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202Y1 - 접안렌즈용 헤드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현미경 - Google Patents

접안렌즈용 헤드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현미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202Y1
KR200298202Y1 KR2020020026819U KR20020026819U KR200298202Y1 KR 200298202 Y1 KR200298202 Y1 KR 200298202Y1 KR 2020020026819 U KR2020020026819 U KR 2020020026819U KR 20020026819 U KR20020026819 U KR 20020026819U KR 200298202 Y1 KR200298202 Y1 KR 2002982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piece
housing
microscope
objective lens
optic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68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택
Original Assignee
(주)동원 EnC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원 EnC filed Critical (주)동원 EnC
Priority to KR20200200268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20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2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202Y1/ko

Links

Landscapes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에 관한 것이며,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을 소형화하고, 이런 현미경의 하우징에 접안렌즈용 헤드부를 탈부착하여 별도의 영상출력장치 및 관찰자의 눈으로 관찰대상의 영상을 볼 수 있는 접안렌즈용 헤드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현미경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시편의 상부에 놓여진 대물렌즈에서 확대된 관찰대상의 영상을 관찰자가 접안렌즈용 헤드부(160)를 통해 직접 보거나 디지털 영상수단에 의해 화면으로 보는 현미경은 대물렌즈를 내장하며 외관형상을 이루는 하우징(101)에 빛을 주사하는 광원부(110)와, 주사된 광축을 선택적으로 하우징(101)이 접하는 지면에 수평하게 변경하거나 상부로 수직하게 전달하는 반사체를 내장하며, 디지털 영상수단은 반사체에서 변경된 광축을 따라 전달된 관찰대상의 영상을 촬영하거나 외부 화면으로 볼 수 있도록 시그널로 변환하고, 접안렌즈용 헤드부(160)는 반사체에서 상부로 수직으로 전달된 광축이 지나는 하우징(101)의 위치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접안렌즈용 헤드부(160)에 형성된 결합경통이 하우징(101)에 형성된 결합외통에 결합된다.

Description

접안렌즈용 헤드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현미경{A microscope with an eyepiece on and off}
본 고안은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에 관한 것이며, 특히,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을 소형화하고, 이런 현미경의 하우징에 접안렌즈용 헤드부를 탈부착하여 별도의 영상출력장치 및 관찰자의 눈으로 관찰대상의 영상을 볼 수 있는 접안렌즈용 헤드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현미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현미경은 과학분야에서 연구와 학습의 목적으로 사용되는 실험기구로서, 인체의 눈으로는 직접 관찰할 수 없는 대상을 확대하여 보여주는 장치이다. 이런 현미경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관찰자가 현미경의 렌즈에 직접 접촉해야 때문에, 관찰자의 눈이 쉽게 피로하거나 관찰자가 관찰대상을 촬영하여 기록으로 남기는 것이 어려웠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종래에는 디지털 카메라와 같은 장치를 통상의 현미경에 설치하여, 관찰대상의 영상을 촬영하거나 화면을 통해 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런 디지털 영상수단이 설치된 현미경에 관한 기술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출원 제 1999-0010158호에 공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현미경에 디지털 영상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털 영상수단이 설치된 현미경은 현미경의 몸체를 지지하는 받침대(20)를 구비하고, 이런 받침대(20)에는 광원램프(10)가 내장되거나 부착된다. 광원램프(10)는 관찰대상이 용이하게 관찰되도록 빛을 제공하여 관찰대상의 밝기를 조절하는 것으로서, 광원램프(10)에서 주사되는 광축이 관찰대상에 수직되게 설치된다. 또한, 종래기술의 현미경은 관찰대상이 놓여진 시편을 받쳐주는 시편 받침대(30)와, 관찰대상의 영상을 직접 확대하는 대물렌즈(40)를 구비한다. 대물렌즈(40)에는 확대배율이 다른 다수개의 렌즈가 각각 설치된 회전식 대물렌즈가 이용되고, 이런 회전식 대물렌즈에서 각각의 렌즈는 관찰대상의 영상을 확대하는 경우에 광원램프(10)에서 주사된 광축의 일직선상에 위치한다.
그리고, 현미경의 상부에 위치한 몸체(50)에는 회전식 대물렌즈(40)를 고정하며 회전시키는 회전판(41)이 부착되고, 몸체(50)에서 상부로 굴곡지게 연장된 측면에는 관찰자의 눈이 직접 접촉하는 접안렌즈(60)가 결합된다. 이렇게 접안렌즈(60)는 대물렌즈(40)의 중심축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아니하기 때문에, 현미경의 몸체(50)에는 대물렌즈(40)에서 확대된 관찰대상의 영상이 접안렌즈(60)에 전달되도록 미러(Mirror) 또는 프리즘(도시 생략)이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대물렌즈(40)의 중심축이 지나는 몸체(50)의 상부면에는 경통(51)이 형성되어 있고, 이런 경통(51)에는 디지털 카메라(70)가 어댑터(71)에 의해 결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현미경은 다음과 같은 원리에 의해 작동된다. 먼저, 시편 받침대(30)에 시편을 올려 놓고 광원램프(10)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시편 받침대(30)의 위치를 조절하여, 시편에 놓여진 관찰대상에 대한 대물렌즈(40)의 초점을 조정한다. 그러면, 대물렌즈(40)에서는 관찰대상의 영상을 확대하여 프리즘을 통해 그 영상을 접안렌즈(60)에 보내주고, 관찰자는 그 영상을 직접 관찰하게 된다.
또한, 관찰자는 회전판(41)을 회전시켜 관찰대상의 영상에 대한 대물렌즈(40)의 확대배율을 저배율의 렌즈에서 고배율의 렌즈로 조정하면서 관찰한다.
또한, 관찰자가 관찰대상의 영상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관찰대상의 영상이 대물렌즈(40)에서 디지털 카메라(70)로 보내져 그 영상이 촬영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현미경은 광원램프(10)에서 제공하는 광축선상에 광원램프(10), 시편 받침대(30), 대물렌즈(40) 및 디지털 카메라(70)가 위치하기 때문에, 현미경의 부피가 커지고 그 전체 높이도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이로 인해, 현미경의 무게 중심이 높아져, 고가인 현미경이 쓰러져 파손되는 일이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현미경 사용자는 자체 높이가 높은 현미경을 운반하는 경우에 별도의 큰 케이스에 넣거나, 양 손으로 잡고 조심해서 걸어야 하기 때문에, 현미경을 운반하기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현미경 이외에도 여러 종류의 현미경이 시중에 유통되고 있으나, 소형이면서 필요에 따라 접안렌즈용 헤드부를 탈부착하는 구조의 현미경은 없는 상태이다.
본 고안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공된 것으로서,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을 소형화하고, 이런 현미경의 하우징에 접안렌즈용 헤드부를 탈부착하여 별도의 영상출력장치 및 관찰자의 눈으로 관찰대상의 영상을 볼 수 있는 접안렌즈용 헤드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현미경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현미경에 디지털 영상수단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의 하우징에 접안렌즈용 헤드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접안렌즈용 헤드부가 부착된 현미경의 각 구성요소들의 상태를 일부 투영하여 나타낸 정면 단면도 및 측면 단면도이고,
도 3b 및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접안렌즈용 헤드부가 현미경의 하우징에서 분리된 상태를 일부 투영하여 나타낸 정면 단면도 및 측면 단면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현미경의 본체에 대물렌즈부가 탈부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현미경을 나타낸 평면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1 : 하우징 102 : 슬라이딩 도어
110 : 광원부 111 : 광원램프
130 : 시편 받침대 140 : 대물렌즈부
143 : 손잡이부 145 : 결합홈
150 : 제 2반사미러 151 : 제 1경통
160 : 접안렌즈용 헤드부 167 : 힌지부
170 : CCD 카메라 181 ~ 185 : 광축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시편의 상부에 놓여진 대물렌즈에서 확대된 관찰대상의 영상을 관찰자가 접안렌즈용 헤드부를 통해 직접 관찰자의 눈으로 보거나 디지털 영상수단에 의해 화면으로 보는 현미경은 상기 대물렌즈를 내장하며 외관형상을 이루는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이 접하는 지면에 수평하게 빛을 주사하는 광원부와, 주사된 상기 빛의 광축을 상부로 직각되게 변경하는 제 1반사체와, 변경된 상기 광축을 선택적으로 상기 지면에 수평하게 직각으로 다시 변경하거나 상부로 수직하게 전달하는 제 2반사체와, 상기 제 2반사체에서 직각되게 변경된 광축을 상기 지면에 수평하게 직각으로 또 다시 변경하는 제 3반사체를 내장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 영상수단은 상기 제 3반사체에서 변경된 광축을 따라 전달된 상기 관찰대상의 영상을 촬영하거나 외부 화면으로 볼 수 있도록 시그널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접안렌즈용 헤드부는 상기 제 2반사체에서 상부로 수직으로 전달된 광축이 지나는 상기 하우징의 위치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접안렌즈용 헤드부에 형성된 결합경통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결합외통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 2반사체의 어느 한 모서리에는 힌지부가 일체형으로 결합되고, 상기 힌지부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어 그 단부에 상기 관찰자가 상기 힌지부를 회전 조작하는 노브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대물렌즈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본체에는 결합홈이 형성된 결합편이 고정되고, 상기 대물렌즈에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 결합되는 고정편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의 내측면에는 돌기가 융기되고, 상기 고정편의 외측면에는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대물렌즈가 탈부착되는 위치의 상기 하우징에는 1쌍의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에는 그 안내홈을 따라 상하 이동하여 상기 대물렌즈를 노출시키거나 보호하는 도어가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아래에서, 본 고안에 따른 접안렌즈용 헤드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현미경의 양호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2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의 하우징에 접안렌즈용 헤드부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a 및 도 4a는 도 2에 도시된 접안렌즈용 헤드부가 부착된 현미경의 각 구성요소들의 상태를 일부 투영하여 나타낸 정면 단면도 및 측면 단면도이고, 도 3b 및 도 4b는 도 2에 도시된 접안렌즈용 헤드부가 현미경의 하우징에서 분리된 상태를 일부 투영하여 나타낸정면 단면도 및 측면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접안렌즈용 헤드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현미경(100)은 현미경의 하우징(101)에 현미경의 본체(105)가 내장되어 있다. 이런 하우징(101)에는 현미경의 접안렌즈용 헤드부(160)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대물렌즈부(140)의 탈부착에 이용되는 슬라이딩 도어(102)가 형성된다.
그리고, 접안렌즈용 헤드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현미경(100)의 본체(105)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현미경 본체(105)의 광원램프(111)는 전원스위치(103)의 조작으로 작동된다. 광원램프(111)는 한 예로서, 필라멘트(filament)전구가 사용되고 빛을 주사하는 역할을 한다. 광원램프(111)에서는 빛이 방사형으로 주사되는데, 이런 빛은 집광렌즈(118)에서 하나의 광축(181)으로 모아져 제 1반사미러(121)에 도달한다. 그리고, 상기의 광축(181)은 미세하게 조금씩 그 위치가 조정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광원램프(111)가 끼워지는 램프소켓에 램프 조정기(113)가 순차적으로 결합된다. 즉, 이런 램프 조정기(113)가 좌우로 회전을 하게 되면, 램프 조정기(113)에 접촉하는 볼플런저(ball flunger)가 그 회전에 따라 움직인다. 그러면, 볼플런저에 연동하는 램프소켓의 위치가 조정되어 광원램프(111)의 광축(181)을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광축(181)은 제 1반사미러(121)에서 광축의 진행방향이 지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변경되어 콘덴서 렌즈(122)에 전달된다. 이런 콘덴서 렌즈(122)의 상부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서 시편 받침대(130)가 변경된 광축(182)선상에 위치한다. 그리고, 시편 받침대(130)는 현미경 본체(105)에 부착되어 있는 초점조절 레버(131)에 결합되고, 이런 초점조절 레버(131)는 래크와 피니언 방식으로 시편 받침대(130)를 움직여서 관찰대상이 대물렌즈부(140)의 초점에 위치하도록 조정한다. 또한, 시편 받침대(130)의 상부에는 관찰대상이 놓여진 시편이 올려진다(도 3a 및 도 3b 참조).
도 5a 및 도 5b는 현미경의 본체에 대물렌즈부가 탈부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편 받침대(130)의 시편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한 대물렌즈부(140)는 관찰대상의 영상을 확대하여 제 2반사미러(150)에 전달한다. 이런 대물렌즈부(140)는 본체(105)의 상부 프레임(106)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를 위해, 대물렌즈부(140)는 관찰대상의 영상을 확대하는 렌즈부(141)와, 이런 렌즈부(141)를 고정하며 상부 프레임(106)에 결합되는 고정편(142)과, 관찰자가 대물렌즈부(140)를 직접 밀고 당길 수 있도록 고정편(142)에 고정된 손잡이부(143)로 구성된다. 그리고, 고정편(142)이 상부 프레임(106)에 결합되기 위해서는 직육면체로 된 고정편(142)의 측면에 홈(147)이 형성되고, 상부 프레임(106)에 부착된 결합편(144)에는 결합홈(145)이 형성되어 그 내측면에 돌기(146)가 융기돼야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대물렌즈부(140)에는 일반적으로 세 개 종류의 렌즈(×4배율, ×10배율, ×40배율)부가 사용된다. 종래기술의 현미경에는 그 배율이 다른 세 개의 렌즈들을 회전판에 각각 부착시켜 사용했지만, 본 고안에서는 관찰자가 원하는 배율의 대물렌즈부(140)를 선택하여 사용한다. 그래서, 관찰자는 대물렌즈부(140)의 손잡이부(143)를 잡아 당겨서 대물렌즈부(140)를 분리시키고, 그 다음에 다른 대물렌즈부(140)의 손잡이부(143)를 잡아 상부 프레임(106)의 결합홈(145)에 대물렌즈부(140)를 삽입시킨다. 그러면, 고정편(142)의 홈(147)에 결합홈(145)의 돌기(146)가 맞물리면서 대물렌즈부(140)는 상부 프레임(106)에 고정된다.
그리고, 관찰자가 대물렌즈부(140)를 교체한 다음에는 하우징(101)에 형성된 슬라이딩 도어(102)를 닫는다. 슬라이딩 도어(102)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대물렌즈부(140)를 보호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대물렌즈부(140)가 탈부착되는 위치의 하우징(101)에는 1쌍의 안내홈이 형성되고, 이런 안내홈을 따라 슬라이딩 도어(102)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슬라이딩 도어(102)가 상부로 미끄러져 올라간 경우에는 대물렌즈부(140)가 외부에 노출되고, 슬라이딩 도어(102)가 안내홈을 따라 하부로 내려온 경우에는 대물렌즈부(140)가 보이지 않게 된다(도 2참조).
도 6은 도 2에 도시된 현미경을 나타낸 평면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b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물렌즈부(140)에서 전달된 관찰대상의 영상은 그 광축(182)의 진행방향이 제 2반사미러(150)에서 다시 직각으로 변경되어 제 3반사미러(152)에 전달되거나, 그 광축(182)의 진행방향이 수직으로 진행하여 접안렌즈용 헤드부(160)에 전달된다.
접안렌즈용 헤드부(160)는 대물렌즈부(140)에 의해 확대된 관찰대상의 영상을 2차적으로 더욱 확대하여 최종의 영상을 형성해 주는 것이다. 이런 접안렌즈용 헤드부(160)는 대물렌즈부(140)에서 전달된 관찰대상의 영상에 대한 위상 변화를 주지 않고 그 광축의 진행방향만을 변경시키는 프리즘(164)과, 관찰대상의 영상을 확대하는 접안렌즈부(165)와, 이런 프리즘(164)과 접안렌즈부(165)를 내장하는 경통(166)으로 구성된다. 또한, 접안렌즈용 헤드부(160)는 하우징(101)에 결합되기 위해 프리즘(164)의 하부에서 경통(166)에 부착된 결합경통(161)을 포함한다. 이런 결합경통(161)은 광축이 지나는 하우징(101)의 상부면에 중공형으로 형성된 결합외통(162)에 끼워 맞춰 결합된다. 이를 위해, 결합경통(161)의 외경과 결합외통(162)의 내경은 미세한 오차범위로 가공되어 상호 끼워 맞춰진다.
그리고, 대물렌즈부(140)에서 전달된 관찰대상의 영상은 제 3반사미러(152)에 전달될 수도 있는데, 이는 힌지부(167)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진다. 힌지부(167)는 광축(182)의 진행방향에 대해 45°기울어져 광축(182)의 진행방향을 다시 변경하는 직사각형의 제 2반사미러(150)의 하단 모서리에 일체형으로 결합된다. 더욱 정확하게 힌지부(167)는 제 2반사미러(150)의 하단 모서리와 제 2반사미러(150)에 접하는 사각 중공형 단면의 제 1경통(151)의 하단 모서리 사이에 결합된다. 그리고, 힌지부(167)의 어느 일단은 하우징(101)의 외부로 길게 연장되고, 그 끝단에는 관찰자가 좌우로 회전시킬 수 있도록 노브(knob, 168)가 형성된다. 즉, 제 2반사미러(150)가 제 1경통(151)에 접하는 경우에는 관찰대상의 영상이 그 광축(182)의 진행방향을 변경하여 제 3반사미러(152)에 전달되고, 힌지부(167)의 조작으로 제 2반사미러(150)를 제 1경통(151)의 외측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에는관찰대상의 영상이 수직으로 진행하여 프리즘(164)에 전달된다. 그러면, 프리즘(164)에서는 관찰대상의 영상이 그 광축(183)을 따라 접안렌즈부(165)에 전달된다(도 3a 및 도 4a 참조).
그리고, 제 1경통(151)을 지나 제 3반사미러(152)에 전달된 영상은 그 광축(184)의 진행방향이 수직으로 지면에 수평하게 변경된다. 이를 위해, 제 3반사미러(152)는 제 1경통(151)을 지나는 광축(184)에 45°기울어져 결합된다.
또한, 전달된 관찰대상의 영상은 변경된 광축(185)의 진행방향을 따라 제 3반사미러(152)에서 디지털 영상수단인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170)에 전달되어 촬상된다.
그리고, CCD 카메라(170)는 연결선을 이용해 상부 프레임(106)에 결합된 USB(Universal Serial Bus) 보드(172)와, 본체(105)의 하부에 결합된 시그널 분배기(173)에 결합된다. USB 보드(172)는 CCD 카메라(170)에 촬상된 화면의 시그널을 편집하여 시그널 분배기(173)의 USB 단자에 보내준다. 이러한 CCD 카메라(170)와 USB 보드(172) 같은 디지털 영상수단은 현미경의 본체(105)에 내장되고, 시그널 분배기(173)의 출력단자(174)가 하우징(101)에 노출된다. 이런 시그널 분배기(173)의 출력단자(174)에는 컴퓨터를 위한 USB 단자, TV를 위한 TV단자, 고해상 모니터를 위한 S단자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도 4a, 도 4b, 도 6참조).
그리고, 하우징(101)의 하부에는 전원스위치(103)의 조작에 의해 광원램프(11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175)가 설치된다. 또한, 전원공급장치(175)는 연결선을 통해 디지털 영상수단에서 필요한 전원도 공급한다.
아래에서는 접안렌즈용 헤드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현미경(100)의 작동관계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시편 받침대(130)의 상면에 관찰대상이 놓여진 시편을 올려 놓는다. 그런 다음에는 전원스위치(103)를 조작하여 광원램프(111)를 작동시킨다. 작동된 광원램프(111)에서는 빛이 주사되고, 집광렌즈(118)에서 빛이 모여져 광축(181)을 이루게 된다. 이런 광축(181)은 제 1반사미러(121)에서 지면에 수직하게 그 진행방향을 변경하여 콘덴서 렌즈(122)에 도달한다. 이렇게 전달된 빛은 관찰대상을 밝히게 되고, 변경된 광축(182)을 따라 관찰대상의 영상이 전달되게 된다.
그리고, 대물렌즈부(140)에서 확대되어 전달된 관찰대상의 영상은 그 광축(182)의 진행방향이 제 2반사미러(150)에서 다시 직각으로 변경되어 제 3반사미러(152)에 전달되거나, 그 광축(182)의 진행방향이 수직으로 진행하여 접안렌즈용 헤드부(160)에 전달된다.
더 자세하게는 힌지부(167)를 회전시켜 관찰대상의 영상이 접안렌즈용 헤드부(160)에 전달되는 경우에는 그 광축(182)이 프리즘(164)에서 굴곡되고, 접안렌즈부(165)에서 그 영상은 2차적으로 확대되어 관찰자가 보게 된다. 또한, 힌지부(167)를 조작하여 관찰대상의 영상이 제 2반사미러(150)에 전달되는 경우에는 그 광축(182)이 제 2반사미러(150)에서 광원램프(111)에서 주사된 광축(181)에 수평하게 변경되어 제 3반사미러(152)로 진행하고, 제 3반사미러(152)에서 그 광축(184)은 다시 직각되게 변경되어 CCD 카메라(170)에 도달한다.
그리고, 광축(182, 184, 185)의 진행방향을 따라 전달된 관찰대상의 영상은CCD 카메라(170)에 촬상되어 시그널로 변환된다. 이런 시그널은 시그널 분배기(173)의 출력단자(174)를 통해 외부 모니터 또는 TV에 전달되어 관찰대상의 영상이 보여진다.
그리고, 관찰대상에 대한 대물렌즈부(140)의 초점이 불일치하여 그 영상이 뚜렷하지 않은 경우에는 초점조절 레버(131)를 조작하여 시편 받침대(130)의 위치를 조정한다.
또한, 하우징(101)의 슬라이딩 도어(102)를 개방한 상태에서 관찰자는 저배율의 대물렌즈부에서 고배율의 대물렌즈부로 탈부착시키면서 관찰대상의 영상을 관찰한다.
앞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접안렌즈용 헤드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현미경은 USB 보드와 CCD 카메라를 하우징에 내장하고, 현미경의 구성요소를 광축의 일직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그 광축의 진행방향을 변경하기 때문에, 종래기술의 현미경에 비해 그 높이가 줄어들고 그 형상이 소형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관찰자가 접안렌즈용 헤드부를 탈부착시켜 디지털 영상수단 뿐만 아니라 직접 눈으로 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접안렌즈용 헤드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현미경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고안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누구나 본 고안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Claims (4)

  1. 시편의 상부에 놓여진 대물렌즈에서 확대된 관찰대상의 영상을 관찰자가 접안렌즈용 헤드부를 통해 직접 관찰자의 눈으로 보거나 디지털 영상수단에 의해 화면으로 보는 현미경에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를 내장하며 외관형상을 이루는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이 접하는 지면에 수평하게 빛을 주사하는 광원부와, 주사된 상기 빛의 광축을 상부로 직각되게 변경하는 제 1반사체와, 변경된 상기 광축을 선택적으로 상기 지면에 수평하게 직각으로 다시 변경하거나 상부로 수직하게 전달하는 제 2반사체와, 상기 제 2반사체에서 직각되게 변경된 광축을 상기 지면에 수평하게 직각으로 또 다시 변경하는 제 3반사체를 내장하며,
    상기 디지털 영상수단은 상기 제 3반사체에서 변경된 광축을 따라 전달된 상기 관찰대상의 영상을 촬영하거나 외부 화면으로 볼 수 있도록 시그널로 변환하여 출력하고,
    상기 접안렌즈용 헤드부는 상기 제 2반사체에서 상부로 수직으로 전달된 광축이 지나는 상기 하우징의 위치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상기 접안렌즈용 헤드부에 형성된 결합경통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결합외통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안렌즈용 헤드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현미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반사체의 어느 한 모서리에는 힌지부가 일체형으로 결합되고, 상기 힌지부의 일단은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연장되어 그 단부에 상기 관찰자가 상기 힌지부를 회전 조작하는 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안렌즈용 헤드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현미경.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가 상기 하우징에 내장된 본체에는 결합홈이 형성된 결합편이 고정되고, 상기 대물렌즈에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결합되는 고정편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의 내측면에는 돌기가 융기되고, 상기 고정편의 외측면에는 상기 돌기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안렌즈용 헤드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현미경.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가 탈부착되는 위치의 상기 하우징에는 1쌍의 안내홈이 형성되고, 상기 안내홈에는 그 안내홈을 따라 상하 이동하여 상기 대물렌즈를 노출시키거나 보호하는 도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안렌즈용 헤드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현미경.
KR2020020026819U 2002-09-07 2002-09-07 접안렌즈용 헤드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현미경 KR2002982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819U KR200298202Y1 (ko) 2002-09-07 2002-09-07 접안렌즈용 헤드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현미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6819U KR200298202Y1 (ko) 2002-09-07 2002-09-07 접안렌즈용 헤드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현미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202Y1 true KR200298202Y1 (ko) 2002-12-16

Family

ID=73128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6819U KR200298202Y1 (ko) 2002-09-07 2002-09-07 접안렌즈용 헤드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현미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202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96612B2 (ja) カメラホルダと光学系アダプタとを備えたカメラアダプタ
US8253787B2 (en) Magnifying attachment for a camera
US20050264876A1 (en) Microscope for operation
JP2008152251A5 (ko)
US6853483B2 (en) Microscope
US7896494B2 (en) Fundus camera
KR200298202Y1 (ko) 접안렌즈용 헤드부의 탈부착이 가능한 현미경
US6166857A (en) Optical guide fixture
KR200298201Y1 (ko)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
JP2009216825A (ja) 顕微鏡システム
JP6978592B2 (ja) 広領域の共焦点及び多光子顕微鏡で用いる動的フォーカス・ズームシステム
KR200321786Y1 (ko) 생물 영상 현미경
JP3558310B2 (ja) 撮像装置
JPH11298782A (ja) デンタルビデオマイクロスコープ
GB2217471A (en) Combination telescopes and microscopes
KR200321785Y1 (ko) 실체 영상 현미경
JP4300601B2 (ja) 双眼顕微鏡と双眼顕微鏡による撮像方法
JP2001264641A (ja) 倒立顕微鏡
KR0134544Y1 (ko) 대물대가 착탈 가능한 실물 화상기
WO2023120379A1 (ja) 医療用撮像器具
JP2009133919A (ja) 一眼レフカメラ用交換レンズ鏡筒
US6909541B2 (en) Device capable of exchanging image projection direction
EP1435537A1 (en) Optical device having eyepiece lens turret and tilting mirror
JP2006072187A (ja) 照準器調節具、調節具付照準器及び照準器付望遠撮像装置
CN116211240A (zh) 一体式分光器和裂隙灯显微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