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3444B1 - 광학식 뷰파인더를 일체화한 줌 렌즈계의 역광유입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광학식 뷰파인더를 일체화한 줌 렌즈계의 역광유입방지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3444B1
KR0133444B1 KR1019940022934A KR19940022934A KR0133444B1 KR 0133444 B1 KR0133444 B1 KR 0133444B1 KR 1019940022934 A KR1019940022934 A KR 1019940022934A KR 19940022934 A KR19940022934 A KR 19940022934A KR 0133444 B1 KR0133444 B1 KR 0133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mirror
viewfinder
imaging
zoom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29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1539A (ko
Inventor
이용인
이만형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400229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3444B1/ko
Priority to NL1001174A priority patent/NL1001174C2/nl
Publication of KR960011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3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34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14Viewfinders
    • G02B23/145Zoom viewfind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28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 G02B27/283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for polarising used for beam splitting or combi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 G02B7/18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for rotating or oscillating mirr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9/00Cameras
    • G03B19/18Motion-picture cameras
    • G03B19/20Reflex camera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 Lenses (AREA)
  • Viewfin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학식 뷰파인더를 일체화한 줌 렌즈계에서의 역광유입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렌즈계의 전면으로 부터 대물렌즈, 변배렌즈, 전달렌즈, 결상렌즈가 배치되고, 결상렌즈의 최후단에 위치하는 렌즈와 결상면 사이에 빔스플리트를 설치하여 촬상계와 뷰파인더계가 일체화된 광학식 뷰파인더를 일체화한 리어 포커스 방식의 줌 렌즈에 있어서, 상기 빔 스플리트와 뷰파인더계 사이에 설치되어 광을 반사하는 전반사미러에 상기 미러를 회전시키는 조절수단과, 상기 미러가 고정되어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걸림수단으로 구성되는 광선경로변환수단을 설치한 구성의 역광유입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뷰파인더계 측에서 입사되는 광선이 촬상계로 유입되어 화질을 열화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기기의 성능이 현저하게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광학식 뷰파인더를 일체화한 줌 렌즈계의 역광유입방지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뷰파인더계를 보인 것으로, (가)는 촬상계와 분리된 뷰파인더계를 도시한 것이고, (나)는 촬상계와 일체로 된 뷰파인더계를 도시한 것이다.
제2도는 종래 티티엘 방식의 광학식 뷰파인더의 구성도.
제3도는 종래 리어 포커스 방식의 광학식 뷰파인더의 구성도.
제4도는 촬상계와 일체로 된 뷰파인더계에 역광이 유입되는 상태도.
제5도는 역광의 유입으로 인한 재생화면의 상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역광유입방지장치가 설치된 광학식 뷰파인더를 일체화한 줌 렌즈계의 구성도.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빔 스플리트에 설치되는 코팅막의 분광특성을 보인 그래프.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빔 스플리트의 구조도.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광선의 경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역광유입방지장치의 구성도.
제11도는 제10도의 '가'부 확대상세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동작상태도로서, (가)는 광선경로를 개방하고 있는 상태도, (나)는 광선경로를 폐쇄하여 역광의 유입을 방지하고 있는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 대물렌즈32 : 변배렌즈
33 : 조리개34 : 전달렌즈
35 : 결상렌즈36 : 빔 스플리트
36a : 빔 스플리트의 반사면38 : 전반사미러
50 : 편광분리 코팅막51 : 전반사미러
52 : 미러지지대53 : 구동지지핀
54 : 회전레버55 : 누름부재
56 : 탄성수단62 : 고정부재
63 : 돌출부재64 : 탄성부재
본 발명은 광학식 뷰파인더(Optical View Finder)를 일체화한 줌 렌즈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뷰파인더계 측에서 입사되는 광선이 촬상계로 유입되어 화질을 열화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광학식 뷰파인더를 일체화한 줌 렌즈계의 역광유입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뷰파인더계는 기술 구성면으로 대별하여 촬상계와는 별도의 뷰파인더계를 갖는 방법과, 촬상계와 일체화된 뷰파인더계를 갖는 방법으로 대별되며, 이를 제1도의 (가)(나)에 도시하였다.
상기 촬상계와 일체화된 뷰파인더계 중에서 촬상계의 변배부를 공유하는 구조의 티티엘(TTL : Through the Lens)방식의 광학 뷰파인더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선 촬상계에 있어서 광축을 중심으로 대물렌즈(1)와, 변배렌즈(2) 및 보상렌즈(3)가 차례로 설치되며, 상기 보상렌즈(3) 다음에는 빔 스플리트(5)가 설치되어 광로를 2분화한다. 상기 빔 스플리트(5) 내부에는 입사되는 광을 직각 및 진행방향으로 2분화 시키기 위하여 반사면(5a)이 설치되어있어 상기 빔 스플리트(5)에서 2분화된 광로는 진행방향으로 형성되는 광축(A1)과, 이 광축(A1)과 직각으로 구성되는 광축(A2)으로 나누어진다. 광축(A1)에서 상기 빔 스플리트(5) 뒤에는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리개(6)가 설치되고, 그 뒤에 결상계를 구성하는 결살렌즈(4)와 수광소자(7)가 설치되며, 광축(A2)에는 대물렌즈(8)와 전달렌즈(9)가 설치되고, 그 뒤에 대안렌즈(10)가 설치되어 뷰파인더계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결상계를 구성하는 줌 렌즈계에 설치된 전달렌즈와 결상렌즈를 뷰파인더와 공유하는 리어 포커스방식 줌 렌즈계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광축의 제일 앞부분에는 양의 굴절력을 지닌 대물렌즈(11)가 설치되고, 대물렌즈(11) 뒤에 음의 굴절력을 지닌 변배렌즈(12)가 설치되어 전체 줌 렌즈계의촛점거리를 변화시키는 변배부가 구성되고, 상기 변배렌즈(12) 뒤에는 조리개(13)이 설치되며, 조리개(13) 뒤에는 최종 결상계로 상을 전달하기 위한 전달렌즈(14)가 설치되고, 전달렌즈(14) 뒤에는 결상렌즈(15)가 설치되어 4군 구성의 줌 렌즈계를 구성한다. 상기 결상렌즈(15) 뒤에는 광로를 일정 비율의 밝기로 분리하기 위하여 내부의 반사면(16a)을 구성하고 있는 빔 스플리트(16)가 설치되며, 이러한 빔 스플리트(16)에 의해 2분화된 광로 중 상기한 각 렌즈들과 동일한 광축(A'1)에는 수광소자(17)가 설치되어 결상계로서의 기능을 가지는 줌 렌즈계를 구성하게 되고, 광축(A'1)과 직각방향으로 전반사 미러(18)를 상기 빔 스플리트(16)의 반사면(16a)과 동일한 각도로 설치하여 광축(A'2)을 평행하게 구성하며, 이 광축(A'2)으로 수렴기능을 갖는 필드렌즈(19)를 설치하고, 그 뒤에 상의 형태를 최종적으로 피사체와 동일한 상하좌우 형상을 갖도록 보정하고, 상의 크기를 광학소자의 보정이나 눈에 의하여 감지되는 적당한 크기로 감지되도록 조정하여 눈으로 전달하기 위한 전달렌즈(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전달렌즈(20)의 뒤에는 최종상에 대하여 상을 확대하여 볼 수 있는 대안렌즈(22)가 설치되며, 미설명부호 21은 결상면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시스템은 제4도에 도시한 바에서와 같이, 뷰파인더계측에서 입사한 광선이 동작원리에서의 역순으로 진행하여 빔 스플리터에 의하여 줌렌즈 내로 유동되면, 이러한 광선은 물체측으로 진행하면서 렌즈 각면에서 반사된 광이 다시 촬상소자에 입사하게 됨으로써, 피사체를 출발하여 입사한 광선의 상과 중첩되어 제5도에서와 같이 재생화면의 콘트라스트를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역광에 의한 고스트(ghost) 및 플레어(flare)상의 형성을 방지하려는 데 있는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렌즈계의 전면으로부터 대물렌즈, 변배렌즈, 전달렌즈, 결상렌즈가 배치되고, 결상렌즈의 최후단에 위치하는 렌즈와 결상면 사이에 빔 스플리트를 설치하여 촬상계와 뷰파인더계가 일체화된 광학식 뷰파인더를 일체화한 리어 포커스 방식의 줌 렌즈에 있어서, 상기 빔 스플리트와 뷰파인더계 사이에 설치되어 광을 반사하는 전반사미러에 상기 미러를 회전시키는 조절수단과, 상기 미러가 고정되어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걸림수단으로 구성되는 광선경로변환수단을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뷰파인더를 일체화한 줌 렌즈계의 역광유입방지장치가 제공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역광유입방지장치가 설치된 광학식 뷰파인더를 일체화한 줌 렌즈계의 구성도이고, 제7도는 본 발명에 의한 빔 스플리트에 설치되는 코팅막의 분광특성을 보인 그래프이며,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빔 스플리트의 구조도이고,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광선의 경로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역방유입방지장치의 요부 확대 단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가'부 확대도이며, 본 발명의 동작상태도로서, (가)는 광선경로를 개방하고 있는 상태도, (나)는 광선경로를 폐쇄하여 역광의 유입을 방지하고 있는 상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양의 굴절력을 갖는 대물렌즈(31)와, 이동가능하도록 기구적으로 구성되어 전체로서 음의 굴절력을 갖으며 이동에 의하여 변배를 행하는 변배렌즈(32)와, 방향조절기능을 행하는 조리개(33)와, 상기 변배렌즈(32)에 의하여 형성된 상을 전달하는 양 또는 음의 굴절력을 갖는 전달렌즈(34)와, 최종결상을 행하여 상기 변배렌즈(32)의 위치에 따라 결상점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양의 굴절력을 갖는 결상렌즈(35)로 구성되는 리어 포커스방식의 줌 렌즈에 최후단 렌즈와 결상면 사이에 빔 스플리터(36)를 두어 광학식 뷰파인더계를 구성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역광유입경로 중에서 전반사미러(이하, '미러'라칭함)(51)에 광선경로 변환수단을 설치하여 역광유입시 역광이 촬상계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상기 편광분리 코팅막(50)이 형성된 반사면(36a)의 하측에는 상기 반사면(36a)을 통과한 광선을 재반사하는 반사수단(B)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빔 스플리터의 구조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고, 코팅막은 광축에 대하여 45°의 각도를 갖도록 구성하며, 코팅막의 분광특성은 제5도의 그래프에 도시한 바와 같다.
상기 광경로 변환수단은 미러를 회전시키는 조절수단과, 상기 미러가 고정되어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걸림수단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미러(51)가 장착된 미러지지대(52)와 일체로 형성되어 구동지지판(5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레버(54)와, 상기 회전레버(54)의 일단부에 인접설치되어 미러(51)가 45°이하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회전레버(54)를 밀어주는 누름부재(55)와, 상기 회전레버(54)의 타단부에 일측부가 고정되어 미러(51)를 90°각도로 유지시키도록 회전레버(54)를 탄지하는 탄성수단(56)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레버(54)와 누름부재(55)가 연결되는 구성은 회전레버(54)의 일단부에 돌출핀(57)이 고정되고, 상면에 누름부재(55)의 하단부가 안착되는 안착홈(58a)이 형성되어 상기 돌출핀(57)과 결합되는 연결부재(58)가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누름부재(55)에는 수평막(59)이 중간부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수평막(59)의 상면과 경통 케이스(60)의 하면사이에는 탄성부재(61)가 개제되어 있어, 상기 누름부재(55)를 항시 상측으로 탄지하고 있다.
상기 걸림수단은 미러(51)의 45°위치에 설치되는 고정부재(62)와, 상기 미러를 45°위치에서 걸려 고정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재(63)와, 상기 고정부재(62)에 일단부가 고정되어 돌출부재(63)를 상측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6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62)는 고정나사, 상기 돌출부재(63)는 볼베어링, 상기 탄성부재(64)는 탄성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37은 수광소자, 39는 필드렌즈, 40은 전달렌즈, 41은 결상면, 42는 대안렌즈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피사체로부터 입사되는 편광되지 않은 광선은 제9도에서와 같이, 빔 스플리터(36)에서 분리되어 일부는 뷰파인더계 쪽으로 입사되고, 나머지는 촬상계 쪽으로 입사된다.
일반적으로 뷰파인더계를 사용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12도의 (가)에서와 같이 미러가 걸림수단에 걸려있는 상태로 45°의 각도를 유지하고 있어 본래 전반사미러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야외촬영시에 임의 화각촬영이나, 삼각대에 의한 특정화각촬영을 위하여 뷰파인더로부터 촬영자가 눈을 떼거나, 밝은 광선이 외부로부터 뷰파인더의 후방으로부터 유입될 가능성이 있을 때는 누름부재(55)의 상면을 눌러 주게 되면, 누름부재(55)가 하강되어 연결부재(58)를 눌러주게 되며, 연결부재(58)와 결합되어 있는 돌출핀(57)을 이동시킴으로써 회전레버(54)가 도면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45°의 경사각도를 갖고 있던 미러가 시계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만큼 밀려났다가 되돌아오는 힘에 의해 돌출부재(63)와 부딪혀 돌출부재(63)는 하방향으로 눌려지게 되어 미러(51)의 잠김작용을 해제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회전레버(54)의 일단부와 연결되어 있는 탄성수단(5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제12도의 (나)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러(51)가 광축과 90°의 위치까지 회전하게 되어 광선유입경로가 폐쇄됨으로써 역광의 유입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경통유입경로를 닫아주고 있는 미러(51)를 다시 본래의 위치(45°)로 복귀시키려면, 누름부재(55)를 다시 눌러 주어 회전레버(54)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줌으로써 미러(51)가 걸림수단의 돌출부재(63)를 지나 회전되었다가 다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복귀되는 상태에서 돌출부재(63)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미러는 45°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경통유입경로가 개방되는 것이다.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역광발생 전에 수동으로 전반사미러를 회전조절하여 경통의 입구부를 개폐토록 함으로써 역광의 유입에 의한 고스트 또는 플레어 상의 형성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촬상계에서의 불필요한 상을 제거하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광학식 뷰파인더를 일체화한 줌 렌즈계에서의 역광유입방지장치는 뷰파인더계 측에서 입사되는 광선이 촬상계로 유입되어 화질을 열화시키는 것을 방지하도록 함으로써 기기의 성능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Claims (3)

  1. 렌즈계의 전면으로부터 대물렌즈, 변배렌즈, 전달렌즈, 결상렌즈가 배치되고, 결상렌즈의 최후단에 위치하는 렌즈와 결상면 사이에 빔 스플리트를 설치하여 촬상계와 뷰파인더계가 일체화된 광학식 뷰파인더를 일체화한 리어 포커스 방식의 줌 렌즈에 있어서, 상기 빔 스플리트와 뷰파인더계 사이에 설치되어 광을 반사하는 전반사미러에 상기 미러를 회전시키는 조절수단과, 상기 미러가 고정되어 소정의 각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걸림수단으로 구성되는광선경로변환수단을 설치하여 구성함을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뷰파인더를 일체화한 줌 렌즈계의 역광유입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상기 미러가 장착된 미러지지대와, 상기 미러지지대와 일체로 형성되어 구동지지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회전레버와, 상기 회전레버의 일단부에 인접설치되어 미러가 45°이하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회전레버를 밀어주는 누름부재와, 상기 회전레버의 타단부에 일측부가 고정되어 이러를 90°각도록 유지시키도록 회전레버를 탄지하는 탄성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싱으로 하는 광학식 뷰파인더를 일체화한 줌 렌즈계의 역광유입방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수단은 미러의 45°위치에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미러를 45°위치에서 걸려 고정되도록 돌출되어 있는 돌출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일단부가 고정되어 돌출부재를 상측으로 탄지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학식 뷰파인더를 일체화한 줌 렌즈계의 역광유입방지장치.
KR1019940022934A 1994-09-12 1994-09-12 광학식 뷰파인더를 일체화한 줌 렌즈계의 역광유입방지장치 KR0133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2934A KR0133444B1 (ko) 1994-09-12 1994-09-12 광학식 뷰파인더를 일체화한 줌 렌즈계의 역광유입방지장치
NL1001174A NL1001174C2 (nl) 1994-09-12 1995-09-11 Camera van het autofocusseringstype met een integrale optische zoeker met een polariserende bundelverdel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2934A KR0133444B1 (ko) 1994-09-12 1994-09-12 광학식 뷰파인더를 일체화한 줌 렌즈계의 역광유입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539A KR960011539A (ko) 1996-04-20
KR0133444B1 true KR0133444B1 (ko) 1998-04-23

Family

ID=19392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2934A KR0133444B1 (ko) 1994-09-12 1994-09-12 광학식 뷰파인더를 일체화한 줌 렌즈계의 역광유입방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0133444B1 (ko)
NL (1) NL1001174C2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317679B (de) * 1972-02-18 1974-09-10 Eumig Kamera
US3914034A (en) * 1973-09-14 1975-10-21 Canon Kk Camera system, especially motion picture camera system with interchangeable lenses
JPH0530396A (ja) * 1991-07-24 1993-02-05 Chinon Ind Inc カメラのフアインダ装置
JPH05154106A (ja) * 1991-11-29 1993-06-22 Asahi Optical Co Ltd 視線検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L1001174C2 (nl) 1998-08-18
NL1001174A1 (nl) 1996-03-12
KR960011539A (ko) 1996-04-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99555B2 (en) Light amount adjusting apparatus, optical equipment, optical filter and image-taking apparatus
JPH095621A (ja) 撮像装置
KR0133444B1 (ko) 광학식 뷰파인더를 일체화한 줌 렌즈계의 역광유입방지장치
US7204613B2 (en) Projection display device
US6122455A (en) Lensless viewfinder and lensless viewfinder camera
US4119980A (en) Prism camera
US5481324A (en) Camera
US4437746A (en) Photo metering device for single lens reflex camera
FR2532765A1 (fr) Dispositif de detection de position de mise au point
US4437741A (en) Light measuring device for a single lens reflex camera
JP2001264854A (ja) ファインダー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JP2006074654A (ja) 撮像装置
US20050041133A1 (en) Video-camera unit and adapter for a video-camera unit
JP2568309B2 (ja) 光量絞り装置及び光量絞り装置を有する光学機器
JP2002006205A (ja) 自動焦点カメラ
JPH01207731A (ja) カメラ
JPH0325422A (ja) カメラのファインダー
JP4077920B2 (ja) 焦点検出機能を有するカメラ
JPH0136181Y2 (ko)
JPH09179171A (ja) 照射装置
JPS58202412A (ja) 焦点検出装置
JP2536061B2 (ja) 光路折曲手段を有した光学系
JP3840093B2 (ja) 絞り装置
JPH01147439A (ja) カメラのパララックス自動補正装置
KR890004669B1 (ko) 두개의 뷰파인더를 갖는 일안리플렉스 카메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