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621B1 - 로우빙 보빈 이송 장치를 갖는 정방 - Google Patents

로우빙 보빈 이송 장치를 갖는 정방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621B1
KR0132621B1 KR1019950014694A KR19950014694A KR0132621B1 KR 0132621 B1 KR0132621 B1 KR 0132621B1 KR 1019950014694 A KR1019950014694 A KR 1019950014694A KR 19950014694 A KR19950014694 A KR 19950014694A KR 0132621 B1 KR0132621 B1 KR 0132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switch
spinning machine
carriage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4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1232A (ko
Inventor
구니오 산까이
가네히로 이또
류이찌 히가시나까
Original Assignee
노자끼 도따로
호와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14399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331540A/ja
Priority claimed from JP706874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246265A/ja
Application filed by 노자끼 도따로, 호와 고교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노자끼 도따로
Publication of KR960001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6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9/00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 D01H9/18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for supply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to, or transporting from,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Arrangements to prevent unwinding of roving from roving bob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7/00Replacing or removing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B65H67/06Supplying cores, receptacles, or packages to, or transporting from, winding or depositing st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9/00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 D01H9/02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and replacing by bobbins, cores, or receptacles at take-up stations;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adjacent full and empty take-up elements
    • D01H9/04Doffing arrangements integral with spinning or twis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Or Twisting Of Yarns (AREA)
  • Replacing, Conveying, And Pick-Finding For Filamentary Materials (AREA)

Abstract

정방기는 정방기의 크리일을 따라 루프된 오버헤드 레일과 그 오버헤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보빈 캐리지를 갖는 보빈 이송 장치를 포함한다. 보빈 캐리지(20)용 회전 모터(M)를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50)가 정방기의 프레임 단부에 배열된다. 스위치(50)의 작동 부재로서의 케이블(52)은 크리일(6)의 전체 길이를 따라 배열되어 케이블(52)은 스위치(50)의작동 레버에 연결된다. 작업자는 보빈 캐리지(20)를 이동시키기 위해 스위치를 온으로 전환하도록 크리일을 따라 어떤 위치에서도 케이블을 조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로우빙 보빈 이송 장치를 갖는 정방
본 발명은 로우빙 보빈 이송 장치 및 정방기의 크리일(creel)을 따라 로우빙 보빈의 재순환 운동을 얻기 위한 폐쇄 회로를 가지는 정방기에 관한 것이며, 만(滿) 보빈(full bobbin)은 고정 보빈의 탈착 위치에서 수동으로 상기 이송 장치상에 올려지며 크리일의 빈 보빈(consumed bobbin)은 수동으로 상기 이송 장치상의만 보빈과 교환된다.
일본 실용신안 공개 공보 소 51-17314 호에 정방기가 제안되어 있으며, 상기 정방기에서 체인 컨베이어는 정방기의 크리일 외측에 배치된 폐쇄 회로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체인 컨베이어는 만 보빈이 먼저 걸려 있는 다수의 보빈 행거(hanger)를 구비한다. 크리일 상의 보빈이 비워지는 경우, 빈 보빈은 컨베이어상의만 보빈과 교환된다. 체인 컨베이어상의 만 보빈의 대부분이 사용되는 경우, 폐쇄 회로를 따라 체인 컨베이어의 저속 이동이 시작되면서, 정방기 프레임워크(framework)의 단부에 인접하게 보빈을 올리고 내리는(착탈하는) 위치에서 작업자가 빈 보빈을 체인 컨베이어에서 내리고, 이후에 보빈 수레(cart)에서 만 보빈을 꺼내어 체인 컨베이어에 건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소 59-130326 호에는 정방기의 상부를 따라 폐쇄된 체인 컨베이어를 구비하는 정방기가 제안되어 있다. 정방기 프레임워크의 한 단부에서 돌출한 체인 컨베이어의 한 위치에는 만 보빈을 체인 컨베이어상에 자동으로 올리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 4-222238 호는 정방기상에 배치되고 정방기의 외측 원주 주위를 둘러싼 오버헤드 레일을 구비하여, 오버헤드 레일을 따라 보빈 캐리지가 이동되는 정방기를 제안하고 있다. 캐리지는 로우빙 보빈을 현수시키기 위한 것이다. 조방기(roving frame) 프레임워크의 한 단부 주위를 둘러싼 오버헤드 레일의 한 위치에서는 빈 보빈이 보빈 캐리지에서 내려진다. 또한, 조방기의 대향 단부 주위를 둘러싼 오버헤드 레일의 한 위치에서 만 보빈은 보빈 캐리지에 올려진다.
상기 보빈 교환 작업의 수행에는 두 가지 종류의 방법이 있다. 첫 번째 방법은 정방기의 크리일에 있는 로우빙 보빈이 정방기의 길이를 따라 복수의 블록 단위로 분할되고, 보빈 교환이 블록 단위 별로 실행되는 블록 교환법이다. 즉, 크리일의 블록에 있는 빈 보빈이 만 보빈으로 교환된다. 두 번째 방법은 빈 보빈과 만보빈의 교환을 정방기의 길이를 따라 무작위로 실행하는 무작위 교환법이다. 즉, 작업자가 정방기를 따라 순회하면서 빈 보빈을 발견할 때마다 보빈 교환을 수행하는 것이다.
블록 교환법의 경우에, 체인 컨베이어 또는 만 보빈을 현수하기 위한 보빈 캐리지의 길이는 정방기 크리일의 보빈이 정방기의 각 측면에 2 열로 배열됨으로 인해 블록 길이의 두 배가 된다. 그 결과, 블록에서 보빈 교환 작업을 실행할 때, 체인 컨베이어 또는 교환할 빈 보빈과 바로 대향되는 보빈 캐리지의 한 위치에서는 체인 컨베이어 또는 보빈 캐리지로부터 현수되는 만 보빈이 없게 된다. 무작위 교환법의 경우, 빈 보빈과 만 보빈의 교환은 정방기의 길이를 따라 무작위로 수행된다. 따라서, 체인 컨베이어 또는 보빈 캐리지는 빈 보빈을 발견한 크리일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만 보빈을 갖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한다. 즉, 빈 보빈을 교환해야 할 필요성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은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자는 체인 컨베이어 또는 보빈 캐리지가 보빈 교환 작동 중 폐회로를 따라 간헐적으로 이동되도록 이송 장치를 반복해서 온(ON) 및 오프(OFF) 조작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장치에서는, 정방기 주위의 폐회로를 따라 보빈 캐리지 또는 체인 컨베이어를 이동시키기 위한 전기 스위치를 정방기의 한쪽 단부에 배치하였다. 따라서,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해, 작업자는 스위치가 설치된 조방기의 단부에서 빈 보빈이 발견된 크리일 위치로 이동해야 하는데 이는 작업자를 성가시게 하는 일이다.
또한, 종래의 정방기에 있어서, 체인 컨베이어 또는 보빈 캐리지의 이동 속도는 일정하다. 그 결과, 보빈 교환 작업을 위해서는 체인 컨베이어 또는 보빈 캐리지의 길어진 이동 거리 때문에 체인 컨베이어 또는 보빈 캐리지가 소정의 위치로 이동할 때까지 오랫동안 기다려야 한다. 또한, 보빈 교환 작업(크리일의 위치에서 빈 보빈을 제거하고 그 위치에 만 보빈을 삽입함)은 체인 컨베이어 또는 보빈 캐리지가 이동하는 동안 수행되어야 하는데, 미숙련자에 의한 보빈 교환 작업은 대기 시간을 연장하는 한편, 작업자에 대한 작업 부하가 과도하게 높아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정방기의 작업자가 일정한 위치에 머물면서 보빈 이송 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정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정방기가 차지하는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보빈 이송 장치를 갖춘 정방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빈 이송 작업 중 대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보빈 이송 장치를 갖춘 정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로우빙 보빈의 재순환 속도를 변경시킬 수 있는 보빈 이송 장치를 갖춘 정방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정방기는, 정방기의 길이를 따라 연장되는 프레임워크와; 상기 프레임워크의 길이를 따라 이격 배열된 복수의 정방 부품과; 각각의 쓰레드(thread)를 정방하도록 각 정방 부품으로 공급되는 로우빙 보빈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워크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크리일과; 크리일을 따라 무단 통과 방식으로 다수의 보빈을 이송하는 이송 수단과; 크리일 상의 빈 보빈과 수동 교환될 지지 수단상의 만 보빈과; 이송 수단의 선택적인 작동을 위한 스위치와; 이송된 보빈의 선택적인 정지 또는 이동을 얻기 위해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온 또는 오프시키는 동안 빈 보빈과 만 보빈 사이의 교환이 수행되는 무한 통로를 따르는 위치에서의 보빈을 올리고 내리는(보빈 적재 및 적하) 위치; 및 크리일의 길이를 따라 소정 위치에서 작동 부재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스위치를 의도하는 대로 온 또는 오프 전환되는 방식으로 스위치와 연결되고, 크리이의 전체 길이를 따라 제공되는 작동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작업자는 한 위치에 머무르면서 정방기의 어떤 위치에서도 보빈 캐리지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를 온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작동 부재를 조직함으로써 보빈 교환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적합하게는, 이송 수단의 선택적인 작동용 제 2 스위치가 보빈 올리기(적재) 및 내리기(적하) 위치 부근의 한 위치에 배열되어 있다. 그 결과, 보빈 올리기 및 내리기 위치에 있는 작업자는 보빈 이송 장치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스위치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적합하게는, 이송된 보빈의 이동 속도를 설정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그결과, 작업자는 보빈 이송 장치의 이동 속도를 바람직하게 변화시킬 수 있어 대기 시간을 줄이고 보빈 교환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적합하게는, 하나의 폐쇄 회로 부분은 보빈 올리기 및 내리기 위치에 배치된 지점 아래에 있는 정방기 프레임워크의 한 단부로 연장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정방기를 가지는 방직 장치의 개략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정방기의 개략 측면도.
제3도는 오버헤드 레일을 가지는 정방기 단부의 부분 평면도.
제4도는 보빈 캐리지를 가지는 오버헤드 레일의 부분 측면도.
제5도는 오버헤드 레일의 횡단면도.
제6a도 내지 제6c도는 블록 보빈 교환법이 어떻게 수행되는가를 도시하는, 제1도 A 부분의 확대도.
제7도는 제어 회로를 가지는 보빈 캐리지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스위치의 확대도.
제8도는 스위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강성 로드 배열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송 장치 2 : 정방기
3 : 보빈 5 : 수레
6 : 크리일 7, 11 : 레일
20 : 캐리지 31 : 바아
35 : 롤러 50 : 스위치
51: 레버 62 : 로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예는 블록 교환법에서의 보빈 교환 작업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무작위 보빈 교환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제1도에서 도면 부호 1은 각 정방기(2)에 제공된 로우빙 보빈 이송 장치를 나타낸다. 다수의 정방기(2: 그 중 단지 2 개만 도면에 도시)가 소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정방기(2)는 정방기(2)의 부품(도시하지 않음)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 모터(도시하지 않음)와 기어열(gear train: 도시하지 않음)이 배열되어 있는 기어 구동부(소위 기어 단부 영역(71a))를 한 단부에서 가지는 연장 프레임워크(framework; 71)를 포함한다. 공지된 장치에서, 각 정방기(2)는 드래프트부(도시하지 않음)와 스핀들(도시하지 않음)을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이격 정방 부품(2-1: 제2도)을 가지는 프레임워크(71)의 길이를 따라 제공된다. 또한, 공지된 바와 같이, 각 정방가(2)에는 정방기 부품으로 공급되는 보빈용 보빈 행거(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는 크리일(6: 제1도, creel )이 제공된다. 즉, 크리일(6)은 정방기(2)의 프레임워크(71)상에 배치된 크리일 레일(7)을 구비하며, 각 레일(7)은 프레임워크(71)의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크리일(6)은 또한 정방기(2)에 레일(7)을 연결하는 다수의 이격된 연결 기둥(12: 제2도 및 제3도, pillar)을 구비한다. 공지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두 개의 레일(7)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방기(2)의 각 측면에 배치된다. 또한, 크리일(6)의 보빈 행거의 총 숫자는 정방기(2)의 정방기 부품의 총 숫자와 일치하며, 그 숫자는 예를 들면 720 개이다. 또한, 공지된 바와 같이, 정방기 부품(스핀들)은 정방기의 각 측면에 일렬로 배치되며, 두 개의 크리일 레일(7)은 정방기(2)의 각 측면에 배치된다. 따라서, 각 크리일 레일(7)의 보빈 행거는 정방기의 정방기 부품이 가진 피치의 두 배의 피치로 배열된다.
제1도에서, 로우빙 보빈 수레(5: cart)는 정방기(2)의 한 단부, 즉 프레임워크(71)의 기어 단부 영역(71a)에 인접 위치한다. 기어 단부 영역(71a)의 반대쪽에는 정방기(2)가 외측 단부(71b)를 구비하여 형성된다(제2도). 공지된 바와 같이, 보빈 수레(5)는 하나의 작동 주기에서 조방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선행하는 로우빙 공정에서 제조되는 보빈 숫자에 대응하는 만 보빈(full bobbin) 또는 빈(empty) 보빈의 숫자, 예를 들면 120 개를 저장할 수 있다. 제1도에서, 만 보빈은 도면 부호 3으로 표시한 최대 직경의 원으로 도시되어 있는 반면에, 빈 보빈은 참조 부호(4)로 표시한 최소 직경의 원으로 도시되어 있다. 정방기(2)의 정방기 부품(2-1)으로 이송되고 아직 완전히 비워지지 않은 크리일 상의 보빈은 만 보빈(3)과 빈 보빈(4)의 직경 사이의 원으로 표시되어 있다. 보빈 수레(5)는 정방기와 조방기 사이에서 전후방으로 수동 이동된다. 즉, 보빈 수레(5)는 만 보빈을 조방기에서 정방기로 공급하도록 이동된다. 또한, 보빈 수레(5)는 정방기에서 조방기로 빈보빈을 복귀시키도록 이동된다. 도면에서는, 단지 하나의 수레(5)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하나 이상의 보빈 수레(5)를 사용할 수도 있다. 즉, 수레(5)의 숫자는 정방기 뿌만 아니라 조방기 또는 그들의 제품 생산 능력에 따라 결정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리일(6)에 걸린 보빈은 8 개의 블록(BL1 및 BL2 등)으로 그룹화된다. 제1도의 각 그룹은 크리일 레일(7)의 이중 열을 따라 확대된 직사각형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보빈 교환의 필요성은 상기 각 그룹에서 발생한다. 즉, 보빈 교환이 필요하면 블록 내의 모든 보빈이 교환된다. 즉, 블록 내의 빈 보빈(3)은 본 발명에 따른 로우빙 보빈 이송 장치를 따라 운반된 만 보빈으로 수동 교환된다. 인접한 정방기(2) 사이에는 만 보빈(3)과 빈 보빈(4) 사이의 보빈 교환 작업과 실잇기(piecing)와 같은 종류의 일상적인 작업을 실행하기 위한 작은 공간이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공간은 보빈 수레(5)가 통과하여 이동할 수 있을 정도로 넓은 필요는 없다.
다음에, 보빈 교환 장치(1)의 상세한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즉, 보빈 교환장치(1)는 각각의 정방기(2)의 크리일(6)을 따라 배열되는 폐쇄 회로 구조의 오버헤드 레일(11)과, 레일에 걸린 만 보빈 또는 빈 보빈(3, 4)을 가지는 오버헤드 레일을 따라 안내되는 보빈 캐리지(20) 및 오버헤드 레일(11)의 폐쇄 회로를 따라 보빈 캐리지(20)의 재순환 운동을 얻기 위한 구동 장치(공급기: 40)를 포함한다. 따라서, 오버헤드 레일(11)은 대향 회로부(11a 및 11b)를 형성한다. 제2도에서, 레일 브래킷(13)은 크리일 연결 기둥(12)에서 수평으로 연장되고, 오버헤드 레일(11)은 레일 브래킷(13)에 연결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방기(2)의 기어단부(71a)에 있는 회로부(11a)는 외측으로 연장되며, 보빈 캐리지(20)에서 보빈 수레(5)로 빈 보빈(4)을 내리는(적하) 작업과 보빈 수레(5)에서 보빈 캐리지(20)로만 보빈(3)을 올리는(적재) 작업을 수행하는 보빈을 올리고 내리는 장소(P)가 상기 로프부 아래에 있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빈 캐리지(20)는 각각 캐리지 바아(31)로 구성되는 다수의 캐리지 장치(30)와, 캐리지 바아(31)의 하면에 연결된 다수(예를 들면, 3)의 보빈 행거(32)와, 연결 부재(33)와 핀(34)으로 각각 구성되는 연결 장치를 포함한다. 즉, 서로 근접 위치하는 캐리지 바아(31)와 연결 부재(33)는 핀(34)에 의해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유연한 구조의 보빈 캐리지(20)가 제공되므로 캐리지(20)는 오버헤드 레일(11)의 단부에 있는 회로부(11a 및 11b)를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보빈 캐리지(20)는 오버헤드 레일(11)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된다. 즉, 보빈 캐리지(20)가 오버헤드 레일(11)에 위치하는 경우, 선단부에 위치하는 캐리지 바아는 31a로 표시되는 반면에 말단부에 위치하는 캐리지 바아는 31b로 표시된다.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선단부에 있는 캐리지 바아(31a)와 말단부에 있는 캐리지 바아(31b) 사이에는 연결 부재 (33)가 없는데, 즉, 캐리지 바아(31a 및 31b) 사이에는 공간이 존재한다. 보빈 캐리지(20)에는, 단일 조방기에 있는 정방기의 총 숫자의 3 배에 해당하는 개수의 보빈 행거(32)가 제공(보빈 캐리지(20) 내의 보빈 행거(32)의 숫자는, 예을 들어 360 개이다)되는 반면에, 보빈 행거(32)의 피차 즉, 인접 보빈 행거(32) 사이의 거리는 정방기(2)의 크리일 내에 있는 보빈 행거의 피치와 동일하다.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지 바아(31)는 가가각 측방으로 이격된 한쌍의 지지 롤러(35)로 구성되고, 수평으로 연장되는 회전축과 각각 수직으로 연장하는 회전축을 가지는 종방향으로 이격된 안내 롤러(36)를 단부에 가지는 지지 및 안내 장치가 제공된다. 제 5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버헤드 레일(11)은 바닥이 개방된 C 자형 횡단면을 가진다. 즉, 오버헤드 레일(11)은 상부벽(11-1), 측면벽(11-2) 및 바닥벽(11-3)을 가진다. 바닥벽(11-3)은 각각의 지지 롤러(35)가 회전하는 수평 지지면(11c)을 형성한다. 바닥벽(11-3)은 레일(11)의 길이를 따라 이격되어 있어서, 이격된 한 쌍의 수직 안내면(11d)을 형성하며 이 사이에 안내 롤러(36)가 배열된다. 지지 롤러(35)와 안내 롤러(36)의 제공에 의해 보빈 캐리지(20)가 오버헤드 레일(11)을 따라 안내될 수 있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방기(2)의 외측 단부(71b)에 인접한 오버헤드 레일(11) 위치에는 오버헤드 레일(11)을 따라 보빈 캐리지(20)의 운동을 얻기위해 한 쌍의 공급 장치(40)가 제공된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공급 장치(40)는 오버헤드 레일(11)에 견고하게 연결된 브래킷(41)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회전축과, 수직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가지고 브래킷(41)에 연결되는 한 쌍의 이송 디스크(44)와, 각 디스크(44)에 연결되는 한 쌍의 속도 가변 전기 구동 모터(M)를 포함한다. 이송 디스크(44)는 원주면이 서로 대향하고 캐리지 바아(31)의 면(31-1)과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그 결과, 전기 모터(M)에 대한 디스크(44)의 회전 운동은 제1도 및 제3도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오버헤드 레일(11)을 따라 보빈 캐리지(20)가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수동 조작 전기 스위치(50)는 프레임워크(71)의 기어부(71a) 사이에 배열된다.
즉, 스위치(50) 중 하나가 상기 프레임워크(71)의 한 측면에 배치되며, 다른 스위치(50)가 상기 프레임워크(71)의 다른 측면에 배치된다. 상기 스위치(50)는 공급장치(40)의 전기 모터(M)를 온 또는 오프 전환하여 보빈 캐리지(20)의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스위치(50)는 전기 모터(M)에 연결된 접촉 장치(48)와, 레버(51)가 스위치(50)를 오프로 전환하므로써 접촉 장치(48)에서 분리되는 실선으로 표시한 제 1 위치(55: 오프 위치)와 레버(51)가 스위치(50)를 온으로 하므로써 접촉 장치(48)와 접촉하는 파선으로 표시한 제 2 위치(54: 온 위치) 사이의 축선(51a) 주위에서 회전할 수 있는 작동 레버(51)를 포함하고, 이에 의해 전기 모터(M)의 구동축의 회전이 시작된다. 스위치(50)에는 레버(51)를 제 1 위치(55)로 되돌리기(스위치(50)가 오프 상태이다) 위한 스프링(53)이 또한 제공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동 케이블 또는 로프(52)는 프레임워크(71)의 기어 단부(71a) 내의 대웅 스위치(50)의 작동 레버(51)를 속박하기 위한 제 1 단부로 부터 프레임워크(71)의 외측 단부(71b)에 인접한 위치에서 크리일(6)의 연결 기둥(12)에 고정된 브래킷(46)을 속박하기 위한 제 2 단부까지 크리일(6)을 따라 연장된다. 로프(52)는 크리일(6)에 연결된 외부 연결체를 가지는 지지 부재(47)에 의해 중간 부분이 지지되어 로프(52)가 느슨해지지 않는다. 작업자가 제 7 도의 화살표(G)로 표시한 바와 같이 로프(52)를 잡아 당기면, 레버(51)는 제 1 위치(55)에서 스프링(53)의 힘에 대항하는 제 2 위치(54)로 이동하여, 접촉장치(48)가 온으로 전환되고 폐쇄 회로가 전기 모터(M)를 구동하게 함으로써 보빈 캐리지(20)가 오버헤드 레일(11)의 폐쇄 회로를 따라 재순환될 수 있게 한다. 작업자가 로프(52)를 느슨하게 하면, 레버(51)는 스프링(53)의 힘에 의해 제 2 위치(54)에서 제 1 위치(55)로 전환하여, 접촉 장치(48)는 오프로 전환되고 전기 모터(M) 를 통하는 폐쇄 회로의 연결이 끊어지며, 보빈 캐리지(20)가 오버헤드 레일(11)의 폐쇄 회로를 따르는 재순환이 방지된다. 보빈을 올리고 내리는 위치(P)에 대응하는 오버헤드 레일(11)의 위치에는 스위치(50)가 배치된 것과 유사한 구성의 이송스위치(60)가 배치된다. 즉, 스위치(60)에는 스프링(60-1)의 힘에 의해 제 2 도의 실선으로 표시한 오프 위치(65: 제 1위치)로 압박하는 작동 레버(61)가 제공된다.
스위치의 오프 위치에서, 전기 모터(M)는 에너지를 뺏김으로써 보빈 캐리지(20)의 이동이 방지된다. 레버(61)는 스프링(60-1)의 함에 대항하여 제 2 도의 점선(64)으로 표시한 온 위치(제 2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스위치는 온으로 전환되고, 전기 모터(M)에 에너지가 가해짐으로써 보빈 캐리지(20)가 이동될 수 있게한다. 로프(62)는 오버헤드 레일(11)의 외측 위치에서 레버(61)에 현수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보빈 교환 작업 중 필요시에 스위치(60)를 온으로 전환하도록 로프(62)를 아래 쪽으로 잡아 당긴다. 다시 말하면, 위치(P)에서 작업자는 보빈 캐리지(20)를 필요에 따라 정지시키는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위치 박스(80)는 프레임워크(71)의 기어 단부(71a) 내에 배치된다. 스위치 박스(80)는 속도 지시 스위치(82)와 속도 설정 회로(82': 제 7 도)를 포함하며, 보빈 캐리지(20)의 속도 변경을 지시하는 수단으로 역할한다. 실시예에서, 속도 지시 스위치(82)는 공급 장치(40)에서 모터(M) 회전 속도를 두 가지로 설정할 수 있다. 즉, 스위치(82)는 모터(M)의 고속 회전을 얻기 위해 속도 설정 회로(82')에서 제 1 신호을 발령하는 제 1 위치와 모터(M)의 저속 회전을 얻기 위해 속도 설정 회로(82')에서 제 2 신호를 발령하는 제 2 위치를 가진다. 속도 설정 회로(82')는 공급 장치(40)의 전기 모터(M)에 연결되는 제어 회로(84)에 연결된다. 그 결과, 전기 모터(M)의 회전 속도는 속도 지시 스위치(82)의 위치에 따라 고속 또는 저속으로 변환된다. 즉, 고속 위치는 예를 들어 위치(P)에서 보빈을 올리고 내리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장거리에 걸친 로우빙 보빈의 이동이 필요할 때, 또는 보빈이 이동 중에 보빈을 올리고 내리는 위치(P)에 급속한 내리기 작업이 필요할 때 선택된다. 이와는 반대로, 저속 위치는 간헐적인 보빈 이송이 로우빙 교환이 수행된 위치에서 수행될 때, 또는 보빈 이송 작업 중에 보빈을 올리고 내리는 위치(P)에서 만 보빈의 삽입을 수행할 때 선택된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어 회로(84)는 구동 모터(M)의 속도를 스위치(82)의 위치에 따라 저속, 중속 및 고속으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런 경우에, 고속 위치는 위치(P)에서 보빈을 올리고 내리는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 장거리에 걸친 로우빙 보빈의 이동이 필요할 때 선택된다. 중속 위치는 보빈 이송 작업중 보빈을 올리고 내리는 위치(P)에서 빈 보빈을 제거할 때나 로우빙 교환이 수행된 위치에서 간헐적인 보빈 이송을 수행할 때 선택된다. 저속 위치는 보빈 이송 작업 중에 보빈을 올리고 내리는 위치에서 만 보빈의 삽입을 수행할때 선택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작동법에 대해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정방기(2)의 크리일(6)에서의 로우빙 보빈의 준비는 보빈 교환의 필요성이 블록(BL1, BL2 등) 사이에서 독립적으로 발생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다른 말로 하자면, 보빈 교환의 필요성은 블록 간에 동시에 발생하지 않는다. 정방기(2)에서의 정방이 시작될때, 만 보빈(3)은 크리일(6)의 보빈 열에 대향하는 부분, 즉 프레임워크(71)의 종방향 측면과 면하는 오버헤드 레일(11)의 직선 부분에서 보빈 캐리지(20)에 현수된다. 또한, 후술되는 바와 같이, 보빈 캐리지(20) 상의 모든 만 보빈(3)을 빈 보빈(4)으로 교환하기 전에, 한 작동 주기중 조방기에서 제조되는 보빈의 수와 대응하는 빈 보빈(4)을 싣기 위한 빈 수레(5) 및 120개의 만 보빈(3)을 가진 다른 수레(5)는 보빈을 올리고 내리는 위치(P)에서 준비된다. 정방이 시작된 이후 적합한 시간이 경과하면, 보빈 교환의 필요성은 블록, 즉 예를 들면 블록(BL1)에서 발생한다. 이 경우에, 수동 보빈 교환 작업은 크리일(6)의 블록(BL1)에 있는 빈 보빈(4)을 블록(BL1) 내의 빈 보빈(4)과 면하는 보빈 캐리지(20) 내의 만 보빈(3) 그룹(FB: 제1도)으로 교환하도록 작업자에 의해 실행된다. 즉, 보빈 교환 작업 이전에, 보빈 캐리지(20)는 보빈 캐리지(20) 상에 있는 만 보빈(3) 그룹(FB)의 선단부가 블록(BL1)의 선단부와 면하는 위치에서 이동되거나 정지된다. 크리일(6) 상의 빈 보빈은 2 열이며, 보빈 캐리지(20) 상의 만 보빈(3)은 1 열이다. 또한, 크리일(6)과 보빈 캐리지(20) 사이의 보빈 피치는 동일하다. 따라서, 그룹(FB)의 길이는 블록(BL1) 길이의 두배이다. 블록식 보빈 교환의 초기 단계에서, 블록(BL1) 선단부의 각 크리일 레일(7) 상의 빈 보빈(4a)은 제 6a 도의 화살표(f1 및 f2)로 표시한 바와 같이 빈 보빈(4a)과 면하는 위치에서 보빈 캐리지(20) 내의 최초 2 개의 만 보빈(3a)으로 교환된다. 그 후, 작업자는 로프(52)를 당기고, 스위치(50)의 레버(51)가 제 1 위치(55)에서 제 2 위치(54)로 이동된다(제 7 도). 그 결과, 구동 모터(M)를 회전시키기 위한 명령이 공급 장치(40)에 발령되어, 제 6b 도에 도시한 방향(h)으로 보빈 캐리지(20)의 재순환 운동이 얻어진다. 다음 2 개의 보빈(3b)에 제 6c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BL1) 내의 각 크리일 레일(7)에서 제 2 빈 보빈 (4b)과 면하도록 위치할 때, 작업자는 로프(52)를 느슨하게 하고, 보빈 캐리지(20)의 재순환 운동을 멈춘다. 그 수, 블록(BL1) 내의 각각의 크리일 레일(7)에 있는 빈 보빈(4b)은 제6c도의 화살표(f3 및 f4)로 표시한 보빈 캐리지 내의 두 개의 만 보빈(3b)으로 바뀐다. 제 6a 도 내지 제 6c도에 도시한 상기 공정은 블록(BL1) 내의 모든 빈 보빈이 보빈 캐리지(20) 내의 만 보빈으로 교환될 때까지 반복된다.
보빈 교환의 필요성이 블록(BL2)과 같은 후속 블록에서 발생되면, 즉 블록(BL2)에 대응하는 크리일(6)에 있는 보빈이 비워지고, 작업자가 로프(52)를 당기면, 만 보빈(3)의 그룹(FB)이 블록(BL2)에 면하는 오버헤드 레일(11) 위치로 이동될 때까지 보빈 캐리지(20)가 이동하게 된다. 그후, 보빈 교환 작업은 제6a도 내지 제6c도를 참조해 설명한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실행된다.
보빈 캐리지(20) 내의 모든 보빈이 빈 보빈(4)으로 되면, 보빈을 올리고 내리는 위치(P)에 있는 작업자는 이송 스위치(60)의 로프(62)를 당켜 보빈 캐리지(20)를 이동시킴으로써 빈 보빈(4)은 보빈을 올리고 내리는 위치(P)로 다가오게 된다. 이 경우, 작업자는 속도 지시 스위치(82)를 편리하게 작동시키고, 구동 모터(M)의 회전 속도는 고속 모드로 전환되어 빈 보빈(4)이 위치(P)로 빠르게 이동되게 함으로써 대기 시간을 단축시킨다. 그 후,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P)에 있는 작업자가 보빈 캐리지(20)의 보빈 행거에서 빈 보빈(4)을 잡아서 빈 보빈의 저장을 위해 수레에 싣고, 작업자는 만 보빈의 저장을 위해 다른 수레(5)에서 만 보빈을 잡아서 보빈 캐리지(20)의 보빈 행거에 넣는다. 작업자는 온 및 오프 스위치(60)를 반복 전환하는 동안에 빈 보빈을 내리고 만 보빈을 올리는 작업을 반복함으로써 보빈 캐리지(20) 상의 만 보빈 저장 수레(5) 내에 모든 로우빙 보빈(120 개의 보빈)의 장전이 끝날 때 까지 보빈 캐리지(20)가 오버헤드 레일(11)을 따라 간헐적으로 이동되게 한다. 그후, 작업자는 만 보빈(3)이 보빈 캐리지(20) 상에 장전되는 수레(5)에서 보빈 캐리지(20)의 빈 보빈(4)이 충전되는 수레(5)로 이동하며, 만 보빈을 가지는 새로운 수레(5) 및 새로운 빈 수레(5)를 위치(P)로 가져온다. 그후, 전술한 작업을 반복하여 빈 보빈을 보빈 캐리지에서 잡아내고, 교환 중에, 만 보빈은 보빈 캐리지(20)의 보빈 행거에 놓여진다. 상기 작업을 계속함으로써, 만 보빈(360 개의 보빈)은 크리일(6)의 보빈 행거와 면하는 위치에서 보빈 캐리지의 모든 보빈 행거 상에 저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버세드 레일(11)을 따라 보빈 캐리지(20)를 재순환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보빈을 올리고 내리는 위치(P)에서 필요한 일은 스위치(50)를 온으로 전환하기 위해 로프(52)를 당기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작업자는 보빈을 올리고 내리는 위치(P)에 머물수 있고, 종래 기술에서와 같이 프레임워크(71)의 기어단부(71a)로 이동할 필요가 없다. 또한, 보빈을 올리고 내리는 위치(P)의 공간도 오버헤드 레일(11)이 정방기(2)의 프레임워크(71)의 기어 단부(71a) 에서 돌출되었다는 사실 때문에 오버헤드 레일(11)에 의해 상부애 국한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라, 이송 제어 스위치(60)는 스위치 레버가 외측으로 연장되고 로프(62)가 오버헤드 레일(11)에서 외측 위치에 있는 레버의 단부에 걸리는 방식으로 제공된다. 따라서, 보빈을 올리고 내리는 위치(P)에 있는 작업자는 오버헤드 레일(11) 아래의 한정된 공간 내부로 들어갈 필요 없이 보빈을 올리고 내리는 위치에서 로프(62)를 조종할 수 있다. 따라서, 보빈 교환 작업의 생산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빈을 올리고 내리는 위치(P)는 정방기(2)의 프레임워크(71)의 단부(기어 단부 위치(71a))에 위치한다. 그러한 배열은 보빈을 올리고 내리는 위치가 인접 정방기(2) 사이의 통로에 배열되는 것에 비해서 정방기(2)의 인접 통로 사이의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구성은 정방기(2) 사이의 공간이 감소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빈 캐리지(20)는 로우빙 보빈의 이송에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보빈 캐리지(20) 내의 보빈 행거의 피치가 정방기 크리일(6) 내의 보빈 행거 피치와 동일하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상기 실시예에서, 작업자가 로프(52)를 당길 때 온으로 전환되고, 작업자가 로프(52)를 느슨하게 할 때 오프로 전환되는 레버형 이송 스위치(50)가 사용되었다. 그러한 레버형 스위치(50) 대신에, 작업자가 와이어 로프(52)를 당길 때 온 또는 오프로 교대로 전환되는 론타리형 스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송 스위치로서, 정방기의 크리일에 현수된 현수형 스위치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변형 실시예로서, 가요성 로프(52) 대신에 제 8 도에 도시한 경질 로드(90: solid rod)가 정방기(2)의 프레임워크에 연결된 브래킷(92)에 의해 미끄럼 가능하제 지지된다. 로드(90)는 스위치(50)의 작동 부재(50-1)와 면하도록 한 단부에 배열된다. 스위치(50)는 작동 부재(50-1)가 눌러질 때 온으로 전환되고 작동 부재가 떼어질 때 오프로 전환되는 형태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는 블록형 보빈 교환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은 무작위 보빈 교환법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무작위 보빈 교환법에서, 보빈 교환은 크리일의 길이를 따라 무작위로 실행된다. 즉, 작업자가 크리일의 위치에서 보빈이 비워졌음을 발견할 때마다, 작업자는 보빈 캐리지(20) 상의 보빈 행거로부터 잡아낸 만 보빈으로 빈 보빈을 교환해야 한다. 그러한 무작위 보빈 교환법에서 작업자는 기어 단부(71a)에 있는 스위치(50) 위치로 이동하지 않고 빈 보빈을 발견한 장소에서 로프(52)를 즉시 조종할 수 있게 함으로써, 보빈 캐리지(20)가 빠르게 이동하고 작업자가 보빈 캐리지(20)에서 만 보빈을 매우 빠르게 잡아낼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만 보빈을 올리는 것과 빈 보빈을 내리는 것은 보빈 캐리지(20)가 간헐적으로 이동하는 동안에 교대로 실행된다, 그러한 교대로 교환하는 방법 대신에, 보빈 캐리지(20)는 오버헤드 레일(11)의 전체 폐쇄 회로를 따라 먼저 재순환되므로 보빈 캐리지(20)상의 모든 빈 보빈(4)이 제거되며, 보빈 캐리지(20)가 오버헤드 레일(11)의 전체 폐쇄 회로를 따라 다시 재순환되므로 만 보빈(3)이 보빈 캐리지(20)의 모든 보빈 행거 상에 놓여진다. 그 경우에, 고속 모드는 빈 보빈이 보빈을 올리고 내리는 위치(P)로 장거리 이송될 필요가 있을 때 속도 지시 스위치(82)에 의해 선택된다. 그 결과, 보빈을 올리고 내리는 위치(P)로의 빈 보빈의 고속 운동이 얻어진다. 보빈 캐리지(20)에서 빈 보빈을 잡아 내는 보빈을 올리고 내리는 위치(P)에서의 작업자의 일은 빈 보빈이 가볍기 때문에 보빈 캐리지(20)의 고속과 무관하게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 완료 시간이 감소될 수 있다. 저속 모드는 무거운 만 보빈이 올리고 내리는 위치(P)에 놓여질 필요가 있을 때 속도 지시 스위치(82)에 의해 선택되므로, 수레(5) 내의 120 개의 만 보빈이 보빈 캐리지(20) 상에 올려지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는 다르게, 보빈 캐리지(20)의 연속 이동 중 빈 보빈(4)의 내리기와 만 보빈(3)의 올리기가 교대로 실행되는 공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고속 모드는 숙련자가 선택하는 반면에 저속 모드는 미숙련자가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속도는 작업자의 숙련도와 일치되고, 대기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1)

  1. 정방기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프레임워크(2)와; 상기 프레임워크의 길이를 따라 이격 배치되는 다수의 정방 부품(2-1)과; 각각의 쓰레드를 정방하도록 각 정방 부품에 공급되는 로우빙 보빈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프레임워크의 길이를 따라 연장하는 크리일(6; creel)과; 상기 크리일을 따라 무단 통로에 다수의 보빈을 이송하기 위한 로우빙 보빈 이송 장치(1)와; 크리일상의 빈 보빈과 수동으로 교환되는 로우빙 보빈 이송 장치(1) 상의 만보빈과; 로우빙 보빈 이송 장치(1)의 선택적인 작동을 위한 스위치(50)와; 이송된 보빈의 선택적인 정지 또는 이동을 얻기 위해 스위치를 선택적으로 온(ON) 또는 오프(OFF)시키는 동안 빈 보빈과 만 보빈 사이에서 교환이 수행되는 폐쇄 통로를 따르는 위치에서 보빈을 올리고 내리는(보빈 적치 및 적하) 위치(P) 및; 크리일의 길이를 따라 소정의 위치에서 작동 부재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스위치를 의도하는 대로 온 또는 오프 전환하도록 스위치에 연결되고 상기 크리일의 전체 길이를 따라 제공되는 작동 부재(50-1, 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빙 보빈 이송 장치를 갖는 정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50)는 스위치 장치(48)와 스위치 장치를 작동시키는 레버(51)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 부재는 정방기의 크리일 길이를 따라 신장된 가요성 로프(52)이며, 상기 로프는 레버에 연결되어 있어서 작업자에 의한 로프의 조작에 의해 크리일의 길이를 따라 어떠한 소정의 위치에서도 스위치를 작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빙 보빈 이송 장치를 갖는 정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스위치 장치(48)와 이 스위치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선형 왕복 운동 부재(50-1)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 부재는 정방기의 크리일 길이를 따라 연장되고 정방기의 프레임워크에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되는 경질 로드(90)이며, 상기 로드는 왕복 운동 부재에 연결되어서 작업자에 의한 로드의 조작에 의해 크리일의 길이를 따른 어떠한 소정 위치에서도 스위치를 작동 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빙 보빈 이송 장치를 갖는 정방기.
  4. 제1항에 있어서, 보빈을 올리고 내리는 위치와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고 로우빙 보빈 이송 장치(1)의 선택적인 작동을 얻기 위한 제 2 스위치(60)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빙 보빈 이송 장치를 갖는 정방기.
  5. 제1항에 있어서, 이송된 보빈의 이동 속도를 가변 설정하기 위한 장치(80)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빙 보빈 이송 장치를 갖는 정방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빙 보빈 이송 장치(1)는 폐쇄 통로를 제공하도록 크리일을 따라 배치된 오버헤드 레일(11)과, 다수의 보빈을 지지하기 위해 오버헤드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가요성 보빈 캐리지(20) 및 보빈 캐리지의 이동을 제공하는 공급 장치(40)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는 공급 장치의 소정의 온 또는 오프 작동을 얻기 위해 상기 공급 장치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빙 보빈 이송 장치를 갖는 정방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보빈 캐리지는 다수의 캐리지 바아(31)와 각 캐리지 바아(31) 상의 보빈 행거(32: hanger) 및 서로 인접하게 위치된 캐리지 바아를 관절식으로 연결하는 관절식 연결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빙 보빈 이송 장치를 갖는 정방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식 연결 장치는 연결 부재(33)와 상기연결 부재를 인접 캐리지 바아(3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핀(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빙 보빈 이송 장치를 갖는 정방기.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장치(40)는 디스크가 원주면에서 보빈 캐리지와 접촉하도록 보빈 캐리지와 접촉하는 한 쌍의 디스크(44)와 상기 디스크에 가해지는 회전 운동을 발생시키기 위해 스위치에 의해 작동되는 전기 모터(M)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빙 보빈 이송 장치를 갖는 정방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헤드 레일(11)은 크리일의 길이를 따르는 한 쌍의 직선부와 폐쇄 통로가 형성된 직선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회로부(11a)를 포함하며, 폐쇄 회로부중 하나는 정방기 프레임워크의 한 단부에서 연장되며, 그 아래에는 보빈을 올리고 내리는 위치(P)가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빙 보빈 이송 장치를 갖는 정방기.
  11. 제10항에 있어서, 보빈을 올리고 내리는 위치(P)의 위쪽에 배치되고 로우빙 보빈 이송 장치(1)의 선택적인 작동을 얻기 위한 제 2 스위치(60)를 또한 포함하며, 상기 제 2 스위치(60)는 레버(61: 스위치 부재)와 스위치 부재의 선택적인 작동을 얻기 위한 로프(62)로 구성되며, 상기 로프는 상기 위치에서 위쪽에서 부터 현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우빙 보빈 이송 장치를 갖는 정방기.
KR1019950014694A 1994-06-01 1995-05-31 로우빙 보빈 이송 장치를 갖는 정방 KR01326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143994A JPH07331540A (ja) 1994-06-01 1994-06-01 粗糸ボビン搬送装置を備えた精紡機
JP94-143994 1994-06-01
JP7068743A JPH08246265A (ja) 1995-03-01 1995-03-01 粗糸ボビン搬送装置を備えた精紡機
JP95-68743 1995-03-0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232A KR960001232A (ko) 1996-01-25
KR0132621B1 true KR0132621B1 (ko) 1998-04-16

Family

ID=26409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4694A KR0132621B1 (ko) 1994-06-01 1995-05-31 로우빙 보빈 이송 장치를 갖는 정방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0132621B1 (ko)
CN (1) CN1048767C (ko)
TW (1) TW39091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70067C (zh) * 2005-06-01 2008-02-20 江苏宏源纺机股份有限公司 自动落纱轨道传动装置
KR100791967B1 (ko) * 2006-09-18 2008-01-04 주식회사 이주 섬유 가공용 자외선 경화 장치
CN101148795B (zh) * 2007-11-02 2011-03-23 上海二纺机股份有限公司 细纱机的集体落纱走管装置
CN102001516B (zh) * 2010-10-14 2012-07-25 广东忠华棉纺织实业有限公司 一种粗纱运输装置
CN102704071A (zh) * 2012-06-09 2012-10-03 山西经纬合力机械制造有限公司四厂 细纱机中的粗纱循环装置
CN103074710B (zh) * 2013-02-06 2015-10-21 山西经纬合力机械制造有限公司四厂 细纱机中粗细联的道岔装置
CN105668131A (zh) * 2016-03-31 2016-06-15 青岛天一集团红旗纺织机械有限公司 一种自动落纱机链条式回转悬挂装置
CN106757581A (zh) * 2016-12-28 2017-05-31 无锡诚本纺机有限公司 一种带有筒管挂卸机构的上锭杆悬锭锭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81461A5 (ko) * 1988-11-21 1993-03-31 Rieter Ag Masch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8307A (zh) 1996-08-07
CN1048767C (zh) 2000-01-26
TW390919B (en) 2000-05-21
KR960001232A (ko) 199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2621B1 (ko) 로우빙 보빈 이송 장치를 갖는 정방
US5970699A (en) Roving frame with bobbin changing device
US4165585A (en) Automatic doffing and donning apparatus
US5715669A (en) Bobbin transporting system for roving and spinning machines with apparatus to exchange bobbins of differing pitches
US485874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articles
JPS61277569A (ja) 綾巻ボビンを製造する繊維機械
EP0214837B1 (en) Bobbin changing method in roving frame and apparatus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US3370412A (en) Apparatus for use in connection with two-for-one twisting machines for automatically changing bobbin units
JPH073548A (ja) 半製品材料のボビンを紡織機械に供給する装置および前記装置を備えた紡織機械設備
EP0434630B1 (en) A method for exchanging roving bobbins applied to a ring spinning frame
JPH04352824A (ja) 粗紡機における玉揚装置
JPS63176270A (ja) ボビンの搬送装置
JPH05287624A (ja) 連続紡糸機にリール材料を供給する装置
JPS60181330A (ja) 粗紡機の管替装置
JPS6353300B2 (ko)
JPS63101284A (ja) 粗糸ボビンの搬送装置
JPH1121020A (ja) 粗糸ボビン搬送方法及び粗糸ボビン搬送システム
JPH076100B2 (ja) 粗糸搬送装置
JPS61201030A (ja) 満ボビンの玉揚搬送方法
JPS61215724A (ja) 粗紡・精紡工程間の篠巻搬送方法
JPH0515809B2 (ko)
JPH1121019A (ja) 粗糸搬送システム
DE1510865C (de) Vorrichtung für Doppeldrahtzwirnmaschi n?n zum selbsttätigen Wechseln von Spulen einheiten
JPS6257945A (ja) 粗紡機の管替方法
JPS63165279A (ja) 粗糸ボビンの搬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