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427Y1 - 이탈 및 부상방지용 스페이서 - Google Patents

이탈 및 부상방지용 스페이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427Y1
KR0134427Y1 KR2019950001351U KR19950001351U KR0134427Y1 KR 0134427 Y1 KR0134427 Y1 KR 0134427Y1 KR 2019950001351 U KR2019950001351 U KR 2019950001351U KR 19950001351 U KR19950001351 U KR 19950001351U KR 0134427 Y1 KR0134427 Y1 KR 01344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dy
fixing pin
embedded
reinforcement
binding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0135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7271U (ko
Inventor
이규복
Original Assignee
최훈
삼성건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훈, 삼성건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훈
Priority to KR201995000135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427Y1/ko
Publication of KR96002727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727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4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42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 E04C5/201Spacer blocks with embedded separate holding wire or cl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철근배근시 거푸집과 철근 또는 철근과 철근의 간격을 유지하며, 특히 미경화콘크리트 타설시 충격에 이탈을 방지하도록 하여주는 이탈 및 부상방지용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 거푸집과 철근, 철근과 철근의 간격을 유지하며 몰탈로 이루어지는 블록본체(10)와, 상기 블로본체에 그 일측부가 일체로 매립되고 그 타측부는 길게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블록본체(10)에 맞대어지는 철근을 결속하는 결속선(20)과, 상기 블록본체(10)의 내부에 그 일측부가 매립되고 그 타측부는 하부로 돌출되어서 거푸집패널에 고정되는 고정핀(30)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결속선(20)을 상기 고정핀(30)에 묶어서 상호 결속된 상태로 블록본체(10)에 매립되게 함으로써 결속선(20) 및 고정핀(20)이 블록본체(10)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이탈 및 부상방지용 스페이서
제1도는 본 고안의 스페이서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제작되는 단계를 도시하는 것으로써,
(a)는 몰드를 나타낸 예시도.
(b)는 결속선이 고정핀과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c)는 몰드내부에 몰탈이 충진된 예시도.
(d)는 몰드를 탈형하여 일부 절개된 것을 도시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페이서 2 : 거푸집
3 : 철근 10 : 블록본체
20 : 결속선 30 : 고정핀
본 고안은 철근배근시 거푸집과 철근 또는 철근과 철근의 간격을 유지하며, 특히 미경화콘크리트 타설시 충격에 이탈을 방지하여 주면서도 거푸집패널로부터 부상됨을 방지하여 주는 이탈 및 부상방지용 스페이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근배근시 거푸집과 철근 또는 철근과 철근의 간격이 정확히 유지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철근들의 간격이 정확히 유지되어야 하는 중요한 이유는 첫째, 건출물의 뼈대가 되는 매립철근을 통하여 건축물하중이 원활하게 전달되도록 하여 구조적으로 안정된 건축물을 건축하기 위함이며, 둘째, 콘크리트 내부에 충분히 매립되도록 하여 화재시 등에 철근을 효율적으로 보호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이유로 철근배근시 거푸집과 철근 또는 철근과 철근의 간격을 정확히 유지시켜 주는 이유이다.
상기한 철근들의 간격을 정확히 유지시켜 주기위해 통상적으로 스페이서를 이용하게 된다.
종래의 스페이서로 첫 번째는, 일본국 등록실용신안 제3003675호(1994.08.17)로서, 철근끼리, 또는 철근과 프레임간에 설치되어, 철근끼리, 또는 펄근과 프레임간에 소정의 간격을 확보하는 스페이서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본체와, 이 블록본체에 매립되어 상기 블록본체에 맞댄 철근을 결속하는 결속선으로 구성되는 스페이서 블록이 공개된 바가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것은 블록본체로부터 매립된 결속선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블록본체에 맞대어지는 철근에 묶어줄 수 있기 때문에 콘크리트 타설시 어지간한 충격에도 이탈되지 않은 장점을 가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것은 결속선이 블록본체에 고정수단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취급시에 블록본체로부터 쉽게 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블록 본체가 거푸집패널에 고정되는 구조부가 없기 때문에 미경화콘크리트를 부어 넣을 때 스페이서 및 철근이 거푸집패널로부터 뜨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두 번째는, 일본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소62-63321호(1987.4.20)로서, 철근끼리, 또는 철근과 프레임간에 설치되어, 철근끼리, 또는 철근과 프레임간에 소정의 간격을 확보하는 스페이서블록에 있어서, 상기 블록본체와, 이 블록본체의 일면에 그 일부가 돌출되는 고정핀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또 다른 것은 블록본체로부터 매립된 고정핀이 부착되어 거푸집패널에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스페이서가 거푸집패널로부터 뜨게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또 다른 스페이서도 상기 첫 번째와 마찬가지로 고정핀이 블록본체에 고정수단으로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취급시에 블록본체로부터 쉽게 빠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블록본체에 결속선 및 고정핀을 동시에 부착시켜서 결속선으로는 배근철근에 결속시키고 고정핀으로는 거푸집패널에 고정시키며, 또한, 결속선과 고정핀을 상호 결속시킨 상태에서 블록본체에 매립되게 함으로써 상호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 및 부상방지용 스페이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이탈 및 부상방지용 스페이서도 거푸집과 철근, 철근과 철근의 간격을 유지하며 몰탈로 이루어지는 블록본체(10)와, 상기 블록본체에 그 일측부가 일체로 매립되고 그 타측부는 길게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블록본체(10)에 맞대어지는 철근을 결속하는 결속선(20)과, 상기 블록본체(10)의 내부에 그 일측부가 매립되고 그 타측부는 하부로 돌출되어서 거푸집패널에 고정되는 고정핀(30)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는 종래의 기술적 개념과 별 다를 바가 없다.
다만, 본 고안은 제1도 내지 제3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결속선(20)을 상기 고정핀(30)에 묶어서 상호 결속된 상태로 블록본체(10)에 매립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결속선(20)을 고정핀(30)에 묶어서 상호 결속된 상태로 블록본체(10)에 매립되기 때문에 결속선(20) 및 고정핀(30)이 어떠한 외부의 힘에도 블록본체(1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블록본체(10)는 거푸집(2)과 철근(3)의 간격을 유지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하며, 블록본체의 크기는 간격의 정도에 따라 다양하게 조절하여 제작되는 것이다. 그리고 블록본체(10)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제작될 수 있겠으나,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제3도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상부면이 열려진 직사각형의 몰드(4)에 시멘트 몰탈을 충진하고 경화된 후 몰드(4)를 탈형하여 제작되는 것을 예시해 보여준다. 이러한 블록본체(10)는 일반 건설현장에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결속선(20)은 건설현장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철선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결속선은 제1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가닥들이 블록본체(10)에 매립되어 제작되도록 하여 철근에 결속하는 결속작업을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게 된다.
여기에서, 결속선(20)이 블록본체(10)에 매립되는 부분은 중간부가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외부로 길게 연장되는 양측 연장부가 동시에 철근에 묶여져서 힘을 받기 때문에 블록본체(10)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고정핀(30)도 결속선과 마찬가지로 복수개로 제작되도록 하여 거푸집에 고정되도록 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제2도 및 제3도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고정핀(30)은 건설현장에서 용이하게 구할 수 있는 스태플을 사용하고 있는 것을 예시해 보여준다.
한편, 고정핀(30)은 목재로 제작된 거푸집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금속재로 제작된 거푸집에 고정시켜 사용하는 것은 곤란함을 밝혀둔다.
본 고안의 제작방법은 제3도(a) 내지 (d)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블록본체(10)를 형성하는 상면이 열려진 직사각형 형상의 몰드(4)를 준비하고, 상기 몰드의 내부 바닥에 결속선(20)이 연결된 고정핀(30)에 스치로폴판(5)을 꽂아서 몰드(4)내부에 설치하고, 상기 몰드 내부에 시멘트몰탈을 충진하여 블록본체(10)를 형성하고, 상기 블록본체가 경화되면 몰드를 탈형하므로서 완성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몰드의 내부 바닥에 고정핀(30)이 꽂혀진 스치로폴판(5)이 설치되는 것은 몰드를 탈형한 후 스치로폴판(5)을 탈리하여 고정핀의 가운데 부분은 블록본체에 매립되게 하고 그 타측은 외부로 돌출되도록하기 위함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고정핀(30)은 스테플을 사용하고 있다. 즉, 제4도의 (b) 내지 (d)에서 도시되는 바와같이, 스테플의 양끝단부가 하부로 향하도록 스치로폴판(5)에 꽂혀지고 중간부에 결속선(20)이 묶여져서 시멘트몰탈을 충진하여 일체로 매립되게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결속선(20)을 고정핀(30)에 묶여서 상호 결속된 상태로 블록본체(10)에 매립시키기 때문에 어지간한 외부의 힘에도 블록본체로부터 분리되지 않으며, 결속선을 배근철근에 결속시키게 됨으로 미경화콘크리트의 분출압 또는 충격에 이탈되지 아니하며, 고정핀이 거푸집패널에 고정되므로 거푸집패널로부터 철근이 부상되는 것을 방지하게 하여주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1)

  1. 거푸집과 철근, 철근과 철근의 간격을 유지하며 몰탈로 이루어지는 블록본체(10)와, 상기 블록본체에 그 일측부가 일체로 매립되고 그 타측부는 길게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블록본체(10)에 맞대어지는 철근을 결속하는 결속선(20)과, 상기 블록본체(10)의 내부에 그 일측부가 매립되고 그 타측부는 하부로 돌출되어서 거푸집패널에 고정되는 고정핀(30)으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결속선(20)을 상기 고정핀(30)에 묶어서 상호 결속된 상태로 블록본체(10)에 매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탈 및 부상방지용 스페이서.
KR2019950001351U 1995-01-27 1995-01-27 이탈 및 부상방지용 스페이서 KR01344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1351U KR0134427Y1 (ko) 1995-01-27 1995-01-27 이탈 및 부상방지용 스페이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01351U KR0134427Y1 (ko) 1995-01-27 1995-01-27 이탈 및 부상방지용 스페이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271U KR960027271U (ko) 1996-08-17
KR0134427Y1 true KR0134427Y1 (ko) 1999-02-18

Family

ID=19407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01351U KR0134427Y1 (ko) 1995-01-27 1995-01-27 이탈 및 부상방지용 스페이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42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9963B1 (ko) * 2006-06-13 2007-03-08 김봉주 스페이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7271U (ko) 199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6441B1 (ko)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철근콘크리트 바닥판, 이를구비한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0760681B1 (ko) 프리캐스트 방호벽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방호벽 구조
JPH10231578A (ja) 建屋構造
KR20040083070A (ko) 독특한 중공 코어 콘크리트 패널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0704055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을 갖는 강주형 연속합성형교량및 그 시공방법
JP4127933B2 (ja) 閉断面箱桁の現場打ち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床版の施工法
KR0134427Y1 (ko) 이탈 및 부상방지용 스페이서
KR100806641B1 (ko) 프리캐스트 중앙분리대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중앙분리대구조
CN110670717B (zh) 一种预制梁式阳台的连接结构和施工方法
KR20050063089A (ko) 루프 철근에 의한 이음구조를 가진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JPH0315605Y2 (ko)
KR200423086Y1 (ko) 프리캐스트 방호벽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방호벽 구조
JP2709346B2 (ja) 法枠用ブロック体
JPH10266467A (ja) 鉄筋スペーサ
KR101127772B1 (ko) 철근 받침구
KR102241988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구조물 시공방법
JP2509169Y2 (ja) プレキャスト型枠板
JP3612108B2 (ja) Rc壁の構築方法
KR100517373B1 (ko) 테이퍼형 중공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의 연결로 이루어진 벽체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70072911A (ko) 거푸집 겸용 단열 패널
KR200423546Y1 (ko) 프리캐스트 중앙분리대 부재 및 이를 이용한 중앙분리대구조
KR200375130Y1 (ko) 프리캐스트 프리스트레스트 철근콘크리트 바닥판과 이를구비한 교량
JPS60181452A (ja) 床板の構築方法
KR200256804Y1 (ko) 프리캐스트형 강성 방호벽의 구조
KR100200474B1 (ko) 콘크리트 빔 보강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2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