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541Y1 - 가변 감쇄기 - Google Patents

가변 감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541Y1
KR0133541Y1 KR2019950050516U KR19950050516U KR0133541Y1 KR 0133541 Y1 KR0133541 Y1 KR 0133541Y1 KR 2019950050516 U KR2019950050516 U KR 2019950050516U KR 19950050516 U KR19950050516 U KR 19950050516U KR 0133541 Y1 KR0133541 Y1 KR 013354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variable attenuator
signal
capacitor
di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505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7684U (ko
Inventor
박익휘
Original Assignee
정장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장호, 엘지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장호
Priority to KR20199500505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541Y1/ko
Publication of KR97004768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768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54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54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24Frequency- independent attenua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11/00Networks using active elements
    • H03H11/02Multiple-port networks
    • H03H11/24Frequency-independent attenuato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HIMPEDANCE NETWORKS, e.g. RESONANT CIRCUITS; RESONATORS
    • H03H7/00Multiple-port networks comprising only passive electrical elements as network components
    • H03H7/01Frequency selective two-port networks
    • H03H7/075Ladder networks, e.g. electric wave filters

Landscapes

  • Attenuat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신호의 이득을 감쇄시키는 가변 감쇄기에 관한 것으로, 고이득을 용이하게 제어함으로써 큰 감쇄폭으로 이득제어 하도록 하는 가변 감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변 감쇄기(10)는 신호 감쇄폭이 30dB 정도밖에 얻을 수 없어 신호를 보다 큰 감쇄폭으로 조절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의 가변 감쇄기는 50dB 이상의 감쇄폭으로 신호를 이득제어할 수 있어 고이득 제어가 필요한 회로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수mA 이하의 제어전류를 사용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오피앰프를 이용하여 제어전압 발생회로를 구성하여 포화상태에 도달하지 않고 신호 감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변 감쇄기
제1도는 종래의 가변 감쇄기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 감쇄기 구성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 감쇄기의 특성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가변 감쇄기의 적용예를 도시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2∼D3 : 다이오드 C3∼C5 : 콘덴서
R2∼R6 : 저항
본 고안은 신호의 이득을 감쇄시키는 가변 감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고이득을 용이하게 제어함으로써 큰 감쇄폭으로 이득제어하도록 하는 가변 감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이득 제어가 필요한 수신기 등에서는 신호의 이득을 큰폭으로 제어해주어야 하는 바, 이와 같은 용도로 사용되는 종래의 가변 감쇄기(10)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덴서(C1,C2), 다이오드(D1) 및 저항(R1)으로 연결 구성된다.
가변 감쇄기(10)에 있어서, 콘덴서(C1)와 콘덴서(C2) 사이에는 다이오드(D1)가 접속되어 있고 다이오드(D1)와 콘덴서(C1)의 접속점에는 제어전압(Vc)이 인가되고, 다이오드(D1)와 콘덴서(C2)의 접속점에는 저항(R1)이 접속되어 있다. 입력된 신호는 콘덴서(C1), 다이오드(D1) 및 콘덴서(C2)를 경유하여 출력되는데, 다이오드(D1)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차가 턴온 전압 이상이면 다이오드(D1)가 온되어 신호를 흘려준다. 이때, 다이오드(D1)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차가 변화하면 다이오드(D1) 내부저항의 크기가 변동되므로 제어전압(Vc)의 크기를 제어함으로써 다이오드(D1)를 통해 출력되는 신호를 가변하여 감쇄시킬 수 있다. 한편, 저항(R1)은 직류전원의 경로를 제공하여, 신호는 콘덴서(C2)를 통해 출력되고, 직류전원은 저항(R1)을 경유하여 접지단으로 흐르게 된다.
이상과 같은 종래의 가변 감쇄기(10)는 신호감쇄폭이 30dB 정도밖에 얻을 수 없어 신호를 보다 큰 감쇄폭을 조절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신호를 감쇄시키는 경우 보다 큰 감쇄폭으로 감쇄하도록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가변 감쇄기는, 제1콘덴서의 제1단자에 신호 입력단을 접속함과 동시에 제1저항을 경유하여 접지단을 접속하고, 상기 제1콘덴서의 제2단자에 제1다이오드의 양극단을 접속함과 동시에 제2저항을 경유하여 기준전압을 접속하고, 상기 제1다이오드의 음극단에 제2다이오드의 양극단을 접속함과 동시에 제2콘덴서를 경유하여 접지단을 접속하고, 상기 제2다이오드의 음극단에 제3콘덴서의 제1단자를 접속함과 동시에 제3저항을 경유하여 접지단을 접속하고 제4저항을 경유하여 제어전압을 접속하고, 상기 제3콘덴서의 제2단자에 신호 출력단을 접속함과 동시에 제5저항을 경유하여 접지단을 접속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 따른 가변 감쇄기(20)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다이오드(D2∼D3), 콘덴서(C3∼C5) 및 다수의 저항(R2∼R6)으로 연결 구성된다. 콘덴서(C3)의 제1단자에는 신호 입력단(IP)이 접속됨과 동시에 저항(R2)을 경유하여 접지단이 접속되고, 콘덴서(C3)의 제2단자에는 다이오드(D2)의 양극단이 접속됨과 동시에 저항(R3)을 경유하여 기준전압(+5V)이 접속된다. 다이오드(D2)의 음극단에는 다이오드(D3)의 양극단이 접속됨과 동시에 콘덴서(C4)를 경유하여 접지단이 접속되고, 다이오드(D3)의 음극단에는 콘덴서(C5)의 제1단자가 접속됨과 동시에 저항(R4)을 경유하여 접지단이 접속되고 저항(R5)을 경유하여 제어전압(Vc)이 접속된다. 또한 콘덴서(C5)의 제2단자에는 출력단(OP)이 접속됨과 동시에 저항(R6)을 경유하여 접지단이 접속된다.
저항(R3)을 통해 인가되는 기준전압(+5V)은 다이오드(D2,D3)를 턴온시키는 용도로 사용되고, 저항(R5)을 통해 인가되는 제어전압(Vc)으로서는 0∼+5V의 전압을 사용한다. 제어전압(Vc)이 +5V로 인가되는 경우에는 다이오드(D2,D3)가 오프 상태로 되고, 제어전압(Vc)이 +5V로부터 감소될수록 다이오드(D2,D3) 양단간의 전압차가 증가되어 다이오드(D2,D3)의 내부 저항이 감소된다. 그러므로, 제어전압(Vc)에 의해 다이오드(D2,D3)의 내부 저항을 변화시킴으로써 신호의 이득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가변 감쇄기(2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입력단(IP)에 인가된 신호는 콘덴서(C3), 다이오드(D2), 다이오드(D3) 및 콘덴서(C5)를 경유하여 출력단(OP)에 출력되는데, 다이오드(D2,D3)는 +5V의 기준전압에 의해 턴온되어 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제어전압(Vc)이 인가되면 해당 제어전압(Vc)에 따라 다이오드(D2,D3)의 양단에 걸리는 전압차가 변동되어 다이오드(D2,D3)의 내부 저항이 해당 전압차에 대응되게 변동되어 신호의 이득을 조절하는 바, 제어전압(Vc)이 5V로 인가되는 경우에는 다이오드(D2,D3)의 내부 저항이 최고치로 되어 신호를 최대로 감쇄시키고, 제어전압(Vc)이 5V로부터 감소될수록 다이오드(D2,D3) 양단간의 전압차가 증가되므로 다이오드(D2,D3)의 내부 저항이 감소되어 해당 내부 저항에 대응되게 신호를 감쇄시킨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전압(Vc)에 의하여 50dB 이상의 감쇄폭으로 신호를 감쇄시킬 수 있다.
한편, 가변 감쇄기(20)를 무선 LAN에 적용하는 경우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용할 수 있다. 즉, 무선 LAN의 수신단은 다수의 증폭기(31∼36)와 밴드 패스필터(40)로 이루어지는데, 증폭기(32)와 증폭기(33) 사이에 가변 감쇄기(20a)를 설치하고, 증폭기(36)의 입력단에 가변 감쇄기(20b)를 설치하여 가변 감쇄기(20a,20b)에 의하여 IF신호를 감쇄시킨다. 이때, 가변 감쇄기(20a)는 제어전압 발생회로(50a)에 의해 발생되는 제어전압에 따라 IF신호를 감쇄시키고, 가변 감쇄기(20b)는 제어전압 발생회로(50b)에 의해 발생된 제어전압에 따라 IF신호를 감쇄시킨다. 가변 감쇄기(20a,20b)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전압 발생회로(50a,50b)는 일반적인 오피앰프로 제작할 수 있어 저렴한 비용으로 회로구성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가변 감쇄기 50dB 이상의 감쇄폭으로 신호를 이득제어할 수 있어 고이득 제어가 필요한 회로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수mA 이하의 제어전류를 사용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오피앰프를 이용하여 제어전압 발생회로를 구성하여 포화상태에 도달하지 않고 신호 감쇄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Claims (1)

  1. 가변 감쇄기에 있어서, 제1콘덴서(C3)의 제1단자에 입력 신호단(IP)을 접속함과 동시에 제1저항(R2)을 경유하여 접지단을 접속하고, 상기 제1콘덴서(C3)의 제2단자에 제1다이오드(D2)의 양극단을 접속함과 동시에 제2저항(3)을 경유하여 기준전압을 접속하고, 상기 제1다이오드(D2)의 음극단에 제2다이오드(D3)의 양극단을 접속함과 동시에 제2콘덴서(C4)를 경유하여 접지단을 접속하고, 상기 제2다이오드(D3)의 음극단에 제3콘덴서(C5)의 제1단자를 접속함과 동시에 제3저항(R4)을 경유하여 접지단을 접속하고 제4저항(R5)을 경유하여 제어전압(Vc)을 접속하고, 상기 제3콘덴서(C5)의 제2단자에 신호 출력단(OP)을 접속함과 동시에 제5저항(R6)을 경유하여 접지단을 접속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변 감쇄기.
KR2019950050516U 1995-12-28 1995-12-28 가변 감쇄기 KR013354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0516U KR0133541Y1 (ko) 1995-12-28 1995-12-28 가변 감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50516U KR0133541Y1 (ko) 1995-12-28 1995-12-28 가변 감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684U KR970047684U (ko) 1997-07-31
KR0133541Y1 true KR0133541Y1 (ko) 1999-03-30

Family

ID=19440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50516U KR0133541Y1 (ko) 1995-12-28 1995-12-28 가변 감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54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7684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0071B1 (ko) 가변 감쇠기
EP0151532B1 (en) Voltage controlled diode attenuator
US4942375A (en) Variable attenuation device intended to be inserted between a transmitter circuit and load circuit
EP2008361B1 (en) Variable attenuation of broadband differential signals using pin diodes
US6542045B2 (en) High-frequency variable attenuator having a controllable reference voltage
KR0133541Y1 (ko) 가변 감쇄기
KR960012697A (ko) 제어가능한 전송 특성을 갖는 회로장치
US5255320A (en) Hearing aid
EP0993112B1 (en) A circuit arrangement improving the control characteristics of an attenuator
JPH04371010A (ja) π型ダイオード可変減衰器
KR200182977Y1 (ko) 저잡음 증폭기 이득조정회로
US4825176A (en) Control amplifier
JP2682005B2 (ja) 可変型減衰回路
EP0969596A3 (en) Variable attenuation circuit
JPH07231236A (ja) 電子減衰回路
KR100342742B1 (ko) 시디엠에이단말기에서의파워컨트롤다이내믹레인지확장장치
KR0133088Y1 (ko) 튜너의 알에프 신호 감쇄기
WO1999059242A3 (en) A method of reducing distortion and noise of square-wave pulses, a circuit for generating minimally distorted pulses and use of method and circuit
US5808520A (en) Attenuating circuit using quarter-wave lines
KR940001794B1 (ko) 무선증폭장치의 발진을 방지하기 위한 감쇄 제어회로
KR19980052701A (ko) 가변 감쇠 회로
JP3033492B2 (ja) 減衰器
JPH07336177A (ja) π型ダイオード可変減衰器
KR20020096028A (ko) 자동이득제어 회로
JPH11284458A (ja) 電力調整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