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510B1 - 도막건조방법 및 도막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도막건조방법 및 도막건조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510B1
KR0133510B1 KR1019910020087A KR910020087A KR0133510B1 KR 0133510 B1 KR0133510 B1 KR 0133510B1 KR 1019910020087 A KR1019910020087 A KR 1019910020087A KR 910020087 A KR910020087 A KR 910020087A KR 0133510 B1 KR0133510 B1 KR 0133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ating film
base material
hot air
infrared ray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0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9456A (ko
Inventor
세쓰오 다데
Original Assignee
세쓰오 다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31091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4180868A/ja
Priority claimed from JP3072604A external-priority patent/JP251417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099663A external-priority patent/JP251417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21600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108382B2/ja
Application filed by 세쓰오 다데 filed Critical 세쓰오 다데
Publication of KR920009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5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4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involving heating or 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2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 F26B3/3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radiation, e.g. from the sun from infrared-emit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판 등의 모재에 열경화수지 등의 도료를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한 피건조물(워크)를, 도막표면에 핀호올이나 발포의 발생을 방지하며 건조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구성은, 도막이 형성된 모재표면에 도막에 대하여 투과율이 높고, 모재로의 흡수율이 높은 영역의 적외선을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이다. 예컨대 근적외선을 사용한다.
이것에 의해 도막을 투과한 적외선은 모재에 흡수되고 모재표면이 가열된다. 그 때문에, 도막은 도막표면측에서가 아니고 모재표면측, 즉 도막이면측에서 가열되고, 도막은 이면측에서 고화된다.
도막의 표면은 끝쪽으로 고화되기 때문에, 도막중의 용재의 증발에 의해 도막표면이 찢어지고, 핀호올을 발생하는 일은 없다.
또한 도막건조방법 및 장치는 상기의 성질의 적외선에 더하여, 열풍을 병용하는 구성에 의해 온도얼룩을 없게하고, 핀호올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보다 건조시간을 단축하였다.
적외선과 열풍병용형은 적외선의 배후에서 열풍을 내뿜는 장치, 적외선 조사 방향과는 교차방향으로 열풍을 내뿜는 장치가 있다.

Description

도막건조방법 및 도막건조장치
제1도는 부틸화요소-부틸화 멜라민수지의 적외선 흡수곡선도,
제2도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수지의 적외선 흡수곡선도,
제3도는 MMA 호모폴리머(아크릴계)의 적외선 흡수곡선도,
제4도는 EMA 호모폴리머(아크릴계)의 적외선 흡수곡선도,
제5도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수지의 적외선 흡수곡선도,
제6도는 적외선 램프의 특성곡선도,
제7도 내지 제1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A에 관한 것이다.
제7도는 실시예 A1의 핸디형 건조장치의 중앙단면도,
제8도는 실시예 A2의 핸디형 건조장치의 중앙단면도,
제9도는 제7도의 후드에 에어빠짐의 슬릿을 설치한 후드부분확대도,
제10도는 실시예 A의 포물선 반사면의 부분확대단면도,
제11도는 실시예 A의 쌍곡선 반사면의 부분확대단면도,
제12도는 제7도에 도시하는 실시예 A1의 우측면도,
제13도 내지 제1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B에 관한 것이다.
제13도는 실시예 B의 건조장치의 정면사시도,
제14도는 동일한 측면도,
제15도는 동일한 개략단면도,
제16도는 동일한 배면사시도,
제17도는 동일한 사용상태도,
제18도 내지 제2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C에 관한 것이다.
제18도는 실시예 C1의 건조장치의 중앙단면도,
제19도는 실시예 C1의 건조장치의 적외선 램프부분의 일부확대도,
제20도는 제18도의 XX선 단면도,
제21도는 실시예 C2의 건조장치의 중앙단면도,
제22도는 제21도의 실시예 C2의 부분확대설명도.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도막의 건조방법 및 그의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모재 표면에 도포된 도막에 대한 투과율이 높고 또한 모재로의 흡수율이 높은 영역의 적외선, 예컨대 근적외선을 사용하는 도막건조방법 및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적외선과 열풍을 병용하는 도막건조방법 및 도막감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금속판 등의 모재에 각종 도료를 도포한 피건조물(이하 워크라함) 등을 건조시키는 건조방법으로서는, 소위 열풍로, 원적외선 이용의 건조로를 사용한 건조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들 건조방법의 건조 메카니즘은 이하와 같이 이해되고 있다.
즉, 우선 용제, 아크릴수지 등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도료를 표면에 도포한 모재(금속판 등로 이루어지는 워크(피건조물)을 로안으로 반입한다.
이어서, 열풍을 내뿜거나 원적외선을 조사한다. 그러면 모재에 도포된 도료표면의 용제가 우선 증발되고, 표면이 유동성을 상실하여 고형화한다.
열풍 등의 열이 내부에 즉 모재측에 전파되면 가열에 의해 도막의 고형화가 진행한다. 그러면 표면에서 내부의 용제는, 이미 고형화된 도막표면을 돌파하여 증발한다. 그러면, 발포의 흔적이 표면에 남고 핀호올이 생긴다.
그 때문에 종래의 열풍로 또는 원적외선 이용의 건조로에서는, 급격하게 가열하는 일없이 세팅룸에 의해 용제의 발산을 행한후 작은 온도경사로 원적외선을 조사하고 열풍을 내뿜어서 행한다.
그러나, 종래의 이들의 건조로를 사용한 건조방법으로는 발포가 생기지 않는 정도의 저온을 유지하면서 건조시키기 때문에 건조에 시간이 걸리는 과제를 가진다.
특히 열풍과 적외선과의 조합에 의한 단시간 건조를 목적으로 하는 가열로에서는, 도막표면은 보다 고온으로 되고 도막표면과 도막과의 계면에 해당되는 금속표면과의 온도차가 생겨 발포가 생기기 쉬운 과제를 가지고 있었다.
한편 「근적외선의 액체, 파우더, 코우팅, 스토브」(실개평 1-151873), 「도료 소부로 전용의 광판」(실개평 2-43217), USP 4,863,375「BAKING METHOD FOR USE WITH LIQUID OR POWDER VARNISHING FURANCE」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종래예에는 「1종 근적외선의 액체, 파우더, 코우팅, 스토브의 베이킹 방법」에 대한 기재가 있고, 「근적외선의 쾌속 고온과 관통력이 강한 특성을 이용하고 스토브의 베이킹 물품의 방법을 개량하여, 페인트를 쾌속으로 건조함과 동시에 그의 부착력을 증강하는 고안」, 즉 「소위 액체, 분말액체의 도장대로, 분말액체상태의 파우더, 액체도료, 기체 또는 유체를 운송매개체로 하여 그 물체표면에 부착시켜서, 그후 가열용융을 거쳐 균등하게 코트하는 도장법」에 대해서의 기재가 있다.
또는 「근적외선을 사용한 건조로, 또는 건조로내에 고온부와 저온부를 순차 형성하여 건조하는 건조방법, 또는 근적외선 램프의 배후에는 도자제 반사판을 설치하고, 및 도자제 반사판의 속에는 히터를 설치한다」는 취지의 기재가 있다.
또, 도장기술증간 10월호는 「중파장 적외선 라디에이터」에 대해서의 기재가 있다(1990년 10월 20일 주식회사 이공출판사 간행 211∼213 페이지).
즉「도막에 도달한 방사에너지는 그의 일부는 흡수되고, 일부는 반사하고, 일부는 투과한다. 이중 흡수된 에너지가 열로 변하여 도막을 가열, 건조시킨다. 도장의 경우는 모재, 보디가 있기 때문에 도막을 투과한 방사에너지가 모재를 가열하고, 열전도로 도막을 내측에서 가열한다.
① 근적외선 : 온도 2000∼2200℃, 최대에너지 파장 약 1.2μm, 에너지 밀도는 큼, 반사, 투과에너지가 크고, 상승속도가 빠름(1∼2초), 수명이 약 5000시간으로 짧다.
② 중적외선 : 온도 850∼900℃, 최대에너지 파장 약 2.5μm, 에너지 밀도는 중, 흡수, 투과에너지가 균형을 이루어 에너지가 막내로 침투, 수명이 길다.
③ 원적외선 : 온도 500∼600℃, 최대에너지 파장 약 3.5μm, 에너지 밀도작음, 잘 흡수되지만 도막표면으로 흡수, 가열되기 쉽고, 상승시간이 길다(5∼15분), 대류손실이 크다.」로 되어 있다.
또한, 「2. 최대효율의 중파장적외선「보다 빨리 건조하고 보다 좋은 도막품질을 얻는다」에는, 예컨대 최대효율로 가열, 건조시키는데는 다음의 2개의 조건을 동시에 만족하고 있을 필요가 있다.
① 적외선 라디에이터의 온도가 높은 반사에너지는 라디에이터의 절대온도(T)의 4승에 비례한다.
Eb∝T4
온도가 높을수록 방사에너지는 크게 된다.
② 최대에너지 파장이 도료의 피크 흡수율보다 어느정도 단파장 가까이에 있을 것 도료의 공업용 적외선 가열로 이용할 수 있는 최대 피크 파장은 예외없이 3㎛ 전후에 있다.
따라서 2.5μm 전후에 최대에너지 파장을 가지는 적외선 라디에이터가 흡수도 좋게 투과하고 모재도 가열하고 내부에서도 가열할 수 있다.
상기와 관련, 적외선 라디에이터의 온도(T)와 최대에너지 파장(λm)의 관계를 표시하는 비인의 변위법칙,
λm=2897/T에서
T=(t+273)=2897/2.5
t=880℃
중파장적외선이 이 조건을 만족하고 유효에너지가 크고 최대효율로 된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실개평 1-151873, 실개평 2-43217, USP 4,863,375 등에는 근적외선을 사용하여 도막건조를 행하는 취지의 기재는 있으나 사용되는 근적외선의 성질에 대하여는 일반적으로 기재하는데 그치고 금속표면에 도포되는 도막과 근적외선과의 관계에 의해 조사되는 적외선의 최적범위, 선택에 대하여는 기재가 없다.
한편, 종래의 도막건조에 사용되고 있던 원적외선, 중적외선으로는, 도막의 흡수율이 높은 영역, 즉 도막의 적외선 흡수율이 좋은 영역을 선택하여 사용하고 있었으나 이것은 도막표면으로부터 가열시키는 목적때문이다.
그러나, 도막의 흡수율이 높은 적외선을 사용하면 핀호올 발생의 과제를 본질적으로 갖게 된다. 그 때문에, 발포가 생기지 않는 정도의 저온을 유지하면서 건조시키기 때문에 건조에 시간이 걸리는 과제를 갖는다.
또, 먼저의 「도장기술증간 10월호」의 기재에는 적외선과 모재의 흡수율과의 관계에 의거한 적외선의 선택, 또는 핀호올 발생원인에 의거한 적외선의 선택에 대한 기재는 없고, 그리고 도장건조에 있어서는 「2.5μm 전후에 최대에너지 파장을 가지는 적외선 라디에이터가 흡수도 좋게, 투과하고, 모재도 가열하고 내부에서도 가열할 수 있다」라고 결론하고 있다.
한편, 발명자는 근적외선에 의해 모재표면에 도포된 도막의 건조를 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도포된 도막에 의한 적외선 흡수율이 높은 영역을 선택하는 것보다는 오히려 도막의 적외선 투과성이 높은 영역의 근적외선을 선택하면, 핀호올 발생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을 보고 알았다.
도막표면으로 부터가 아니고 도막에 피복된 피도물(모재)에 있어서 도막과의 계면에 위치하는 모재표면을 직접 가열하고, 모재표면에서 역으로 도막이 건조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즉, 일반적으로 모재로서 금속을 사용한 경우, 금속은 적외선의 파장이 길수록 반사율이 높아지고, 파장이 짧을수록 금속의 열흡수율이 높아진다. 그리고 도막에 관하여는, 근적외선을 사용하여 도막을 건조시키는 경우는, 오히려 도막에 대하여 투과율이 높은, 즉 도막의 흡수율이 나쁜 근적외선을 사용하여 건조시키면 핀호올이 형성되지 않고 가열된다고 추측된다.
종래 알려져 있는 건조장치는 대규모인 구조로부터 이루어지고 일반도장에 있어서 불량개소의 부분보수도장의 건조 또는, 자동차 등의 판금수리개소의 도장의 건조 등, 소부분의 건조에 적합한 건조방법, 건조장치는 없었다.
즉, 종래는 일반도장에 있어서 발견된 불량개소는, 부분적으로 보수도장을 행한 후 건조로에 재차 투입하여 건조한다. 그러면, 새로이 예컨대 수십분 등의 시간을 요하고, 그 사이 생산이 정지되는 과제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자동차 도막의 보수건조 등에 원적외선, 중적외선 등으로 이루어지는 적외선 램프를 조사하는 것은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적외선 램프만을 사용하여 워크에 적외선을 조사하면, 적외선이 조사된 범위는 일단 발열하지만, 조사범위외는 저온대로 있기 때문에, 워크로의 조사 범위외 또는 대기측으로의 열이동에 의해 온도상승에 시간이 걸리고 온도 얼룩이 생기는 과제를 가지고 있었다.
[발명의 간단한 개요]
본 발명은 금속판 등의 모재에 도료를 도포하여 도막을 형성한 워크를 도막표면에 핀호올이나 발포의 발생을 방지하여 건조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성은 도막이 형성된 모재표면에 도막에 대하여 투과율이 높고, 모재로의 흡수율이 높은 영역의 적외선을 사용하는 방법 및 장치이다.
예컨대 근적외선을 사용한다.
이것에 의해, 도막을 투과한 적외선은 모재에 흡수되고 모재표면이 가열된다. 그 때문에,도막은 모재표면측, 즉 도막이면측에서 가열되기 때문에, 도막은 이면측에서 고화된다. 도막의 표면은 끝의 쪽에서 고화되기 때문에, 도막중의 용재의 증발에 의해 도막표면이 찢어지고 핀호올을 발생시키는 일은 없다.
또한, 도막건조방법 및 장치는 상기의 성질의 적외선에 더하여 열풍을 병용하는 구성에 의해 온도 얼룩을 없게 하고, 핀호올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보다 건조시간을 단축하였다.
[실시예]
본 발명의 도막건조방법 및 도막건조장치에 의하여 건조되는 워크(피건조물)(100)은 금속판 모재 및 그의 표면에 도포되는 도료로 이루어진다.
도막이 형성되는 모재로서 금속판을 사용하는 경우 금속판으로서는, 철, 알루미늄, 구리, 놋쇠, 금, 베릴륨, 몰리브덴, 니켈, 납, 로듐, 은, 탄탈, 안티몬, 카드뮴, 크롬, 이리듐, 코발트, 마그네슘, 텅스텐 그외에 금속으로 이루어지지만, 특히 구리, 알루미늄, 철이 바람직하다.
금속판 표면에 도포되고 도막을 형성하는 도료로서는 아크릴계수지도료, 우레탄수지계도료, 멜라민수지계도료, 기타의 도료가 가능하다.
도막은 소위 분체도막(폴리에스테르계, 에폭시계, 아크릴계 등)을 용융시켜서 얻어진 도막이라도 좋다.
표 1∼표 4는 각 금속의 각 파장에 있어서의 반사율을 표시한다(AMERICAN INSTITUTE OF PHYSICS HANDBOOK 6-120).
반사율이 높을수록 흡수율이 낮고 반사율이 낮을수록 흡수율은 높아진다.
제1도는 부틸화요소-부틸화멜라민수지의 적외선 흡수곡선이다.
제2도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수지의 적외선 흡수곡선이다.
제3도는 MMA 호모폴리머(아크릴계)의 적외선 흡수곡선이다.
제4도는 EMA 호모폴리머(아크릴계)의 적외선 흡수곡선이다.
제5도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적외선 흡수곡선이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되는 근적외선 램프의 특성곡선과 비교예에 사용되는 원적외선 램프의 특성곡선을 표시한다.
근적외선 램프의 피크파장은 1.4μm, 원적외선 램프의 피크파장은 3.5μm이다.
모재로서 상기 종류의 금속판을 사용하고 도료로서 상기 종류의 도료를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워크(피건조물)(100)의 경우는 사용하는 적외선은 파장의 피크가 2μm 이하의 적외선 램프, 바람직하기는 1.2μm∼1.5μm의 소위 근적외선 램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인 도막건조방법은, 상기 종류의 워크(100)에, 상기의 파장의 적외선을 조사함으로써 행한다.
상기 파장의 적외선은 도막에 대한 투과율이 높고, 모재로의 흡수율이 높기 때문에 에너지는 모재에 많이 흡수되고 가열된다.
그 때문에 도막은 모재표면에 가까운 도막이면측에서 가열되고 고화된다.
따라서, 도막표면이 고화하지 않는 동안에 도막중의 용제가 증발하기 때문에 핀호올의 발생이 없다.
이하에 도막건조방법의 구체적인 실시예 1, 2와 비교예 1, 2를 표시한다.
도막건조방법의 실시예 1
근적외선 램프(출력피크 1.4μm)
금속판 본데강판(판두께 1㎜, 치수 100㎜×100㎜)
도료 멜라민계수지(간사이 페인트 주식회사 제품 아미락크 No. 1531. 백. 알키드·멜라민수지도료, 점도 20sec, 이와다컵 NK-2점도계).
도막건조방법의 비교예 1
원적외선 램프(출력피크 3.5μm)
금속판 본데강판(판두께 1㎜, 치수 100㎜×100㎜)
도료 멜라민계수지(간사이 페인트 주식회사 제품 아미락크 No. 1531. 백. 알키드·멜라민수지도료, 점도 20sec, 이와다컵 NK-2점도계).
도막건조방법의 실시예 2
근적외선 램프(출력피크 1.4μm)
금속판 본데강판(판두께 1㎜, 치수 100㎜×100㎜)
도료 아크릴계수지(간사이 페인트 주식회사 제품 마지크론 No. 1531. 백. 아크릴·멜라민·에폭시수지도료, 점도 20sec, 이와다컵 NK-2점도계).
도막건조방법의 비교예 2
원적외선 램프(출력피크 3.5μm)
금속판 본데강판(판두께 1㎜, 치수 100㎜×100㎜)
도료 아크릴계수지(간사이 페인트 주식회사 제품 마지크론 No. 1531. 백. 아크릴·멜라민·에폭시수지도료, 점도 20sec, 이와다컵 NK-2점도계).
상기의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에 대하여 각각의 도막두께가 30μm, 40μm, 50μm마다에 분위기 온도 및 조사시간이 130℃×12분, 140℃×10분, 150℃×10분, 150℃×8분, 160℃×6분, 170℃×5분, 180℃×4분의 조건으로 도막건조방법을 행하고 핀호올, 발포의 발생수를 조사하였다.
이 핀호올, 발포의 발생수의 결과를 표 5 내지 표 8에 표시한다.
실시예 1은 표 5, 비교예 1은 표 6, 실시예 2는 표 7, 비교예 2는 표 8이다.
상기의 도막건조방법의 결과에 의하면, 출력피크 1.4μm의 근적외선을 사용하고, 도막두께가 40μm로는 분위기제온도, 조사시간에 관계없이 핀호올의 발생은 전혀 없다. 또한 도막두께가 50μm이라도 조사온도 160℃ 이하에서는 핀호올이 발생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도막건조방법은, 상기 종류의 워크(100)에 상기의 파장의 적외선을 조사함과 동시에 열풍을 내뿜어서 행한다.
열풍은 적외선 조사와 동시이든가, 또는 늦게 내뿜고, 또한 열풍내뿜기 범위는 적외선 조사범위내이다. 열풍의 온도, 내뿜기 시간은 도료의 종류 등에 의해 다르지만 150℃ 내지 200℃이다.
이 도막건조방법에 의하면, 열풍에 의해 워크(100)의 표면온도가 일정이상의 온도로 유지됨과 동시에 도막은 모재측에서 가열, 고화되기 때문에 워크(100)의 온도얼룩의 발생을 방지하고, 건조시간을 단축한다.
제7도 내지 제12도는, 본 발명의 도막건조장치의 실시예 A에 관한 것이다. 적외선과 열풍을 병용한 핸디형의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7도는 핸디형 건조장치의 실시예 A1을 도시하고, 제8도는 핸디형 건조장치의 실시예 A2를 도시한다.
제7도에 도시하는 실시예 A1, 제8도에 도시하는 A2에 있어서 적외선 발생장치는 적외선 램프(1)이다.
이 실시예 A1, A2에서는 적외선 램프(1)는 파장의 피크가 2μm 이하의 적외선 램프, 바람직하기는 1.2μm∼1.5μm의 소위 근적외선 램프를 사용한다.
워크(100)의 모재표면에 도포된 도료의 도막에 대한 투과율이 높고, 또한 모재로의 흡수율이 높은 영역의 적외선을 모재, 도료의 종류에 따라서 제1도∼제6도, 표 1∼표 8에 의거하여 선택한다.
적외선 조사장치는, 적외선 램프(1)와 적외선 램프(1)의 배면에 설치되는 반사면(2)으로부터 이루어진다.
반사판(2)은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외선 램프(1) 측의 면은 거울면에서 형성된 초점을 가지는 곡면으로 이루어지고 곡면의 초점위치에 적외선 램프(1)가 설치된다.
제10도에 도시되는 실시예에서는 그의 단면이 포물선으로 이루어진 곡면을 가지고 광은 거의 평행광선을 이루고, 워크(100)에 조사되고 제11도에 도시되는 적외선 램프(1)에서는 반사면(2)은 그의 단면이 쌍곡선으로 되는 곡면으로 이루어진다. 그 때문에 제11도에 도시되는 적외선 램프(1)로는 적외선은 넓이를 가진 광속으로 되고 워크(100)에 조사된다.
제7도에 있어서, 3은 열풍토출구, 4는 히터, 5는 팬, 6은 팬을 구동하는 전원장치, 7은 에어취입구이다. 8은 반사면(2)에 슬라이드 자유롭게 부착한 신축자유로운 후드, 9는 손잡이부이다.
즉, 에어취입구(7)에서 팬(5)의 회전에 의해 취입된 에어는 히터(4)로 가열되고,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면(2)에 설치된 열풍토출구(3)에서, 반사면(2), 후드(8) 내에 토출되고, 워크(100) 표면을 가열한다. 동시에 적외선 램프(1)에서 근적외선이 워크(100)에 조사된다.
제8도에 도시하는 실시예 A2에서는 적외선 조사장치의 적외선 램프(1)와 반사면(2)은 후드(8)의 외측에 수개 부착된다.
이 도시실시예에서는 적외선 조사장치는 2개이다.
제9도에 도시되는 실시예 A3에서는 제7도에 도시되는 후드(8) 선단에 에어빠짐용의 슬릿(10)을 복수설치한 구성이다.
이 실시예 A3에서는 후드(8)는 워크(100)에 될 수 있는대로 근접시켜서 후드(8) 내에서 일종의 밀폐된 분위기 온도영역을 만들어 열풍을 유리하게 이용한다.
워크(100)를 120℃까지 가열하는데 반사판 부착과 반사판없는 적외선 램프를 각각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반사판없는 것으로는 7분 걸린 경우도, 반사판을 부착시킴으로써 1분 20초로 같은 온도에 도달하였다.
또한 최고도달온도는 반사판 부착의 경우가 반사판 없는 것에 비교하여 1.65배에 달하였다.
표 9는 소재에 본데강판을 사용하여 열풍으로만, 열풍과 적외선 램프병용에 의한 가열방법에 있어서 시간단위의 본데강판의 온도상승의 비교이다.
열풍과 적외선 병용형의 온도상승이 빠르고 유효하다.
본데강판에 멜라민수지도막을 형성하고 건조시킨 경우에도, 이 실시예 A는 열풍만의 열풍로에 비하여, 도막을 효율좋게 가열하고, 건조시간은 훨씬 단축된다.
표10은 실시예 A의 핸디형 건조장치와 열풍로와의 비교표이고, 각 도료가 표준경도에 달할 때까지의 온도 및 시간을 비교한다.
제13도 내지 제1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B에 관한 것이고, 적외선과 열풍을 병용하여 적외선의 배면에서 열풍을 워크(W)로 내뿜는 도막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3도는 실시예 B의 정면사시도, 제14도는 동일한 측면도, 제15도는 동일한 개략단면도, 제16도는 동일한 배면사시도이다.
제17도는 사용상태도이다. 11은 적외선 램프이다.
적외선 램프(11)는, 워크(피건조물)(100)의 금속판으로서 철, 알루미늄, 구리, 놋쇠, 금, 벨리륨, 몰리브덴, 니켈, 납, 로듐, 은, 탄탈, 안티몬, 카드뮴, 크롬, 이리듐, 코발트, 마그네슘, 텅스텐으로부터 이루어지는 금속판을 사용하고, 도료로서 아크릴계수지도료, 우레탄수지계도료, 에폭수지계도료, 멜라민수지계도료, 불소계 도료를 사용하는 경우는 파장의 피크가 2μm 이하의 적외선 램프, 바람직하기는 1.2μm∼1.5μm의 소위 근적외선 램프로 이루어진다.
적외선 램프(11) 표면에서 워크(100) 표면까지는 약 250∼300㎜에 설치하였다.
12는 열풍분사용구, 13은 램프테이고, 열풍분사구(12)는 슬릿상으로 이루어진다. 램프테(13)에는 적외선 램프(11)를 복수개, 이 실시예에서는 3개를 평행으로 설치한다. 열풍분사구(12)는 적외선 램프(11)의 사이에 개구시킨다.
또한, 적외선 램프(11)의 단부에 적외선 램프(11)와 직각으로 설치하여도 좋다. 그 경우는 개구부를 크게 취함으로써 풍량을 크게하는 것이 가능하다.
14는 후드이고, 램프테(13)의 선단에 부착한다. 15는 열풍공급관이다.
다음에, 실시예 B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워크(100)의 표면에 모재표면에 도포된 도료의 도막에 대한 적외선 투과율이 높고 또한 모재의 흡수율이 높은 영역의 적외선을 적외선 램프(11)에 의해 조사함과 동시에 적외선의 유효조사범위(a) 내에 열풍분사구(12)에서 열풍내뿜기 범위(b)의 범위로 열풍을 내뿜는다.
그러면, 적외선의 유효조사범위(a) 내에서는, 열풍에 의해 일정이상의 온도로 유지됨과 동시에 도막을 통과하여 모재와 도막의 사이에서 적외선에 의해 가열된다. 이때, 열풍내뿜기범위(b)는 적외선 유효조사범위(a) 내에 있다.
도막을 투과한 적외선은 표면에 도막형성된 모재에 흡수되고 모재 표면이 가열된다. 그 때문에 도막은 모재표면에 가까운 도막이면에서 가열되고 고화되기 시작한다.
열풍에 의해 표면도막이 형성되지 않는 동안에 도막중의 용제가 증발하고 핀호올을 형성하는 일은 없다.
실시예 B의 적외선 열풍병용건조장치를 산형로, 터널로 등의 로체중에 설치하여도 좋다.
그 경우는 에너지 로스를 적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 방취상 유효하다.
제18도 내지 제2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 C의 도막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C는 적외선과 열풍을 병용하고, 적외선의 조사방향과 교차방향으로 열풍을 내뿜는 도막건조장치이다.
제18도는 본 실시예 C1의 중앙단면설명도이다.
제19도는 적외선 램프부분의 일부확대정면도, 제20도는 제18도의 XX 단면도,
제21도는 실시예 C2의 중앙단면설명도, 제22도는 제21도의 일부확대도이다.
16은 적외선 발생장치이고, 이 실시예에서는 적외선 램프로 이루어진다. 워크(피건조물)(100)의 모재 및 도료 및 적외선 램프(16)의 파장, 적외선 램프(16)와 워크(100)의 거리 등에 대하여는 실시예 B와 같다.
17은 집광용 거울이다. 집광용 거울(17)은 수평방향으로 복수개 설치된 적외선 램프(16)의 배면에 설치된다.
복수개의 적외선 램프(16)로 이루어지는 각 뱅크는 워크(100)의 반송방향을 끼운 양측에 워크(100)를 끼워 터널로(24)의 내측면에 각각 대향시켜서 설치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터널로내(24)내에 한쌍의 뱅크를 설치하였으나, 2 이상이라도 좋다. 39는 워크반입구, 40은 워크반출구이다.
18은 열풍토출구이고 터널로(24)의 마루면에 설치된다.
19는 열풍흡입구이고 터널로(24)의 천정면에 설치된다.
열풍토출구(18)는 열풍흡입구(19)에 대향시켜서 설치되고, 양자는 순화덕트(20)에 의해 연결된다.
순환덕트(20)에는 열풍흡입구(19)에서 에어를 열풍토출구(18)로 이동시키는 팬(21), 이동되는 에어를 가열하는 가열부(22)를 설치한다.
가열부(22)에서는 전기저항에 의한 가열을 사용하는 열원에 의해 에어는 가열되지만 다른 수단에 의한 가열이라도 좋다.
23은 필터이고, 순환덕트(20)내에 섞인 더스트를 제거한다.
25는 워크(100)를 터널로(24)내외에 반송하는 컨베이어이다.
다음에 실시예 C1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워크(100)의 표면에, 모재표면에 도포된 도료의 도막에 대한 적외선 투과율이 높고, 또한 모재의 흡수율이 높은 영역의 적외선을 적외선 램프(16)에 의해 조사함과 동시에 적외선의 조사방향과 교차하는 방향, 이 실시예에서는 워크(100)의 반송방향과 평행인 수평방향으로 적외선의 조사는 이루어지고, 열풍의 내뿜기는 마루면에서 천정면으로의 수직방향으로 이루어진다. 양자의 교차위치를 워크(100)가 통과하도록 열풍토출구(18)에서 열풍을 토출한다.
그러면, 적외선의 유효조사범위내(41)에서는 열풍에 의해 일정이상의 온도로 유지됨과 동시에, 도막을 통과하여 모재와 도막 사이에서 적외선에 의해 가열된다. 워크(100)를 가열한 열풍은 열풍흡입구(19)에 흡입되고, 순환덕트(20)를 순환하여 재차 가열되고 열풍토출구(18)에서 토출한다.
근적외선의 조사만에 의한 가열을 했을 경우는 온도상승지연에 의한 온도 얼룩의 발생이 생기는 경우가 있으나, 근적외선만에 의하지 않고, 열풍에 의한 가열을 가함으로써, 온도얼룩의 발생을 방지한다.
적외선 조사와 열풍내뿜기는 동시에 이루어진다.
또는 적외선 조사후에 열풍내뿜기를 행한다.
적외선을 조사시키기전에 열풍을 워크(100)에 내뿜은 경우는, 열풍에 의해 도막표면측에서 가열되기 때문에, 표면건조(표면고화)가 생기고, 표면에 얇은 격막이 발생한다.
그 후, 적외선에 의해 모재측에서 가열되면 내부의 용제는 이미 고형화된 격막표면을 찢어서 증발하고 발포의 자리가 표면에 남고 핀호올이 생긴다.
실시예 C1은 워크(100)의 도막에 대하여 투과율이 높고, 모재로의 흡수율이 높은 영역의 적외선으로 이루어지는 적외선 램프(16)를 조사하고, 동시에 열풍도 에어토출구(18)에서 내뿜어진다.
열풍내뿜기 범위(42)는 적외선 조사범위(41)내에서 내뿜는다.
도막을 투과한 적외선은 모재로 흡수되고 모재표면이 가열된다.
그 때문에 도막은 적외선에 의해 모재표면에 가까운 도막이면에서 가열되고 고화되기 시작하여 열풍에 의해 도막표면이 고화되지 않는 동안에, 도막중의 용제는 증발한다.
따라서, 도막표면건조에 의해 용제의 기화발산시에 핀호올이나 기포가 생기는 일은 없다.
실시예 C1을 산형로, 터널로 등의 로체중에 설치하여도 좋다.
그 경우는 에너지 로스를 적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또 방취상 유효하다.
다음에 제21도, 제22도에 도시되는 실시예 C2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는 제18도∼제20도에 도시되는 실시예의 개구부에 에어커튼(26)을 설치한 구성이다.
터널로(24)에는 워크반입구(39), 워크반출구(40)와 같은 2개의 개구부를 가진다. 16은 적외선 램프이다.
이 실시예에도 적외선 램프(16)는, 파장의 피크가 2μm 이하의 적외선 램프, 바람직하기는 1.2μm∼1.5μm의 소위 근적외선 램프를 사용한다.
워크(100)의 모재표면에 도포된 도료의 도막에 대한 투과율이 높고 또한 모재로의 흡수율이 높은 영역의 적외선을 모재, 도료의 종류에 따라서 제1도∼제6도, 표 1∼표 8에 의거하여 선택하고 터널로(24)내의 필요개소에 설치한다.
에어커튼(26)은 터널로(24)의 워크반입구(39)에 설치되지만, 워크반출구(40)에도 설치하여도 좋다. 에어커튼(26)은 에어취출구(27)와, 에어흡입구(28)로 이루어진다.
29는 팬, 30은 순환덕트이고, 에어취출구(27), 에어흡입구(28)를 연결한다.
31은 필터이고, 순환덕트(30)의 팬(29)에서 에어취출구(27)측으로 설치된다.
팬(29)은 에어흡입구(28)로 흡기된 공기를 에어취출구(27)에서 취출되도록 에어를 순환시킨다. 41은 적외선 램프(16)의 유효조사범위이다.
에어커튼(26)의 에어취출범위(42)의 에어는, 제2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 유효조사범위(41)와 저촉하여도 좋다.
33, 34는 모듀스트롤 모우터이다. 35, 36은 담파이다.
담파(35)는 순환덕트(30)의 팬(29)에서 상류측으로 설치되고, 모듀스크롤 모우터(33)에 의해 작동된다. 담파(36)는 에어흡입구(28)의 하류측에 설치되고, 모듀스트롤 모우터(34)에 의해 작동된다.
37은 배기팬이고 담파(36)에 연통하는 배기덕트(43)에 설치한다.
38은 온도조절계이고, 에어취출구(27)에 설치되고, 취출에어온도를 감지하고, 모듀스크롤 모우터(33, 34)의 작동을 제어한다.
냉각장치(32)는 이들에 의해 구성된다.
다음에 실시예 C2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료를 도포한 워크(100)를 워크반입구(39)에서 터널로(24)내로 반입한다.
워크(100)는 에어커튼(26)을 통과하고, 에어취출구(27)로 에어를 내뿜는다. 이 때, 에어커튼(26)에서 공급되는 에어는, 냉각장치(32)에 의해 자동적으로 일정범위의 온도로 냉각되고, 온도상승이 억제되고 있다.
그 때문에, 에어가 워크(100) 표면에 저촉되어도 도막표면에 작용하여 표면이 고화되는 일이 없다.
예컨대, 터널로(24) 내온도가 160℃로 에어취출구(27)가 취출한 에어의 설정온도가 80℃인 경우, 실제로 취출되는 에어취출구(27)의 에어를 온도조절계(38)가 110℃로 검지하면(이 경우 에어흡입구(28)에서는 일반적으로 130℃), 30℃의 온도차를 수정하게끔 모듀스트롤 모우터(33, 34)를 작동시킨다.
그러면, 모듀스트롤 모우터(33, 34)는 담파(35)를 개구시켜, 외기를 순환덕트(30)내로 도입시킨다.
모듀스트롤 모우터(34)는 담파(36)를 개구시켜, 배기팬(37)을 작동시켜 순환덕트(30)내의 에어를, 배기덕트(43)를 통하여, 순환덕트(30)외로 배기시킨다.
온도조절계(38)가 에어취출구(25)에서 취출된 에어의 온도가 취출설정온도 이하로 된 것을 감지하면, 각 담파(35, 36)는 그의 개구도로 유지되고 에어커튼(26)의 온도를 일정 수준으로 유지시킨다.
그런데, 건조로의 개구부에, 종래의 단순순환타입의 에어커튼을 설치한 로에, 「모재 표면에 도포된 도료의 도막에 대한 투과율이 높고, 또한 모재로의 흡수율이 높은 영역의 적외선을 사용하여, 모재 표면에 형성된 도막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의 건조방법」을 사용하면 핀호올이 다수 발생한다.
그 이유는 종래의 열풍로 등의 건조로에 비해, 「모재표면에 도포된 도료의 도막에 대한 투과율이 높고 또한 모재로의 흡수율이 높은 영역의 적외선을 사용하여, 모재표면에 형성된 도막을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의 건조방법」을 사용하는 건조로는 효율이 좋다. 건조로에서의 방열은 크고, 에어커튼에 공급되는 에어의 온도는 대단히 상승하기 쉽다.
그 때문에, 워크(100)는 건조로내에서 적외선을 조사하기전에 로내온도에 가까이까지 가열된 에어커튼에 의해 가열된다.
이것에 의해, 워크(100)는 도막표면측에서 가열되고, 표면건조(표면고화)에 의한 얇은 격막이 발생한다. 그후, 적외선에 의해 모재측에서 가열되면 내부의 용제는 이미 고화된 격막표면을 찢고 증발한다.
그러면, 발포의 자리가 표면에 남고 핀호올이 생긴다.
적외선의 유효조사범위(41) 밖에서는 오히려 워크(100)에는 가열된 공기의 영향을 주지않는 편이, 핀호올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실시예 C2와 같이 구성되면, 에어커튼(26)의 취출에어는, 일정온도 범위로 유지되기 때문에, 도막표면은 고화되지 않고, 도막중의 용제가 증발하여 핀호올을 형성하는 일은 없다. 이어서, 터널로(24)내에서 제18도∼제20도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워크(100)의 모재표면에, 도막에 대하여 투과율이 높고, 모재로의 흡수율이 높은 영역의 적외선으로 이루어진 적외선 램프(16)를 조사함과 동시에, 적외선 조사방향과는, 교차방향의 열풍토출구(18)에서 열풍을 내뿜는다. 그러면, 도막을 투과한 적외선은 모재에 흡수되어 모재표면이 가열된다.
동시에 열풍에 의해 가열되기 때문에 온도얼룩은 생기지 않는다.
그 때문에, 도막은 모재표면에 가까운 도막이면에서 가열되고 고화된다.
표11은 제21도에 도시되는 실시예 C2에 있어서의 에어커튼의 풍속과 온도를 바꾼 경우의 도막의 핀호올 발생상태를 나타낸다.
핀호올의 발생을 방지하는데는 거의 에어취출온도를 80℃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취출구 10m/s일 때 에어흡기구에서는 4m/s, 에어취출구에서 7m/s일 때 에어흡기구에서는 2.8m/s, 에어취출구에서 4m/s일 때 에어흡기구에서는 1.2m/s이었다. 실시예 C2에서는 근적외선 조사와 열풍내뿜기, 및 일정의 냉각온도 범위의 에어를 취출하는 에어커튼을 조합해서 사용하는 것으로 또한 발포, 핀호올의 발생을 방지한다.
적외선과 열풍을 병용하는 실시예 A, B 및 C에 있어서, 워크(100)의 도료가 멜라민계도료인 경우 130℃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150℃ 이상의 열풍을 1.0m/sec 이상, 바람직하기는 2.0m/sec 이상으로 공급한다.
아크릴계수지도료의 경우는, 1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70℃ 이상의 열풍을 1.0m/sec 이상 바람직하기는 2.0m/sec 이상으로 공급한다.
이들 온도, 풍속은, 적외선 램프(1, 11, 16)와 워크(100)와의 거리 등에 의해 선택한다.
표 12는 도막(열경화도료) 이 그의 표준경도에 달할 때까지의 시간을 종래의 열풍방식건조장치와 실시예 B, C의 사용의 건조장치에 의해 비교한 표이다.
온도는 열풍로 사용의 경우는 로내 분위기 온도, 실시예 B, C에서는 워크 표면부근의 분위기 온도이다.
그 결과, 각각의 경화에 이르는 소요시간은 본 발명의 실시예 장치가 종래의 열풍로와 비교하여 하기와 같이 단축되었다.
1. 멜라민에서, 1/10
2. 아크릴에서, 1/18
3. 폴리에스테르에서, 약 1/4.4
4. 불소에서, 약 1/3.6
이들 2종류의 건조장치에 의한 테스트 결과의 비교에 의해 본 발명의 건조장치의 효과가 현저하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표 13은 실시예 B, C에 의한 근적외선 및 열풍병용건조장치와 근적외선만의 건조장치의 비교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 B, C의 건조장치를 사용하여 근적외선 램프조사만과, 근적외선 조사와 열풍내뿜기를 동시에 행하는 병용형에 의해 온도와 시간과 도막경도의 관계를 아크릴도료를 선택하여 비교하였다.
근적외선 조사와 열풍내뿜기 병용형은 온도조건을 110℃와 170℃의 두가지로 하여 테스트하였다.
표13에 표시한 바와 같이 근적외선 조사만에 대한, 열풍병용형의 소요시간은 이하와 같이 된다.
가. 경도(H)를 기준으로 하면
① 110℃의 열풍을 분출시키면, 약 1/4.6
② 170℃의 열풍을 분출시키면, 약 1/7
나. 경도(2H)를 기준으로 하면
① 110℃의 열풍을 분출시키면, 약 1/4.5
② 170℃의 열풍을 분출시키면, 약 1/9
상기의 결과, 근적외선 램프조사만과, 열풍+근적외선 조사병용형으로는, 도막의 경화속도에는 커다란 차이가 있고, 그위에 열풍의 온도가 높으면 높을수록 경화의 시간단축이 진행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표 13 중의 110℃, 170℃는 어느 것도 열풍의 워크표면부근의 온도를 표시한다.
다음에, 실시예 B, 실시예 C의 건조장치를 사용하여 열풍만을 분사하여, 시간의 경과와 도막경도의 관계를 멜라민도료 및 아크릴도료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1. 샘플판 본데강판 0.8㎜(두께) 사이즈 600㎜×700㎜
2. 열풍풍속 2.0m/sec
3. 도료점도 18∼19sec/NK-2(점도계)
9분간 측정하였으나, 양자같이 경도는 B 이하로 실용에 적합하지 않았다.
표 14는 본 발명의 각 실시예를 테스트한 사용기기 및 사용재료 및 테스트 시의 실내조건을 표시한다.
테스트사양기기 및 재료 및 테스트시의 실내조건

Claims (24)

  1. (1) 도막에 사용되는 물질에 따라 정해진 소정의 시간 주기동안 상기 도막에 2μm 미만에서 에너지 피크를 가지는 근적외선을 조사하는 단계 ;
    (2) 상기 도막을 통하여 전달되어 모재로 흡수되는 상기 근적외선의 일부에 의해 상기 모재가 가열되는 단계 ; 및
    (3) 상기 도막중의 용제가 상기 도막이 고화하기 전에 증발되어 건조된 도막이 핀호울을 발생하지 않도록 도막을 그 이면을 통하여 상기 가열된 모재와 함께 가열하는 단계 ; 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재상의 도막건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의 단계와 병용하여 도막에 사용되는 물질에 따라 정해진 소정온도의 열풍을 내뿜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재상의 도막건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의 단계에서 조사되는 근적외선이 1.2μm 내지 1.5μm의 영역에서 에너지 피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재상의 도막건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막은 아크릴수지, 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및 멜라민수지중의 어느 한 물질로 구성되며, 상기 모재는 금속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재상의 도막건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은 철, 알루미늄, 구리, 놋쇠, 금, 벨리륨, 몰리브덴, 니켈, 납, 로듐, 은, 탄탈, 안티몬, 카드뮴, 크롬, 이리듐, 코발트, 마그네슘 및 텅스텐 중의 어느 한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재상의 도막건조방법.
  6. 모재상의 도막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몸체 ; 상기 도막중의 용제가 상기 도막이 고화하기전에 증발되어 건조된 도막이 핀호울을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도막을 가열하는 수단 ; 으로 구성되며, 상기 가열수단은 상기 모재가 제1근적외선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도막이 상기 모재에 의해 가열되도록 상기 도막 및 모재상에 2μm 미만에서 에너지 피크를 가지는 상기 제1근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상기 몸체내에 배열된 제1적외선 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건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적외선 발생장치와 동시에 작동하는 열풍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열풍장치는 상기 도막에 열풍을 내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건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 및 상기 제1근적외선은 상기 도막의 동일한 부분에 조사 및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건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근적외선은 1.2μm 내지 1.5μm의 영역에서 에너지 피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건조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는 철, 알루미늄, 구리, 놋쇠, 금, 벨리륨, 몰리브덴, 니켈, 납, 로듐, 은, 탄탈, 안티몬, 카드뮴, 크롬, 이리듐, 코발트, 마그네슘 및 텅스텐 중의 어느 한 물질로 구성되며, 상기 도막은 아크릴수지, 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및 멜라민수지중의 어느 한 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건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반사면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적외선 발생장치는 상기 제1근적외선이 소정의 방향으로 상기 반사면에 의해 반사되도록 상기 반사면 내부에 배열된 적외선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건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열풍장치는 열풍을 상기 소정의 방향으로 내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건조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근적외선이 상호 평행한 독립된 비임으로 반사되도록 상기 반사면이 포물선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건조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근적외선이 방사상 배열을 이루어 독립된 비임으로 반사되도록 상기 반사면이 쌍곡선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건조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몸체내에 배열되어 도막상으로 제2근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제2적외선 발생장치를 더 포함하며, 열풍장치는 열풍을 상기 제1 및 제2근적외선의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내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건조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터널형상의 로(furnac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건조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개구부를 가지고, 상기 개구부 부근에 배열된 에어커튼 및 상기 에어커튼의 온도를 감지하고 제어하는 온도제어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건조장치.
  18. 모재상의 도막을 건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몸체 ; 도막중의 용제가 상기 도막이 고화하기전에 증발되어 건조된 도막이 핀호울을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도막상에 제1근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상기 몸체내에 배열된 제1적외선 발생장치 ; 상기 제1근적외선이 소정의 방향으로 반사되도록 제1적외선 발생장치의 적외선 램프를 내부에 포함하는 반사면 ; 상기 반사면상에 미끄럼 가능하게 배열된 후드부 ; 및 상기 제1적외선 발생장치와 동시에 작동하며, 상기 도막에 열풍을 내뿜는 열풍방생장치 ; 로 구성되며, 상기 열풍 및 상기 제1근적외선은 상기 도막의 동일부분에 조사 및 토출되고, 상기 제1근적외선은 1.2μm 내지 1.5μm의 영역사이에서 에너지 피크를 가지며, 상기 모재는 철, 알루미늄, 구리, 놋쇠, 금, 벨리륨, 몰리브덴, 니켈, 납, 로듐, 은, 탄탈, 안티몬, 카드뮴, 크롬, 이리듐, 코발트, 마그네슘 및 텅스텐 중의 어느 한 물질로 구성되며, 상기 도막은 아크릴수지, 우레탄수지, 에폭시수지 및 멜라민수지중의 어느 한 물질로 구성되며, 상기 반사면은 상기 제1근적외선이 상호 평행한 독립된 비임으로 반사되도록 포물선형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건조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손으로 운반될 수 있도록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건조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후드부는 열풍이 방출되는 적어도 하나의 슬릿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건조장치.
  21. 제1 및 제2 대향표면을 가지며, 제1표면이 모재와 접촉하도록 모재상에 형성된 도막을 건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1) 도막에 대하여 높은 투과율을 가지고 모재에 대하여 높은 흡수율을 가지는 적외선을 도막에 조사하는 단계 ;
    (2) 모재가 가열되도록 모재내부에 적외선이 흡수되는 단계 ;
    (3) 도막이 제1표면에서 제2표면쪽으로 점차 고화되도록 도막을 제1표면에서 이면을 통하여 가열된 모재와 함께 가열하는 단계 ; 및
    (4) 적외선의 조사방향과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으로 열풍을 내뿜는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건조방법.
  22. 모재상의 도막을 건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개구부를 구비한 몸체 ; 상기 도막중의 용제가 상기 도막이 고화하기 전에 증발되어 건조된 도막이 핀호울을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도막을 가열하며, 모재가 제1근적외선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도막이 상기 모재에 의해 가열되도록 상기 도막 및 모재상에 상기 제1근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상기 몸체내에 배열된 제1적외선 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가열수단 ; 상기 제1적외선 발생장치와 동시에 작동하며, 상기 도막에 열풍을 내뿜는 열풍발생장치 ; 상기 개구부에 인접하고 상기 열풍에서 이격된 에어커튼을 발생시키는 수단 ; 및 상기 에어커튼의 온도를 감지하고 제어하는 온도제어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건조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열풍발생장치는 열풍을 상기 제1근적외선의 조사방향과 수직방향으로 도막상에 열풍을 내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건조장치.
  24. 모재상의 도막을 건조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몸체 ; 도막중의 용제가 상기 도막이 고화하기 전에 증발되어 건조된 도막이 핀호울을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도막상에 제1근적외선을 발생시키는 상기 몸체내에 배열된 제1적외선 발생장치 ; 반사면 ; 및 상기 반사면상에 미끄럼 가능하게 배열된 후드부 ; 로 구성되며, 상기 제1적외선 발생장치는 상기 제1근적외선의 상기 반사면에 의해 소정의 방향으로 반사되도록 반사면 내부에 배열된 적외선 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막건조장치.
KR1019910020087A 1990-11-16 1991-11-12 도막건조방법 및 도막건조장치 KR01335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310916 1990-11-16
JP2310916A JPH04180868A (ja) 1990-11-16 1990-11-16 塗膜の乾燥方法
JP3072604A JP2514177B2 (ja) 1991-03-12 1991-03-12 赤外線および熱風併用乾燥装置
JP91-72604 1991-03-12
JP91-99663 1991-04-04
JP3099663A JP2514178B2 (ja) 1991-04-04 1991-04-04 赤外線および熱風併用乾燥装置
JP3216001A JPH07108382B2 (ja) 1991-08-01 1991-08-01 ハンディ乾燥装置
JP91-216001 1991-08-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456A KR920009456A (ko) 1992-06-25
KR0133510B1 true KR0133510B1 (ko) 1998-04-21

Family

ID=27465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0087A KR0133510B1 (ko) 1990-11-16 1991-11-12 도막건조방법 및 도막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351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5173B1 (ko) * 2000-02-29 2002-10-11 주식회사 한국다크로 금속류의 방청피막 형성방법
KR100449315B1 (ko) * 2001-12-29 2004-09-18 얼라이드레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근적외선 히터 모듈과 이를 갖는 건조 시스템 및 이의제어방법
KR100935915B1 (ko) * 2007-12-31 2010-01-06 동부제철 주식회사 연속칼라강판 생산라인에서 근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작업자동제어 방법
KR20140104225A (ko) * 2013-02-20 2014-08-28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압축기용 슬라이딩 부품 제조 방법
KR20200015171A (ko) 2018-08-03 2020-02-12 박강훈 슬리브형 나사 연결구
KR20200123920A (ko) 2019-04-23 2020-11-02 박강훈 슬리브형 나사 연결구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5173B1 (ko) * 2000-02-29 2002-10-11 주식회사 한국다크로 금속류의 방청피막 형성방법
KR100449315B1 (ko) * 2001-12-29 2004-09-18 얼라이드레이테크놀로지 주식회사 근적외선 히터 모듈과 이를 갖는 건조 시스템 및 이의제어방법
KR100935915B1 (ko) * 2007-12-31 2010-01-06 동부제철 주식회사 연속칼라강판 생산라인에서 근적외선을 이용한 건조작업자동제어 방법
KR20140104225A (ko) * 2013-02-20 2014-08-28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압축기용 슬라이딩 부품 제조 방법
KR20200015171A (ko) 2018-08-03 2020-02-12 박강훈 슬리브형 나사 연결구
KR20200123920A (ko) 2019-04-23 2020-11-02 박강훈 슬리브형 나사 연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456A (ko) 1992-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45337B2 (ja) 冷光−紫外線−照射装置
CN102906521B (zh) 干燥方法
US5319861A (en) Drying method and device for coated layer
EP2060863B2 (en) Coating film drying method and coating film drying apparatus
WO1988003193A1 (en) Procedure and means for drying moving web material
KR0133510B1 (ko) 도막건조방법 및 도막건조장치
EP0486035B1 (en) Drying method and devices for coated layer
CN102341189B (zh) 油漆固化的方法与装置
JP3112582B2 (ja) 自動車塗装ブース並びに乾燥ブース
JPH05138107A (ja) 塗装用乾燥炉
JP3200174B2 (ja) 加熱装置
JP2514178B2 (ja) 赤外線および熱風併用乾燥装置
JP2514179B2 (ja) 炉内気体吐出装置
Ojala et al. Modeling, measurements and efficiencies of infrared dryers for paper drying
JP2514177B2 (ja) 赤外線および熱風併用乾燥装置
JP2733806B2 (ja) 乾燥方法
US20030061726A1 (en) Method for drying coatings on substrates for lamps
JPH10328604A (ja) 水系塗膜の乾燥装置
JPH05317784A (ja) 加熱装置
JP2712944B2 (ja) 塗装用乾燥炉
JPH0534068A (ja) 乾燥装置
JPH0550008A (ja) 乾燥装置
JPH0531436A (ja) ハンデイ乾燥装置
JPH0557232A (ja) 乾燥方法
JPH0691222A (ja) 塗膜の乾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21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