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672B1 - 전자 표시관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 표시관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672B1
KR0132672B1 KR1019890005041A KR890005041A KR0132672B1 KR 0132672 B1 KR0132672 B1 KR 0132672B1 KR 1019890005041 A KR1019890005041 A KR 1019890005041A KR 890005041 A KR890005041 A KR 890005041A KR 0132672 B1 KR0132672 B1 KR 0132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cathode
temperature
cathode
electronic display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5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7066A (ko
Inventor
반 데르 빌크 로날드
Original Assignee
이반 밀러 레르너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 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반 밀러 레르너,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 브이 filed Critical 이반 밀러 레르너
Publication of KR900017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7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1/00Details of electrodes, of magnetic control means, of screens, or of the mounting or spacing thereof,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1/02Main electrodes
    • H01J1/13Solid thermionic cathodes
    • H01J1/135Circuit arrangements therefor, e.g. for temperature control

Landscapes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Control Of Gas Discharge Display Tubes (AREA)
  • Electron Sources, Ion Source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 Cathode-Ray Tubes And Fluorescent Screens For Display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자 표시관 장치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 표시관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표시관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
제3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표시관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6도는 일정한 전압 강하 값을 갖는 전력 펄스가 라인 캐소드에 공급될 때 공지된 전자 표시관 장치에 대해 라인 캐소드 온도, 통과 전류 및 양단 전압 강하를 시간 함수로서 표시한 그래프.
제7도는 일정한 전류값을 갖는 전력 펄스가 라인 캐소드에 공급될 때 공지된 전자 표시관 장치에 대해 라인 캐소드 온도, 통과 전류 및 양단 전압 강하를 시간 함수로서 표시한 그래프.
제8도는 일정한 전류값을 갖는 전력 펄스가 라인 캐소드에 공급될 때 본 발명에따른 전자 표시관 장치에 대해 라인 캐소드 온도, 통과 전류 및 양단 전압 강하를 시간 함수로서 표시한 그래프.
제9도는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전자 표시관 장치에서의 라인 캐소드 온도와 본 발명에 다른 전자 표시관 장치에서의 라인 캐소드 온도 사이의 비교 나타내는 그래프.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표시관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적인 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전자 표시관 장치 2 : 전자 표시관
3, 7, 11 : 라인 캐소드 5 : 결정 수단
13 : 전류계 27 : 전압계
본 발명은 최소한 하나의 라인 캐소드를 갖는 전자 표시관과 라인 캐소드에 전력 펄스를 공급하는 전원을 포함하는 전자 표시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전자 표시관 장치는 전력 펄스에 의하여 가열되는 라인 캐소드를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설명하는 미국 특허 제 4,167,690 호에 이미 공지되어 있다.
각각의 연속된 펄스 쌍 사이에는 간격이 있는데, 그러한 간격 동안, 전자 흐름은 라인 캐소드로부터 추출된다. 이러한 전자 흐름은 변조 시스템에 의해 변조되고, 영상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상에 표시된다.
그러한 전자 표시관 장치가 스위치-온된 이후에, 비교적 빠르게 변화하는 초기 변화는 라인 캐소드에 의해 단위 시간당 방출되는 전자 수의 과도 시간 동안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전자 표시관 장치의 수명 사이클(life cycle)동안 느리게 변화하는 시간 변화(temporal changes)는 방출되는 전자 수에서 발생한다.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이들 변화는 표시된 영상의 세기가 변화함으로써 그들 자체를 나타내는데, 이는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라인 캐소드에 의해 단위 시간당 방출되는 전자 수의 변화가 감소되는 전자 표시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서두에 기술된 형태의 전자 표시관 장치에 있어서, 전자 표시관 장치는 라인 캐소드 온도를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데, 그 제어 수단은, 상기 전원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을 가지며, 제어 신호가 입력에 인가될 때 전력 펄스 각각의 종료를 행하는 종료 수단; 라인 캐소드에 결합되어 상기 캐소드의 온도를 직접 결정하여 상기 온도를 나타내는 값을 발생하는 결정 수단과; 상기 결정 수단과 종료 수단의 입력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라인 캐소드에 순간적으로 공급되는 펄스의 종료를 실행하도록, 라인 캐소드 온도롤 나타내는 값이 선정된 크기에 도달할 때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비교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표시관 장치에 있어서, 방출된 전자 수의 과도 시간 및 시간 변화가 감소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라인 캐소드의 온도가 라인 캐소드에 공급되는 전력뿐만 아니라 라인 캐소드에 의해 발산하는 열과 라인 캐소드의 크기(mass)와 같은 다른 요소에 따르는 것을 기초로 한다.
라인 캐소드는 특히 방사 및 전도에 의해 열을 발산한다. 방사 열의 양은 온도, 방사 및 라인 캐소드 표면의 크기와 주위 온도(즉, 라인 캐소드 주위의 온도)에 따른다. 특히, 전도되는 열의 양은 라인 캐소드가 전자 표시관에 배열되는 방법으로, 라인 캐소드 온도 및 주위 온도에 의존한다. 공급되는 전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면, 예를 들어, 라인 캐소드 표면의 방사율 또는 주위 온도는 라인 캐소드의 온도 변화를 일으키고, 그로 인해, 방출되는 전자 수의 변화를 일으킨다.
종래 기술의 방법에 있어서, 라인 캐소드에 공급되는 전력은 일정하고, 그 결과, 라인 캐소드의 온도는 동작동안 변화되고, 또한, 선정된 전력을 공급할 때, 라인 캐소드의 온도는 정확히 예측할 수 없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표시관 장치에 있어서, 온도에 따른 물리적 양(atemperatur-dependent physical quantity)의 값은 전력 펄스 동안 결정되고, 그 전력 펄스는 그 결정된 값과 기준값을 비교하여 라인 캐소드의 온도가 기준값에 대응하는 온도를 초과하는 것을 나타내면 종료된다.
따라서, 라인 캐소드에 공급되는 전력은 물리적 양의 값에 따르고, 그로 인해, 라인 캐소드의 온도에 따르게 되고, 그 결과, 라인 캐소드에 의해 방출된 전자수의 개선된 조정을 얻을 수 있으며, 방출된 전자 수에서 중요한 초기 변화가 발생하는 시간, 즉 과도 시간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라인 캐소드 장치의 양호한 실시예에 있어서, 결정 수단은 라인 캐소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캐소드의 온도를 나타내는 상기 캐소드의 전기 특성을 결정하여 상기 결정으로부터 상기 값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 있어서, 라인 캐소드의 온도는 직접적인 방법에 의해 결정된다.
라인 캐소드의 온도는 간접적으로, 예를 들어 라인 캐소드의 주위 온도를 통해 결정될 수 있는데, 직접적인 온도 결정에 대한 간접 온도 제어의 단점은 라인 캐소드의 온도에서 변화의 정도 및 그 변화 가능성 모두를 증가시킨다.
라인 캐소드의 온도에 따른 특성은, 와이어 상의 장력 부사, 와이어 길이, 세기 및 주파수 분배 모두가 온도에 따라 방출된 전자기 방사, 라인 캐소드에 의해 단위 시간당 방출되는 전자 수 및 그들 전자 사이의 속도 분배와, 전기 저항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표시관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결정 수단의 최소한 한 부분은 엔벨로프 내에 배치되어 라인 캐소드로부터 전자의 방출 속도를 순간적으로 결정하고, 상기 속도는 라인 캐소드 온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작하는 동안, 단위 시간당 방출되는 전자 수는 한 펄스 동안 결정되고, 기준량과 비교되며, 그 전자 수가 기준량 보다 크다면 전력 펄스 공급은 종료된다. 따라서, 단위 시간당 방출되는 전자 수는 실질적으로 원하는 수에 대응한다. 이는 단위 시간당 방출되는 전자 수를 제어하는 간단하고 직접적인 방법이다. 단점은 부가적인 소자가 접속부에 제공되는 전자 표시관에 수용되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전자 표시관의 구조는 더욱 복잡하고, 또한, 결정 수단 또는 그들 접속부가 단락(break)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수단들이 전자 표시관에 존재하기 때문에, 그들을 수선하기에는 어렵거나, 거의 불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표시관 장치의 선택적 실시예에 있어서, 결정 수단은 라인 캐소드의 저항의 결정을 실행하고, 상기 저항은 라인 캐소드의 온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전자 표시관에 부가적인 소자 없이 단지 부가적인 접속부의 최소 수만을 이용하여 온도를 제어하는 단순 방법을 허용한다.
또한, 전자 표시관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전원은 일정한 전력 펄스를 라인 캐소드에 공급하여 상기 라인 캐소드 양단의 전압 강하를 일으키고,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전압 강하의 크기를 결정하여 상기 저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라인 캐소드 온도에 따른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저항을 결정하는 단순한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표시관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라인 캐소드의 눈금 측정 온도(calibration temperature)에서 결정 수단에 의해 발생된 값으로부터, 선정된 크기에서 라인 캐소드 온도를 나타내는 값을 결정하기 위한 눈금 측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눈금 측정값이 공지된 눈금 측정 온도에서 결정되었다면, 온도에 따른 물리적 양의 종속 상태는 알려져 있다. 그 기준값은 보다 정확하게 결정될 수 있고, 전자 표시관 장치의 수명 사이클 동안 눈금 측정값의 변화에 대해 보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엔벨로프는 다수의 라인 캐소드를 포함하고, 라인 캐소드 온도를 제어하는 수단은 상기 전극 중 각각의 전극의 온도를 각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수의 라인 캐소드를 갖는 전자 표시관 장치의 경우에 있어서, 다른 라인 캐소드에 의해 단위 시간당 방출되는 전자 수가 세기의 차이가 없을 정도까지 동일하게 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는 특히, 평면 화상관에서 중요하다.
본 발명의 약간의 전형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이며, 다른 실시예에서의 대응하는 부분은 동일한 참조 부호를 일반적으로 나타낸다.
제1도는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전자 표시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자 표시관 장치(1)는 라인 캐소드(3) 및 전원(4)을 포함한 전자 표시관(2)을 포함한다. 전원(4)에 의해 발생된 전력 펄스는 라인 캐소드(3)에 공급된다. 펄스 지속 기간은 대략 10㎲이고, 간격, 예를 들어 전력 펄스의 종료부와 다음 전력 펄스의 시작부 사이의 시간 간격은 대략 50㎲이다. 이 시간 간격 동안에는 전압 강하가 라인 캐소드 양단에 인가되지 않는다. 상술된 바와 같이, 상기 공지된 방법의 단점은 라인 캐소드의 온도는 정확하게 제어될 수 없고, 그 온도가 단지 공급된 전력에만 따르지 않기 때문에 변화된다는 점이다. 이미 공지된 기술 방법의 다른 단점은, 일정한 전류값을 갖는 전력 펄스가 이용될 때 라인 캐소드의 온도 증가가 과잉 증가하는 위험이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단점은 제7도를 참조하여 후에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표시관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전원(4)에의해 발생된 전력 펄스는 라인 캐소드(3)에 공급된다. 전력 펄스 동안에 라인 캐소드의 온도에 따른 물리적 양의 값은 결정 수단(5)에 의하여 결정된다. 비교 수단(6)에서는 그 결정된 값과 기준 값(G)을 비교한다. 제어 신호(T)는 비교 수단 (6)에의해 발생되어 종료 수단(B)에 공급된다. 라인 캐소드의 온도가 기준값에 대응하는 기준 온도를 초과하는 것을 제어 신호가 표시한다면, 전력 펄스는 종료되는데, 예를 들어, 라인 캐소드(3) 양단의 전압 강하는 실질적으로 영으로 감소된다. 종료 수단(B)은 전원(4)에 포함될 수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표시관 장치의 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결정 수단(5)은 전자 표시관의 한 부분(5a)을 포함한다. 그 부분은 단위 시간당 방출되는 전자 수를 측정하는데 이용된다. 비교 수단(6)에서는 그 방출된 전자 수를 기준 전자 수와 비교된다. 그 방출되는 전자 수가 기준 수를 초과한다면 전력 펄스는 종료된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표시관 장치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정한 전류를 갖는 전력 펄스는 전류원(8)에 의해 라인 캐소드(7)에 공급된다. 한 전력 펄스 동안, 라인 캐소드 양단의 전압 강하는 전압계(9)에 의해 측정된다. 그러한 전압 강하는 비교 수단(10)에서 눈금 측정값(VG)과 비교된다. 그 저항은 라인 캐소드의 온도가 증가할 때 변화하는데, 일반적으로 그 저항은 증가하게된다. 라인 캐소드 양단의 전압 강하는 증가한다. 그 전압 강하가 눈금 측정값(VG)을 초과한다면, 라인 캐소드를 통하는 전류는 제어 신호(T)에 의해 영으로 감소되고, 전력 펄스는 종료된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표시관 장치의 양호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일정한 전압을 갖는 전력 펄스는 전원(12)에 의해 라인 캐소드(11)에 제공된다. 한 전력 펄스 동안, 라인 캐소드를 통과하는 전류는 전류계(13)에 의해 측정된다. 그 측정된 전류는 비교 수단(14)에서 기준 값(IG)과 비교된다. 라인 캐소드의 온도가 증가할 때 저항이 변화하는데, 일반적으로 저항값은 증가하게 되고, 라인 캐소드를 통과하는 전류는 감소하게 된다. 그 전압 강하가 기준갑(IG)보다 더 작게 된다면, 와이어 양단의 전압 강하는 제어 신호(T)에 의해 영으로 감소된다.
제6도는 일정한 전압 강하의 값을 갖는 전력 펄스가 라인 캐소드에 공급되는 공지된 전자 표시관 장치에 대해 라인 캐소드의 온도, 통과 전류, 및 양단 전압 강하를 시간 함수로서 나타낸 그래프이다. 그 그래프의 수평축은 임의 장치에서 시간을 나타내며, 수직축은 라인 캐소드 양단의 전압 강하(V, 연속된 선으로 표시), 라인 캐소드를 통과하는 전류(I, 점선으로 표시)와, 라인 캐소드의 온도(T, 일점 쇄선으로 표시)를 나타낸다. 한 전력 펄스의 지속 시간(t1)동안, 일정한 전압을 갖는 한 전력 펄스는 라인 캐소드에 공급된다. 라인 캐소드의 온도가 증가하는데, 결과적으로 라인 캐소드의 저항은 증가하지만, 전류는 감소한다. 두 전력 펄스(t2- t1)사이의 간격 동안에는, 라인 캐소드에 어떠한 전력도 공급되지 않으며, 라인 캐소드의 온도를 감소한다. 다수의 전력 펄스 이후에, 라인 캐소드에 공급된 평균 전력이 라인 캐소드에 의해 발산된 열과 동일하게 되도록 안정된 평형 상태가 설정된다. 공급되는 전력과 발산되는 열은 그들 자신이 라인 캐소드의 온도에 따른다. 라인 캐소드의 온도가 증가할 때, 라인 캐소드에 공급되는 평균 전력은 감소하지만, 라인 캐소드에 의해 발산되는 열은 증가한다. 발산된 열은 주위 온도에 따르며, 그리고, 라인 캐소드와 그 주위 환경 사이의 열적 결합(thermal coupling)에 따른다.
라인 캐소드의 온도는 단지 주위 온도가 안정될 때만 안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안정된 주위 온도를 얻는데 필요한 시간은 라인 캐소드의 준비 시간을 훨씬 초과한다. 더욱이, 라인 캐소드와 그 환경 사이의 열적 결합은 라인 캐소드의 수명 사이클 동안 변화할 수 있다. 또한, 하나 이상의 라인 캐소드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인 경우에, 심지어 주위 온도가 각각의 라인 캐소드에 대해 안정 상태일지라도 각각의 라인 캐소드는 서로 상이한 주위 온도를 갖기 때문에, 라인 캐소드 사이에 온도 차이가 발생하고, 그로 인해, 예를 들면 표시된 영상의 세기에서 차이가 얻어진다.
제7도는 일정한 전류를 갖는 전력 펄스는 라인 캐소드에 제공되는 공지된 전자 표시관 장치에 대해 라인 캐소드의 온도, 통과 전류 및 양단 전압 강하를 시간 함수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수평 및 수직축 상에 동일한 양이 제6도에 도시된 것 처럼 도시되어 있다. 미국 특허 제 4,167,690 호에는 라인 캐소드의 온도가 증가 할 때 라인 캐소드에 공급되는 전력이 증가하여, 결과적으로 라인 캐소드가과도하게 높은 온도로 가열될 수 있기 때문에, 일정한 전류 세기를 갖는 전력 펄스를 라인 캐소드에 공급하는 것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다.
제8도는 일정한 전류 세기를 갖는 전력 펄스가 라인 캐소드에 제공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표시관 장치에 대해 라인 캐소드의 온도, 통과 전류 및 양단 전압 강하를 시간 함수로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수평 및 수직축 상에서 동일한 량이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된 것 처럼 도시되어 있다. 일정한 전류 세기를 갖는 전력 펄스는 라인 캐소드에 공급된다. 한 전력 펄스 동안에, 라인 캐소드의 온도는 증가하고, 그 결과 라인 캐소드의 저항은 증가하며, 그로 인해, 라인 캐소드 양단의 전압 강하는 증가한다. 그 전압 강하가 기준값(VG)을 초과한다면, 라인 캐소드에 공급된 전력은 영으로 감소된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안정 온도가 라인 캐소드의 외부 요인과 관계가 없기 때문에, 라인 캐소드의 보다 빠르고 보다 정확한 온도 안정화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표시관 장치에서의 라인 캐소드의 온도와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 표시관 장치에서의 라인 캐소드의 온도 사이를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전자 표시관 장치의 스위칭-온 이후의 시간은 수평축에 도시되어있고, 온도는 수직축에 도시되어 있다. 곡선(15)은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전자 표시관 장치에서의 한 라인 캐소드의 온도를 나타내며, 곡선(16)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표시관 장치에서의 라인 캐소드의 온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 표시관 장치에서의 라인 캐소드의 온도는, 그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된 이후에, 빠르게 원하는 값으로 상승하고, 과도 시간(t1) 동안에, 그 라인 캐소드는 매우 빠르게 준비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전자 표시관 장치에서의 라인 캐소드의 온도는 라인 캐소드의 주위 온도에 따르고, 그 주위 온도는 곡선(17)으로 표시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라인 캐소드 장치에서의 라인 캐소드의 온도는 본 발명의 경우와 같이 처음에 빠르게 상승하지만, 임의 시간(t1) 동안에 안정된 값으로 느리게 상승한다.
이 안정 값은 사전에 알 수 없으며, 이는 다른 라인 캐소드에 대해 다르게 되고, 주위 온도에 따르게 된다. 주위 온도의 변화는 상기 안정 온도에 영향을 미친다.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투시도를 나타내는데, 이 경우에, 후면 플레이트(20), 내부에 형광체 패턴(22)이 제공된 유리 전면 플레이트(21), 선택 전극(23)의 시스템 및, 병렬 라인 캐소드(24)의 시스템을 갖는 평면 음극선 관(19)이 제공되어 있다. 그들 라인 캐소드(24)는 두 단부에서 최소한 두 개의 전기 전도 접속 수단에 접속되는데, 본 예에 있어서, 모든 라인 캐소드에는 접속부(24a)에서 접속부(24d)를 포함할 정도의 접속부가 제공된다. 보다 간결하게 하기 위하여, 엔벨로프 부분은 생략되었다. 편향 전극(25)은 라인 캐소드(24) 사이에 제공된다. 라인 캐소드(24)에 의해 방출된 전자들은 편향 전극(25)에 의해 편향되고, 그 전자들은 선택 전극(23)에 의해 선택되고, 전면 프레이트(21) 위치에서 형광체 패턴(22) 상에 투사된다. 편향 전극 및 선택 전극에서 전위의 적절한 선택에의하여 형과 패턴 상에 한 영상이 형성된다. 본 도면은 접속부(24a 및 24b)가 라인(25a 및 25b)에 의해 맥동(脈動)된 전류원(26)에 접속된 상태를 나타낸다. 접속부(24c 및 24d)는 라인(25c 및 25d)에 의해 전압계(27)에 접속된다. 그 전압계의 판독 값은 비교 장치(28)에서 기준전압(Vref)과 비교된다. 그 장치는 제어 신호를 전류원(26)에 공급한다. 또한, 그 도면은 온도 제어의 다른 개선이 어떻게 얻어질 수 있는 지를 도시한 것이다. 각각의 라인 캐소드의 저항은 R(T) = F(T/TO)*R(TO)로 주어지는데, 예를 들어, 알고 있는 온도에서 저항을 알 수 있다는 것은 다른 온도에서 저항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평면 디스플레이에서의 라인 캐소드들은 가능한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저항값들이 실제로 동일 한지의 여부에 대해서 확실치 않으며, 관의 수명 사이클 동안 유지하게 된다. 그 결과로써 발생하는 임의 온도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각각의 라인 캐소드의 저항은 실온에서 결정된다. 이는 각각의 라인 캐소드를 통해, 각각의 라인 캐소드에 대하여 동일한 매우 낮은 전류를 통과시키고, 디스플레이 장치를 스위칭-온시킨 이후에 각각의 라인 캐소드 양단의 전압 강하를 바로 측정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각각의 라인 캐소드의 저항은 실온에서 결정된다. 이러한 결정에 따라, Vref는 부분(29)의 각각의 라인 캐소드에 대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실온에서 세 개의 라인 캐소드의 저항들이 각각 95Ω, 100Ω 및 105Ω 이고, 원하는 온도 및 일정 전류 세기에 대응하는 기준 전압 강하가 100Ω의 저항을 갖는 라인 캐소드에 대해 100V 이면, 다른 라인 캐소드의 기준 전압 강하는 각각 95V, 105V이다. 이러한 방법으로, 라인 캐소드 사이의 온도차는 감소된다.
본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른 여러 변경안이 있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라인 캐소드를 구비하는 엔벨로프와 그 라인 캐소드에 전력 펄스를 반복적으로 공급하는 전원을 포함하는 전자 표시관 장치에 있어서, 라인 캐소드 온도를 제어하는 수단을 포함하는데, 그 제어 수단은,가) 상기 전원에 전기적으로 결합되고 제어 신호를 수신하는 입력을 가지며, 제어 신호가 입력에 인가될 때 전력 펄스 각각의 종료를 행하는 종료 수단;나) 라인 캐소드에 결합되어 상기 캐소드의 온도를 직접 결정하여 상기 온도를 나타내는 값을 발생하는 결정 수단과;다)상기 결정 수단과 종료 수단의 입력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라인 캐소드에 순간적으로 공급되는 펄스의 종료를 실행하도록, 라인 캐소드 온도를 나타내는 값이 선정된 크기에 도달할 때 상기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비교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표시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은 라인 캐소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캐소드의 온도를 나타내는 상기 캐소드의 전기 특성을 결정하여 상기 결정으로부터 사이 값을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표시관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의 최소한 한 부분은 엔벨로프 내에 배치되어 라인 캐소드로부터 전자의 방출 속도를 순간적으로 결정하고, 상기 속도는 라인 캐소드 온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표시관 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수단은 라인 캐소드의 저항의 결정을 실행하고, 상기 저항은 라인 캐소드의 온도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표시관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일정한 전력 펄스를 라인 캐소드에 공급하여 상기 라인 캐소드 양단의 전압 강하를 일으키고, 상기 결정 수단은 상기 전압 강하의 크기를 결정하여 상기 저항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표시관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 캐소드의 눈금 측정 온도에서 상기 결정 수단에 의해 발생된 값으로부터, 선정된 크기에서 라인 캐소드 온도를 나타내는 값을 결정하기 위한 눈금 측정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표시관 장치.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엔벨로프는 다수의 라인 캐소드를 포함하고, 라인 캐소드 온도를 제어하는 수단은 상기 전극 중 각각의 전극의 온도를 각각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표시관 장치.
KR1019890005041A 1988-04-20 1989-04-18 전자 표시관 장치 KR01326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801016 1988-04-20
NL8801016A NL8801016A (nl) 1988-04-20 1988-04-20 Elektronenbuisinrichting en elektronenbui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7066A KR900017066A (ko) 1990-11-15
KR0132672B1 true KR0132672B1 (ko) 1998-04-16

Family

ID=198521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5041A KR0132672B1 (ko) 1988-04-20 1989-04-18 전자 표시관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010275A (ko)
EP (1) EP0339714B1 (ko)
JP (1) JPH01313845A (ko)
KR (1) KR0132672B1 (ko)
DE (1) DE68907375T2 (ko)
NL (1) NL880101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08384A (en) * 1992-10-23 1997-03-04 Sentech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for the presence of a gas
DE19856384A1 (de) * 1998-12-07 2000-06-08 Siemens Ag Verfahren und Schaltungsanordnung zur Regelung des Arbeitspunktes einer Kathodenstrahlröhre
DE102007062054B4 (de) 2007-12-21 2010-04-08 Siemens Ag Röhre, insbesondere Elektronenröhre, mit Mitteln zur Messung der Elektrodentemperatur und Schutz hierfür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67690A (en) * 1977-05-02 1979-09-11 Rca Corporation Cathod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DE3138900A1 (de) * 1981-09-30 1983-04-14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Direktgeheizte kathode mit heizungsregelung in elektronenstrahlgeraeten und verfahren zu ihrem betrieb
JPH0630229B2 (ja) * 1983-07-15 1994-04-2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源
US4464611A (en) * 1983-08-22 1984-08-07 Rca Corporation Line cathode heating and protection circu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8907375T2 (de) 1994-01-20
EP0339714B1 (en) 1993-06-30
KR900017066A (ko) 1990-11-15
DE68907375D1 (de) 1993-08-05
JPH01313845A (ja) 1989-12-19
EP0339714A1 (en) 1989-11-02
US5010275A (en) 1991-04-23
NL8801016A (nl) 1989-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4248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having deformation detection
JP2004514253A (ja) 表示装置及び陰極線管
US5936354A (en) Field emission display with temperature sensing element and method for the operation thereof
KR0132672B1 (ko) 전자 표시관 장치
EP1771839A1 (en) Uniform back-light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therewith
KR100261785B1 (ko) 전계방출형 표시소자 및 그 구동방법
US6303911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temperature of a thin film resistive heater
GB2405487A (en) Measuring integrated circuit processor power demand using VCOs
US200300578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characteristics of multi electron source
JP3984647B2 (ja) 電圧比調整システム
JPS6084744A (ja) 熱陰極
US3980925A (en) Beam mislanding correcting system
KR910001508B1 (ko) 음극선관의 열전자 방출 측정 방법
JP2006512865A (ja) レジスタの変化を予測し補償し表示画像の白一様性を維持するシステム
KR20010039316A (ko) 평판디스플레이의 전류보상 장치
JP3603471B2 (ja) 電界放出型表示素子およびその駆動方法
JPH10247463A (ja) ディスプレイ用電子供給源
US3257848A (en) Temperature transducers for very high temperature measuring systems
US3465157A (en) Temperature compensating circuits for photoelectric devices
US5148083A (en) Demagnetizer
JPH0333891A (ja) Crt用カソード・ヒータ回路およびカソード効率を向上させる方法
JP2831854B2 (ja) 薄膜サーマルヘッドの抵抗体トリミング方法
US6975289B1 (en) Active correction technique for a magnetic matrix display
JP2002532926A (ja) 陰極線管の動作点を調節する方法および回路装置
JPH0378947A (ja) ドットアレイ蛍光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