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502B1 - 전자유량계 - Google Patents

전자유량계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502B1
KR0133502B1 KR1019930001325A KR930001325A KR0133502B1 KR 0133502 B1 KR0133502 B1 KR 0133502B1 KR 1019930001325 A KR1019930001325 A KR 1019930001325A KR 930001325 A KR930001325 A KR 930001325A KR 0133502 B1 KR0133502 B1 KR 01335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housing
magnetic field
generating means
field gener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1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우스깨 구보따
도시가즈 하다께
다꾸야 이이지마
Original Assignee
사또 후미오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4016257A external-priority patent/JP303206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4329551A external-priority patent/JP3004135B2/ja
Application filed by 사또 후미오,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사또 후미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502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00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 G01F1/56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G01F1/58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by electromagnetic flowmeters
    • G01F1/588Measuring the volume flow or mass flow of fluid or fluent solid material wherein the fluid passes through a meter in a continuous flow by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by electromagnetic flowmeters combined constructions of electrodes, coils or magnetic circuit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원통형 지지체를 포함하고, 한쌍의 코일이 약 180°각을 두고, 원통형 지지체의 외측면에 위치되고 원통형 지지체가 원통형자로내에 동심으로 장착되어 자로와, 원통형 지지체와의 사이의 코일을 위한 공간을 한정하고, 자로가 2개의 단부를 갖고 그 각각이 플랜지에 끼워 맞추어지고, 플랜지들이 보스를 포함하여 원통형 지지체와 자로가 함께 코일들을 위치맞춤하는 작용을 하고, 도관이 지지체내에 장착되고, 하우징이 지지체, 코일들 및 도관을 내장하고, 하우징의 길이가 도관의 길이보다도 길어 하우징과 도관과의 사이에 갭을 한정한다.

Description

전자유량계
제1도는 공지의 유량계를 나타낸 단부 단면도.
제2도는 다른 공지의 유량계를 나타낸 단부 단면도.
제3도는 또다른 공지의 유량계를 나타낸 측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개략측면도.
제5(a)도는 제4도 실시예의 측단면도.
제5(b)도는 제5(a)도중의 Ⅰ-Ⅰ선에 따른 단부 단면도.
제6도는 제4도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실시예의 확대사시도.
제10(a)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제10(b)도는 제10(a)도중의 Ⅱ-Ⅱ선에 따른 단부 단면도.
제11(a)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제11(b)도는 제11(a)도중의 Ⅲ-Ⅲ선에 따른 단부 단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나타낸 부분측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제15(a)도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를 나타낸 부분절결 측단면도.
제15(b)도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를 나타낸 부분절결 측단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본 발명은 전자유량계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각종 응력을 완화하도록 원통하우징을 갖고 그 부품들이 일체화되어 있는 유량계에 관한 것이다.
전자유량계는 전형적으로 파이프를 흐르는 유체의 체적을 측정하기 위하여 2개의 플랜지 사이에 삽입 장치된다. 공지의 전자유량계들의 예들을 제1,2 및 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공지의 유량계의 하나를 제1도를 나타냈다. 이 전자유량계는 일반적으로 유체의 통로를 제공하는 도관(1)과 도관(1)의 외면에 설비된 한쌍의 코일(2a,2b)을 구비하고 있다.
이 한쌍의 코일(2a,2b)은 자로를 한정하는 철심부(5)에 의해서 눌려 있다. 이 철심(5)은 스터드들(3)과 나사들(4)로 도관(1)에 연결되어 있다. 전극들(6a~6b)은 도관에 대한 배치된 구멍을 거쳐서 돌출되어 있다.
다른 공지의 유량계를 제2도에 나타냈다. 이 예에서는 코일들(2a,2b)이 대향단부에서 나사들(7a,7b)에 의해서 연결되는 철심들(5a,5b)에 의해서 제자리에 고정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예에서는 절심들(5a,5b)가 나사들(4,7a,7b)에 의해서 눌리어 철심들(5a,5b)과 도관(1)의 형태를 부분적으로 변형시키는 압축응력이 발생된다. 이 변형이 문제이다. 왜냐하면 변형으로 생긴 유로의 장해가 소요정밀도로 유체의 유량을 측정하기 어렵게 하기 때문이다.
다른 공지의 전자유량계를 제3도에 나타냈다. 이 종류의 유량계는 미합중국 특허 제4,420,98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도관(1)의 단부면들을 갖는 것을 볼 수 있다. 이 유량계가 볼트들과 너트들(8)로 2개의 파이프플랜지(29,30)간에 설치된 때에 압축력이 관들(9a,9b)에 의해서 유량계의 축선방향으로 가해져 도관(1)과 철심부(5)를 압축한다. 특히 이 도관은 충분한 강도로 설계되거나 이 압축력을 견디기 위하여 어떤 종류의 보강리이너를 설비하여야 한다.
이것은 유량계를 제조하는데 제조원가의 상승을 초래한다.
또 유체의 유량을 정밀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서로 적정하게 사이띄어 코일들(2a,2b)을 도관에 위치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제1 및 2도에 나타낸 구성을 갖는 유량계를 조립할 때에 특정공구와 숙련공없이 코일들(2a,2b)을 적정하게 위치시키기는 어렵다. 이것은 제조시간과 비용을 매우 증가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의 유량을 정밀하게 측정할 수 있고 염가로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는 유량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 및 기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자유량계는 대향하여 테이퍼진 단부와 중간부를 갖고 유체를 받아들여 통과시켜 유체의 유속을 측정하는 도관을 갖고 있다. 이 유량계는 도관의 대향하는 축부들에 위치한 한쌍의 전극을 갖고 있다. 자계 발생수단은 한쌍의 코일과 철심을 갖으며 도관내에 자계를 발생시킨다. 또 이 유량계는 원통형 케이스와 원통형 하우징을 갖고 있다.
이 원통형 케이스는 도관을 둘러싸고 자계발생수단을 제자리에 장착하는 부분을 갖고 있다. 이 원통형 하우징은 차례로 도관, 자계발생수단 및 원통형 케이스를 둘러싼다. 이 하우징은 축선방향으로 제1길이를 갖고 이 도관은 축선방향으로 제1길이보다도 짧은 제2길이를 갖는다. 하우징과 도관간에는 간극이 형성되고 이 공극내에 탄성링이 위치된다.
제4,5(a),5(b) 및 6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유량계의 제1실시예는 원통형 지지체(10)을 구비하고 한쌍의 안장형 코일들(11,12)이 원통형 지지체(10)의 외면에 위치되고 서로 180°사이띄어 있다.
세라믹 도관(13)이 이 원통형 지지체(10)내에 동심 배치되어 있고, 이 세라믹 도관(13)은 대향한 테이퍼진 단부들(13a,13b)과 중간부(13c)를 갖고 이 테이퍼진 단부들(13a,13b)는 각각 단부면(13d,e)을 갖고 또 도관(13)은 凹부(13f)를 갖고 있다.
이 凹부(13f)는 세라믹 물질을 도관내로 스크레이프하기 쉽기 때문에 설비된다.
또 도관(13)은 전극들(14a,14b)(제10(b)도)을 삽입하는 구멍들(13g)을 갖고 있다.
단부면들(13d,13e)은 테이퍼진 코너와 짧은 면을 포함하고 있다. 도관(13)의 외경은 일정치 않다.
즉 단부들(13a,13b)의 외경은 중간부(13c)보다 크다. 그러나 도관(13)의 내경은 그 전체길이에 걸쳐 균일하다.
전극들(14a,14b)은 도관(13)과 원통지지체(10)에 대향 배치된 구멍들(13g)을 거쳐서 돌출되어 있다.
원통형 지지체(10)는 원통형자로(16)내에 동심으로 장착되어 있어 자로(16)와 원통형 지지체(10)간에 개방된 공간을 한정한다.
자로(16)은 2개의 단부를 갖고 있으며, 자로(16)의 하나의 단은 플랜지(10a)에 의해서 맞추어지고, 자로(16)의 나머지 하나의 단은 다른 플랜지(17)에 의해서 맞추어진다.
또 자로(16)은 전극들(14a,14b)이 삽입되는 구멍들(16a)를 갖고 있다.
플랜지들(17,10a)은 그들 코너들중의 하나에 테이퍼진 부분들(25)을 갖고 있다.
플랜지들(17,10a)은 보스들(18)을 포함하고 있다. 그 기능을 아래에 설명하겠다.
자로(16)와 원통형 지지체(10)간의 빈공간에는 사출된 플라스틱몰드로 채워진다.
자로(16)는 타입 304스테인리스강이나 그 등가물질로 제조되고 자로(16), 안장형태의 코일들(11,12), 원통형 지지체(10) 및 도관(13)을 둘러싸는 원통형 하우징(19)내에 동심으로 장착된다. 하우징(19)의 각단이 각각 환상 플랜지(19a,22)에 의해 부분적으로 폐쇄된다. 이 플랜지들(19a,22)은 각 凹부들(24a,24b)를 포함하고 있다. 제4,5(a) 및 5(b)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플랜지들(19a,22)은 보스들(18)에 의해서 위치맞춤되어 하우징(19)에 용접된다.
플랜지를 부착한 하우징(19)은 도관(13)의 길이보다 긴 선택된 길이를 갖는다.
플랜지들(19a,22)의 보스들(18)의 위치맞춤은 자로(16), 원통형 지지체(10) 및 전극들(11,12)을 제위치에 맞추도록 가능한다.
각 플랜지(19a,22)는 내면을 갖는 연장립(lip)(23)를 갖고 각 연장립(23)은 통상 유로를 한정지우는 도관(13)의 내경과 일치되는 직경을 갖는 개구부를 한정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내경은 50mm이다.
플랜지들(19a,22)의 연장립(22)의 각 내면과 도관(13)의 단부면들(13d,13e)간에는 약 0.5mm의 갭이 있다. 0-링들(20a,20b)이 플랜지들(19a,22)과 도관(13)의 단부들(13a,13b)간에 각각 설비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0-링들(21a,21b)이 도관(13)과 플랜지들(17,10) 및 플랜지들(19a,22)간에 각각 설비되어 있다. 이 0-링은 조립된 전자유량기를 수밀 밀봉하고 도관과 기타 부품들간의 사이띄움을 유지하는것을 돕는다.
도관(13)은 물리적으로 하우징(19)에 결합되어 있지 않다.
이 도관(13)은 환상플랜지들(19a,22)와 0-링들(20a,20b)의 존재에 의해서 그 위치가 유지된다. 마찬가지로 도관(13)은 0-링들(21a,21b)에 의해서 플린지들(17,10a) 및 플랜지들(19a,22)로부터 사이띄워진다.
도관(13)의 길이는 언장립(23)의 폭과 0.5mm의 갭과의 합만큼 하우징(19)의 길이보다 짧다. 제4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이 실시예의 전자유량계는 파이프와 대향하는 파이프플랜지들(29,30)간에 장착된다.
볼트들(31)이 이 파이프플랜지들간을 통하여 조여진다. 이들 볼트의 토오크에 의해서 생긴 압축력이 파이프플랜지들(29,30)을 거쳐서 하우징(19)에 용접된 플랜지들(19a,22)로 가해진다.
동작중에는 관로들 환상플랜지들(19a,22) 및 도관(13)을 거쳐 전자유량계를 유체가 통과한다. 유량은 공지의 원리에 따라 유량계에 의해서 측정된다.
도관(13)의 단부면들(18d,13e)은 플랜지들(29,30)이나 환상플랜지들(19a,22)의 연장립(23)의 내면에 접촉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파이프플랜지(20,21)의 측선방향의 압축력이 통상의 동작상태하에서 환승플랜지들(19a,22)를 거쳐서 하우징(19)에 의해서 흡수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우징(19)에 축선방향으로 횡단하는 방향으로 가해진 압축력은 하우징(19), 자로(16) 및 원통형 케이싱(10)에 의해서 흡수되게 되어 있다.
상시 동작부하하에서는 세라믹 도관(13)에 의해서 압축력이 흡수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관(13)이 압축되거나 변형되는 일이 생기지 않게 되어 있다.
본 발명자 등은 파이프플랜지들에 의한 축선방향에 가해지는 압축력으로 인해서 생기는 유량계의 하우징의 축선방향의 길이의 변화를 계산했다. 계산에 의하면 과도한 힘(즉 정상으로 가해지는 힘보다 큰힘)으로 인해서 생기는 하우징 길이의 최대감소는 0.16mm이다. 왜냐하면 압축력이 하우징(19)의 각단에 가해지므로 약 0.08mm의 길이감소가 하우징(19)의 각단에 생길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도관(13)의 단부들이 하우징플랜지들의 내면에서 0.5mm의 갭만큼 떨어져 있으므로 하우징플랜지들은 도관의 단부들과 접촉하게 되지 않는 것이다. 따라서 상시동작 상태하에서 파이프플랜지들에 의해서 가해지는 모든 합축력이 하우징에 의해서 흡수될 것이고 도관(13)으로는 압축력이 할당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이 제2실시예를 하기사항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1실시예와 같다.
제1실시예에서는 도관(13)이 단부들(13a,13b)의 외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중간부를 포함하고 이 중간부(13c)가 제5(a)도에 나타낸 전자유량계내의 도관(13)의 거의 전체길이에 연장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 제7도에 도시된 제2실시예의 전자유량계에서는 도관(13)은 중간부(13c)에 외경이 줄어들은 홈(13h)을 포함하고 그 홈이 도관(13)의 전체길이의 극히 소부분에만 형성되어 있고 이 홈(13h)은 배선리드를 끼우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제8 및 9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이 제3실시예는 하기의 사항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와 같다.
제1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환상플랜지들(19a,22)이 하우징(19)에 용접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 제3실시예인 제8도에 도시된 전자유량계는 각단에 2개의 환상플랜지들을 포함하고 있고 제8도 및 9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각 플랜지는 볼트들(42)의 구멍(40a)을 갖는 내측링(inner ring)(40)과 외측링 또는 그라운드링(ground ring)(41)을 포함하고 있다. 이 그라운드링(41)은 내측링(40)에 볼트(42)로 부착된다.
이 내측링(40)은 차례로 보스(18)에 의해서 위치맞춤되어 하우징(19)에 용접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그라운드링(41)은 제5(a)도에 나타낸 연장립(23)의 위치에 있다.
이 그라운드링(41)은 내면을 갖고 도관(13)의 단부면들(13d,13e)과 각 그라운드링(41)의 내면과의 사이에 0.6mm의 갭이 설비되어 있다.
동작중에 제8도의 실시예는 제5(a)도의 실시예와는 각 그라운드링(41)의 외면이 파이프플랜지들(29,30)을 거쳐서 전달되어온 축선방향의 압축력이 이 그라운드링(41), 내측링(40) 및 하우징(19)에 의해서 흡수된다는 점이 상이하다. 통상 부하하에서는 압축력이 세라믹 도관(13)에 전달되거나 흡수되지 않는다.
제3실시예의 변형 실시예도 가능하다.
즉 변형 구성(도시하지 않음)에서는 그라운드링(41)을 내측링(40)으로부터 볼트들(42)를 풀어내어 떼어낼 수 있다.
이 변형 실시예의 것이 파이프플랜지들(29,30) 사이에 끼워 있을 경우에 내측링들(40)의 외면들과 0-링들(20a,20b)의 파이프플랜지들(29,30)의 면에 접촉되고, 세라믹 도관(13)의 단부면들(13d,13e)은 아직도 파이프플랜지들(29,30)과 접촉하지 않고, 도관(13)의 단부면들(13d,13e)은 약 0.5mm의 상기의 갭길이를 두고 플랜지들(29,30)에서 떨어져 있는 것이다.
그라운드링을 제거함으로써 그라운드링의 두께와 같은 길이만큼 하우징 길이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하우징의 전체길이가 도관의 길이보다 약 1mm(즉 2×0.5mm갭)만 길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제10(a) 및 10(b)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이 제4실시예는 코일들(11,12)이 페로자성 물질로 형성된 각각의 철심(43)을 둘러싸고 있는 것을 제외하면 제2실시예와 같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제11(a) 및 11(b)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이 제5실시예는 단부플랜지들과 그라운드링들과 하우징을 갖고 있다.
이 점에서 제3실시예와 유사하다.
그러나, 상기 실시예들과는 달리 이 실시예의 도관(13)은 세라믹 물질로 제조되지 않았다.
이 도관(13)은 예를 들어 플라스틱 또는 다른 유사 물질로 제조되어 있다.
비세라믹계로된 도관(13)을 도관을 통과하는 부식성 유체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테플론 라이닝이 도관(13)의 내면을 덮도록 설비되어 있다. 테플론 라이닝(49)의 단부들은 그라운드링(41)의 단진부분(41a)과 단부 플랜지들의 내측링(40)과의 사이의 틈에 끼워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제1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이 제6실시예는 제5실시예와 유사하다. 제5실시예와는 도관(13)의 형태가 다르다.
즉 제5실시예의 도관(13)의 중간부의 길이는 짧게 형성되고 제6실시예의 도관(13)의 중간부의 길이는 길게 형성되어 있다.
제6실시예에서는 전자유량계는 도관(13)의 전체길이에 더 특징이 있다.
상기의 각 실시예는 도관(13)의 단부면들(13d,13e) 플랜지들(19e,22)(또는 그라운드링(41))과의 사이에 0.5mm의 갭이 있다.
이에 대하여 제6실시예의 도관(13)의 전체길이는 상기 실시예들보다도 길고 0.5mm의 갭이 없다. 하우징 길이는 그라운드링의 두께의 2배만큼 길이가 길다. 제12도를 참조하면 단부면들(13d,13e)이 차례로 테플론 라이너(40)와 접촉되고 그라운드링(41)의 내측면에 접촉된다. 그에 의해서 통상 동작부하하에서 하우징의 길이방향의 길이가 감소되어 근소량의 도관(13)의 축방향의 압출력을 전달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제1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이 제7실시예는 원통형 지지체(도시하지 않음) 코일(50a)을 내장한 케이스(50), 그라운드플랜지들(51a,51b) 및 도관(52)를 구비하고 있다. 그라운드플랜지들(51a,51b)은 케이스(50)에 나사들(도시하지 않음)에 의해서 부착되어 있다.
도관(52)은 케이스(50)의 내면들(51a,51b)로 형성된 원통형 공간내에 설비되어 있다.
이 도관(52)는 대향하는 테이퍼진 단부들(53a,53b)과 중간부(53c)를 갖고 있다. 0-링들(54a,54b)이 내측면들과 테이퍼진 단부들(53a,53b)과의 사이에 설비되어 있다.
이 0-링들(54a,54b)는 고무 등의 탄성물질로 제조되어 있다.
케이스(50)의 구경(내경)은 도관(52)의 외경보다 크다. 또 도관(52)의 길이는 그라운드플랜지들(51a,51b)간의 거리보다도 짧다.
따라서 제13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0-링들(54a,54b)은 도관(52)의 양단부들(53a,53b)에 각각 설비되고 도관(52)은 일정 압력으로 또 갭을 두고 그라운드플랜지들(51a,51b) 사이에 보지되도록 고정된다.
이 갭은 도관(52)의 면과 케이스(50)의 면과 그라운드플랜지들(51a,51b) 사이에 형성된다.
압축응력 및 굽힘응력 등의 응력들이 그라운드플랜지들(51a,51b)이 가해지면 응력이 케이스(50)로 전달된다. 그러나 극히 작은 응력이 도관(52)에 가해진다. 그 결과 이들 응력이 도관(52)를 변형시키도록 작용하지 않는다.
도관(52)를 통하여 흐르는 유체의 온도가 급변할 때에 도관(52)와 케이스(50)의 형태들이 상이한 팽창계수로 각각 변화한다.
그러나 케이스(50)의 그와 같은 변형은 0-링들(54a,54b)이 도관(52)와 케이스(50)와의 사이에 설비되어 케이스(50)가 케이스(50)로 인한 변형효과를 흡수하기 때문에 도관(52)에는 영향주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8실시예를 제14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이 제14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케이스(50)는 연장된 단부들(60a,60b)을 갖고 있다.
이 연장단부들(60a,60b)은 그라운드플랜지들로서 작용하는 내측면드를 갖고 있다.
또 도관(52)는 중간부에 코일(50a)를 설비하기 위한 凹부(61)와 대향하는 테이퍼진 단부들(53a,53b)를 갖고 있다. 이 테이퍼진 단부들(53a,53b)는 각각 단부면(53c)과 단부면(53d)를 갖고 있다. 0-링들(54a,54b)이 연장단부들(60a,60b)과 도관(52)의 단부들(53a,53b)과의 사이에 설비되어 있다.
그 결과 연장단부들(60a,60b)의 각 내면과 도관(52)의 단부면들과의 사이에 갭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제9실시예를 제15(a)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이 실시예는 다음 사항을 제외하고는 제7실시예와 같다. 즉 제7실시예에서는 0-링들(54a,54b)이 케이스(50)의 내면과 테이퍼진 단부들(54a,54b)과의 사이에 설비되어 있다. 이에 대해서 제7실시예인 제15(a)의 실시예에서는 0-링들(54a,54b)이 도관(52)의 단부면들(55a,55b)과 그라운드플랜지들(51a,51b)과의 사이의 공간을 채우도록 각각 연장 설비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를 제15(b)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이 실시예는 다음 사항을 제외하고는 제7실시예와 같다. 즉 제7실시예에서는 대향하는 테이퍼진 단부들(53a,53b)의 면들은 평탄면이고 이에 대해서 제19실시예 제15(b)도의 실시예에서는 이 단부들(53a,53b)이 원호상면이다.
본발명의 제11실시예를 제16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이 실시예는 다음 사항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와 같다. 즉 제1실시예에서는 양측 플랜지들(19a,22)가 하우징(19)에 용접되어 있으나 이에 대해서 제11실시예인 제16도의 실시예에서는 플랜지(19a)가 하우징(70)과 일체로 된 플랜지부로 설치되어 있다.
플랜지부(22)가 별도로 부착되어 용접되어 있다. 그 결과 제16도에 나타낸 실시예는 신속하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을 갖는 전자유량계는 상기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어도 다음 이 점들을 제공한다.
코일들이 원통형 케이싱과 자로와의 사이의 위치에 고정되고 하우징의 플랜지들에 보스들에 의해서 연결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기술에서와 같이 적정한 위치에 코일들을 고정시키는 철심들의 연결에 의해서 압축력이 가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종래기술에서 코일들에 의해서 가해졌던 압축력이 존재하지 않아 도관이 변형되지 않는다.
보스들의 존재는 유량계를 더욱 용이하게 특수공구를 사용하거나 숙련공에 의하지 않고, 적정한 위치에 코일들과 플랜지를 위치하게 할 수 있어 유량계의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원통형 케이싱과 자로의 존재는 종래의 유량계에 있지 않았던 도관을 위한 추가보호커버를 형성한다.
도관의 단부면들과 하우징 플랜지들의 연장립들과의 사이의 갭은 0-링의 존재에 의해서 부분적으로 유지되어 파이프플랜지들의 나사조임에 의해서 가해지는 축선방향의 압축하중들로부터 도관을 해방시키는 작용도 한다.
다시 말하면 도관의 변형을 방지한다.
또 도관이 압축하중을 받지 않기 때문에 강한 물질로 설계하지 않아도 되고 보강라이너를 설비않아도 된다.
추가이점들과 개변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에게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발명은 여기에 설명하고 나타낸 실시예이나 특정설명, 대표적 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첨부 청구범위 및 그들의 등가물에 의해서 한정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각종 개변을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22)

  1. 양측단부들과 중간부를 갖고 유속을 측정할 유체의 중심축선에 연하여 유로를 항정하는 도관, 상기 도관의 대항하는 측부들에 위치된 한쌍의 전극, 상기 도관내에 자계를 발생하기 위한 자계발생수단, 상기 도관둘레에 동심으로 위치하며, 상기 자계발생수단을 위치맞춤하도록 연장된 보스들을 갖는 플랜지들을 포함하는 원통형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둘레에 동심으로 위치하며, 상기 도관, 케이스 및 자계발생수단을 내장하는 원통형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보스는 자계발생수단을 위치맞춤하도록 상기 하우징내에 삽입되며, 그에 의해 상기 도관을 통해 흐르는 유체가 상기 전극에서 유속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는 것이 특징인 전자유량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축선방향으로 제1길이를 갖고 상기 도관이 제1길이보다도 짧은 축선방향의 제2길이를 갖는 전자유량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과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는 갭이 한정되고 상기 갭내에 탄성링을 더 포함하는 전자유량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케이스가 유량계를 접지시키기 위한 전기적 접지수단을 포함하는 전자유량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케이스가 절연물질로 된 전자유량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의 양단부들이 상기 도관의 중앙부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을 갖는 전자유량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이 그 각 단부에 플랜지부들을 포함하는 전자유량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플랜지부와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가 용접된 전자유량계.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각 플랜지위치와 상기 하우징과의 사이에 체결구(fastner)가 있는 전자유량계.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의 플랜지부가 하우징과 일체로 되고 나머지 하나의 플랜지부와 하우징과의 사이가 용접된 전자유량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이 세라믹 물질로 된 전자유량계.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이 플라스틱 물질로 된 전자유량계.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이 내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도관과 내측면을 보호 라이닝으로 피복된 전자유량계.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이 대향하는 단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도관의 각 단부가 테이퍼진 전자유량계.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은 대향하는 단부들을 포함하고 상기 도관의 각 단부는 원호상 면부로된 전자유량계.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발생수단이 적어도 하나의 전기코일로 된 전자유량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자계발생수단이 페로자성물질로 된 철심인 전자유량계.
  18. 유속을 측정할 유체의 중심축선에 연하여 유로를 한정하는 도관, 상기 도관의 양측에 위치되는 한쌍의 전극들, 상기 도관내에 자계를 발생하는 자계발생수단, 상기 도관과 자계발생수단을 내장하여, 상기 도관 둘레의 동심 축상에 위치하며, 상기 도관이 하우징과 자계발생수단으로부터 격리되어 있는 원통형 하우징, 상기 도관 둘레의 동심 축상에 위치되어 상기 도관으로부터 격리되어 있으며 자계발생수단을 위치시키기 위해 하우징으로 삽입하기 위한 연장된 보스를 갖는 플랜지를 포함하는 원통형 케이스 및 상기 도관과 상기 하우징 및 자계발생수단 양자와의 사이에 공간을 유지하는 수단을 구비하며, 그에 의해 상기 도관을 통해 흐르는 유체가 상기 전극들에서 유속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는 것이특징인 전자유량계.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을 유지하는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링인 전자유량계.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도관과 케이스간에 공간을 유지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전자유량계.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을 유지하는 수단은 적어도 하나의 탄성링을 포함하는 전자유량계.
  22. 양단부와 중간부를 가지며 또한 유속을 측정할 유체의 중심축선에 연하여 유로를 한정하는 도관, 상기 도관의 양측에 위치되는 한쌍의 전극들, 상기 도관내에 자계를 발생하는 자계발생수단, 상기 도관둘레의 동심 축상에 위치되며, 요홈들이 한정되어 있는 플랜지들을 포함하는 원통형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둘레의 동심 축상에 위치하며, 상기 도관, 케이스 및 자계발생수단을 내장하여, 상기 자계발생수단을 위치시키도록 상기 요홈들내에 삽입되는 보스들을 포함하는 원통형 하우징을 구비하며, 그에 의해 상기 도관을 통해 흐르는 유체가 상기 전극들에서 유속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한 것이 특징인 전자유량계.
KR1019930001325A 1992-01-31 1993-02-01 전자유량계 KR01335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16257 1992-01-31
JP4016257A JP3032068B2 (ja) 1992-01-31 1992-01-31 電磁流量計検出器
JP4329551A JP3004135B2 (ja) 1992-12-09 1992-12-09 電磁流量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3502B1 true KR0133502B1 (ko) 1998-04-23

Family

ID=26352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1325A KR0133502B1 (ko) 1992-01-31 1993-02-01 전자유량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385055A (ko)
EP (1) EP0554059B1 (ko)
KR (1) KR0133502B1 (ko)
CN (1) CN1071453C (ko)
AU (1) AU659906B2 (ko)
DE (1) DE69332128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70675B2 (ja) * 1992-09-30 1998-07-0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静電容量式電磁流量計
US5671397A (en) * 1993-12-27 1997-09-23 At&T Global Information Solutions Company Sea-of-cells array of transistors
GB2298716B (en) * 1995-03-10 1998-11-18 Abb Kent Taylor Ltd Flowmeters
JP3662312B2 (ja) * 1995-10-27 2005-06-22 株式会社山武 電磁流量計
DE19845346C2 (de) * 1998-10-02 2001-10-18 Abb Patent Gmbh Durchflussmeßaufnehmer, insbesondere induktiver Durchflussmeßaufnehmer
US7178407B2 (en) * 2003-12-11 2007-02-20 Endress + Hauser Flowtec Ag Magnetic-inductive flow sensor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US7104137B2 (en) * 2004-04-20 2006-09-12 Delphi Technologies, Inc. Magnetostrictive fluid-pressure sensor
US7627939B2 (en) * 2004-12-21 2009-12-08 Endress + Hauser Flowtec Ag In-line measuring device with measuring tube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DE102007003614A1 (de) * 2006-07-26 2008-01-31 Endress + Hauser Flowtec Ag Vorrichtung zum Messen des Volumen- oder Massestroms eines Mediums in einer Rohrleitung
DE102007004827B4 (de) 2007-01-31 2012-04-12 Ifm Electronic Gmbh Kompaktes magnetisch induktives Durchflussmessgerät
DE102007004828B4 (de) * 2007-01-31 2013-02-07 Ifm Electronic Gmbh Kompaktes, modular aufgebautes magnetisch induktives Durchflussmessgerät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Durchflussmessgerätes
JP4721073B2 (ja) * 2008-04-18 2011-07-13 Smc株式会社 電磁流量計
JP2009288026A (ja) * 2008-05-28 2009-12-10 Toshiba Corp 電磁流量計
CN101315294B (zh) * 2008-07-07 2010-04-14 天津天仪集团仪表有限公司 电磁流量计传感器的带磁轭的一体化励磁铁芯
DE102009002053A1 (de) * 2009-03-31 2010-10-07 Endress + Hauser Flowtec Ag Magnetisch-induktive Durchflussmesseinrichtung
JP2012008108A (ja) * 2010-06-28 2012-01-12 Toshiba Corp 電磁流量計
US8806956B2 (en) 2012-05-16 2014-08-19 Rosemount Inc. Fastening system for magnetic flowmeter liner
JP6020492B2 (ja) 2014-03-12 2016-11-02 横河電機株式会社 電磁流量計
US9631962B2 (en) 2014-03-18 2017-04-25 Rosemount Inc. Magnetic core configuration for magnetic flowmeters having a plurality of layers of magnetically permeable material
US9410830B2 (en) * 2014-06-30 2016-08-09 Micro Motion, Inc. Magnetic flowmeter flowtube assembly with interchangeable liner/electrode module
CN104121953A (zh) * 2014-07-02 2014-10-29 重庆川仪自动化股份有限公司 一种剩磁励磁电磁流量计
JP2016095206A (ja) * 2014-11-13 2016-05-26 株式会社東芝 電磁流量計
CN109555920A (zh) * 2017-09-26 2019-04-02 西安国仪测控设备有限公司 一种陶瓷衬里的高压电磁流量计和方法
CN111742196A (zh) * 2017-12-29 2020-10-02 Abb瑞士股份有限公司 电磁流量计上的夹具
JP6940437B2 (ja) * 2018-03-13 2021-09-29 アズビル株式会社 電磁流量計
CN113056653A (zh) * 2018-10-30 2021-06-29 Abb瑞士股份有限公司 利用可调节线圈和屏蔽件组装件的电磁流量计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35082A (en) * 1969-04-23 1972-01-18 United States Steel Corp Apparatus for measuring mass flow of fluidborne solids
US3610040A (en) * 1970-03-31 1971-10-05 Tokyo Shibaura Electric Co Electromagnetic flowmeter
DE2040682C3 (de) * 1970-08-17 1978-05-18 Fischer & Porter Gmbh, 3400 Goettingen Induktiver Durchflußmesser mit einem in einer vom Medium durchströmten Rohrleitung zwischen Gegenflanschen deren benachbarter Rohrleitungsteile lösbar gehaltenen Meßrohr aus isolierendem Kunstharz
US3695104A (en) * 1971-05-28 1972-10-03 Fischer & Porter Co Electromagnetic flowmeter having removable liner
GB1424875A (en) * 1972-06-19 1976-02-11 Sybron Corp Electromagnetic flow transducers
US3824856A (en) * 1973-01-22 1974-07-23 Fischer & Porter Co High-pressure electromagnetic flowmeter
JPS5122835A (en) * 1974-08-16 1976-02-23 Kazuo Hara Budoototo katooganjusuru kongobutsuno shorihoho
JPS5155653A (en) * 1974-11-12 1976-05-15 Fujitsu Ltd Shasaiyoreeda antena
JPS5157160A (ja) * 1974-11-15 1976-05-19 Hitachi Ltd Karaaburaunkannomenketsutenkenshutsusochi
US3981190A (en) * 1975-05-23 1976-09-21 Sybron Corporation Electromagnetic flowmeter having internal field coils
US4420982A (en) * 1977-02-23 1983-12-20 Fischer & Porter Company Unitary electromagnetic flowmeter with sealed coils
US4497212A (en) * 1977-02-23 1985-02-05 Fischer & Porter Company Flangeless electromagnetic flowmeter
ATE15270T1 (de) * 1981-11-27 1985-09-15 Rheometron Ag Messwertaufnehmer fuer magnetisch-induktive durchflussmessgeraete.
JPS60173024U (ja) * 1984-04-26 1985-11-16 株式会社東芝 電磁流量計
DE3420963A1 (de) * 1984-06-06 1985-12-12 Danfoss A/S, Nordborg Elektromagnetischer durchflussmesser
DE3423921A1 (de) * 1984-06-29 1986-01-02 Danfoss A/S, Nordborg Elektromagnetischer durchflussmesser
DE3501768A1 (de) * 1985-01-21 1986-07-24 Danfoss A/S, Nordborg Elektromagnetischer durchflussmesser
JPS63145919A (ja) * 1986-07-28 1988-06-18 Toshiba Corp 電磁流量計検出器
EP0306895B1 (de) * 1987-09-11 1994-12-07 Endress + Hauser Flowtec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essrohres für magnetisch-induktive Durchflussmessung
DE3735515C2 (de) * 1987-10-20 1998-04-09 Fischer & Porter Gmbh Vorrichtung zur induktiven Durchflußmessung mit einem Meßrohr aus Keramik, Glas, Metall oder Kunststoff
NL8900021A (nl) * 1989-01-05 1990-08-01 Rheometron Ag Elektromagnetische doorstroomme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385055A (en) 1995-01-31
EP0554059A2 (en) 1993-08-04
CN1071453C (zh) 2001-09-19
AU3211793A (en) 1993-08-19
AU659906B2 (en) 1995-06-01
CN1076778A (zh) 1993-09-29
EP0554059B1 (en) 2002-07-24
EP0554059A3 (en) 1995-08-09
DE69332128D1 (de) 2002-08-29
DE69332128T2 (de) 2003-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3502B1 (ko) 전자유량계
CA1129673A (en) Unitary electromagnetic flowmeter
EP0895066B1 (en) Electromagnetic flow sensor and assembly method
EP1574828B1 (en) Electromagnetic flow meter insert
US4793191A (en) Mass flow meter operating by the cariolis principle
EP0770856B2 (en) Electromagnetic flowmeter
US4722231A (en) Electromagnetic flowmeter
AU602286B2 (en) Electrode structure for electomagnetic flowmeter
US4329879A (en) Insulating liner for electromagnetic flowmeter tube
JPS6118822A (ja) 電磁式の流量計
US4567775A (en) Unitary electromagnetic flowmeter having molded electrodes
EP0045646B2 (en) Unitary electromagnetic flowmeter with sealed coils
US6615673B1 (en) Integral shedder and mounting pad
EP0909943A1 (en) Vibration type gas densitometer
US4497212A (en) Flangeless electromagnetic flowmeter
EP0673503B1 (en) Non-interacting enclosure design for coriolis mass flow meters
KR101817522B1 (ko) 유량계용 센서 하우징
JP3497572B2 (ja) 電磁流量計検出器
CA2133716C (en) Electromagnetic flowmeter
JPH0738820Y2 (ja) 電磁流量計
EP0107641A2 (en) Improved vortex flow meter
JP3004135B2 (ja) 電磁流量計
JPH085421A (ja) フランジ形セラミックス電磁流量計
AU622672B2 (en) Electromagnetic flowmeter
JP3032068B2 (ja) 電磁流量計検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