 고온블랭크의 연신이 천공펀치의 진행방향과 반대방향에 생기는 소위 후방압출방식에서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확장부(1a)의 형상을 유지할 수 없다.
따라서, 한 끝에 확장부가 있는 고온블랭크에서는 고온블랭크의 연신이 펀치의 진행방향과 같은 방향에서 발생하는 전방압출방식이 사용된다.
전방압출방식에 의한 종래의 열간천공성형에서는 천공펀치의 한 공정에 의해 중공부를 관통하는 것이 아니라 (1)저부를 제외한 블랭크에 천공한 후 블랭크의 저부를 관통하도록 잘라낸다 (2)저부를 제외한 블랭크에 천공한 후, 관통되도록 천공되지 않은 저부를 나중에 천공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지만, 이하에 기재한 바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방압출천공성형을 도시한 것으로 일본국 특개평 3 - 243240호 공보가 있지만, 그것은 원통형의 성형을 행하며, 본 발명과는 다른 특징을 가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천공성형에서는 적어도 두 공정을 요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낮고, 또한 블랭크는 밑금형의 소정위치에 간단히 얹는 것이기 때문에 성형과정에 있어서, 블랭크의 확장부가 변형 혹은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차부에 병목부(W)가 발생하고, 혹은 제7도의 (a),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상변형(Z)나 원통형 병목부(W)가 발생한다.
특히, 종횡비(가공깊이/구경)가 4이상으로 높은 경우, 종래의 기술에서도 성형이 가능했지만, 천공펀치의 횡변위에 의한 가공치수의 변형이 크고, 따라서 생산효율이 나쁘며,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천공펀치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그때문에 종래의 천공성형은 종회비가 3이하의 성형으로 한정되며, 종횡비가 높은 것에는 드릴을 사용한 기계가공에 의존하지 않을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것이며, 그러한 이유로, 단조 후의 부착된 고온블랭크의 확장부의 형상을 유지함과 동시에 병목부 등의 단점이 발생하는 일이 없고, 높은 종횡비의 천공성형을 정밀도가 높게 또한 단일공정으로 행할 수 있는 천공성형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천공성형방법의 특징은 밑금형에 고정된 축의 한끝이 부착된 형태의 고온 블랭크를, 윗금형에 부착된 천공펀치를 하강시키므로써 전방압출해서 천공성형하는 방법에 있어서, 천공성형의 직전에 윗금형에 구비된 유지가이드를 밑금형의 고온블랭크위에 하강시키고, 다음으로 유지가이드의 관통구멍을 관통하는 천공펀치로 고온블랭크를 천공성형하며, 천공성형할 때에 천공펀치를 유지가이드의 관통구멍으로 안내함으로써 천공펀치의 횡변위를 방지하고, 또한 상기 천공성형과 동시에 고온블랭크의 하단면에 백업압력을 가하고, 그 백업압력의 부하는 고온블랭크의 하단면을 받아들이는 리시버다이를 통해서 행해지며, 천공펀치가 최하위치 혹은 그 근방으로 하강했을 때에 천공펀치의 선단은 그 리시버다이의 관통구멍에 삽입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유지가이드가 하강하면, 그 유지가이드에 의해 밑금형 위의 고온블랭크 상단의 확장부를 유지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천공성형장치의 특징은 단조 후, 축의 한 끝에 부착된 형태의 고온블랭크를 지지하는 밑금형과, 상기 고온블랭크를 전방압출하여 천공성형하는 천공펀치가 부착되어 있는 윗금형과, 상기 밑금형의 윗쪽에서 상기 윗금형을 상하로 작동시키는 작동장치를 포함하는 천공성형장치에 있어서, 윗금형은 밑금형과의 사이에 상기 고온블랭크의 상단에 위치하는 확장부를 유지하는 유지가이드가 구비된 가압부재와, 그 가압부재의 위에 있고 그 가압부재에 대해 상하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천공펀치가 부착된 부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유지가이드에는 천공펀치가 관통하는 관통구멍이 설치되며, 유지가이드의 관통구멍은 천공펀치를 안내해서 천공펀치의 횡변위를 막기 위해 천공펀치의 단면형상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으며, 또한, 천공성형할 때에 밑금형의 아래에 위치해서 그 고온블랭크의 하단에 리시버다이를 통해서 백업압력을 가하는 장치를 포함하며, 그 리시버다이는 밑금형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동시에 유지가이드의 관통구멍과 동축선에서 천공펀치가 최하위치 혹은 근방으로 하강하면 삽입하는 리시버다이의 관통구멍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 천공성형방법에는 천공펀치는 유지가이드의 구멍에 의해 안내됨과 동시에 구속되므로 성형시의 횡변위가 방지되며, 종회비가 높은 천공성형을 높은 정밀도로 행할 수가 있으며, 또 성형시에 고온블랭크에 백업압력이 가해지므로 고온 블랭크의 형상을 적절하게 유지하고, 병목부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천공펀치의 횡변위를 방지하는 것에 의해 고온블랭크 밑의 적절한 간극(천공펀치와의 사이)의 리시버다이 관통구멍에 천공펀치의 선단을 삽입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한 공정으로 관통된 깊은 구멍의 성형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천공성형장치에서는 윗금형은 유지가이드를 설치한 가압부재와 그 가압부재의 위에 위치하여 그 가압부재에 대해 상하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천공펀치의 부착부재를 포함하며, 성형직전에 가압부재를 하강시켜서 유지가이드로 고온블랭크의 확장부를 유지하고, 다음으로 부착부재와 함께 천공펀치의 하강에 의해 천공펀치는 유지가이드의 관통구멍을 관통해서 하강하고, 동시에 고온블랭크의 하단에서 리시버 다이를 통해서 백업압력을 가하면서 천공성형을 행한다.
천공펀치는 유지가이드의 구멍에 의해 횡변위가 방지되며, 그 천공펀치의 선단은 최하단 혹은 그 근방에서 리시버다이의 관통구멍으로 들어가며, 한 공정으로 구멍을 뚫도록 되어 있다.
[실시예]
다음으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천공성형방법의 실시에 이용되는 장치의 일예의 주요부를 나타낸 것이며, 이 장치는 천공펀치(2)를 설치하는 윗금형(3)과, 피가공물인 고온블랭크(1)을 지지하는 밑금형(4)를 포함함과 동시에 천공펀치(2)의 횡변위를 방지하는 유지가이드(5)가 윗금형에 설치되고, 또한 고온블랭크에서의 구멍뚫기를 가능하게 하는 리시버다이(6)이 밑금형(4)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유지가이드(5)의 중심에 유지가이드의 관통구멍(5a)가 형성되며, 그 유지가이드(5)의 관통구멍(5a)를 천공펀치(2)가 관통하도록 되어 있다.
피가공물로서는 일정한 외형으로 축의 한 끝에 부착된 형상으로 단조가공된 상기의 고온블랭크가 사용된다. 이 천공성형방법은 천공펀치에 의해 천공성형하기 직전에 유지가이드(5)가 밑금형(4)의 위에 하강하고, 이어서, 천공펀치(2)가 유지가이드(5)의 관통구멍(5a)를 관통하면서 하강하여 천공성형을 행하며, 그와 동시에 고온블랭크(1)의 하단면에 리시버다이(6)을 통해서 백업압력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천공펀치(2)는 유지가이드(5)의 관통구멍(5a)에서 안내됨으로써 횡변위가 저지된다.
리시버 다이(6)에는 축선상에 리시버다이(6)의 관통구멍(6a)가 형성되어 있어, 천공펀치(2)가 최하위치 혹은 그 근방으로 하강했을 때에 리시버다이(6)의 관통구멍(6a)에 들어가 구멍뚫기를 행한다.
유지가이드(5)에 대하여 천공펀치(2)는 상하로 상대이동하며, 그 때문에 유지가이드(5)는 윗금형(3)의 가압부재(7)에, 또한 천공펀치(2)는 윗금형(3)의 부착부(8)에 부착된다.
즉,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압부재(7)과 부착부재(8)은 각각 움직임이 가능한 부재이며, 가압부재(7)의 상측에 부착부재(8)가 구비되어 가압부재(7)에 대해 상하로 상대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가압부재(7)과 부착부재(8)은 서로 맞물린 상태로 상대이동할 수 있도록 적당한 수의 가이드로드(9)로 서로 연결된다.
10은 가압부재(7)을 자동장치에 연결하는 로드이다.
유지가이드(5)는 가압부재(7)에 설치된 상형다이스(11)의 위에 고정되며, 그 상형다이스를 나사(12)등으로 고정함으로써 유지가이드(5)를 착탈가능하게 구성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유지가이드(5)를 착탈가능하게 구성하면, 유지가이드(5)의 교환이 쉬운 이점이 있다.
또한, 고온블랭크(1)의 축부(1b)는 밑금형(4)에 부착된 하형다이스(13)의 중심구멍(13a)에 끼워지며, 천공펀치(2)의 축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천공펀치(2)와 유지가이드(5)의 관통구멍(5a)와 리시버다이(6)의 관통구멍(6a)는 동축선상에 배치되며, 리시버다이(6)는 하형다이스(13)의 아래에서 밑금형(4)의 중심구멍에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리시버다이(6)은 관형의 전달핀(14)를 통해서 백업압력 부하장치(15)에 의해 윗쪽으로의 힘을 가하며, 고온블랭크(1)의 하단에 접촉해서 고온블랭크를 지지하고 고온블랭크에 백업압력을 가하도록 되어 있다.
제1도에서는 가압부재(7)과 부착부재(8)의 작동장치는 생략되어 있지만, 그들의 작동장치로서는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압력조정이 쉬운 점에서 유압실린더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그들의 작동장치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작동된다.
경우에 따라서는 가압부재(7)과 부착부재(8)을 공통된 작동장치로 작동해도 좋다.
또한, 백업부하장치(15)로서도 바람직하게는 유압실린더가 사용된다.
천공펀치(2)의 하중(PP)에 대해서 리시버다이(6)을 통해서 고온블랭크에 부하되는 백업압력(PB)는 그 천공펀치(2)의 하중(PP)보다 작고, 또한 성형시에 고온블랭크의 파단이나 병목부를 발생하지 않기 위해서 천공펀치(2)의하중(PP)는 백업압력과 고온블랭크의 내력의 합을 넘지 않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고온블랭크의 내력을 T라고 하면, PPPBPP-T의 관계가 성립되고, 그 범위의 백업압력이 부하된다.
제3도는 펀치하중(PP)와 백업압력(PB)의 관계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며, 도시한 바와 같이 펀치하중(PP)와 백업압력(PB)는 개략적으로 비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온블랭크의 축부외경(d1)에 대한 고온블랭크의 내경(펀치의 직영)(d0)의 비, 즉, d0/d1가 대부분인 경우, 0.35를 넘으며, 백업압력을 부하하지 않고 전방압출해서 천공성형을 행하면 고온블랭크의 원통부에 소성변형을 일으키므로, 그 비가 0.35를 넘는 경우에 백업압력의 부하는 특히 유용하며, 또한 백업압력의 조절에 의해 d0/d1≤0.9의 천공성형이 가능하게 된다.
동작시, 제1도의 장치에서는 가압부제(7)과 부착부재(8)은 함께 하강하고, 천공성형에 들어가기 직전에 제1도는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압부재(7)이 밑금형(4)의 하형다이스(13)에 하강하고, 상형다이스(11)을 하형다이스(13)에 맞물리고, 동시에 유지가이드(5)에서 고온블랭크의 확장부(1a)를 유지한다.
원하는대로 유지가이드(5)의 하측면을 그 확장부에 끼워 맞추어도 좋고, 또는 바깥 하측면에서 외확장부를 성형해도 좋다.
가압부재(7)은 그 위치에서 정지하지만, 천공펀치(2)는 부착부재(8)과 함께 하강하여 천공성형을 행한다.
제2도는 도시한 바와 같이 천공펀치(2)는 유지가이드(5)의 관통구멍(5a)를 관통하고, 그 유지가이드(5)의 관통구멍(5a)를 통해서 하강하여 그 유지가이드(5)의 관통구멍(5a)에 의해 횡변위하지 않도록 구속되며, 따라서, 천공펀치(2)의 좌굴변형은 현저하게 작아져서 가공정밀도를 높게 한다.
천공펀치(2)와 유지가이드(5)의 관통구멍(5a)와의 사이의 간격은 천공펀치(2)가 통과가능할 정도로만 취하면 되므로 그 유지가이드(5)의 관통구멍(5a)는 천공펀치(2)의 단면 형상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천공성형이 개시됨과 동시에 부하장치(15)가 작동하고, 전달핀(14) 및 리시버다이(6)을 통해서 고온블랭크(1)에 백업압력이 부하된다.
천공성형의 진행에 동반하여 리시버다이(6)은 하강한다.
제2도는 성형도중 단계를 나타내지만, 그 상태로부터 더욱 더 천공펀치(2)가 하강하여 최하단 또는 그 근방에 이르면, 그 천공펀치(2)의 선단은 리시버다이(6)의 관통구멍(6a)에 들어가고 나머지 자투레기(20)의 절단 즉, 구멍뚫기를 행한다.
구멍뚫기를 적절히 행하기 위해서는 리시버다이(6)의 관통구멍(6a)와 천공펀치(2)와의 사이의 간격은 적당한 값으로 취해지며, 일예로서는 하기의 데이터에서 0.5mm이지만, 그 간격은 0.1∼0.8mm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간격이 0.1mm이하에서는 리시버다이(6)의 관통구멍(6a) 및 천공펀치(2)에 마모가 발생하고, 또한, 0.8mm이상에서는 선단이 무뎌져 적절한 구멍뚫기가 불가능해진다.
천공펀치(2)의 선단이 그 행정끝에서 일정범위의 간격의 리시버다이(6)의 관통구멍(6a)에 들어가도록 하는 것은 천공펀치(2)가 유지가이드의 관통구멍(5a)로 안내되며, 그것에 의해 횡변위(좌굴변형)이 현저히 작게 되기 때문이다.
단조공정이 종료된 트럭용 프로펠러축의 슬리브요크의 고온블랭크를 600톤 가공장치에 고정해서 천공성형을 실시하고, 그 데이터를 표1에 나타낸다.
종래와의 비교에서는 고온블랭크의 최대편심두께량(최대편심두께-최소편심두께)가 종래 2.0mm였던 것이 1.0mm이하로 되며, 또한, 축의 편심이 종래 1.0mm였던 것이 0.5mm이하로 된다.
또한, 병목이나 전장의 흩뿌려짐도 종래에 비해서 적게 되며, 확장부의 변형도 1.0mm이하로 억제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방법으로 성형된 슬리브요크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천공성형을 행하는 장치의 다른 예를 나타낸 것이며, 이 장치에서 하형다이스(13)은 밑금형(4)와 일체로 구성됨과 동시에 유지가이드는 가압부재(7)과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작동장치는 각각 유압실린더에 의해 구성되며, 천공펀치(2) 및 부착부재(8)은 유압실린더(16)의 동작부의 하단에 부착되어 있다.
가압부재(7)도 한쌍의 유압실린더(17)에 의해 상하로 작동되며, 그들 백업압력의 부하장치(15)도 유압실린더로 구성되며, 이들 부재는 본체(18)내에 넣어진다.
이 장치에서는 우선 각 유압실린더(17)이 동작해서 가압부재(7)을 밑금형(4)의 위로 하강시키고, 고온블랭크의 확장부를 가압하고, 다음으로 유압실린더(16)의 동작에 의해 천공펀치(2)의 하강에 의해 고온블랭크(1)에 대해 천공성형을 행함과 동시에 백업압력을 가한다.
천공펀치(2)는 유지가이드(5)의 관통구멍(5a)에 의해 안내되며, 그 최하단에서 리시버다이(6)의 관통구멍(6a)에 들어가 구멍뚫기를 행하는 것은 전과 같다.
또한, 이 천공성형에서 대상으로 하는 금속은 주철뿐만 아니라, 알루미늄, 동등의 비철금속 어느 것이라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천공성형을 열간성형으로 하고, 그 온도범위는 통상의 단조온도로부터 통상 가열온도의 반분이하까지 포함한다.
따라서, 고온블랭크의 단조 후, 그 잔열을 이용해서 성형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와 같이 하면 에너지의 절감을 촉진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천공펀치는 유지가이드의 관통구멍으로 안내됨과 동시에 구속되므로 횡변위가 극히 작고, 종횡비가 5전후의 깊은 구멍의 가공을 높은 정밀도로 성형가능하게하며, 효율이 높아진다.
또한, 백업압력의 부하에 의해 병목부나 변형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천공펀치는 최하위치에서 리시버다이의 관통구멍에 들어가 구멍뚫기를 행하므로 한 공정으로 완성하여 생산성을 현저히 향상시킨다.
또한, 드릴천공에 비해 재료의 병목부발생도 적고, 또한 구멍도 원형구멍에 한정된 것이 아니라 각이 진형태의 구멍도 형성할 수가 있다.

Claims (9)

  1. 밑금형(4)에 고정된 일정한 외형으로 축의 한 끝에 부착된 형태로 단조가공된 고온블랭크를, 윗금형(3)의 하강에 의해 그 윗금형(3)에 부착된 천공펀치(2)에 의해 전방압출하여 천공성형하는 방법에 있어서, 천공성형의 직전에 상기한 윗금형(3)에 구비된 유지가이드(5)를 전기한 밑금형(4)위로 하강시키고, 다음으로 전기한 유지가이드(5)의 관퉁구멍(5a)를 관통구멍(5a)를 관통하는 전기한 천공펀치(2)로 그 고온블랭크를 천공성형하며, 그 천공성형할 때에 천공펀치(2)를 유지가이드(5)의 관통구멍(5a)에서 안내하므로써 전기한 천공펀치(2)의 횡변위를 방지하고, 또한 그 천공성형과 동시에 고온블랭크(1)의 하단면에 백업압력을 가하고 백업압력의 부하는 그 고온블랭크(1)의 하단면을 받아들이는 리시버다이(Receiverdie)(6)을 통해서 행해지며, 전기 천공펀치(2)가 최하위치 혹은 그 근방에 하강되었을 때에 천공펀치(2)의 선단은 전기 리시버 다이(6)의 관통구멍(6a)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성형방법.
  2. 제1항의 천공성형방법에 있어서, 전기한 유지가이드(5)를 하강하면, 그 유지가이드(5)에 의해 전기한 밑금형(4) 위의 고온블랭크(1)의 상단에 위치하는 확장부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 성형방법.
  3. 일정한 외형으로 축의 한 끝에 부착된 형태로 단조가공된 고온블랭크(1)을 지지하는 밑금형(4)과, 그 고온블랭크(1)을 전방압출하여 천공성형하는 천공펀치(2)가 부착되어 있는 윗금형(3)과, 상기 밑금형(4)의 윗쪽에서 윗금형(3)을 상하로 작동하는 작동장치로 포함하는 천공성형장치에 있어서, 전기한 윗금형(3)은 밑금형(4)와의 사이에 상기 고온블랭크(1)의 상단에 위치하는 확장부(1a)를 유지하는 유지가이드가 구비된 가압부재(7)과, 전기 가압부재(7)위에서 그 가압부재에 대해 상하로 상대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한 천공펀치(2)가 부착된 부착부재(8)을 포함하며, 상기한 그 유지가이드에는 전기 천공펀치(2)가 관통하는 구멍(5a)이 설치되며, 전기한 유지가이드의 관통구멍(5a)는 천공펀치(2)를 안내해서 천공펀치(2)의 횡변위를 막기 위해 전기 천공펀치(2)의 단면형상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으며, 또한, 천공성형할 때에 전기 밑금형(4)의 아래에 위치해서 그 고온블랭크의 하단에 리시버 다이(6)를 통해서 백업압력을 가하는 장치를 포함하며, 전기 그 리시버 다이(6)는 전기 밑금형(4)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전기 유지가이드의 구멍(5a)과 동축선에서 전기 천공펀치(2)가 최하위치 혹은 그 근방으로 하강하면 삽입하는 리시버다이(6)의 관통구멍(6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성형장치.
  4. 제1항의 천공성형장치에 있어서, 전기한 유지가이드는 전기한 가압부재(7)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성형장치.
  5. 제3항의 천공성형장치에 있어서, 전기한 유지가이드는 판으로 구성되는 가압부재(7)에 일체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성형장치.
  6. 제3항의 천공성형장치에 있어서, 전기한 윗금형(3)의 작동장치는 전기 가압부재(7)의 작동장치와 전기한 부착부재(8)의 작동장치로부터 구성되며, 그들의 작동장치는 소정의 타이밍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성형장치.
  7. 제6항의 천공성형장치에 있어서, 전기한 작동장치는 유압실린더(16)(1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성형장치.
  8. 제3항의 천공성형장치에 있어서, 전기한 백업압력을 가하는 장치는 유압실린더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성형장치.
  9. 제3항의 천공성형장치에 있어서, 전기한 리시버다이(6)의 관통구멍(6a)와 전기한 천공펀치(2)의 사이의 간격은 0.1∼0.8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공성형장치.
KR1019940001188A 1993-01-26 1994-01-24 천공방법 및 그 장치 KR01346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70293 1993-01-26
JP93-10702 1993-01-26
JP23364193A JP2500225B2 (ja) 1993-01-26 1993-09-20 ピアシング成形方法および装置
JP93-233641 1993-09-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8147A KR940018147A (ko) 1994-08-16
KR0134643B1 true KR0134643B1 (ko) 1998-06-15

Family

ID=263460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1188A KR0134643B1 (ko) 1993-01-26 1994-01-24 천공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603882A (ko)
JP (1) JP2500225B2 (ko)
KR (1) KR0134643B1 (ko)
DE (1) DE4401674C2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3847B1 (ko) * 2008-09-23 2009-02-17 주식회사 이테크 트레이펀칭장치
KR100971219B1 (ko) * 2008-01-15 2010-07-20 주식회사 포메탈 요크 제조공정
KR101015493B1 (ko) * 2007-03-06 2011-02-22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터브 샤프트 제작 방법
KR101255809B1 (ko) * 2012-12-03 2013-04-17 고진범 요크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7037B1 (en) * 1994-06-20 2001-01-23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Method of forming a slit in a reseal element for a needleless injection site
JP3974263B2 (ja) * 1998-04-07 2007-09-12 力夫 西田 パンチャーヘッド及びパンチャー
JP3466480B2 (ja) 1998-07-06 2003-11-10 日本碍子株式会社 液体吐出装置用ノズル及びその製造方法
US6237454B1 (en) * 1999-06-25 2001-05-29 Honda Of America Mfg., Inc. Self-centering trim punch
KR20020037510A (ko) * 2000-11-14 2002-05-22 조규철 금형으로 구멍 뚫는 방법 및 그 금형 다이
CA2441167A1 (en) * 2001-04-05 2002-10-17 Build A Mold Limited Mechanism for making openings in plastic parts within a mold tool
US8151435B2 (en) * 2008-02-14 2012-04-10 Brunner Manufacturing Co., Inc. Method for forging a spindle housing
US20110185874A1 (en) * 2010-01-29 2011-08-04 Jason Blair Punch Press
JP7113498B2 (ja) * 2018-07-13 2022-08-05 中央工業株式会社 中空金属製品の製造装置
CN109433992A (zh) * 2018-12-24 2019-03-08 无锡双马钻探工具有限公司 一种用于钻杆加厚的分体式冲头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56319A (en) * 1924-04-17 1932-05-03 New England Mica Co Press for commutator rings and the like
US2593730A (en) * 1946-05-06 1952-04-22 Standard Forging Corp Apparatus for making pierced forged hubs and the like
US2798553A (en) * 1956-12-05 1957-07-09 Buck Engineering Company Inc Metal punching apparatus
US3496818A (en) * 1967-09-11 1970-02-24 Porter Precision Products Inc Guide bushing for die sets
US3673902A (en) * 1970-02-09 1972-07-04 Walter Strobel Die set; fixture and method of making dies
US3971275A (en) * 1975-09-18 1976-07-27 Mach John J Nestable die alignment means for punch press machines
US4281546A (en) * 1979-07-13 1981-08-04 Fraleigh M Foster Variable volume sample cutter and method of use
DE3235005A1 (de) * 1982-09-22 1984-03-22 Jürgen 4300 Essen Wernekinck Stanze zum heraustrennen von in einer bahn angeordneten, vorzugsweise in einer tiefgezogenen kunststoffolie ausgebildeten formteilen
CH669748A5 (ko) * 1984-11-28 1989-04-14 Feintool Int Holding
JPH03243240A (ja) * 1990-02-21 1991-10-30 M H Center:Kk 円筒部材の製造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5493B1 (ko) * 2007-03-06 2011-02-22 한국델파이주식회사 자동차용 스터브 샤프트 제작 방법
KR100971219B1 (ko) * 2008-01-15 2010-07-20 주식회사 포메탈 요크 제조공정
KR100883847B1 (ko) * 2008-09-23 2009-02-17 주식회사 이테크 트레이펀칭장치
KR101255809B1 (ko) * 2012-12-03 2013-04-17 고진범 요크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603882A (en) 1997-02-18
DE4401674C2 (de) 1998-11-26
DE4401674A1 (de) 1994-07-28
JPH06328179A (ja) 1994-11-29
KR940018147A (ko) 1994-08-16
JP2500225B2 (ja) 1996-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4643B1 (ko) 천공방법 및 그 장치
US5799524A (en) Pressure forming and piercing a hollow body
US6370931B2 (en) Stamping die for producing smooth-edged metal parts having complex perimeter shapes
US2419862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unching by transfer means
JP2001001046A (ja) プレス装置
US4036056A (en) Single-slide press for carrying out multiple functions with a single work-input stroke
US6220137B1 (en) Press apparatus
CN105855385B (zh) 一种防护内花键的冲压模具
US4346581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ittings
JP3709285B2 (ja) 内側面段付溝を有する筒型被加工部材のプレス穴あけ装置
GB1589383A (en) Method of piercing a metal block and a press for carrying out themethod
JP3392739B2 (ja) 鍛造用金型装置
JP3031850B2 (ja) 傘歯車の冷間鍛造成形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103267B2 (ja) 金属製円筒状ワークの孔明け・拡径装置
CN210059370U (zh) 一种铜锭的挤压装置
CN116690156B (zh) 一种两端铜套同步压装工装及压装工艺
JPH091258A (ja) タレットパンチプレス機による軟質材料及び軟質積層材料の孔あけ方法
CN217492569U (zh) 一种推出导向套的加工装置
JP3046634B2 (ja) 精密打抜金型装置
CN215786086U (zh) 一种防变形冲孔装置
JP2605908B2 (ja) 切替え式孔明け装置
JP7123447B1 (ja) 鍛造装置及び鍛造品の製造方法
RU2072271C1 (ru) Штамп для глубокой вытяжки цилиндрических деталей
JPH03207600A (ja) 順送りプレス抜金型
JPS5893522A (ja) 絞り加工及び穴あけ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2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