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137B1 - 폐합성수지의 재생원료 가공방법 - Google Patents

폐합성수지의 재생원료 가공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137B1
KR0134137B1 KR1019940028944A KR19940028944A KR0134137B1 KR 0134137 B1 KR0134137 B1 KR 0134137B1 KR 1019940028944 A KR1019940028944 A KR 1019940028944A KR 19940028944 A KR19940028944 A KR 19940028944A KR 0134137 B1 KR0134137 B1 KR 0134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synthetic
synthetic resin
melted
incinerator
w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8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7085A (ko
Inventor
이정임
김의환
Original Assignee
이정임
김의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임, 김의환 filed Critical 이정임
Priority to KR1019940028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137B1/ko
Publication of KR960017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70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1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1/00Making preforms
    • B29B11/06Making preforms by moulding the material
    • B29B11/10Extrusion 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02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를 재생하여 성형하는 데 사용되는 재생원료의 가공장치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압출기(10)의 실린더(14)를 밀폐된 소각실(21)의 내부로 관통되게 출구(17)를 그 외측으로 위치시키고, 도어(22)가 전방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설치되며, 공기분배기(23)가 구비되는 소각기(20)와; 상기 소각기(20)의 내부에서 폐합성수지가 인화되며 용융될 때 발생되는 배기가스 및 먼지 등을 여과시키는 집진기(30)로 구성되어, 모재로 직접 연소되며 용융되는 것에 의해 별도의 가열수단 및 연료등이 필요없어 설치비 및 유지비가 거의 적게 소모된다.
또, 악취 및 유해가스의 배출이 거의 없게 되므로 인구가 밀집되어 폐합성수지의 수거량이 많은 학교등지에서도 손쉽게 설치 및 작업할 수가 있다.
따라서, 쓰레기의 양을 줄이고 적은 부피의 재생 원료로 가공하여 재생품 성형공장 등에 판매하는 것에 의한 경제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폐합성수지의 재생원료 가공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 종단면도.
제2도는 제 1도의 평면도.
제3도는 제 2도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평면도.
제4도는 소각기 및 집진기의 설치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압출기 13 : 스크류
14 : 투입구 17 : 출구
20 : 소각기 23 : 공기분배기
30 : 집진기
본 발명은 폐합성수지를 재생하여 성형하는 데 사용되는 재생원료의 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연료를 절약하고 작업 능률이 우수하도록 발명된 것이다.
최근 매우 늘어나는 폐합성수지를 활용하는 방안으로 이를 재 가공하여 제품원료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그 제품으로는 예로서 정화조, 쓰레기용기 및 팰리트와 같이 정밀성 및 외관이 중요치 않은 물품들이 재생원료로 성형되는 것이다.
종래, 이 재생원료를 성형하는 장치로는 PP및, PE나, HD와 같은 폐합성수지를 1차로 용융하기 위하여 가열로를 압출기의 주위로 설치된 상태에서 재료를 가열로에 넣은 후 용융될 때 이를 압출하는 것에 의해 얻어진 겔상태의 원료를 냉각시켜 이 원료가 필요한 공장등으로 보급하여 재용융과정등을 거쳐 제품을 성형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이 종래의 재생장치에 의하면 고가의 가열로 등을 구비해야 하므로 설치비가 비싸고 그 원료비가 많이 소요되어 재생원료의 경제적인 활용가치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또, 이 장치는 가열하여 용융할 때 발생되는 악취나 유해가스등이 주위에 그대로 배출되므로 공해를 해치는 관계로 그 사용에 많은 제한이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종래 재생장치는 그 설치위치가 일반 주거지역과 같이 인구가 근접된 위치에서는 작업할 수 없는 관계로, 재생에 필요한 폐합성수지를 일일이 수거하고 옮기는 과정을 거쳐야 하므로 작업자로 하여금 불편함을 느끼게하여 폐합성수지의 수거율이 저하됨은 물론, 경제적인 타산이 결여되어 재생을 기피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제반 문제점으로 인하여 많은 인구가 밀집된 주거지역이나 예로서 학교와 같이 폐합성수지가 많이 양산되는 지역에서는 재료를 재생하여 경제적인 이익을 얻을 수가 있는 데도 불구하고, 환경문제나 수거상의 불편한 이유로 그대로 매립하거나 소각하여 처리시키게 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설치가 용이하여 손쉽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폐합성수지 재생원료 가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악취나 공해 오염의 염려가 없어 인구 밀집지역에서도 작업할 수 있도록 된 폐합성수지 재생원료 가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재생원료의 원가를 크게 저하시켜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도록 한 폐합성수지 재생원료 가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수거된 폐합성수지를 소정의 장치에서 가공토록 공급하는 재료투입단계와 ;
이 재료투입단계에 의해 공급되는 폐합성수지를 실린더내에서 회동되는 압출 스크류에 의해 압착시키는 압출단계와 ;
상기 재료투입단계에서 폐합성수지가 가열 용융될 때 발생되는 배기가스 및 먼지 등을 여과시키는 집진단계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
상기 재료투입단계는 폐합성수지 재료를 착화하여 자체 인화에 의해 용융시키며 공급되는 것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장치는 모터(11)의 회전을 감속기(12)로 감속시켜 실린더(14)의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설치되는 압출스크류(13)를 회동토록 하고, 이 실린더(14)에 연통되게 트여진 투입구(15)로 폐합성수지원료를 인화시킨 상태로 투입하여 용융되며 출구(17)로 배출토록 하는 압출기(10)와; 상기 압출기(10)의 실린더(14)를 밀폐된 소각실(21)의 내부로 관통되게 출구(17)를 그 외측으로 위치시키고, 도어(22)가 전방 일측에 개폐 가능하게 힌지 설치되며, 공기분배기(23)가 구비되는 소각기(20)와; 상기 소각기(20)의 내부에서 폐합성수지가 인화되며 용융될 때 발생되는 배기가스 및 먼지 등을 여과시키는 집진기(30)로 구성되어서 달성된다.
따라서, 재료를 가열하기 위한 별도의 열원이나 에너지의 낭비없이 보다 효과적으로 폐합성수지를 재가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재료투입단계는 수거된 폐비닐이나 수지포대등으로 이루어 지는 폐합성수지를 소정의 압출단계의 압출기(10)에 투입하게 된다.
이때, 재료는 후술하는 바와같이 자체 재료를 착화하는 것에 의해 용융되며 압출기로 공급된다.
이 재료투입단계에 의해 공급되는 폐합성수지는 압착단계에 의해 실린더내에서 회동되는 압출 스크류(13)에 의해 압착시키게 된다.
그리고, 재료투입단계에서 폐합성수지가 자체 인화 용융될 때 발생되는 배기가스 및 먼지등이 대기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집진기(30)의 내부에서 이루어 지도록 하는 과시키는 집진단계가 동시에 진행된다.
상기 압출기(10)는 재생되는 원료, 즉 폐합성수지를 재료투입단계에서 용융된 상태로 투입하여 출구(17)측으로 강제 압출토록 하는 것이다.
이 압출기(10)의 구성은 모터(11)의 회전을 감속기(12)로 감속시켜 실린더(14)의 내부를 관통하는 스크류(13)가 회동되며 투입구(15)로부터 유입된 재료를 출구(17)측으로 강제 이송시키는 것이다.
이때 재료투입단계에서 공급되는 재료는 이미 포대나 기타 물품으로 사용되어진 후 버려진 PP 및, PE나, HD를 포함한 재질로서, 그 용융방법으로는 소재를 직접적으로 인화(引火)시키는 것에 의해 이루어 진다.
즉, 착화에 의해 인화가 가능한 상기 재료들을 직접 연소시키며 폐합성수지 재료가 연소 모재(母材)가 되어 동시에 용융되는 것이다.
따라서, 처음 재료를 착화한 후 재료를 연속으로 공급하면 계속하여 착화가 옮겨지며 용융되어 별도로 가열수단을 설치하지 않고도 용융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 용융속도에 맞추어 상기 감속기(12)의 회전을 조절하여 재료의 이송속도를 결정하는 것이 좋으며, 제1도 및 제2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소각기(20)의 외측으로 별도의 보조투입구(16)를 설치하는 것도 좋다.
이 보조투입구(16)는 착화되지 않은 상태의 폐합성수지를 적절한 양으로 투입시키는 것에 의해, 소각기(20)내의 주 투입구(15)에서부터 인화되며 공급되는 소재의 용융 정도에 맞추어 재생원료에 적절한 상태로 배합토록 하는 것이다.
또, 이 용융 폐합성수지를 강제 이송시키는 스크류(13)를 제3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로 설치하여 그 설치 장소에 따라 용량과 처리속도를 크게 증대시킬 수도 있다.
이렇게 하여 용융된 재생수지는 소각기(20)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출구(17)로 배출되는데, 이 출구(17)는 스크류(13)와 실린더(14)를 형성되지 않토록 하는 것에 의해 스크류(13)를 따라 이송된 재료가 낙하될 수 있는 것이며, 이때 그 낙하 위치로는 물이 담겨지는 수조(18)가 설치됨이 좋다.
이 수조(18)는 고온으로 용융된 상태로 소재가 출구(17)로부터 낙하될 때 바로 냉각시킬 수 있도록하여 신속한 수거가 이루어 지도록 하는 데 도움을 준다.
상기 소각기(20)는 상기 압출기(10)에서 이루어 지는 폐합성수지의 연소작업을 밀폐된 상태로 소각실(21)로 감싸지게 이루어 지도록 하므로써, 화염으로부터 보호하고 배기가스나 먼지 등의 공해 배출을 방지토록 하는 것이다.
이 소각기(20)는 용융되지 않고 고온에 견디며 전방 일측에 도어(22)가 개폐 가능하게 힌지 설치되어 도어(22)를 개방시킨 상태에서 재료 투입은 이루어 지도록 하고, 이 도어(22)를 폐쇄시켜 내부를 밀폐토록하여 작업자가 고온으로부터 부상을 입거나 하는 위험을 방지하고 먼지와 같은 이물질 및, 배기가스등이 공해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소각기(2)의 일측(도면에서는 상부로 도시됨)에는 연소에 필요한 공기 공급을 위한 공기분배기(23)가 설치된다.
상기 집진기(30)는 소각기(20)와 덕트로 연결된 상태로 폐합성수지의 연소시에 발생되는 배기가스 및 먼지 등을 수거하여 여과토록 하는 것이다.
이 집진기(30)의 내부에는 포집된 이물질을 수거하기 위한 집진수단이나 팩이나, 필터등이 구비되는 구성은 이미 알려진 바와 같으며, 먼지등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급수관(31)을 통해 물을 공급토록 하는 것도 좋다.
이상과 같은 장치 및 방법에 의해 얻어진 폐합성수지 재생원료는 덩어리 상태로 수조에서부터 수거된 것을 적절한 크기로 분쇄하여, 다시 사출성형기 및 성형 압출기와 같은 제품성형장치로 투입되는 데, 이때 용도에 따라서는 분쇄된 재생원료에 톱밥과 석분을 혼합하는 것도 좋다.
아 톱밥과 석분은 재생수지로 완성된 제품의 강도를 우수하게 하고 미관적으로 부드러운감을 갖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첫째, 폐합성수지가 모재로 직접 연소되며 용융되는 것에 의해 별도의 가열수단 및 연료등이 필요없어 설치비 및 유지비가 거의 적게 소모된다.
둘째, 화염이나 열에 의해 부상을 입거나 하는 등의 위험의 염려가 없다.
셋째, 악취 및 유해가스의 배출이 거의 없게 되므로 인구가 밀집되어 폐합성수지의 수거량이 많은 학교등지에서도 손쉽게 설치 및 작업할 수가 있다.
따라서, 쓰레기의 양을 줄이고 적은 부피의 재생 원료로 가공하여 재생품 성형공장 등에 판매하는 것에 의한 경제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Claims (1)

  1. 수거된 폐합성수지를 소정의 장치에서 가공토록 공급하는 재료투입단계와; 이 재료투입단계에 의해 공급되는 폐합성수지를 실린더내에서 회동되는 압출 스크류에 의해 압착시키는 압출단계와; 상기 재료투입단계에서 폐합성수지가 가열 용융될 때 발생되는 배기가스 및 먼지 등을 여과시키는 집진단계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재료투입단계는 폐합성수지 재료를 착화하여 자체 인화에 의해 용융시키며 공급되는 것 특징으로 하는 폐합성수지의 재생원료 가공방법.
KR1019940028944A 1994-11-04 1994-11-04 폐합성수지의 재생원료 가공방법 KR0134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8944A KR0134137B1 (ko) 1994-11-04 1994-11-04 폐합성수지의 재생원료 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8944A KR0134137B1 (ko) 1994-11-04 1994-11-04 폐합성수지의 재생원료 가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085A KR960017085A (ko) 1996-06-17
KR0134137B1 true KR0134137B1 (ko) 1998-04-20

Family

ID=19397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8944A KR0134137B1 (ko) 1994-11-04 1994-11-04 폐합성수지의 재생원료 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1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463B1 (ko) * 2016-08-09 2017-01-17 채경민 스크랩을 이용한 재생수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769B1 (ko) * 2002-02-22 2004-01-24 주식회사 동방이엔지 쓰레기고형연료 압출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7463B1 (ko) * 2016-08-09 2017-01-17 채경민 스크랩을 이용한 재생수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085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72430A (en) Process for compacting and solidifying solid waste materials,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process and overall system for disposal of such waste materials
EP0692356A2 (en) Method for preparing automobile shredder residue - synthetic plastic material composite
KR100982072B1 (ko) 폐플라스틱과 슬러지를 합성한 고형연료 제조장치
KR0134137B1 (ko) 폐합성수지의 재생원료 가공방법
JPH1160798A (ja) 発泡スチロール廃材の破砕.溶融リサイクル装置
JPH0637052B2 (ja) 廃棄プラスチック類の減容処理装置
US5645233A (en) Apparatus for recycling scrapped polylon
WO2019078403A1 (ko) 자동차 폐카페트 재생 장치
KR100279801B1 (ko) 일반쓰레기의 재활용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100316152B1 (ko) 재생가능 폐자원을 재생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19990064571A (ko) 폐기물을 이용한 고체연료제조방법 및 장치
JPH0637053B2 (ja) 廃棄プラスチック類の減容処理装置
JPH0523656A (ja) プラスチツク廃棄物処理装置に於けるペレツト化装置
JP3571441B2 (ja) 廃棄物処理装置
KR200269337Y1 (ko) 폐기물의 고형연료화 성형장치
KR200311385Y1 (ko) 폐자원을 이용한 rdf 성형장치
KR20020035499A (ko) 폐기물의 고형연료 성형방법
JP3606978B2 (ja) 廃棄物の乾燥方法及び装置
KR0173721B1 (ko) 쓰레기 혼합 재생방법 및 그 장치
KR100273947B1 (ko) 폐플라스틱 조립기
KR100704182B1 (ko) 가연성 폐기물을 이용한 압출 성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42051B1 (ko) 쓰레기 고형연료 제조장치 및 그 방법
KR100264179B1 (ko) 소각재 고형화장치
KR20040078852A (ko) 가연성폐기물을 이용한 고형연료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KR200305279Y1 (ko) 가연성폐기물을 이용한 재생합성수지원료 및 고체연료의제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