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4775Y1 - 실물 화상기 - Google Patents

실물 화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4775Y1
KR200154775Y1 KR2019960002611U KR19960002611U KR200154775Y1 KR 200154775 Y1 KR200154775 Y1 KR 200154775Y1 KR 2019960002611 U KR2019960002611 U KR 2019960002611U KR 19960002611 U KR19960002611 U KR 19960002611U KR 200154775 Y1 KR200154775 Y1 KR 2001547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astening
lens system
microscope
z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0261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0738U (ko
Inventor
김준호
Original Assignee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무성,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무성
Priority to KR201996000261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4775Y1/ko
Priority to SG1997000446A priority patent/SG70586A1/en
Priority to US08/804,192 priority patent/US5929910A/en
Priority to CN97110028.4A priority patent/CN1109920C/zh
Priority to DE19707032A priority patent/DE19707032A1/de
Priority to JP9037733A priority patent/JPH104508A/ja
Priority to TW086102799A priority patent/TW393635B/zh
Publication of KR9700107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7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47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477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1/00Microscopes
    • G02B21/36Microscopes arranged for photographic purposes or projection purposes or digital imaging or video purposes including associated control and data processing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scoopes, Condenser (AREA)

Abstract

현미경 기능이 부가된 실물화상기에 이 실물 화상기가 현미경 기능을 갖도록 하는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를 헤드부에 용이하게 장착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사용자에게 부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화상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모니터와; 라이트 박스를 보유하는 본체와; 이 본체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이 지지부에 힌지되도록 설치되면서 고체 촬상소자 및 줌 유니트가 내장설치되는 헤드부와; 이 헤드부에 결합되는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와; 관측시료가 안착되는 대물대로 된 현미경 기능의 부가가 가능한 실물 화상기를 제안한다.

Description

현미경 기능의 부가가 가능한 실물 화상기
본 고안은 실물 화상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물 화상기가 현미경 기능을 수행시에 사용되는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를 실물 화상기에 용이하게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한 현미경 기능의 부가가 가능한 실물 화상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일반적으로 실물 화상기(Video Presenter)라 함은, 원고 및 필름 등을 고체촬상소자로 스캔닝(scanning)하여 이를 디스플레이부 즉, 모니터, 비디오, 컴퓨터등에 전송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 스캔닝한 화면 자료가 디스플레이 될수 있도록 하는 광학 기기로 알려져 있다.
종래에 이러한 실물 화상기는, 라이트 박스의 상면으로 안착된 원고나 필름을 상기 라이트 박스의 상면으로 배치된 고체촬상소자를 이용하여 상기 원고나 필름에 대한 화상 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그 구성이 이루어지고 있다.
제 6 도는 상기한 종래의 실물 화상기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실물 화상기는, 본체(1)의 상면으로 그 내부에 소정의 광원이 내장된 라이트 박스(3)를 안착하고 있으며, 상기 본체(1)의 일측부에서 상면으로 연장형성된 수직부(1a)의 중앙부에는 지지부(5)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다.
상기 지지부(5)의 상측에는 상기 고체촬상소자 및 줌 렌즈계가 내장설치된 헤드부(7)가 힌지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헤드부(7)의 선단으로는 원고나 필름에 따라 선택되어지는 절환용 렌즈가 설치된 어댑터(9)가 장착되어 있다.
이때, 상기 지지부(5)는 상기 수직부(1a) 상에서 회전됨은 물론, 일지점에서 고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수직부(1a) 의 양측부에는 상기 라이트 박스(3)와는 별도로 광원을 제공할 수 있는 광원부(11)가 각기 설치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본체(1)의 다른 일측부에는 실물 화상기의 조작을 위한 제어패널(13)이 구비되어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실물 화상기는, 디스플레이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라이트 박스(3)의 상면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원고나 필름이 안착되면, 상기 헤드부(7)에 내장된 고체촬상소자가 상기한 절환용 렌즈 및 줌 렌즈계를 통해 필요한 화상 정보를 인식하여 이를 상기한 디스플레이부에 전송함으로써, 소정의 화상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에서 라이트 박스(3)나 광원부(11)에서는 상기와 같은 실물 화상기의 작용시, 이에 필요한 소정의 광원을 제공하게 되며, 상기 어댑터(9)에 설치된 광학계 렌즈는 상기 라이트 박스(3)의 상면으로 배치되는 자료가 원고나 필름인가에 따라 교환설치되게 된다.
(고안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점)
이와 같이 종래의 실물 화상기는, 단지 사용자가 원하는 자료를 촬영하여 이를 디스플레이부로 전송하는 기능만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통상적이다.
그런데, 사용자의 욕구는 날로 다양해지고 있는 것이 근래의 추세인 바, 이러한 점으로 비추어 볼 때, 종래의 실물 화상기는 다양한 기능을 원하는 사용자의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게 되므로 그 사용 만족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실물 화상기가 현미경 기능을 더욱 갖도록 하면서 그 현미경 기능의 수행시에 이에 필요한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를 용이하게 장착시킬수 있도록 한 현미경 기능의 부가가 가능한 실물 화상기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화상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모니터와;
라이트 박스를 보유하는 본체와;
이 본체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지지대와;
이 지지부에 힌지되도록 설치되면서 고체촬상소자 및 줌 유니트가 내장 설치되는 헤드부와;
이 헤드부에 결합되는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와;
관측시료가 안착되는 대물대로 된 현미경 기능의 부가가 가능한 실물 화상기를 제안한다.
이때, 상기 실물 화상기는, 상기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와 상기 줌 유니트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를 상기 줌 유니트에 연결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하게 되는바, 여기서 이 결합수단은, 상기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에 제공되는 홀더와, 상기 줌 유니트의 하단부에 상기 홀더와 착탈되는 연결부를 갖고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줌 유니트의 하단부 외주면에 소정의 각도를 두고 배치 형성되는 다수의 제1 체결부와; 상단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각각의 제1 체결부가 가이드되어 결합되는 제2 체결부를 다수로 형성하고 있는 어댑터와; 상기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에 동축상으로 연결되어 상기 어댑터에 결합되는 홀더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서 제1 체결부는,
상기 줌 유니트의 외주면에 직각으로 절곡지게 돌기져 형성되는 가이드부와; 이 가이드부의 수직부위에 이웃하여 상기 줌 유니트 외주면에 형성되는 체결홈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부는,
상기 가이드부의 수평부위를 삽입결합하여 이를 상기 어댑터의 상단면에 지지시키는 가이드홈과; 이 가이드홈의 상방으로 상기 가이드부의 수평부위가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시, 상기 체결홈에 탄성적으로 끼움결합되는 걸림턱을 형성하고 있는 걸림체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 본 고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과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물 화상기를 도시한 전체사시도로서, 도면부호 20은 실물 화상기전체를 가리키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실물 화상기(20)는, 본체(202)의 내측으로 라이트 박스(204)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는 바, 이때, 라이트 박스(204)는 상기 본체(202)에 장착시 그 상면을 상기 본체(202)의 상면과 수평을 이루게 된다.
또한, 그 내부에 고체촬상소자 및 줌 렌즈계 유니트가 설치되고, 상기 라이트 박스(204)와는 별도의 광원부가 설치되는 헤드부(206)는, 상기 본체(202)의 일측 구석부에 설치되는 지지대(208)의 상측부에 장착되고 있는데, 이 헤드부(206)는 각도 조정수단(210)의 의해 다각도로 수평 및 수직방향의 각도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헤드부(206)의 선단에는 상기 라이트 박스(204)의 상면으로 안착되는 자료의 종류(원고 또는 필름)에 따라 선택되어 지는 절환용 렌즈가 어댑터(212)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상기에서 지지대(208)는, 상기 본체(202) 상에서 다각도로 회전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되는데, 이는 상기 본체(202)와 상기 지지부(208)사이에 연결 설치되는 회전수단(214)에 의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상기와 같은 실물 화상기(20)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모니터(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다음, 상기 라이트 박스(204)의 상면으로 원하는 자료가 안착되면, 종래와 같은 작용으로 상기 자료에 대한 화상 정보를 상기 모니터(30)를 통해 알수 있도록 하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은 상기한 실물 화상기의 통상적인 기능이외도, 현미경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있는바, 이는 상기 헤드부(206)의 하면으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216)에 의해 실현될 수 있게 된다.
제2도는 상기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216)의 내부구조와 그 장착구조를 알수 있도록 도시된 단면도로서, 이에는 도면을 통해 알수 있듯이, 현미경 배율렌즈군(216a)이 현미경 배율렌즈용 배럴(216b)에 장착되어 있으며, 이 현미경 배율렌즈용 배럴(216b)은, 주 배럴(216c)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주 배럴(216c)의 하단으로는 미러 박스(216d)가 체결되어 있으며, 이 미러 박스(216d)의 하단으로는 고배율 렌즈군(216e)을 장착한 배럴(216f)이 그상단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을 상기 미러 박스(216d)의 내주면에 나사결합시키는 것을 연결수단으로 하여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고배율 렌즈용 배럴(216f)은, 상기 고배율 렌즈군(216e)에 따라 3배줌,6배줌으로 구분되어 상기 미러 박스(216d)에 따로이 나사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현미경 배율렌즈용 배럴(216b)이 삽입 결합되는 링부재(216g)는 고정판(216h)에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이 고정판(216h)의 일측부와 상기 미러 박스(216d)로는 상기 헤드부(206)에 설치된 상기한 별도의 광원수단(도시되지 않음)과 연결되는 광원 전달 수단(220)이 장착되어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216)를 상기 헤드부(206)의 하면으로 연결져 설치하게 되는 바, 그 장착구조는 본 고안에 따라 상기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216)는 물론, 상기 헤드부(206)내부에 설치되는 줌 유니트(222)와, 이 줌 유니트(222)와 상기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216) 사이에 배치되어 이들을 상호 연결하는 결합수단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물론, 상기에서 줌 유니트(222)는 통상의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에서 결합수단은, 본 실시예에 있어 상기 현미경 배율 렌즈용 배럴(216b)의 상단부위에 체결되는 홀더(218)로 구비된다.
이때, 상기 홀더(218)는 상기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216)에 동축상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상기 현미경 배율 렌즈용 배럴(216b)에 체결되는데, 그 전체적인 형상은 링 모양을 이룬다.
즉, 상기 홀더(218)는 그 내측으로 공간부를 형성하여 상기 줌 유니트(222)의 하단부의 외주인 연결부(222a)를 그 공간부에 삽입하여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216)를 상기 줌 유니트(222)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상기 결합수단은 본 고안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이 결합수단의 구성에도 우선 상기한 홀더(218)가 포함되는 바, 이 홀더(218)는 그상측으로 배치된 어댑터(224)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홀더(218)와 상기 어댑터(224)의 상호 결합은, 상기 홀더(218)의 상측부가 상기 어댑터(224)에 삽입되어 이에 나사결합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홀더(218)의 상측부 외주면과 상기 어댑터(224)의 내주면에는 나사산이 각기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홀더(218)와 상기 어댑터(224)의 상호 결합으로 인해, 상기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216)는 상기 어댑터(224)에 연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결합수단의 구성에는, 상기 어댑터(224)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줌 유니트(222)의 하단부 외주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치형성된 다수의 제1 체결부(226)와 결합됨으로써, 상기 어댑터(224)가 상기 줌 유니트(222)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제2 체결부(228)가 더욱 포함된다.
이러한 제1 체결부(226)와 제2 체결부(228)를 본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비하게 된다.
제3도는 본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체결부(226)를 도시한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체결부(226)는 상기 줌 유니트(222)의 외주면에서 직각상태로 절곡되어 돌기져 형성된 가이드부(226a)와, 이 가이드부(226a)의 수직부위 일측에 이웃하여 상기 줌 유니트(222)의 외주면에 형성된 체결홈(226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체결부(228)를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걸림체(228a)로 이루게 되는데, 이 걸림체(228a)는 그 내측 하단부위에 상기 가이드부(226a)의 수평부위가 가이드되면서 삽입결합될 수 있는 가이드홈(226b)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홈(226b)의 상방으로 그 일측부에 걸림턱(228c)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걸림턱(228c)은, 상기 가이드홈(226b)의 수평부위가 삽입시, 상기 체결홈(226b)에 끼움결합하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턱(228c)은, 제4도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그 후방으로 상기 걸림체(228a)가 절개됨에 따라 탄성적 움직이 가능하여 이에 상기 체결홈(226b)에 체결시, 탄성적으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설명되는 상기 제1 체결부(226)를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줌 유니트(222)의 외주면에 등간격을 유지하여 3지점에 설치하였으며, 더불어 상기 제2 체결부(228)도 상기 어댑터(224)의 상면에 상기 제1 체결부(226)에 결합될 수 있는 간격을 유지하여 역시 3지점에 설치하였다.
이에, 상기한 제1 체결부(226)와 상기 제2 체결부(228)의 상호 결합은, 우선 제2도에서와 같이 상기 어댑터(224)를 상기 줌 유니트(222)의 하방으로 배치한 상태에서 이를 상기 줌 유니트(222)에 밀착시키게 되면, 이 줌 유니트(222)의 하단부위는 제5도에서와 같이 상기 어댑터(224)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어댑터(224)를 제5도를 기준으로 볼 때,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어댑터(224)가 회전되면서 상기 체결홈(228b)으로 상기 가이드부(226a)의 수평부위가 일차 삽입되고, 연이어 상기 걸림턱(228c)이 탄성적으로 상기 체결홈(228b)에 끼움결합하게 된다.(제5도의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부분 참조)
이처럼 상기 걸림체(228a)가 상기 가이드부(226a)와 상기 체결홈(228b)에 결합되면, 상기 어댑퍼(224)는 상기 걸림턱(228c)이 상기 체결홈(226b)에 걸려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고 이에 상기 줌 유니트(222)에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어댑터(224)의 하방으로 연결된 상기한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216)는 상기 헤드부(206)에 장착될 수 있게 되는데, 이러한 장착구조에 따라 상기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216)는 상기 줌 유니트(222)와 동일축상으로 더욱 양호하게 결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216)를 상기 어댑터(224)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우선 상기 어댑터(224)를 상기 줌 유니트(222)에 상기와 같이 연결하고, 이에 상기 어댑터(224)의 하방으로 상기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216)에 연결된 상기 홀더(218)를 나사결합시키게 되면 용이하게 그 장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이에, 사용자는 상기와 같이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216)를 상기 헤드부(206)에 장착하여 실물 화상기(20)에 현미경 기능을 부가하여 이를 유용히 사용할 수 있게 되는데, 이처럼 상기 실물 화상기(20)가 현미경 기능을 갖고 사용될 때 사용자가 관측하고자 하는 시료는, 상기 본체(202)의 상면으로 배치되는 대물대(230)에 안착되어지게 된다.
즉, 상기 대물대(230)는, 상기 현미경 렌즈계 (216)의 하방으로 관측시료를 배치시키게 되며, 이는 상기 본체(202)상에 안정적으로 배치되어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헤드부(206)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됨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실물 화상기(20)를 현미경 기능이 아닌 다른 기능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상기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216)를 상기 헤드부(206)에서 분리할 경우에는, 상기 홀더(218)를 돌려 상기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216)를 상기 어댑터(224)에서 분리시키고, 또한 상기 어댑터(224)를 상기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체결홈(226b)에서 상기 걸림턱(228c)이 빠져 나올수 있게하여 상기 줌 유니트(222)에서 상기 어댑터(224)를 분리시키게 된다.
제 1 도는 본 고안에 따른 실물화상기를 도시한 전체 사시도이고,
제 2 도는 본 고안에 따른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의 장착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고,
제 3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체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 4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체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제 5 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체결부와 제2 체결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제 6 도는 종래의 실물화상기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실물 화상기 206 : 헤드부
216 :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 216b : 현미경 배율 렌즈용 배럴
218 : 홀더 222 : 줌 유니트
224 : 어댑터 226 : 제1 체결부
226a : 가이드부 226b : 체결홈
228 : 제2 체결부 228a : 걸림체
228b : 가이드홈 228c : 걸림턱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현미경기능의 부가가 가증한 실물 화상기는,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가 헤드부에 장착되는 구조를 간단하므로 이에 사용자 누구나가 용이하게 실물 화상기에 현미경을 기능을 추가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발휘하게 된다.

Claims (5)

  1. 화상정보가 디스플레이되는 모니터(30)와;
    라이트 박스를 보유하는 본체(202)와;
    이 본체의 일측부에 설치되고 회전수단이 설치되는 지지대(208)와;
    이 지지대에 대해 회전가능하도록 각 조절수단에 의해 힌지되며, 고체촬상소자 및 줌 유니트가 내장되며, 상기 줌 유니트의 바깥쪽에는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가 부착되는 결합수단이 형성된 헤드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물화상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216)에 제공되는 홀더(218)와;
    상기 줌 유니트(222)의 하단부에 상기 홀더(218)와 착탈되는 연결부(222a)를 갖는 실물화상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줌 유니트(222)의 하단부 외주면에 소정의 각도를 두고 배치형성되는 다수의 제1 체결부(226)와;
    상단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각각의 제1 체결부가 가이드되어 결합되는 제2 체결부를 다수로 형성하면서, 상기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216)에 연결된 홀더(218)에 결합되는 어댑터(224)가 포함되는 실물화상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부(226)는,
    상기 줌 유니트(222)의 외주면에 직각으로 절곡지게 돌기져 형성되는 가이드부(226a)와; 이 가이드부(226a)의 수직부위에 이웃하여 상기 줌 유니트(222)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체결홈(226b)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부(228a)는,
    상기 가이드부(226a)의 수평부위를 삽입결합하여 이를 상기 어댑터(224)의 상단면에 지지시키는 가이드홈(228b)과;
    이 가이드홈(228b)의 상방으로 상기 가이드부(226a)의 수평부위가 상기 가이드홈(228b)에 삽입시, 상기 체결홈(226b)에 탄성적으로 끼움결합되는 걸림턱(228c)을 형성하고 있는 걸림체(228a)로 이루어진 실물화상기.
  5. 라이트 박스(204)를 보유하는 본체(202)와;
    이 본체(202)의 일측부에 설치되는 지지대(208)와;
    이 지지대(208)의 상부에 설치되고, 고체 촬상소자 및 줌 유니트가 내장된 헤드부(206)와;
    상기 줌 유니트(222)에 현미경 렌즈계 유니트(216)와 연결되는 연결부(222a)를 가진 실물화상기.
KR2019960002611U 1996-02-21 1996-02-21 실물 화상기 KR2001547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2611U KR200154775Y1 (ko) 1996-02-21 1996-02-21 실물 화상기
SG1997000446A SG70586A1 (en) 1996-02-21 1997-02-20 Video overhead display system
US08/804,192 US5929910A (en) 1996-02-21 1997-02-21 Video overhead display system
CN97110028.4A CN1109920C (zh) 1996-02-21 1997-02-21 视频投影显示系统
DE19707032A DE19707032A1 (de) 1996-02-21 1997-02-21 Video-Overhead-Darstellungssystem
JP9037733A JPH104508A (ja) 1996-02-21 1997-02-21 映像システム及び映像装置
TW086102799A TW393635B (en) 1996-02-21 1997-03-07 Video overhead display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02611U KR200154775Y1 (ko) 1996-02-21 1996-02-21 실물 화상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738U KR970010738U (ko) 1997-03-29
KR200154775Y1 true KR200154775Y1 (ko) 1999-08-16

Family

ID=19450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02611U KR200154775Y1 (ko) 1996-02-21 1996-02-21 실물 화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477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0738U (ko) 1997-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0415B1 (en) Document capture stand
JP3706071B2 (ja) 撮像装置
CN101677363B (zh) 摄像机设备
EP1865373A1 (en) Magnifying attachment
JP2004502193A (ja) 携帯イメージングシステムにおけるクローズアップイメージング能力を実行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11095777A (ja) 撮像装置
CN101677362B (zh) 电子设备
US6690510B2 (en) Microscope
US5929910A (en) Video overhead display system
WO2010150553A1 (ja) 撮像装置
KR200154775Y1 (ko) 실물 화상기
TWI271567B (en) Zoom lens apparatus
US6552861B1 (en) Optical guide fixture
KR0134544Y1 (ko) 대물대가 착탈 가능한 실물 화상기
JP2019020536A (ja) 撮像装置
KR20050110737A (ko) 통신기기용 카메라장치 및 그를 구비한 통신기기
KR100252679B1 (ko) 회전가능한촬영부를갖는카메라
WO1999004302A3 (en) Microscope having a focus-adjusting mechanism and a camera mount assembly
JP2770071B2 (ja) 光学機器用レンズ鏡胴
JPH07236081A (ja) 撮像装置
KR200162177Y1 (ko) 실물 화상기
KR200298201Y1 (ko) 디지털 영상수단이 구비된 현미경
JP2004040177A (ja) 資料提示装置
KR20040094133A (ko) 영상 촬영 장치
JP2016092797A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6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