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544Y1 - 대물대가 착탈 가능한 실물 화상기 - Google Patents

대물대가 착탈 가능한 실물 화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544Y1
KR0134544Y1 KR2019960002613U KR19960002613U KR0134544Y1 KR 0134544 Y1 KR0134544 Y1 KR 0134544Y1 KR 2019960002613 U KR2019960002613 U KR 2019960002613U KR 19960002613 U KR19960002613 U KR 19960002613U KR 0134544 Y1 KR0134544 Y1 KR 01345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bjective
head portion
imager
real imager
detacha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26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2555U (ko
Inventor
조현우
Original Assignee
이대원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원,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대원
Priority to KR20199600026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544Y1/ko
Publication of KR9700525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25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5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5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8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affording epidiascopic proj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Abstract

실물 화상기에 현미경 기능이 추가시 관측 시료가 안착되는 대물대를 실물 화상기에 용이하게 착탈시켜 사용자의 사용 만족도와 편리함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라이트 박스가 그 내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와, 이 본체의 일측 구석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와 , 이 지지부의 상측부에 다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뿐만 아니라, 그 하단면에는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고체촬상소자 및 줌 렌즈가 내장설치되는 헤드부를 포함한 실물 화상기에 있어서, 상기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의 하방으로 배치되는 안착부에 관측 시료를 안착하여 그 수직대 상에 구비된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헤드부의 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대물대가 더욱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대물대가 착탈 가능한 실물 화상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대물대가 착탈 가능한 실물 화상기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물 화상기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대물대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고,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물 화상기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제4도는 종래의 실물 화상기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 : 대물대 206 : 헤드부
206a : 결합홈 206b : 요홈
402 : 수직대 402b : 돌기부
404 : 안착부 412 : 고정 스크류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고안은 실물 화상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실물 화상기에 현미경 기능이 추가시, 시료가 안착되는 대물대를 필요에 따라 실물 화상기에서 착탈시킬 수 있는 대물대가 착탈 가능한 실물 화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반적으로 실물 화상기(Video Presenter)라 함은, 원고 및 필름 등을 고체촬상소자로 스캔닝(scanning)하여 이를 디스플레이브 즉, 모니터, 비디오, 컴퓨터 등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스캔닝한 화면 자료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도록 하는 광학기기로 알려져 있다.
종래에 이러한 실물 화상기는, 라이트 박스의 상면으로 안착된 상기 원고나 필름을 상기 라이트 박스의 상면으로 배치된 고체촬상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원고나 필름에 대한 화상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그 구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4도는 상기한 종래의 실물 화상기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실물 화상기는, 본체(1)의 상면으로 그 내부에 소정의 광원이 내장된 상기한 라이트 박스(3)를 안착하고 있으며, 상기 본체(1)의 일측부에서 상면으로 연장형성된 수직부(1a)에는 그 중앙부에 지지부(5)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다.
상기 지지부(5)의 상측에는 상기 고체촬상소자 및 줌 렌즈계가 내장설치된 헤드부(7)가 힌지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헤드부(7)의 선단으로는 원고나 필름에 따라 선택되어 지는 절환용 렌즈가 설치된 어댑터(9)가 장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5)는 상기 수직부(1a)상에서 회전됨은 물론, 일 지점에 고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부(1a)의 양측부에는 상기 라이트 박스(3)와는 별도로 광원을 제공할 수 있는 광원부(11)가 각기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본체(1)의 다른 일측부에는 실물 화상기의 조작을 위한 제어패널(13)이 구비되어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실물 화상기는, 상기한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라이트 박스(3)의 상면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원고나 필름이 안착되면, 상기 헤드부(7)에 내장된 고체촬상소자가 상기한 절환용 렌즈 및 줌 렌즈계를 통해 필요한 화상 정보를 인식하여 이를 상기한 디스플레이부에 전송함으로써, 소정의 화상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에서 상기 라이트 박스(3)나 상기 광원부(11)에서는 상기와 같은 실물 화상기의 작용시, 이에 필요한 소정의 광원을 제공하게 되며, 상기 어댑터(9)에 설치된 공학계 렌즈는 상기 라이트 박스(3)의 상면으로 배치되는 자료가 원고나 필름인가에 따라 교환설치되게 된다.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실물 화상기는, 단지 사용자가 원하는 자료를 촬영하여 이를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기능만을 수행하고 있어 그 기능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단점에 비추어 사용자의 욕구는 날로 다양해지고 있는 바, 이에, 종래의 실물 화상기는 사용자의 욕구에 못미치게 되어 그 사용 만족도를 떨어뜨리고 있는 실정이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기능에 현미경 기능이 추가되어 사용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미경 기능으로 사용시 관측 시료가 안착되는 대물대를 실물 화상기에 자체에 착탈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써, 그 사용상의 편리함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실물 화상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라이트 박스가 그 내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와, 이 본체의 일측 구석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와, 이 지지부의 상측부에 다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뿐만 아니라, 그 하단면에는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고체촬상소자 및 줌 렌즈가 내장설치되는 헤드부를 포함한 실물 화상기에 있어서,
상기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의 하방으로 배치되는 안착부에 관측 시료를 안착하여 그 수직대 상에 구비된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헤드부의 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대물대가 더욱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대물대가 착탈 가능한 실물 화상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수직대의 상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부에 형성된 결합홈에 나사결합되는 고정 스크류로 구비되어 진다.
아울러, 상기 수직대 상에는 상기 고정수단을 중심으로 그 상ㆍ하부위에 상기 대물대의 고정위치 결정수단이 더욱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고정위치 결정수단은, 상기 수직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에 다수로 형성된 요홈에 각기 삽입 결합되는 돌기부로 이루어지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물 화상기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로서, 도면 부호 20은 실물 화상기 전체를 가리키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물 화상기(20)는, 본체(202)의 내측으로 라이트 박스(204)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는 바, 이때, 라이트 박스(204)는 상기 본체(202)에 장착시 그 상면을 상기 본체(202)의 상면과 수평을 이루게 된다.
한편, 그 내부에 고체촬상소자 및 줌 렌즈계가 설치되고, 상기 라이트 박스(204)와는 별도의 광원부가 설치되는 헤드부(206)는, 상기 본체(202)의 일측 구석부에 설치되는 지지부(208)의 상측부에 장착되고 있는데, 이 헤드부(206)는 각도 조정수단(210)의 의해 다각도로 수평 및 수직 방향의 각도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헤드부(206)의 선단에는 상기 라이트 박스(204)의 상면으로 안착되는 자료의 종류(원고 또는 필름)에 따라 선택되어 지는 절환용 렌즈가 어댑터(212)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상기에서 상기 지지부(208)는, 상기 본체(202) 상에서 다각도로 회전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상기 본체(202)와 상기 지지부(208) 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회전수단(214)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실물 화상기(20)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모니터(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음, 상기 라이트 박스(204)의 상면으로 원하는 자료가 안착되면, 종래와 같은 작용으로 상기 자료에 대한 화상 정보를 상기 모니터(30)를 통해 알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은 상기한 실물 화상기의 통상적인 기능이외도, 현미경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있는 바, 이는 상기 헤드부(206)의 하면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216)에 의해 실현될 수 있게 된다.
이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212)에는, 현미경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현미경 배율 렌즈계, 미러박스, 고배율 렌즈계, 광 전달수단 등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실물 화상기(20)가 상기 현미경 광학계 유니트(21)를 통해 현기경의 기능을 실행시에는, 상기 어댑터(212)에 장착된 절환용 렌즈를 빼내고 이대신에 상기 어댑터(212)에 상기 현미경 광학계 유니트(21)를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실물 화상기(20)가 현미경 기능을 수행하게 되면, 관측 시료를 안착시킬 수 있는 대물대가 필요가 되는 바, 이 대물대는 본 고안에 있어 다음과 같이 구비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관계되는 대물대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로서, 도면부호 40은 대물대 전체를 가리키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물대(40)는, 수평대(400) 상에 수직대(402)를 분리 가능하게 설치하고 있으며, 이 수직대(402) 상에는 시료가 안착되는 안착대(404)가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테이블(406)이 연결 설치되어 있다.
상기에서 상기 테이블(406)는, 사용자가 테이블(406)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수직대(402) 상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이동부(408)에 장착된 조정핸들(410)를 돌리게 되면, 상기 수직대(402)를 따라 상ㆍ하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안착대(404)는 사용자가 상기 테이블(406)의 측면에 설치된 조정핸들(410)를 돌려 조정하게 되면, 상기 테이블(406) 상에서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상기 대물대(40)를 상기 헤드부(206) 상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상기 수직대(402) 상에 설치되는 고정수단에 의해 이루어 질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고정수단을 상기 수직대(402)의 상측부에 형성된 삽입공(402a)에 삽입 설치되는 고정 스크류(412)로 구비하게 되는 바, 이 고정 스크류(412)는 상기 수직대(402)와 분리되지 않도록 상기 삽입공(402a)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고정 스크류(412)는 제3도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상기 헤드부(206)의 후면으로 상기 수직대(402)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부(206)에 형성된 결합홈(206a)에 나사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대물대(40)는, 상기 고정 스크류(412)에 의한 상기 수직대(402)의 고정으로 상기 실물 화상기(20)에 고정될 수 있게 되며, 이때, 상기 수평대(400)는 상기 라이트 박스(204)의 상면으로 배치된 상태이고, 상기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216)의 하방으로는 상기 안착대(404)가 자리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로 상기 대물대(40)가 상기 실물 화상기(20)에 장착되면, 사용자는 상기 안착대(404)상에 안착된 관료 시료를 실물 화상기(20)의 작동시, 상기 현미경 광학계 유니트(216) 및 상기 헤드부(206)에 내장된 줌 렌즈 및 고체촬상소자의 작용으로 상기한 모니터(300를 통해 현미경 배율로서 관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대물대(40)는 본 고안에 따라 상기와 같이 실물 화상기(20)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는 반면, 상기 실물 화상기(20)에서 분리되어서도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이때에는, 상기 대물대(40)와 실물 화상기(20)가 상호 분리되어야 하는데, 이는 상기 헤드부(206)에 나사결합된 상기 스크류(412)를 해제하게 되면, 상기 수직대(402)가 상기 헤드부(206)에서 이탈됨에 따라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은 상기 수직대(402) 상에 사용자가 상기 대물대(40)를 상기 헤드부(206)에 고정시, 그 고정위치를 결정할 수 있는 고정위치 결정수단을 더욱 구비하게 되는 바, 본 실시예에서 이 고정위치 결정수단은 제2도를 통해 알 수 있는 고정수단으로 구비되는 상기 고정 스크류(412)을 중심으로 해서 상ㆍ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양 돌기부(402b)로 구비하게 된다.
이 각각의 돌기부(402b)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헤드부(206)에 상기 양 돌기부(402b)의 위치에 대응하여 마련되는 요홈(206b)에 각기 삽입결합하게 된다.
즉, 사용자는 상기 대물대(40)를 상기 헤드부(206)에 장착시, 우선 상기 양 돌기부(402b)를 상기 양 요홈(206b)에 삽입하여 상기 대물대(40)의 고정위치를 잡은 다음,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스크류(412)를 상기 결합홈(206a)에 나사결합시키게 되면, 상기 대물대(40)를 견고한 상태로 상기 실물 화상기(20)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는 상기 고정수단을 상기한 바와 같이 고정 스크류(412)로 구비하고 있으나, 이는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수직대(402)를 상기 헤드부(206) 후면에 고정시킬 수 있는 다른 별도의 부재로도 구비될 수 있다.
[고안의 효과]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대물대가 착탈 가능한 실물 화상기는, 실물 화상기에 현미경의 기능이 추가되어 사양이 다양해짐에 따라 사용자의 사용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무엇보다도 현미경 기능으로 실물 화상기를 사용시 관측 시료가 안착되는 대물대를 용이하게 실물 화상기에 착탈함으로써, 그 사용의 편리함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을 지니게 된다.

Claims (4)

  1. 라이트 박스가 그 내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본체와; 이 본체의 일측 구석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부와; 이 지지부의 상측부에 다각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될 뿐만 아니라, 그 하단면에는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내부에는 고체촬상소자 및 줌 렌즈가 내장설치되는 헤드부를 포함한 실물 화상기에 있어서, 상기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216)의 하방으로 배치되는 안착부(404)에 관측 시료가 안착하여, 그 수직대(402) 상에 구비된 고정수단에 의해 상기 헤드부(206)의 후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대물대(40)가 더욱 포함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대가 착탈 가능한 실물 화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수직대(402)의 상측부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부(206)에 형성된 결합홈(206a)에 나사결합되는 고정 스크류(412)로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대가 착탈 가능한 실물 화상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대(402) 상에는 상기 고정수단을 중심으로 그 상·하부위에 상기 대물대(40)의 고정위치 결정수단이 더욱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대가 착탈 가능한 실물 화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위치 결정수단은, 상기 수직대(402)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헤드부(206)에 다수로 형성된 요홈(206b)에 각기 삽입 결합되는 돌기부(402b)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대물대가 착탈 가능한 실물 화상기.
KR2019960002613U 1996-02-21 1996-02-21 대물대가 착탈 가능한 실물 화상기 KR01345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2613U KR0134544Y1 (ko) 1996-02-21 1996-02-21 대물대가 착탈 가능한 실물 화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2613U KR0134544Y1 (ko) 1996-02-21 1996-02-21 대물대가 착탈 가능한 실물 화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2555U KR970052555U (ko) 1997-09-08
KR0134544Y1 true KR0134544Y1 (ko) 1999-04-15

Family

ID=19450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2613U KR0134544Y1 (ko) 1996-02-21 1996-02-21 대물대가 착탈 가능한 실물 화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54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2555U (ko) 1997-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80205A (en) Fingerprint imaging apparatus with auxiliary lens
US5194955A (en) Video telephone
US20070188603A1 (en) Stereoscopic display cart and system
JP4253381B2 (ja) 顕微鏡用電子カメラ
JP4912546B2 (ja) 顕微鏡
KR0134544Y1 (ko) 대물대가 착탈 가능한 실물 화상기
JPH09318905A (ja) 頭部装着型表示装置
US6552861B1 (en) Optical guide fixture
JP2003149560A (ja) 双眼鏡装置
CA2027398C (en) Magnifying display apparatus
KR200154775Y1 (ko) 실물 화상기
KR200298202Y1 (ko) 접안렌즈용 헤드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현미경
KR200298201Y1 (ko)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
JP2002174772A (ja) 倒立型顕微鏡
KR100252679B1 (ko) 회전가능한촬영부를갖는카메라
KR200321785Y1 (ko) 실체 영상 현미경
JP3427104B2 (ja) 顕微鏡装置
JPH09205626A (ja) 対面型撮像表示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ビデオカメラ
JPH08336066A (ja) 資料提示装置
JPH07122690B2 (ja) 接写装置
JPH0734408Y2 (ja) 学習用のズーム観察鏡
JP2003015216A (ja) カメラ付きプロジェクタ
JP3617050B2 (ja) 電子ビューア
JP3668300B2 (ja) 手術用顕微鏡
JP2007256810A (ja) 顕微鏡システム及び表示部取付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9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