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557B1 - 유하액막식 증발기용 전열관 - Google Patents

유하액막식 증발기용 전열관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557B1
KR0134557B1 KR1019940016131A KR19940016131A KR0134557B1 KR 0134557 B1 KR0134557 B1 KR 0134557B1 KR 1019940016131 A KR1019940016131 A KR 1019940016131A KR 19940016131 A KR19940016131 A KR 19940016131A KR 0134557 B1 KR0134557 B1 KR 0134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heat transfer
pin
fin
fall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6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3786A (ko
Inventor
세이지 이시다
도미오 히고
데츠오 우치다
마사히로 후루카와
마사시 이즈미
가즈히로 요시이
Original Assignee
가메다카 소키치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메다카 소키치,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메다카 소키치
Publication of KR9500037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37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5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3/00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 F28F13/18Arrangements for modifying heat-transfer, e.g. increasing, decreasing by applying coatings, e.g. radiation-absorbing, radiation-reflecting; by surface treatment, e.g. polishing
    • F28F13/185Heat-exchange surfaces provided with microstructures or with porous coatings
    • F28F13/187Heat-exchange surfaces provided with microstructures or with porous coatings especially adapted for evaporator surfaces or condenser surfaces, e.g. with nucleation si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4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both outside and inside the tubular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10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 F28F1/4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both outside and inside the tubular element
    • F28F1/422Tubular elements and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projections, with recesses the means being both outside and inside the tubular element with outside means integral with the tubular element and inside means integral with the tubular element

Abstract

전열관의 외면에는 관축방향으로 직교 또는 경사지는 방향으로 뻗는 핀(1)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핀(1)은 0.2 내지 0.8mm의 높이이고, 관축방향 1m당의 핀수는 905 내지 1102열로 설정되어 있다. 핀(1)의 꼭대기부에는 핀을 따라 홈부(3)가 설치되어 있다. 이 홈부(3)의 양측벽면이 이루는 각도는 70°내지 150°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핀(1)에는 0.5 내지 1.0mm의 배열피치로 절결부(2)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그외면에 부착한 냉매의 젖어퍼짐이 뛰어나고, 또한 표면적이 크고, 전열성능이 뛰어난 유하액막식 증발기용 전열관이 얻어진다.

Description

유하액막식 증발기용 전열관
본 발명은 흡수냉동기등의 유하액막식 증발기에 조립해 넣기에 적합한 유하액막식 증발기용 전열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흡수식 냉온수기등의 유하액막식 증발기에서는, 전열관의 외주면에 냉매를 유하시켜, 관내를 유통하는 예컨대 물과 상기 냉매와의 사이에서 열교환시켜 관내의 물을 냉각시키고 있다. 전열관에 접촉한 냉매는 전열관 표면을 젖음확대, 낮은 압력으로 증발하여 전열관의 전열면으로부터 열을 빼앗음으로써, 전열관 내부의 물을 냉각시킨다. 또, 전열관의 표면에 젖어퍼진 냉매가 증발할때에, 전열면으로부터 기화열을 빼앗기때문에 효율적으로 관내의 물등을 냉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열성능이 양호한 고성능의 전열관을 얻기 위해서는 냉매와 전열관과의 접촉면적(즉, 전열면의 면적)을 가급적으로 증대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냉매와 전열관과의 접촉면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전열관의 표면적을 증대시키는 것 및 전열관 표면에서의 냉매의 젖어퍼짐성을 양호하게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종래, 표면적을 증대시킨 전열관으로서는 관외면에 관축을 따라 홈을 형성한 플루트튜브 및 관외면에 칼라형상 또는 나선형상으로 핀을 배설한 하부핀 튜브가 있다. 또, 냉매의 젖어퍼짐성을 양호하게한 전열관으로서는 관외면을 평활화한 표면처리관 및 관외면에 와이어 브러시연마를 한 표면처리관이 있다. 또한, 표면적의 증대와 냉매의 젖어퍼짐성과 양쪽을 개선한 전열관으로서는 관외면에 배설된 핀에 관축방향으로 배열하도록 절결부를 설치하고, 이에 의하여 냉매의 핀에 대한 젖어퍼짐성을 향상시킨 고성능 전열관이 제안되어 있다(최근의 흡수냉동기와 히트펌프(2) ; 다까다슈이찌저, 1989년 3월 발행).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전열관에는 어느 것이나 다음에 기술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외면을 평활화 또는 연마한 표면처리관의 경우에는, 냉매를 적하하면, 적하점의 주위에서는 냉매는 크게 젖어퍼지나, 냉매가 전열관외면을 흘러내림에 따라 냉매가 관축방향으로 수축하여, 젖어퍼짐이 작아진다. 플루트관의 경우에는 냉매가 홈을 따라 관축방향으로 흐르므로, 상술한 표면처리관 보다도 젖어퍼짐은 크나, 홈사이의 산부에서는 젖어퍼지지 않으므로, 전열관 전체의 전열면적은 비교적 작다. 또, 하부핀 튜브의 경우에는 관외면에 배설된 핀때문에 표면적이 증대하나, 이 핀에 의하여 냉매의 관축 방향의 이동이 저해되기 때문에, 젖어퍼짐이 작아진다. 또한, 핀에 절결부를 설치한 고성능 전열관은 상술한 각 전열관에 비하여 전열성능이 높지만, 아직 충분히 높은 성능을 가지고 있다고는 할 수 없다. 최근에 더욱 더 고성능의 흡수 냉온수기가 요구되고 있고, 그에 대응하기 위하여 종래의 전열관에 비하여 더욱더 전열성능이 뛰어난 전열관이 요망되고 있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의 목적은 냉매의 젖어퍼짐성이 뛰어남과 동시에 전열표면적이 크고, 종래에 비하여 전열성이 더욱더 뛰어나고 양호한 유하액막식 증발기용 전열관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증발기용 전열관은 외면에 관축방향으로 직교 또는 경사지는 방향으로 뻗는 핀이 형성되고 있고, 이 핀의 꼭대기부에는 핀을 따라 뻗는 홈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이 핀에는 핀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뻗어 상기 핀의 첨단부를 소정의 피치로 관축 방향으로 절결하는 절결부가 설치되어 있다.
물등의 냉매를 상술한 전열관에 적하하면, 냉매는 전열관의 핀으로 포착되며, 이 냉매는 상기 홈부를 따라 핀꼭대기부를 둘레방향으로 흘러내림과 동시에 , 상기 절결부를 지나 관축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관축방향으로 이동한 냉매는 최종적으로는 핀사이를 지나 관상부로부터 관하부를 향하여 흘러내린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전열관에 있어서는 핀의 꼭대기부에 형성된 홈부와, 핀첨단부를 소정의 피치로 관축방향으로 절결하는 절결부를 통하여 냉매가 둘레방향 및 관축방향의 양쪽으로 퍼짐으로 전열관의 외면을 흘러내리는 냉매는 흘러내림에 따르는 젖어퍼짐의 치우침이 생기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증발기용 전열관은 냉매와 전열관의 접촉면적이 크고, 핀형상에 의한 큰 관표면적을 유효히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전열성능이 매우 뛰어나다.
그런데, 관축방향 1m당의 핀수는 905 내지 1102열인 것이 필요하다. 관축방향 1m당의 핀수가 905열미만의 경우 및 1102열을 넘는 경우에는 어느것이나 젖어퍼짐성이 저하되어, 전열성능이 저하한다. 따라서, 관축방향 1m당의 핀수는 905열 내지 1102열인 것이 필요하다.
또, 핀의 높이는 0.2 내지 0.8mm인 것이 필요하다. 핀의 높이가 0.2mm 미만의 경우 및 0.8mm를 넘는 경우에는 어느 것이나 젖어퍼짐성이 저하한다. 이 때문에, 핀의 높이는 0.2mm 내지 0.8mm인 것이 필요하다.
또한, 핀꼭대기부에 설치된 홈부의 양벽면이 이루는 각도가 70°미만인 경우 및 150°를 넘는 경우에는 어느 것이나 젖어퍼짐성이 저하한다. 이 때문에 핀꼭대기부에 설치된 홈부의 양벽면이 이루는 각도는 70°내지 150°인 것이 필요하다.
또한, 핀의 첨단에 설치된 절결부의 관의 둘레방향의 배열피치는 0.5 내지 1.0mm인 것이 필요하다, 핀절결부의 둘레방향의 배열피치가 0.5mm 미만인 경우에는 절결부를 형성하는 것이 매우 곤란하게 된다. 또, 절결부의 둘레방향의 배열피치가 1.0mm를 넘으면, 젖어퍼짐성이 저하한다. 이때문에 핀절결부의 둘레방향의 배열피치는 0.5 내지 1.0mm인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전열관의 안쪽에 리브를 설치함으로써 전열관내를 지나는 유체(예컨대, 냉수)를 교반할 수 있어서, 전열성능을 더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리브높이(h)와 관의 최대내경(Di)과의 비(h/Di)가 0.02보다 작으면, 리브의 돌기에 의한 교란 효과가 적어서, 성능의 향상을 얻을 수 없다. 또, h/Di가 0.04보다 크면 리브의 성형이 현저하게 곤란해진다. 또한, 리브의 피치 PR과 Di와의 비 PR/Di가 0.4보다 작으면 관내를 지나는 냉수등의 압력손실등이 커져서, 냉수를 송입하는 펌프동력이 증대한다. 한편, PR/Di가 1.0보다 크면 냉수의 교반효과가 적어서, 전열성능이 충분한 향상을 얻을 수 없다.
본 발명의 유하액막식 증발기용 전열관은 표면적이 크고, 또 관외면을 흘러내리는 냉매의 젖어퍼짐에 치우침이 생기지 않고, 젖어퍼짐성이 매우 뛰어나다. 이때문에 본 발명의 유하액막식 증발기용 전열관은 전열성능이 매우 뛰어나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 더국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 1 의 실시예인 유하액맥식 증발기용 전열관의 측벽 및 핀구조를 도시한 모식적 사시도이다. 전열관의 외주에는 관축방향에 대하여 직교 또는 경사지게 뻗는 핀(1)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핀(1)은 관축방향 1m당 905열 내지 1102열의 비율로 설치되어 있다. 또, 이 핀(1)의 높이는 0.2 내지 0.8mm로 설치되어 있다. 이 핀(1)의 꼭대기부에는 핀을 따라 형성된 홈부(3)가 설치되어 있다. 이 홈부(3)의 양측벽이 이루는 각도(α)(이하, 반할각도라 한다)는 70°내지 150°로 설정되어 있다. 또, 핀(1)의 첨단에는 관축방향으로 배열하고, 관의 둘레방향으로 0.5 내지 1.0mm의 피치(P)로 절결부(2)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유하액막식 증발기용 전열관에 있어서, 전열관의 윗쪽에서 적하된 냉매(물)는 전열관의 상반부에서 포착된다. 그리고, 이 냉매는 핀꼭대기부의 홈부(3)를 따라 흘러내림과 동시에, 절결부(2)를 지나 관축방향으로도 이동한다. 핀(1)은 그 꼭대기부에 홈부(3)가 형성될때에 압축되므로, 꼭대기부가 관축방향으로 약간 팽출되어 있다. 이때문에 인접하는 핀(1)의 선단부간의 거리는 핀(1)의 꼭대기부에 홈부가 없는 경우에 비하여 짧아진다. 따라서, 단순히 핀에 절결부를 설치한 것뿐인 전열관에 비하여, 관축방향으로의 냉매의 치우침을 더한층 억제할 수 있다. 또, 외면이 평활한 관 또는 플루트관에서는 관축방향의 젖어퍼짐성은 양호하지만, 관상부로부터의 관하부를 향하여 냉매가 흘러내림에 따르는 냉매의 치우침이 발생한다. 또, 하부핀튜브에서는 흘러내림에 따르는 냉매의 치우침은 생기지 않으나, 핀이 장벽이 되므로, 냉매의 관축방향으로의 젖어퍼짐이 작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전열관은 핀(1)의 꼭대기부에 핀(1)을 따라 형성된 홈부(3)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핀(1)에 축방향으로 배열하는 절결부(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관축방향의 젖어퍼짐이 큼과 동시에, 흘러내림에 따르는 냉매의 수축을 회피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유하액막식 증발기용 전열관은 그 외주에 핀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전열면적이 크고, 또한 냉매의 젖어퍼짐성이 양호하여 전열관과의 접촉면적이 크므로, 전열효율이 매우 뛰어나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예의 유하액막식 증발기용 전열관의 핀구조를 도시한 모식적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가 제 1의 실시예와 다른 점은 관내벽에 리브(4)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고, 기타의 구성은 기본적으로는 제 1의 실시예와 똑같으므로, 제2도에 있어서 제1도와 동일물에는 동일부호를 부여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관내면에 리브(4)가 설치되어 있다. 이 리브(4)는 관축을 중심으로 하는 나선형상으로 배설되어 있고, 높이가 0.25 내지 0.5mm, 리드각이 10°내지 30°, 리브수가 8 내지 30/둘레이고, 리브 높이(h)와 관의 최대내경(Di)과의 비(h/Di)가 0.02 내지 0.04, 리브의 피치 PR과 Di와의 비(PR/Di)가 0.4 내지 1.0 범위에서 설정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유하액막식 증발용 전열관에 있어서는 관내면에 리브(4)가 설치되어 있고, 이 리브(4)가 관축방향으로 경사지는 방향으로 뻗어나와 있으므로, 관내를 지나는 액체의 난류효과의 증가에 의하여 관내의 전열성능이 향상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유하액막식 증발기용 전열관은 제 1의 실시예에 비하여 전열성능이 더 한층 향상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전열관을 실제로 제조하여, 그 젖어퍼짐성 및 전열성능을 조사한 결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즉, 제 1 도에 도시한 제 1의 실시예의 유하액막식 증발기용 전열관과 핀의 형상을 바꾼 비교예의 전열관을 제조하여 증발기의 실기의 상태를 모의하여 열교환성능등의 비교시험을 행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각 유하액막식 증발기용 전열관(공사관) 치수를 하기 표 1에 표시하였다. 그리고, 표 1에서 원관부란 전열관의 끝부분등과 같이 핀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부분을 말한다. 또, 각 공시관은 어느것이나 동관(C1201 ; JISH 3300)에 의하여 제작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2, 3, 4 및 비교예 1, 5는 핀수를 변화시켜, 그이외의 치수를 동일하게 한 공시관의 그룹이고, 실시예 6, 7, 8, 9 및 비교예 10은 핀높이를 변화시킨 그룹이고, 실시예 13, 14 및 비교예 12 15는 핀꼭대기부의 홈부의 반할각도를 변화시킨 그룹이고, 또 실시예 16, 17, 18 및 비교예 19는 절결부의 배열피치를 변화시킨 그룹이다. 그리고, 비교예 11은 핀을 형성하고 있지 않는 평활관이다.
표 1
표 2
이들 공시관에 대하여 젖어퍼짐성을 조사하였다. 제3A도는 젖어퍼짐성의 시험장치를 도시한 모식도이다.
공시관 표면의 탈지를 충분히 행하기 위하여, 트리클로에탄에 1시간 침지하고, 다시 산화 분위기에서 200℃로 1시간 가열하는 열처리를 하였다. 공시관(10)의 축방향을 수평으로 하여 설치하고, 피펫(7)을 관(10)의 대략중앙부의 윗쪽 20mm의 위치에 그 선단이 배치되도록 고정시켰다. 이 피펫(7)에는 잉크로 착색한 물(8)이 장입되어 있고, 콕(9)을 조절함으로서 공시관(10)위에 착색한 물(8)을 2cc 적하하였다. 그후, 제3B도에 도시한 공시관(10)의 둘레방향의 8개소의 위치에서의 젖어퍼짐 길이를 측정하여 평균 젖음길이를 산출하였다. 제 4 도는 횡축에 25.4mm 당의 핀수를 취하고, 종축에 평균 젖음길이를 취하여 양자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도이다. 젖음길이는 핀수가 25.4mm당 약 25열(1m당 약 980열)일때는 가장 양호하고, 25.4mm당 23 내지 28열(1m당 약 905 내지 1102열)의 범위내에서는 젖음길이가 길고, 양호한 퍼짐성을 나타내었다.
제5도는 횡축에 핀높이를 취하고, 종축에 평균 젖음길이를 취하여 양자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도이다. 핀높이가 낮아질수록 평균 젖음길이는 길지만, 핀높이가 0.2mm 미만의 핀은 젖어퍼짐성이 급격히 감소한다. 핀높이가 0.2 내지 0.8mm의 범위에서는 평균 젖음길이가 길고, 젖어퍼짐성은 양호하다.
제6도는 횡축에 핀꼭대기부의 홈부의 반할각도를 취하고, 종축에 평균 젖음길이를 취하여 양자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도이다. 평균 젖음길이는 반할 각도가 약 90°일때에 가장 길고, 반할 각도가 70°미만일때 및 150°넘을때에는 젖어퍼짐길이가 짧다.
제 7 도는 횡축에 핀의 절결부의 둘레방향의 배열피치를 취하고, 종축에 평균 젖음길이를 취하여, 양자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도이다. 절결부의 배열피치가 짧을수록 평균 젖음길이는 길고, 절결부의 배열피치가 1.0mm를 넘으면 젖음길이가 매우 짧아진다. 그러나, 절결부의 배열피치를 0.5mm 미만으로 하는 것은 가공성의 점에서 매우 곤란하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증발기용 전열관의 증발성능을 측정하였다. 즉, 하기 표 2에 표시한 치수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전열관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20, 21은 전술한 실시예 3, 8, 13, 17의 공시관과 동일형상이다.
표 2
이들 전열관의 증발성능을 조사하였다. 제 8 도는 증발성능의 측정에 사용한 시험장치이다. 공시관은 1열×10단으로 하였다. 이 공시관군(15)의 윗쪽에는 냉매산포관(12)이 설치되어 있다. 공시관군(15)의 하측단부는 공시관내에 흐르는 냉수의 입구(13)에 접속하고, 상측단부는 냉수의 출구(14)에 접속하였다. 이 시험장치에는 장치내의 증발압력을 조정하기 위한 흡수부(1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냉매로서는 물을 사용하여, 냉수의 입구(13)로부터 흘러들어오는 약 120℃의 온도의 냉수가 출구(14)에서는 약 7℃의 온도로 흘러나오도록, 흡수부(11)에서 장치내의 압력을 조절하였다. 그리고, 증발기관내를 흐르는 냉수의 유속은 1.5(m/s)이다. 이렇게하여 냉수의 수온 및 장치내 온도의 초기조건을 일정하게 한후, 공시관군(15)에 냉매산포관(12)으로 냉매를 0.7 내지 1.3(litter/m·min)의 유속으로 산포하고, 전열성능을 측정하였다.
제9도는 횡축에 냉매산포량(litter/m·min)을 취하고, 종축에 총괄전열계수(kcal/m2h℃)를 취하여 양자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도이다. 실시예 20은 종래예 23의 평활관에 대하여 2.2배의 총괄전열계수를 나타내었고, 종래예 22의 하부핀 튜브보다도 높은 전열계수를 나타내었다. 또, 실시예 21은 종래예 23에 대하여 2.3배의 전열계수이고, 실시예 20보다도 더 높은 전열성능을 나타내었다.
다음에, 관내에 리브를 설치한 공시관의 증발성능을 조사하였다. 핀가공부의 관외형상은 실시예 6과 같고, 핀수는 1m당 1024열(1인치당 26열), 핀높이는 0.3mm, 홈부 반할 각도는 90℃, 절결부 피치는 0.62mm이다. 이 관외형상으로 관내의 리브형상을 바꾸어 성능을 평가하였다. 전열성능의 평가조건은 냉매산포량을 1.0(litter/m·min)으로하고, 관내의 냉수의 입구온도를 약 12℃, 출구온도를 7℃, 냉수의 유속을 1.5(m/s)로 하였다.
제11도는 횡축에 h/Di, 종축에 총괄전열계수를 취하여 양자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PR/Di는0.43 및 0.86이다. h/Di가 0.2보다도 커지면 총괄전열계수의 감소가 커지게 되어 있다. 한편, h/Di가 0.04보다도 커지면, 리브의 성형이 곤란해진다. h/Di가 0.02~0.04이면 총괄전열계수가 높아서, 리브의 성형도 문제없이 행할 수 있다. 그리고, h/Di는 0.022~0.035이면 더욱 좋다.
제12도는 PR/Di에 대한 총괄전열계수 및 압력손실을 도시하였다. 이 경우에 있어서, h/Di는 0.03이다. PR/Di가 0.4보다 작아지면, 총괄전열계수의 증가에 비하여 압력손실의 증가가 커진다. PR/Di가 1보다 커지면, 총괄전열계수의 저하가 커진다. 따라서, PR/Di는 0.4~1.0인 것이 좋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인 증발기용 전열관을 도시한 모식적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인 증발기용 전열관을 도시한 모식적 사시도.
제3A도는 전열관의 젖어퍼짐을 측정하는 장치의 모식도.
제3B도는 전열관의 젖어퍼짐을 측정하는 점을 도시한 모식도.
제4도는 핀수와 평균의 젖음길이와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도.
제5도는 핀높이와 평균의 젖음길이와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도
제6도는 핀정상부의 홈부의 반할각도와 평균의 젖음길이와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도.
제7도는 핀첨단을 절결하는 절결부의 배설피치와 평균의 젖음길이와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도.
제8도는 전열관의 전열성능을 측정하는 장치의 모식적 단면도.
제9도는 실시예 및 종래예의 전열관의 전열성능을 비교하여 도시한 그래프도.
제10도는 실시예의 전열관의 관축방향의 모식적 단면도.
제11도는 h/Di와 통괄전열계수와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도.
제12도는 PR/Di와 통괄전열계수 및 압력손실과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핀 2 : 절결부
3 : 홈부4 : 리브

Claims (2)

  1. 유하액막식 증발기용 전열관에 있어서 관본체와, 관축방향의 1m당 905 내지 1102열 설치되어 있고, 핀의 높이는 0.2 내지 0.8mm이며 이 관본체의 외면에 설치되어 관축방향으로 직교 또는 경사지는 방향으로 뻗어있는 핀, 홈부의 벽면이 이루는 각도가 70°내지 150°이고, 상기 핀의 꼭대기부에 핀을 따라 형성된 홈부, 관둘레방향으로 0.5 내지 1.0mm의 피치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핀에 교차하는 방향을 뻗어 상기 핀의 첨단부를 절결하는 절결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하액막식 증발기용 전열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본체의 내면에 설치되어 관축방향으로 경사지는 방향으로 뻗어있고 리브의 높이(h)와 최대내경(Di)과의 비(h/Di)가 0.02 내지 0.04이고, 리브의 피치(PR)와의 비(PR/Di)가 0.4 내지 1.0인 리브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하액막식 증발기용 전열관.
KR1019940016131A 1993-07-07 1994-07-06 유하액막식 증발기용 전열관 KR01345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67852 1993-07-07
JP16785293 1993-07-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3786A KR950003786A (ko) 1995-02-17
KR0134557B1 true KR0134557B1 (ko) 1998-04-28

Family

ID=15857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6131A KR0134557B1 (ko) 1993-07-07 1994-07-06 유하액막식 증발기용 전열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173762B1 (ko)
KR (1) KR0134557B1 (ko)
CN (1) CN108818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230213C (en) * 1997-03-17 2003-05-06 Xin Liu A heat transfer tub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US6626134B1 (en) * 1999-07-27 2003-09-30 Keith A. Brinton Engine cooling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7985404B1 (en) * 1999-07-27 2011-07-26 Johnson & Johnson Consumer Companies, Inc. Reducing hair growth, hair follicle and hair shaft size and hair pigmentation
US7096931B2 (en) * 2001-06-08 2006-08-29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Increased heat exchange in two or three phase slurry
JP2002372390A (ja) * 2001-06-12 2002-12-26 Kobe Steel Ltd 流下液膜式蒸発器用伝熱管
US20030213441A1 (en) * 2002-06-03 2003-11-20 Brinton Keith A. Engine cooling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same
DK1845327T3 (da) * 2002-06-10 2009-03-09 Wolverine Tube Inc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et varmeoverföringsrör
US7311137B2 (en) * 2002-06-10 2007-12-25 Wolverine Tube, Inc. Heat transfer tube including enhanced heat transfer surfaces
US8573022B2 (en) * 2002-06-10 2013-11-05 Wieland-Werke Ag Method for making enhanced heat transfer surfaces
US6644394B1 (en) * 2002-06-25 2003-11-11 Brazeway, Inc. Braze alloy flow-barrier
DE10248599A1 (de) 2002-10-17 2004-04-29 Degussa Ag Verfahren zur Gewinnung einer gasförmigen Phase aus einem flüssigen Medium und Vorrichtung zu seiner Durchführung
US20060112535A1 (en) * 2004-05-13 2006-06-01 Petur Thors Retractable finning tool and method of using
EP1538415A1 (de) * 2003-12-01 2005-06-08 Balcke-Dürr GmbH Strömungskanal
ES2389664T3 (es) * 2005-03-25 2012-10-30 Wolverine Tube, Inc. Herramienta para hacer superficies con mejor transferencia de calor
CN100365369C (zh) * 2005-08-09 2008-01-30 江苏萃隆铜业有限公司 蒸发器热交换管
CN100458344C (zh) * 2005-12-13 2009-02-04 金龙精密铜管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制冷满液式机组用铜冷凝换热管
CN100437011C (zh) * 2005-12-13 2008-11-26 金龙精密铜管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电制冷机组用满液式铜蒸发换热管
CN100498187C (zh) * 2007-01-15 2009-06-10 高克联管件(上海)有限公司 一种蒸发冷凝兼备型传热管
CN101338987B (zh) * 2007-07-06 2011-05-04 高克联管件(上海)有限公司 一种冷凝用传热管
US9844807B2 (en) * 2008-04-16 2017-12-19 Wieland-Werke Ag Tube with fins having wings
US20090294112A1 (en) * 2008-06-03 2009-12-03 Nordyne, Inc. Internally finned tube having enhanced nucleation centers, heat exchangers, and methods of manufacture
US8997846B2 (en) * 2008-10-20 2015-04-07 The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Heat dissipation system with boundary layer disruption
US20170307300A1 (en) * 2009-04-30 2017-10-26 Uop Llc Re-direction of vapor flow across tubular condensers
US8196909B2 (en) * 2009-04-30 2012-06-12 Uop Llc Tubular condensers having tubes with external enhancements
CN101745248B (zh) * 2010-01-29 2012-12-12 上海华谊丙烯酸有限公司 一种用于降膜结晶器的结晶管
DE102010007570A1 (de) * 2010-02-10 2011-08-11 ThyssenKrupp Nirosta GmbH, 47807 Produkt für strömungstechnische Anwendungen,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und Verwendung eines solchen Produkts
US8613308B2 (en) 2010-12-10 2013-12-24 Uop Llc Process for transferring heat or modifying a tube in a heat exchanger
CN102121804A (zh) * 2011-03-04 2011-07-13 无锡化工装备有限公司(原无锡化工装备总厂) 基管表面带有凹槽的固定管板换热器
CN102130622A (zh) * 2011-04-07 2011-07-20 上海威特力焊接设备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高效率光伏逆变器
DE102011121733A1 (de) * 2011-12-21 2013-06-27 Wieland-Werke Ag Verdampferrohr mit optimierter Außenstruktur
RU2496072C1 (ru) * 2012-05-17 2013-10-20 Федеральное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бюджетное образователь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ысшего профессионального образования "Казан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энергетиче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ФГБОУ ВПО "КГЭУ") Теплообменная труба
CN102980432A (zh) * 2012-11-12 2013-03-20 沃林/维兰德传热技术有限责任公司 带空心腔体的蒸发传热管
CN102980431A (zh) * 2012-11-12 2013-03-20 沃林/维兰德传热技术有限责任公司 蒸发传热管
CN103017593B (zh) * 2012-12-13 2014-06-18 吉林大学 一种强化液膜蒸发换热的仿生表面结构
CN103557558A (zh) * 2013-10-28 2014-02-05 杭州上岛电器有限公司 降膜恒温恒湿系统
DE102014002829A1 (de) * 2014-02-27 2015-08-27 Wieland-Werke Ag Metallisches Wärmeaustauscherrohr
CN104006579B (zh) * 2014-05-20 2016-03-02 江苏萃隆精密铜管股份有限公司 一种蒸发器用的高效热交换管
RU2576767C2 (ru) * 2014-07-02 2016-03-10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Уфимское агрегат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Гидравлика"(АО "УАП"Гидравлик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нтенсификации теплоотдачи в кольцевом спиральном канале
US9945618B1 (en) * 2017-01-04 2018-04-17 Wieland Copper Products, Llc Heat transfer surface
CN109163471B (zh) * 2018-07-18 2024-04-05 嘉兴学院 节能舒适型分体热泵空调系统及其控制方法
CN109141094A (zh) * 2018-08-30 2019-01-04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换热管及空调器
CN109099748A (zh) * 2018-08-30 2018-12-28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换热管及空调器
CN110108148A (zh) * 2019-05-29 2019-08-09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换热管及设有其的空调器
CN111854502A (zh) * 2020-07-08 2020-10-3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换热管及空调机组
CN114061358A (zh) * 2020-08-03 2022-02-18 青岛海尔空调电子有限公司 降膜式蒸发器的换热管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8618A (en) * 1978-01-26 1979-09-25 Wieland-Werke Aktiengesellschaft Y and T-finned tubes and methods and apparatus for their making
JPS59100396A (ja) * 1982-11-30 1984-06-09 Kobe Steel Ltd 凝縮伝熱管
US4549606A (en) * 1982-09-08 1985-10-29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Heat transfer pipe
JPS60142195A (ja) * 1983-12-28 1985-07-27 Hitachi Cable Ltd 内面溝付伝熱管
JPS6189497A (ja) * 1984-10-05 1986-05-07 Hitachi Ltd 伝熱管
US4660630A (en) * 1985-06-12 1987-04-28 Wolverine Tube, Inc. Heat transfer tube having internal ridges, and method of making same
US5010643A (en) * 1988-09-15 1991-04-30 Carrier Corporation High performance heat transfer tube for heat exchanger
US5353865A (en) * 1992-03-30 1994-10-11 General Electric Company Enhanced impingement cooled compon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8184C (zh) 2002-07-24
KR950003786A (ko) 1995-02-17
CN1103481A (zh) 1995-06-07
US6173762B1 (en) 2001-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4557B1 (ko) 유하액막식 증발기용 전열관
KR100310588B1 (ko) 강하 경막형 열교환기 관
CN1228603C (zh) 向下流动的液膜式蒸发器用传热管
ES2354437T3 (es) Tubo de transferencia de calor para suministrar agua caliente.
KR100466773B1 (ko) 흡수식냉동기
KR20080112055A (ko) 차량용 냉각 시스템
JPH07167530A (ja) 吸収器用伝熱管
US5960870A (en) Heat transfer tube for absorber
JP4925597B2 (ja) ヒートパイプ用伝熱管及びヒートパイプ
JP3916114B2 (ja) 吸収式冷凍機及びそれに使用する伝熱管
JP3480514B2 (ja) 流下液膜式蒸発器用伝熱管
JPH11148747A (ja) 吸収式冷凍機の蒸発器用伝熱管
US4440216A (en) Finned heat exchanger tube
CN213546405U (zh) 一种口琴管及动力电池热管理系统
JPH10318691A (ja) 流下液膜式蒸発器用伝熱管
JP3138010B2 (ja) 吸収式冷凍機
JP2012167854A (ja) 流下液膜式蒸発器用伝熱管、及びそれを用いたターボ冷凍機
JP4587545B2 (ja) 吸収器用伝熱管
JP2004301440A (ja) 流下液膜式蒸発器用伝熱管
CN217764600U (zh) 一种热管换热装置以及电转换器装置
KR100332300B1 (ko) 오일냉각장치
JPH11270980A (ja) 蒸発器用伝熱管
JP3992833B2 (ja) 吸収式熱交換器の吸収器用伝熱管
KR20210097467A (ko) 히트 펌프 시스템의 전열관
KR100303113B1 (ko) 냉각제용증발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