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572B1 - 데이타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데이타 재생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572B1
KR0132572B1 KR1019880012515A KR880012515A KR0132572B1 KR 0132572 B1 KR0132572 B1 KR 0132572B1 KR 1019880012515 A KR1019880012515 A KR 1019880012515A KR 880012515 A KR880012515 A KR 880012515A KR 0132572 B1 KR0132572 B1 KR 0132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equalizer
recording
reproduction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2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5719A (ko
Inventor
게이지 가노따
노보루 무라바야시
Original Assignee
오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오가 노리오
Publication of KR8900057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57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5/027Analogue recording
    • G11B5/035Equalis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08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 G11B5/00813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 G11B5/00878Recording on, or reproducing or erasing from, magnetic tapes, sheets, e.g. cards, or wires magnetic tapes transducing different track configurations or formats on the same ta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11B5/09Digital recor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데이타 재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재생 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2도 및 제3도는 제1도의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13a) 및 기록 재생 회로부(13b)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4도는 제3도의 이퀄라이저 회로(42 내지 45)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5도는 이퀄라이저의 등화 조건을 도시하는 도표.
제6도는 제3도의 데이터 검출 회로(56) 및 (57)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7도 및 제8도는 자기 테이프의 구성을 도시하는 단면도.
제9도는 그 진폭 특성을 도시하는 특성 곡선도.
제10도는 테이프 주생 속도를 따른 테이프 패턴을 도시한 개략도.
제11도는 자기 테이프상의 기록 패턴을 도시한 개략도.
제12a도, 제12b도 및 제12c도는 바이페이즈마크 변조 방식의 재생 원리를 도시하는 신호 파형도.
제13도는 기록 재생해야할 신호의 스펙트럼을 도시하는 특성 곡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 11 : 회전 드럼
12A, 12B : A, B 헤드 13 : PCM 오디오 신호 처리부
13A :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 13B : 기록 재생 회로부
14 : 비디오 신호 처리부 15 : ATF 신호 처리부
21, 22 : 오디오 신호 처리 회로 27 : 모드/헤드 선택 이퀄라이저 회로
42 : 내지 45 : 이퀄라이저 회로
52A 내지 52D : 이퀄라이저
본 발명은 데이터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자기 기록 매체에 기록된 디지탈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에 적용하는데 적합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디지탈 데이터를 재생하는 데이터 재생장치에 있어서, 서로 다른 기록 밀도로 기록된 기록 데이터를 토대로 재생 데이터를 얻고, 상기 재생 데이터를 그 주파수 특성에 적합하는 등화성을 갖는 이퀄라이저 회로에 의해서 등화 처리하므로써 비트 에러율이 낮은 데이터를 재현할 수 있다.
이 종류의 데이터 재생 장치는 예컨대, 8밀리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VTR)에 있어서 PCM 오디오 신호를 재생할 때 쓰이고 있다.
즉, 8밀리 VTR에 있어선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디오 트랙 TRVD와 이것에 이어지도록 형성된 오디오 트랙 TRAD인 기록 트랙 TRA, TRB에서 오디오 신호를 PCM 부호화함과 더불어 시간축 압축한 다음, 바이페이즈 마크 변조 방식으로 PCM 변조한 PCM 오디오 신호를 오디오 트랙 TRAD에 기록하도록 되어 있다(특개소57-186877호 공보).
여기서, 바이페이즈 마크 변조 방식은 예를들면, 제12a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주파수 f1(=2.9Mhz) 및 f2(=5.8Mhz)를 제로크로스점이 일치하는 것 같은 위상 관계를 유지케하면서 디지탈 데이터로서 자기 테이프(1)상에 기록한다. 예컨대, 오디오 데이터가 논리 L일 때, 낮은 주파수 f1의 주파수 신호 S1을 기록하며, 이것에 대해서 오디오 데이터가 논리 H일 때 높은 주파수 f2의 주파수 신호를 S2를 자기 테이프(1)상에 기록한다.
이와 같이 하여 오디오 트랙 TRAD에 기록 오디오 데이터를 재생할 경우에는 제12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픽업된 주파수 S1신호 또는 S2의 제로크로스점을 검출하여 예컨대 PLL(phase locked loop) 구성의 샘플링 펄스 발진기에 있어서, 낮은 주파수 f1의 주파수 신호 S1에 대해서 45°의 위상 간격을 유지하며, 또 높은 주파수 f2의 주파수 신호 S2에 대해서 90°의 위상 간격을 유지하는 것 같은 펄스 출력 PLL0를 발진시킨다.
이 펄스 출력 PLL0중 주파수 신호 S1의 45°, 135°, 225°, 315°의 위치에서 생기는 펄스를 샘플링 펄스 Ps(제12c도)로서 주파수 신호 S1을 샘플링하고, 이것에 2회마다 정인 값일 때 논리 L 레벨의 재생 데이터라고 판단한다.
또한, 펄스 출력 PLL0중 주파수 신호 S2의 90°, 270°의 위상에서 발생하는 펄스를 샘플링 펄스 Ps(제12c도)로서 이용하여 주파수 신호 S2를 샘플링하고, 이것이 1회마다 정의 값일 때 논리 H레벨의 재생 데이터이라고 판단한다.
이와 같이 하면, 비디오 트랙 TRVD에 대해서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FM 휘도 신호 S1V와 그 저역측에 있는 FM 오디오 신호 S2V, 저역 변환 색도 신호 S3V 및 ATF(Automatic Track Finding)신호 SAFT를 중첩하여 이루어진 비디오 신호 SVD를 기록하는 자기 헤드와 동일한 자기 헤드를 이용하여 PCM 오디오 신호 SADNR를 기록할 때, 상기 PCM 오디오 신호 SADNR의 주파수 스펙트럼이 FM 휘도 SIV 신호의 거의 중심 주파수와 일치하는 주파수의 피크를 가짐과 더불어 상기 비디오 신호 SVD의 주파수 스펙트럼의 범위에서 신호 레벨이 영에 접근하는 것 같은 주파수 특성을 가지므로써 비디오 신호 SVD를 재생할 때 얻어지는 아지마스 손실과 같은 정도의 아지마스 손실을 PCM 오디오 신호 SADNR를 재생할 때 얻을 수 있으며, 이와 같이하여 트랙간에 가드밴드를 설치하지 않는 소위 가드밴드레스 방식으로 PCM 오디오 신호 SADNR를 기록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하여 자기 기록 매체상에 기록된 디지탈 데이터를 기록 재생하는 자기 기록 재생장치에 있어서, 용도에 따라서 표본화 주파수를 달리하는(따라서, 기록 밀도를 달리한다) 디지탈 데이터를 기록하여 이루어진 복수 종류의 기록 매체를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재생할 수 있도록하면, 데이터 재생 장치로서의 기능이 다기능화하므로써 유용성을 가일층 확대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예컨대, 8밀리 VTR에 있어서, 표준의 표본화 주파수로 표본화된 표준 사양의 디지탈 정보량을 가지는 PCM 오디오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기록 매체와, 표본화 주파수를 소정 배수 만큼 크게한 특수 사양의 가일층 큰 디지탈 정보량을 가지는 PCM 오디오 데이터를 기록하고 있는 기록 매체를 공통의 8밀리 VTR을 이용하여 재생할 수 있으면, 표준 사양의 기록 매체로 부터 표준 음질의 오디오 신호를 재생할 수 있음과 더불어 특수 사양의 기록 매체로 부터 고음질의 오디오 신호를 재생할 수 있으므로써 그 만큼 8밀리 VTR을 다기능화 할 수 있다.
이로인해, 표준 사양의 경우와 비교해서 PCM 오디오 신호의 디지탈 정보량을 크게 할 수 있으면 그 만큼 가일층 높은 충실도(따라서 고음질)의 오디오 신호를 기록, 재생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고려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표준 사양의 디지탈 정보량을 가지는 저기록 밀도의 기록 데이터와, 디지탈 정보량이 큰 특수 사양의 고기록 밀도의 기록 데이터를 재생 데이터에 대한 등화 특성으로 절환하므로써 실용상 충분히 작은 비트 에러율로 재생할 수 있도록 한 데이터 재생 장치를 제안하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1 또는 제2의 기록 밀도로 각각 제1 또는 제2의 자기 기록 매체(1)에 기록된 디지탈 기록 데이터를 자기 헤드(12A,12B)에 의해서 각각 픽업해서 제1 또는 제2의 재생 데이터(D7,D8)를 얻도록 이루어지며, 이 제1 또는 제2의 재생 데이터(D7,D8)의 주파수 특성에 적합하는 등화 특성을 가지는 제1 또는 제2의 이퀄라이저 회로(42,43), (44,45)를 가지며, 제1 또는 제2의 재생 데이터(D7,D8)의 재생 모드시 상기 제1 또는 제2의 재생 데이터(D7,D8)을 대응하는 제1 또는 제2의 이퀄라이저 회로(42,43), (44,45)에 의해서 등화 처리하므로써, 제1 또는 제2의 이퀄라이저 회로(42,43), (44,45)의 이퀄라이저 출력(D9,D10), (D11,D12)의 비트 에러율을 저감시키도록 한다.
제1 또는 제2의 기록 밀도로 기록된 디지탈 기록 데이터는 자기 헤드(12A,12B)에 의해서 재생되었을 때, 기록 밀도가 서로 다른 것을 토대로 서로 다른 주파수 특성을 제1 또는 제2의 재생 데이터(D7,D8)를 픽업한다.
이 제1 또는 제2의 재생 데이터(D7,D8)를 그 주파수 특성에 적합하는 등화특성을 가지는 제1 또는 제2의 이퀄라이저 회로(42,43), (44,45)에 의해서 등화 처리하므로써 이퀄라이저 출력(D9,D10), (D11,D12)으로서 에러율이 가일층 낮은 출력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도면에 대해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술한다.
제11도와의 대응부분에 동일부호를 붙여서 도시한 제1도는 본 발명을 8밀리 VTR에 적응했을 경우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으로, (10)은 전체로서 데이터 기록 재생 장치를 도시한 것이며, 회전 드럼(11)상의 1쌍의 자기 헤드(이것을 A헤드 및 B헤드라 부른다)(12A 및 12B)가 자기 테이프(1)에 대해서 헬리칼 스캔하므로써 제11도에 대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A 및 B 헤드(12A) 및 (12B)에 의해서 순차 교호로 비디오 트랙 TRVD및 오디오 트랙 TRAD으로 되는 기록 트랙 TRA 및 TRB상을 주사할 수 있게 되어 있다.
A 및 B 헤드(12A) 및 (12B)에는 PCM 오디오 신호 처리부(13), 비디오 신호처리부(14), ATF 신호처리부(15)가 접속되며, 이와 같이 해서 기록 모드시에 있어서 비디오 신호 처리부(14) 및 ATF 신호처리부(15)로 부터 송출되는 비디오 신호 SVD및 ATF 신호 SATF가 중첩되어 비디오 트랙 TRVD에 기록됨과 더불어 PCM 오디오 신호 처리부(13)로 부터 송출되는 PCM 오디오 신호 SAD가 오디오 트랙 TRAD에 기록된다.
PCM 오디오 신호 처리부(13)는 각각 시스템 제어기로 부터 부여되는 제어 신호 SCONT에 의해서 제어되는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13A) 및 기록 재생 회로부(13B)로 구성되어 있다.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13A)는 표준 음질용 오디오 신호 처리 회로(21) 및 고음질용 오디오 신호 처리 회로(22)를 가지며, 기록 모드시 아날로그 신호로 된 제1 및 제2의 오디오 입력 신호 S1IN및 S2IN로 부터 형성된 기록용 오디오 데이터 S1REC및 S2REC를 기록 재생 회로부(13B)의 일부를 구성하는 모드/헤드 선택 회로(23)에 송출한다.
이때, 모드/헤드 선택 회로(23)는 표준 음질 기록 모드로 기록해야 되는 지 또는 고음질 기록 모드로 기록해야 되는지에 따라서 기록용 오디오 데이터 S1REC및 S2REC중의 어느 한쪽을 선택해서 이것을 순차 교호로 A헤드 기록 증폭 회로(24A) 또는 B헤드 기록 증폭 회로(24B)를 통해서 기록/재생 선택회로(25)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해서 기록/재생 선택 회로(25)는 A 헤드 및 B헤드 기록 증폭 회로(24A) 또는 (24B)로 부터 공급된 오디오 데이터를 오디오 신호 SSD로서 순차 소정의 타이밍으로 A헤드(12A) 또는 B헤드(12B)에 공급하므로써 오디오 트랙(TRAD)(제11도)에 기록한다.
이것에 대해서 재생 모드로 되면, 기록/재생 선택 회로(25)는 A헤드(12A) 및 B헤드(12B)에 의해서 픽업된 오디오 신호 SAD를 A헤드 또는 B헤드 재생 증폭 회로(26A) 또는 (26B)를 통해서 모드/헤드 선택 이퀄라이저 회로(27)에 입력한다.
모드/헤드 선택 이퀄라이저 회로(27)는 A 또는 B 헤드 재생 증폭 회로(26A 또는 26B)로 부터 입력된 재생 오디오 신호를 선택적으로 취입하여 현재의 모드가 표준 음질 재생 모드인지 또는 고음질 재생 모드인지 따라서 소정의 등화 처리를 실행한 다음, 표준 음질용 또는 고음질용 오디오 신호 처리 회로(21 또는 22)에 대해서 재생용 오디오 데이터 S1PB및 S2PB를 나눠 입력한다.
표준 음질용 및 고음질용 오디오 신호 처리 회로(21 및 22)는 입력된 재생용 오디오 데이터 S1PB및 S2PB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서 제1 및 제2의 오디오 출력 신호 S1OUT및 S2OUT로서 송출한다.
오디오 데이터 처리부(13A)의 표준 음질용 오디오 신호 처리 회로(21)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의 오디오 입력 신호 S1IN을 아날로그 잡음 저역 회로(31)를 거쳐서 아날로그 디지탈/디지탈-아날로그 변환 회로(32)에 입력한다.
아날로그-디지탈/디지탈-아날로그 변환 회로(32)는 입력된 제1의 오디오 입력 신호 S1IN을 표준의 표본화 주파수(예컨대 2fH=31.5KHz)로 샘플링해서 10비트의 PCM 디지탈 데이터 D1로 변환해서 이것을 데이터 처리 회로(33)에 부여한다.
데이터 처리 회로(33)는 부여된 PCM 디지탈 데이터 D1을 내장의 프레임 메모리에 격납하고 상기 격납된 PCM 디지탈 데이터 D1에 대해서 CRCC(Cyclic redanduncy check code)오부호를 부가한 다음 데이터의 비스투를 10-8 변환하므로써 압축 처리해서 송출한다. 이와 같이 해서 데이터 처리 회로(33)로 부터 8비트의 디지탈 데이터 D2가 얻어지며 이것이 변조/복조 회로(34)에 부여된다.
변조/복조 회로(34)는 부여된 디지탈 데이터 D2를 제12도에 대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의 주파수 f1 및 f2(예컨대 f1=2.9MHz,f2=5.8MHz)로 바이 페이즈 마크 변조해서 기록용 오디오 데이터 S1REC로서 송출한다.
이와 같이 해서 표준 음질용 오디오 신호 처리 회로(21)는 입력된 제1 의 오디오 입력 신호 S1IN을 표준 사양의 표본화 주파수로 표본화 한 다음 바이페이즈 마크 변조 방식으로 2주파수 f1 및 f2 주파수 신호 S1 및 S2로 변조해서 기록용 오디오 데이터 S1REC로서 송출한다.
이것에 대해서, 표준 음질 재생 모드로 되면, 표준 음질용 오디오 신호 처리 회로(21)는 재생되어온 제1의 오디오 데이터 S1PB를 변조/복조 회로(34)로 받아서 상기 바이페이즈 마크 변조된 재생용 오디오 데이터 S1PB를 복조하여 디지탈 데이터 D2로서 데이터 처리 회로(33)에 부여한다.
이때, 데이터 처리회로(33)는 내장의 프레임 메모리를 사용하면서 디지탈 데이터 D2를 10-8역변환한 후, CRCC 에러 부호를 토대로 오류 정정을 함과 동시에 결락된 데이터의 보간 처리를 실행한 다음 PCM 디지탈 데이터 D1으로서 아날로그-디지탈/디지탈-아날로그 변환 회로(32)에 송출한다.
여기에서, 아날로그-디지탈/디지탈-아날로그 변조 회로(32)는 표준 사양의 표본화 주파수로 PCM 디지탈 데이터 D1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 다음, 아날로그 잡 저감 회로(31)을 거쳐서 제1의 오디오 출력 신호 S1OUT로서 송출한다.
이와 같이 해서 표준 음질용 오디오 신호 처리 회로(21)는 재생되어온 8비트의 바이페이즈 마크 변조된 재생된 오디오 데이터 S1PB를 10비트의 PCM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한 다음, 이것을 아날로그 신호로 되돌려서 제1의 오디오 출력 신호 S1OUT로서 송출한다.
고음질용 오디오 신호 처리 회로(22)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의 오디오 입력 신호 S2IN을 아날로그 잡을 저감 회로(35)를 거쳐서 아날로그-디지탈/디지탈-아날로그 변화 회로(36)로 취입한다.
아날로그-디지탈/디지탈-아날로그 변환 회로(36)는 제2의 오디오 입력 신호 S2IN을 표준 사양의 표본화 주파수 보다 높은 특수 사양의 표본화 주파수(예컨대 3fH=48MHz)로 표본화해서 16비트의 PCM 디지탈 데이터 D3을 처리 회로(37)에 부여한다.
데이터 처리 회로(37)는 이 PCM 디지탈 데이터 D3을 내장하고 있는 프레임 메모리를 이용하면서 CIRC(Cross Interleave Read Solomon Cod)오부호 부가함과 더불어 16-12 변환에 의해 압축 처리해서 디지탈 데이터 D4로서 변조/복조 회로(33)에 부여한다.
변조/복조 회로(38)는 8-10 변환 및 NRZI(non return to zero inverted)변환에 의해서 디지탈 데이터 D4를 직류 레벨의 변동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데이터 배열로 변환할 수 있도록 반송 주파수 f3(=7.4MHz)로 변조해서 제2의 기록용 오디오 데이터 S2REC로서 송출한다.
여기에서, 8-10 변환해서 NRZI 출력을 얻는 수법은 특개소 59-20056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을 적용한다.
이와 같이 해서 고음질용 오디오 신호 처리 회로(22)는 제2의 오디오 입력 신호 S2IN을 높은 표본화 주파수로 PCM 디지탈 데이터로 변환하므로서 표준 음질용 오디오 신호 처리회로(21)의 경우와 비교해서 엄청나게 많은 정보량을 포함하는 PCM 디지탈 데이터를 얻을 수 있으므로서 그 만큼, 고음질 기록용 오디오 데이터 S2REC를 송출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해서 고음질 재생 모드로 되면, 고음질용 오디오 신호 처리 회로(22)는 재생된 제2의 재생용 오디오 데이터 S2PS를 변조/복조 회로(38)에 있어서 NRZI 역변환 및 8-10 역변환하므로써 디지탈 데이터 D4로 복조하여 데이터 처리회로(37)에 송출한다.
데이터 처리 회로(37)는 이 디지탈 데이터 D4를 내장하는 프레임 메모리를 이용하여 16-12 역변환한 후 CIRC오류 부호를 이용하여 오정정을 함과 더불어 보간 처리해서 PCM 디지탈 데이터 D3으로서 아날로그-디지탈/디지탈-아날로그 변환 회로(36)에 부여한다.
아날로그-디지탈/디지탈-아날로그 변환 회로(36)는 특수 사양인 표본화 주파수로 PCM 디지탈 데이터 D3를 아날로그 신호로 되돌려서 아날로그 잡음 저감회로(35)를 거쳐서 제2의 오디오 출력 신호 S2OUT로 송출한다.
이와 같이 해서 고음질용 오디오 신호 퍼이 회로(220는 고음질 재생 모드에서 재생되어온 고읍질 재생용 오디오 데이터 S2PB를 표준 사양의 겨우보다 높은 표본화 주파수로 아날로그 신호롤 변환하여 고음질의 제2의 오디오 출력 신호 S2OUT로 되돌릴 수 있다.
기록 재생 회로부(13B)의 각 회로 부분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다.
즉 모드/헤드 선택 회로(23)는 모드 절환 스위치 회로(23A) 및 헤드 절환 스위치 회로(23B)를 가지고, 표준 음질용 오디오 신호 처리 회로(21)(제2도)로 부터 부여되는 제1의 기록용 오디오 데이터 S1REC를 표준 음질 모드 입력단 NR에 받음과 함께 고음질용 오디오 신호 처리 회로(22)(제2도)에서 주어지는 제2의 기로용 오디오 데이터 S2REC를 고음질 모드 입력단 H1에 받아 제어 신호 SCONT로서 시스템 제어기에서 부여되는 모드 지정 신호 C1에 대응한 데이터 S1REC또는 S2REC를 헤드 전환 스위치 회로(23B)에 부여한다.
헤드 절환 스위치 회로(23B)는 제어 신호 SCONT로서 시스템 제어기에서 주어지는 헤드 절환 신호 C2에 응하여 데이터 S1REC또는 S2REC를 A헤드 출력단 A 또는 B헤드 출력단 B에서 각각 A 헤드 및 B 헤드 기록 증폭 회로(24A,24B)를 거쳐서 기록 데이터 D5 및 D6으로서 기록 재생 선택 회로(25)에 부여한다.
기록/재생 선택 회로(25)는 각각 기록측 REC 및 재생측 입력단 PB를 가지는 기록/재생 절환 스위치 회로(25A,25B)를 가지고, 제어 신호 SCONT로서 시스템 제어기에서 주어지는 기록/재생 절환 신호 C3에 의해서 기록 모드시 기록 데이터 D5 및 D6을 기록/재생 절환 스위치 회로(25A,25B)의 기록측 입력단 REC를 거쳐서 각각 A 및 B 헤드(12A,12B)에 PCM 오디오 신호 SAD로서 공급할 수 있도록 되고, 이리하여 자기 테이프(1)(제11도)의 기록 트랙 TRA 및 TRB의 오디오 트랙 TRAD에 PCM 오디오 신호 SAD를 기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해서 오디오 트랙 TRAD에는 표준 음질 기록 모드시 표준 사양의 표본화 주파수로 표본화된 표준 음질 PCM 오디오 신호 SANDR가 표준 기록 밀도로 기록되는데 대하여, 고음질 기록 모드시 특수 사양의 표본화 주파수로 표본화된 고음질 PCM 오디오 신호 SANDR가 표준 기록 밀도보다 높은 기록 밀도로 기록된다.
이에 대하여 재생 모드시 기록/재생 선택 회로(25)는 A 및 B헤드(12A,12B)에 있어서 오디오 트랙 TRAD에서 픽업한 PCM 오디오 신호 SAD를 기록/재생 절환 스위치 회로(25A,25B)의 재생측 출력단 PB에서 각각 A 및 B헤드 재생 증폭 회로(26A,26B)를 통하여 재생 데이터 D7 및 D8로서 모드/헤드 선택-이퀄라이저 회로(27)를 구성하고 있는 모드 선택 회로(41)의 모드 절환 스위치 회로(41A,41B)에 공급된다.
모드 절환 스위치 회로(41A,41B)는 제어 신호 SCONT로서 시스템 제어기에서 주어지는 모드 지정 신호 C4에 응하여 표준 음질 모드시 재생 데이터 D7 및 D8을 표준 음질 모드 출력단 NR을 거쳐서 각각 표준 음질 A헤드 이퀄라이저 회로(42) 및 표준 음질 B헤드 이퀄라이저 회로(43)에 입력하고, 이에 대하여 고음질 모드시 재생 데이터 D7 및 D8를 각각 고음질 모드 출력단 H1를 거쳐서 고음질 A헤드 이퀄라이저 회로(44) 및 고음질 B헤드 이퀄라이저 회로(45)에 공급한다.
이퀄라이저 회로(42,43,44,45)는 각각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생 데이터 D7 또는 D8로 되는 입력 데이터 DEQIN을 제어 신호로서 시스템 제어기에서 주어지는이퀄라이저 절환 신호 C6에 따라서 이퀄라이저 절환 스위치 회로(51)의 절환 출력단(51A,51B,51C,51D)를 각각 거쳐서 MP-SP 이퀄라이저(52A), MP-LP 이퀄라이저(52B), ME-SP 이퀄라이저(52C), ME-LP 이퀄라이저(52D)에 공급한다. 이와 함께 이퀄라이저(52A,52B,52C,52D)의 출력이 제어신호 SCONT로서 시스템 제어기에서 주어지는 이퀄라이저 절환 신호 C7에 따라서 이퀄라이저 절환 스위치 회로(51)와 연동하는 이퀄라이저 절환 스위치 회로(52)의 절환 입력단(53A,53B,53C,53D)를 거져서 출력 데이터 DEQOUT로서 송출된다.
이퀄라이저(52A 내지 52D)는 자기 기록 매체로서의 자기 테이프(1)의 종별 및 자기 테이프(1)의 재생 주행 속도와, 각 이퀄라이저 회로(42,43,44,45)에 각각 할당된 음질 모드 종별 및 헤드 종별에 대응하는 등화 특성을 각각 가지고 있다.
이 실시예의 경우 자기 기록 매체로서의 자기 테이프(1)는 도포형 자기 테이프(이를 MP형 자기 테이프라 칭한다)와 증착형 자기 테이프(이를 ME형 자기 테이프라 칭한다)를 호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재생 모드에 있어서의 자기 테이프(1)의 주행 속도는 표준 재생 속도(이를 SP속도라 칭한다)와 장시간 재생 속도(이를 LP속도라 칭한다)를 절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에 더하여, 이 실시예의 경우 오디오 트랙 TRAD에 기록하는 오디오 데이터로서 표준 음질용 데이터로 되는 제1 디지탈 데이터와, 고음질용 데이터로 되는 제2 디지탈 데이터를 기록 재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음과 함께 기록 재생하는 헤드로서 한쌍의 헤드 즉, A헤드(12A) 및 B헤드(12B)가 사용된다.
이들의 기록 재생 조건, 즉 표준 음질 또는 고음질, A헤드 또는 B헤드, MP형 자기 테이프 및 ME형 자기 테이프, SP 속도 또는 LP 속도의 종별 선택 조건이 각각 변경되면, 오디오 트랙 TR-AD에 대하여 기록 및 재생되는 오디오 데이터 SAD는 주파수의 변화에 대하여 각각 다른 응답 특성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이퀄라이저 회로(52A 내지 52D)는 각 종별 선택 조건하에 있어서 재생시 실용상 충분히 낮은 배트 에러율을 유지할 수 있도록 오디오 트랙 TRAD에서 픽업된 재생 데이터 D7, D8을 바이페이즈 마크를 구성할 두 개의 주파수 신호 S1및 S2의 아이바아터언 개구율을 될 수 있는대로 크게 되도록 주파수 특성을 등화한다.
예컨대 표준 음질 A헤드 이퀄라이저 회로(42)의 MP-SP 이퀄라이저(52A)는 제5도의 제1란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록되는 PCM 오디오 신호 SAD의 종별이 표준 음질이며, 또한 사용하는 자기 헤드 종별이 A헤드이며, 또한 재생할 자기 테이프(1)의 종별이 MP형 자기 테이프이고 또한 재생 주행 속도 종별이 SP속도일 때, 이들의 선택 조건에 따라서 A헤드(12A)에서 재생되는 재생 데이터 D7을 가지게 된 주파수 특성에 대하여 비트 에러율이 실용상 충분히 낮은 값이 되도록 상기 주파수 특성을 등화하여 출력 데이터 D9로서 송출한다.
또, 예컨대 고음질 A헤드 이퀄라이저 회로(44)의 ME-SP 이퀄라이저(52C)는 제5도의 제11난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록되는 PCM 오디오 신호 SAD의 종별이 고음질이며, 또한 사용할 자기 헤드 종별이 A헤드이며 또한 자기 테이프(1)의 종별이 ME형 자기 테이프이고 게다가 재생 주행 속도 종별이 SP속도일 때, 이들의 선택 조건에 따라서 A헤드(12A)에서 재생되는 재생 테이터 D7을 갖도록 된 주파수 특성에 대하여, 비트 에러율이 실용상 충분히 낮은값이 되도록 주파수 특성을 등화하여 출력 데이터 D11로서 송출한다.
그밖의 선택 조건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대응하는 이퀄라이저 회로(42 내지 45)의 이퀄라이저(52A 내지 52D)가 재생 데이터 D7 또는 D8의 주파수 특성을 등화하여 출력 데이터 D9 내지 D12로서 송출한다.
이퀄라이저 회로(42 내지 45)의 이퀄라이저 절환 스위치 회로(51,53)는 테이프 재생 주행 속도 절환 신호 C6 및 C7에 의해서 각각 자기 테이프(1)의 종별 즉 MP형 자기 테이프 또는 ME형 자기 테이프와 재생 주사 속도 즉 SP 속도 또는 LP속도와의 조합 선택 조건에 따라서, MP-SP, MP-LP, ME-SP, ME-LP일 때 순차 절환 입력단 및 출력단 (51A 및 53A, 51B 및 53B, 51C 및 53C, 51D 및 53D)에서 송출되는 출력 데이터 D13,D14,D15,D16가 이퀄라이저 회로(42 내지 45)의 출력 데이터 D9 내지 D12로서 헤드 선택 회로(55)(제3도)에 송출된다.
헤드 선택 회로(55)는 제어 신호 SCONT로서 시스템 제어기에서 주어지는 헤드 선택 신호 C5에 의해서 연동하면서 절환 동작하는 한쌍의 헤드 절환 회로(55A 및 55B)를 가지며, 헤드 절환 회로(55A)의 A 또는 B헤드 입력단 A 또는 B를 거쳐서 이퀄라이저 회로(42 또는 43)의 출력 데이터 D9 또는 D10을 데이터 검출 회로(56)에 부여한다. 또한, 헤드 절환 회로(55B)는 그 A 또는 B 헤드 입력단 A 또는 B를 거쳐서 이퀄라이저 회로(44 또는 45)의 출력 데이터 D11 또는 D12를 고음질용 데이터 검출 회로(57)에 준다.
표준 음질용 및 고음질용 데이터 검출 회로(56,57)는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입력 데이터 DPBIN(즉 데이터 D9 또는 D10 및 D11 또는 D12)를 비교 회로(58)에서 기준 전압원(59)의 제로크로스 기준 전압 VR과 비교하여 입력 데이터 DPBIN이 영 레벨을 넘어 정의값으로 올라갔을때 논리 H레벨이 되고, 또한 부의값으로 내려갔을 때 논리 L 레벨이 되는 데이터 검출 신호 D21을 비교 회로(58)의 출력단에 송출한다.
이 데이터 송출 신호 D21은 위상 동기 회로(PLL) 구성이 클럭 신호 발생 회로(60)에 주어지며, 그 출력단에 데이터 검출 신호 D21의 위상에 위상 동기한 검출 클럭 신호 CKPB를 제12c도에 대해서 상술한 샘플링 펄스와 같은 기능을 가지는 신호로서 동기화 회로(61) 클럭 입력단에 제공함과 동시에 시스템 클럭으로 예컨대 시스템 제어기에 송출한다.
동기화 회로(61)는 D플립플롭 회로로 구성되어 검출 클럭 신호 CKPB가 클럭 입력단에 주어질 때, 데이터 검출 신호 D21이 논리 H 또는 L에 있을 때 세트 또는 리세트 동작함과 함께 Q출력을 검출 출력 데이터 DPBOUT로서 송출하여 이것에 제1 또는 제2의 재생용 오디오 데이터 S1PB또는 S2PB(제3도)로서 사용된다.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기록 모드에서 표준 음질 모드(또는 고음질 모드)에 의해서 제1의 오디오 입력 신호 S1IN(또는 제2의 오디오 입력 신호 S2IN)를 자기 테이프(1)에 기록하는 경우에는 기록 재생 회로부(13B)의 모드/헤드 선택 회로(23)에서 모드 절환 스위치 회로(23A)가 표준 음질 모드 입력단 NR(또는 고음질 모드 입력단 HI)측에 절환되며, 이 상태에서 A헤드 및 B헤드가 순차 교호하게 자기 테이프(1)상을 주사할 때마다 기록 데이터 D5 또는 D6이 순차로 교호하게 기록 트랙 TRA 또는 TRB(제1도)의 비디오 트랙 TRVD상에 기록된다.
이리하여, 오디오 트랙 TRAD에는 표준 음질 모드시 제13도에 대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8미리 VTR의 표준 사양의 표본화 주파수로 표본화되어 있는 PCM 오디오 신호 SANDR이 기록된다.
이것에 대해서 고음질 모드시에는, 특수 사양의 높은 표준화 주파수로 표준화되어 있는 고음질 PCM 오디오 신호 SADHI(제13도)가 기록된다.
여기에서 표준 음질의 PCM 오디오 신호 SADNR는 제13도에 대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반송 주파수 f1(=2.9MHz) 및 f2(=5.8MHz)로 바이페이즈마크 변조되므로써, 나이키스트 주파수 fNYN=2f2(=11.6MHz)범위에 있어서 비디오 신호 SVD의 휘도 신호 S1의 중심 주파수와 거의 일치하는 주파수로 피크를 갖는 거와 같은 주파수 스펙트럼을 갖고, 또한 표준의 기록 밀도의 디지탈 신호로서 자기 테이프(1)상에 기록된다.
이것에 대해서, 고음질의 PCM 오디오 신호 SADHI는 제13도에 있어서 일점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반송 주파수 f3(=7.4MHz)로 8-10변조 및 NRZI 변조되므로써, 나이키스트 주파수 fNYH가 fNYH=2f3(=14.8MHz)의 범위에 있어서, 표준 음질의 PCM 오디오 신호 SANDR의 피크 주파수의 근처에 피크 주파수를 갖도록 한바와 같은 주파수 스펙트럼을 갖고, 또한 표준 기록 밀도보다 가일층 큰 기록 밀도의 디지탈 신호로서 자기 테이프(1) 위에 기록된다.
따라서, 고음질의 PCM 오디오 신호 SADHI는 표준 음질의 PCM 오디오 신호 SADNR와 마찬가지로하여, A 및 B헤드(25A,25B)의 아지마스각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실용상 크로스토크가 생기지 않도록 가드밴드레스 방식으로 자기 테이프(1)위에 기록할 수가 있다.
재생 모드시, 모드/헤드 선택-이퀄라이저 회로(27)는 재생할려고 하는 자기 테이프(1)에 기록되어 있는 PCM 오디오 신호의 음질의 종별, 사용되고 있는 자기 테이프(1)의 종별, 자기 테이프(1)의 종별, 자기 테이프(1)의 재생 주생 속도의 종별, 기록 데이터를 픽업할때에 사용된 헤드의 종별에 따라서 적응하는 등화 특성을 갖는 이퀄라이저(52A) 내지 (52D)(제4도)가 선택되므로써, 현재의 재생 조건하에서 가장 낮은 비트 에러율로 오디오 신호가 재생된다.
첫번째, 이퀄라이저 회로(42 내지 45)중 표준 음질 A 및 B 헤드 이퀄라이저 회로(42,43)를 구성하는 이퀄라이저(52A 내지 52D)가 표준 PCM 오디오 신호 SADNR(제13도)에 적합한 등화 특성을 갖고, 이것에 대해서 고음질 A 및 B헤드 이퀄라이저 회로(44) 및 (45)를 구헝하는 이퀄라이저(52 A 내지 52D)가 고음질 PCM 오디오 신호 SADHI(제13도)에 적합한 등화 특성을 가지며, 이와 같이 하여 모드 선택 회로(41)의 모드 절환 스위치 회로(41A 및 41B)가 표준 음질 모드 출력단 NR 또는 고음질 모드 출력단 HI측으로 절환되므로써 각 음질 모드에 적합한 이퀄라이저가 선택된다.
두번째로, 오디오 트랙 TRAD에서 오디오 신호를 픽업하는 A헤드(12A) 및 B헤드 (12B)는 각각 특유의 자기 변환 특성을 갖으므로써 그 영향이 재생 데이터 D7 및 D8에 발생하며, 이와 같은 주파수 특성의 상위에 대해서 가장 적합한 등화 특성을 갖는 이퀄라이저가 설치된다.
즉, 표준 음질 및 고음질 A헤드 (42 및 44), 또는 표준 음질 및 고음질 B헤드 이퀄라이저 회로(43 및 45)가 각각 A헤드(12A) 또는 B헤드(12B)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각 이퀄라이저 회로를 구성하는 이퀄라이저(52A) 내지 (52D)가 A헤드(12A) 또는 B헤드(12B)의 주파수 특성에 대해서 최적의 등화 특성을 갖고 있으며, 헤드 선택 회로(55)의 헤드 절환 회로(55A,55B)를 또는 B헤드 입력단측 A 또는 B로 절환하므로써 대응하는 이퀄라이저로 부터 송출되는 출력 데이터가 선택되므로써 A 또는 B헤드의 주파수 특성에 적합한 등화 처리가 실행된다.
세번째로, 자기 테이프(1)가 MP형 자기 테이프인가 또는 ME형 자기 테이프인가에 따라 재생 데이터 D7 및 D8은 다른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다.
즉,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65B)에 자성충(65A)를 도포하므로써 만들어진 MP형 자기 테이프(65)의 주파수 특성은 제9도에 있어서 곡선 MP에서 표시되는 바와 같이, 주파수 f1(2.9MHz) 근처의 영역에 있어서 피크 레벨이 얻어지는 것에 대해서, 주파수 f가 높아지는 방향 또는 낮아지는 방향으로 감에 따라서 수하하는 주파수 특성을 나타낸다.
이에 대해서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66B)에 스패터링에 의해 자성충(66A)를 형성한 ME형 자기 테이프(66)는 자성충(66A)의 두께가 얇아지므로 기록시에 저주파 영역의 신호 성분이 자성충(66A)를 관통하는 현상이 생기므로서, 주파수 특성은 제9도에 있어서 곡선 ME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높은 주파수 f2(=5.8MHz)에 있어서 피크 레벨이 얻어지는데 대해서 주파수 f가 높아지는 방향 또는 낮아지는 방향으로 감에 따라서 수하 특성을 나타낸다.
이에 덧붙여서 MP형 자기 테이프(65)는 자성충(65A)이 도포에 의해 형성되므로, 자기 테이프(65)의 표면에 있어서 자화용이축이 그만큼 현저하게 생기지 아니하는데 대해서, ME형 자기 테이프(66)는 일반적으로 경사진 방향에서 증착 처리가 되므로써 자기 테이프(66)의 표면에 있어서 자화용이축이 현저하게 생기는 경향이 있다.
그곳에서 자기 테이프(1)로서 MP형 자기 테이프(65) 또는 ME형 자기 테이프(66)를 선택적으로 사용하면, 재생 데이터 D7 및 D8의 신호 레벨은 자기 테이프(1)의 종별에 따라서 다른 주파수 특성을 나타나게 된다.
이와 같은 자기 테이프(1)의 종별을 토대로 주파수 특성의 상위는, 이퀄라이저 회로(42 내지 45)를 구성하는 이퀄라이저(52A 내지 52D)를 선택하므로써 가장 적합한 등화특성에 의해 등화된다.
즉, 자기 테이프(1)로서 MP형 자기 테이프(65)가 사용되고 있을 때에는, 이퀄라이저 회로(42) 내지 (45)의 이퀄라이저 절환 스위치 회로(51및 53)가 절환 신호단(51A,51B,53A,53B)으로 절환동작하므로써 MP-SP 이퀄라이저(52A) 및 MP-LP 이퀄라이저(52B)에 입력 데이터 DEQIN가 부여되므로써 MP형 자기 테이프(65)에 적합한 등화 특성에 의해 등화된 출력 데이터 DEQIN를 얻을 수 있다.
이것에 대해서, 자기 테이프(1)로서 ME형 자기 테이프(66)가 사용될때에는 이퀄라이저 절환 스위치 회로(51 및 53)가 절환 신호단(51C,51D) 및 (53C,53D)으로 절환되어, 이것에 따라 ME-SP 이퀄라이저(52C), MP-LP 이퀄라이저(52D)에 입력데이터 DEQIN가 부여되어, 이와 같이 하여 ME형 자기 테이프(66)에 적합한 등화 특성에 따라 등화된 출력 데이터 DEQIN를 얻을 수가 있다.
이에 덧붙여서 4번째로 자기 테이프(1)의 테이프 주행 속도가 절환되었을 때, 자기 테이프(1) 위에 생기는 자화용이축의 방향에 대한 A 및 B헤드(12A 및 12B)의 주사 방향이 다르므로써 이것에 재생 데이터 D7 및 D8의 주파수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
즉, 자기 테이프(1)가 LP 속도로 주행하고 있을 때 형성되는 기록 트랙 TRA, TRE은 제10도에 있어서 파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실선 도시의 SP 속도의 경우와 비교하여 다른 주사 방향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자기 테이프(1) 위의 기록 데이터는 자화용이축에 대해서 기록 트랙의 주행 방향이 다르면 이것에 의해서 재생 데이터 D7, D8의 주파수 특성에 차이가 결과로 된다.
이 자기 테이프의 주행 속도의 차는 이퀄라이저 회로(42 내지 45)의 이퀄라이저(52A 내지 52D)에 의해 등화된다. 즉 자기 테이프(1)가 SP 속도로 재생할 때, 이퀄라이저 회로(42 및 45)의 이퀄라이저 절환 스위치 회로(51 및 53)는 절환 신호단(51A,51C 및 53A,53C)으로 절환되어, 입력 데이터 DEQIN가 MP-SP 이퀄라이저(52A) 및 ME-SP 이퀄라이저(52C)에 의해 자기 테이프(1)의 속도에 적합한 등화 특성으로 등화 처리하여 형성되는 출력 데이터 DEQOUT를 송출한다.
이것에 대해서 자기 테이프(1)가 LP 속도로 주행하고 있을 때, 이퀄라이저 절환 스위치회로(51 및 53)가 절환 신호단(51B,51D,53B,53D)으로 절환되어 입력데이터 DEQIN가 MP-LP 이퀄라이저(52B), ME-LP 이퀄라이저(52D)에 의해 자기 테이프(1)의 주행 속도에 적합한 등화 특성으로 등화 처리를 하여 형성되는 출력 데이터 DEQOUT를 송출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자기 테이프(1)로 부터 PCM 오디오 신호를 재생할 때에 자기 변환 수단의 각부의 주파수 특성에 의해 자기 헤드(12A,12B)에 의해 픽업된 재생 데이터 D7,D8에 생기는 영향을 토대로 비트 에러율 열화의 조건에 적합한 등화 특성을 갖는 이퀄라이저를 설치하여 이것을 등화하도록 하므로써 표준 음질의 PCM 오디오 신호를 표준의 기록 밀도로 기록한 자기 테이프(1)와, 고음질의 PCM 오디오 신호를 높은 기록 밀도로 기록한 자기 테이프(1)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재생할 수가 있는 데이터 재생 장치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같이 하므로써 사용하는 자기 헤드, 자기 기록 매체로서의 자기 테이프, 자기 테이프의 재생 주행 속도를 절환한 경우에, 각각 적합한 등화 특성을 갖는 이퀄라이저로 절환하도록 하므로써 더한층 비트 에러율이 낮은 데이터 재생 장치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자기 테이프(1)를 SP 속도 및 LP 속도의 2개의 재생 주행 속도로 절환하도록 한 경우에 대해서 상술하였으나, 이것에 대신하여 자기 테이프(1)를 소정의 배속으로 주행시키는 변속 재생 모드에 대해서, 이것에 적합한 등화 특성을 갖는 이퀄라이저를 설치하도록 하여도 상술하는 경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또한, 상술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록변조 방식으로서 바이페이즈 마크 변조 방식 및 8-10 변조 방식을 사용한 경우에 대해서 상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만 한정되지 않고 요는 기록 밀도의 다른 복수의 디지탈 데이터를 기록하는 경우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기록 매체로서 자기 테이프를 사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상술하였으나, 기록매체로서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자기 디스크등과 같은 다른 기록 매체를 사용해도 좋다.
또한, 상술하는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8밀리 VTR의 PCM 오디오 신호를 기록, 재생하는 경우에 적용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디지탈 시호의 기록 밀도가 다른 자기 기록 매체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재생하는 경우에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상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록 밀도가 다른 기록 매체에서 각각 기록 데이터를 재생함에 있어서, 픽업된 재생 데이터에 생기는 주파수 특성의 차를 이 주파수 특성에 적합한 등화 특성으로 등화 처리하므로써 비트 에러율을 확실하게 저감할 수가 있는 데이터 재생 장치를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Claims (8)

  1.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기록 밀도중에서 선택된 기록 밀도로 기록 매체상에 기록되는 데이터를 재생하므로써 제1 또는 제2 주파수 특성을 갖는 제1 또는 제2 재생 데이터 각각을 픽업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로서, 상기 기록 매체는 복수의 서로 다른 기록 특성들중 선택된 한가지 기록 특성을 갖는 자기 매체인 상기 데이터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재생 데이터의 상기 제1 주파수 특성에 정합되는 등화 특성을 각각 갖는 제1 및 제2 이퀄라이저 회로를 구비하는 제1 이퀄라이저 수단으로서, 상기 제1 이퀄라이저 회로는 상기 자기 매체의 기록 특성들중 한가지 기록 특성에 부가적으로 정합되는 등화 특성 및 상기 자기 매체의 기록 특성들중 또 다른 한가지 기록 특성에 부가적으로 정합되는 등화 특성을 갖는 상기 제1 이퀄라이저 수단과, 제2 재생 데이터의 상기 제2 주파수 특성에 정합되는 등화 특성을 각각 갖는 제3 및 제4 이퀄라이저 회로를 구비하는 제2 이퀄라이저 수단으로서, 상기 제3 이퀄라이저 회로는 상기 자기 매체의 상기 한가지 기록 특성에 부가적으로 정합되는 등화 특성을 갖고 상기 제4 이퀄라이저 회로는 상기 자기 매체의 상기 다른 특성에 부가적으로 등화 특성을 갖는 상기 제2 이퀄라이저 수단과, 회로내에서 상기 제1 및 제2 이퀄라이저 수단을 스위칭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재생 데이터가 픽업되는지에 따라서 픽업에 데이터를 처리하므로써 상기 제1 및 제2 이퀄라이저로 부터 파생된 데이터의 비트 에러율을 감소시키는 스위칭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
  2.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기록 밀도들중 선택된 하나의 기록 밀도로 기록 매체상에 기록되는 데이터를 재생하므로써 제1 또는 제2 주파수 특성을 갖는 제1 또는 제2 재생 데이터 각각을 픽업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로서, 상기 기록 매체는 재생 동작동안 복수의 서로 다른 전달 속도들 중 선택된 하나의 속도로 전달되는 매체인 상기 데이터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재생 데이터의 상기 제1 주파수 특성에 정합되는 등화 특성을 각각 갖는 제 1 및 제2 이퀄라이저 회로를 구비하는 제1 이퀄라이저 수단으로서, 상기 제1 이퀄라이저 회로는 상기 전달 속도들중 하나의 속도에 부가적으로 정합되는 특성들에 부가적으로 정합되는 등화 특성을 갖는 제1 이퀄라이저 수단과, 상기 제2 재생 데이터이 상기 제2 주파수 특성에 정합되는 등화 특성을 각각 갖는 제3 및 제4 이퀄라이저 회로를 구비하는 제2 이퀄라이저 수단으로서, 상기 제3 이퀄라이저 회로는 사이 하나의 전달 속도에 부가적으로 정합되는 등화 특성을 갖고 상기 제4 이퀄라이저 회로는 상기 다른 전달 속도에 부가적으로 정합되는 등화 특성을 갖는 상기 제2 이퀄라이저 수단과, 회로내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이퀄라이저 수단을 스위칭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재생 데이터가 픽업되는지에 따라서 상기 픽업된 데이터를 처리하므로써 상기 제1 및 제2 이퀄라이저 수단으로 부터 파생되는 데이터의 비트 에러율을 감소시키는 스위칭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
  3.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기록 밀도중 선택된 하나의 기록 밀도로 기록 매체상에 기록되는 데이터를 재생하므로써 제1 또는 제2 주파수 특성을 갖는 제1 또는 제2 재생 데이터 각각을 픽업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로서, 상기 데이터는 서로 다른 재생 특성을 갖고 트랙들중 교대로 하나의 트랙을 주사하는 적어도 제1 및 제2 회전 변환기에 의해 인접한 경사진 트랙으로 부터 재생되는 데이터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재생 데이터의 상기 제1 주파수 특성에 정합되는 등화 특성을 각각 갖는 적어도 제 1 및 제2 이퀄라이저 회로를 구비하는 제1 이퀄라이저 수단으로서, 상기 제1 이퀄라이저 회로는 상기 변환기들중 하나의 변환기의 재생 특성과 부가적으로 정합되고 상기 제2 이퀄라이저 회로는 상기 변환기들중 다른 하나의 변환기의 재생 특성과 부가적으로 정합되는 등화 특성을 갖는 상기 제1 이퀄라이저 수단과, 상기 제2 재생 데이터의 상기 제2 주파수 특성과 정합되는 등화 특성을 각각 갖는 제3 및 제4 이퀄라이저 회로를 구비하는 제2 이퀄라이저 수단으로서, 상기 제3 이퀄라이저 회로는 상기 하나의 변환기의 상기 재생 특성과 부가적으로 정합되는 등화 특성을 갖고 상기 제4 이퀄라이저 회로는 상기 다른 변환기의 재생 특성과 부가적으로 정합되는 등호 특성을 갖는 상기 제2 이퀄라이저 수단과, 회로내에서 상기 제1 또는 제2 이퀄라이저 수단을 스위칭하여 상기 제1 또는 제2 재생 데이터가 픽업되는지에 따라서 상기 픽업된 데이터를 처리하므로써 상기 제1 및 제2 등화된 수단으로 부터 파생되는 데이터의 비트 에러율을 감소시키는 스위칭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재생 장치.
  4. 이동가능한 자기 매체상의 복수의 트랙으로 디지탈 데이터를 재생하는 장치로서, 서로 다른 재생 특성을 갖는 적어도 두개의 재생 헤드는 서로 다른 기록 특성을 갖는 복수의 서로 다른 타잎들중 선택된 한가지 타잎이고 복수의 서로 다른 전달 속도중 선택된 하나의 속도로 전달되는 자기 매체의 각 트랙으로 부터 복수의 서로 다른 기록 밀도들중 선택된 하나의 밀도로 기록되는 디지탈 데이터를 픽업하는 디지탈 데이터 재생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생 헤드들중 각각 하나의 헤드의 재생 특성과 정합되는 등화 특성을 갖는 다수의 등화 회로를 포함하는 적어도 두 세트의 등화 회로로서, 상기 다수의 등화 회로 각각은 상기 복수의 기록 밀도들중 각각 하나의 밀도, 상기 자기 매체 기록 특성들중 각각 하나의 특성 및 상기 매체 전송 속도들중 각각 하나의 속도와 결합하여 정합되는 등화 특성을 가지므로써 상기 등화 회로 세트 각각에 포함되는 등화 회로가 상기 복수의 기록 밀도, 자기 매체 기록 특성 및 자기 매체 전송 속도와 모두 결합하여 정합되도록하는 상기 적어도 두 세트의 등화 회로와, 픽업된 디지탈 데이터의 기록 밀도, 상기 디지탈 데이터가 픽업되는 자기 매체 타잎 및 상기 자기 매체의 전송 속도에 따라서 상기 등화 회로의 세트 각각의 상기 등화 회로에서 하나의 등화 회로를 선택하는 스위치 수단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재생 헤드에 의해 각각 픽업된 디지탈 데이터를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재생 헤드의 상기 재생 특성에 정합된 등화 특성을 갖는 상기 등화 회로의 각 세트에 포함된 선택된 등화 회로에 공급하는 수단과, 상기 제1 및 제2 등화 회로 세트로부터 나오는 출력을 결합시켜 디지탈 데이터 스트림을 형성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디지탈 데이터 재생장치.
  5.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 밀도들중 적어도 하나의 밀도로 기록된 데이터는 사이 기록 밀도와 다른 밀도로 기록된 주파수 스펙트럼 데이터의 중앙 주파수 성분보다 높은 중앙 주파수 스펙트럼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디지탈 데이터 재생장치.
  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된 데이터는 "1" 및 "0"이 서로 다른 주파수로 기록되므로써 상기 하나의 기록 밀도로 기록되어 상기 "1" 및 "0" 각각을 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디지탈 데이터 재생장치.
  7.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된 데이터는 멀티 비트 데이터 작업이 2(M) 블록으로 부터 M-비트 워드의 2(N) 블록을 기록하므로써 다른 기록 밀도로 기록되는데, 여기서 N은 서브 블록의 비트수이며, 각 멀티 비트 데이터 워드는 복수의 N-비트 서브 블록으로 분할되며, 각각의 N-비트 서브 블록은 M비트 워드로 변환되고 M>N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디지탈 데이터 재생장치.
  8. 제10항에 있어서, N=8이고 M=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탈 데이터 재생장치.
KR1019880012515A 1987-09-28 1988-09-28 데이타 재생장치 KR01325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44835 1987-09-28
JP62244835A JP2508491B2 (ja) 1987-09-28 1987-09-28 デ―タ再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5719A KR890005719A (ko) 1989-05-16
KR0132572B1 true KR0132572B1 (ko) 1998-04-18

Family

ID=17124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2515A KR0132572B1 (ko) 1987-09-28 1988-09-28 데이타 재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984101A (ko)
EP (1) EP0310356B1 (ko)
JP (1) JP2508491B2 (ko)
KR (1) KR0132572B1 (ko)
DE (1) DE3878619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39474A (ja) * 1989-02-03 1990-09-21 Deutsche Thomson Brandt Gmbh オーデイオまたはビデオ信号のデイジタル記録および再生用の装置
SK273092A3 (en) * 1991-09-17 1994-11-09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for winning belt carriers of record, carrier of record and reproduction device
JP3041184B2 (ja) * 1994-03-16 2000-05-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ィジタル情報記録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US6520490B1 (en) 1999-09-23 2003-02-18 Soilsoup Inc. Liquid compost aerator and method of using same
US6091559A (en) 1994-12-19 2000-07-18 Mobile Storage Technology Inc. Variable zone layout and track pitch parameter considerations for information storage disk drive
JP2001344757A (ja) * 2000-05-31 2001-12-14 Sony Corp 記録媒体認識情報記録方法、記録媒体認識情報記録装置及び記録ディスク
US7826161B2 (en) * 2006-06-30 2010-11-02 Seagate Technology Llc Object based storage device with storage medium having varying media characteristics
JP4500949B2 (ja) * 2007-05-11 2010-07-14 独立行政法人産業技術総合研究所 光ディスクの信号処理方法及び装置
US10014026B1 (en) 2017-06-20 2018-07-03 Seagate Technology Llc Head delay calibration and tracking in MSMR systems
US10522177B1 (en) 2018-07-31 2019-12-31 Seagate Technology Llc Disc locked clock-based servo timing
US10460762B1 (en) * 2018-09-04 2019-10-29 Seagate Technology Llc Cancelling adjacent track interference signal with different data rat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71901A (en) * 1980-10-16 1983-02-01 Honeywell Inc. Programmable signal equalizer
AT369605B (de) * 1981-02-06 1983-01-25 Philips Nv Wiedergabegeraet
JPS57186877A (en) * 1981-05-14 1982-11-17 Sony Corp Magnetic recording method
JPS57200926A (en) * 1981-06-03 1982-12-09 Hitachi Ltd Signal processing circuit
JPS59207068A (ja) * 1983-05-10 1984-11-24 Panafacom Ltd フロツピイデイスク装置
CA1243774A (en) * 1983-06-15 1988-10-25 Takaharu Noguchi Pcm signal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S6087405A (ja) * 1983-10-20 1985-05-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フロツピ−デイスク装置
US4564869A (en) * 1983-11-21 1986-01-14 Eastman Kodak Company Zoned equalization for a magnetic disc
JPS60113366A (ja) * 1983-11-24 1985-06-19 Sony Corp 情報変換方式
JPS628305A (ja) * 1985-07-03 1987-01-16 Alps Electric Co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10356B1 (en) 1993-02-24
EP0310356A2 (en) 1989-04-05
JP2508491B2 (ja) 1996-06-19
DE3878619D1 (de) 1993-04-01
EP0310356A3 (en) 1990-07-04
US4984101A (en) 1991-01-08
JPS6486367A (en) 1989-03-31
KR890005719A (ko) 1989-05-16
DE3878619T2 (de) 1993-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80001549B1 (ko) 자기기록 방법
KR0132572B1 (ko) 데이타 재생장치
JP2545893B2 (ja) 再生信号の分離回路
US4768108A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system
US5003407A (en) Apparatus for selectively reproducing a video signal and a digitized audio signal recorded on a record medium with one of a plurality of recording densities
EP0312362B1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4862296A (en) PCM signal reproducing apparatus with adjustable phase lock loop circuitry
JP3572759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702509B2 (ja) 映像と音声の再生装置
JPS6020362A (ja) 磁気記録装置
JPS6218185A (ja) ヘリカルスキヤン方式磁気記録再生装置
JP2526927B2 (ja) デ―タ記録装置
JPH0614343A (ja) ビデオレコーダ
JPS5821325B2 (ja) ドロツプアウトホシヨウソウチオソナエタ タチヤンネルサイセイソウチ
JPS61110380A (ja) 音声信号記録再生装置
JPS60223075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800506B2 (ja) カラー映像信号および音声信号の磁気記録再生装置
US6671455B1 (en) Magnetic record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and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JP3311428B2 (ja) トラック追従制御方法
JPS60160276A (ja) 映像信号処理装置
JP2508492B2 (ja) 磁気再生装置
KR0155836B1 (ko) 아날로그와 디지탈 배속 기록 및 재생 장치
JP3123050B2 (ja) 記録装置
JPS5850682Y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613277B2 (ja) 映像信号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