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249B1 - 배전장치 - Google Patents

배전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2249B1
KR0132249B1 KR1019930701173A KR930701173A KR0132249B1 KR 0132249 B1 KR0132249 B1 KR 0132249B1 KR 1019930701173 A KR1019930701173 A KR 1019930701173A KR 930701173 A KR930701173 A KR 930701173A KR 0132249 B1 KR0132249 B1 KR 01322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power
branch
distribution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1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702808A (ko
Inventor
미치오 사카이
료조 호소야
노부유키 오리토
미노루 나카하타
Original Assignee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930702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702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22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22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7/00Enclosed substations, e.g. compact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4Circuit arrangements for boards or switchy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atch Boards (AREA)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배전장치는, 수전용 개폐장치로부터 도출된 주배전선상에 복수개의 개폐기를 직렬접속해서 간선을 구성하고, 인접하는 2개의 개폐기 사이에서, 다른 개폐기 및 변압기를 통해서 분산배치된 각 부하로 분기한 것이다.
간선상의 두개의 개폐기는 하나의 분기유닛으로 되고, 다른 개폐기 및 변압기는 파워패키지로 되어 있다.
파워패키지는, 변압기의 상부에 전원측 및 부하측의 부싱을 설치해서 이것을 폐쇄상자로 덮고, 전원측부싱측의 폐쇄상자내에 개폐기를 배치하는 동시에, 변압기의 측부에 분전반을 배치하고 있다.
이로인해 분기배전선의 주배전선으로 부터의 분리가 되고, 또 설치 스페이스가 삭감될 수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배전장치
[기술분야]
이 발명은 빌딩, 공장 등에서의 있어서의 전력의 배전계통에 사용되는 배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제11도는, 빌딩에서의 종래의 배전계통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제11도에서, 1은 빌딩, 2는 빌딩(1)의 지하의 전기실내에 설치된 수전용 개폐장치, 3은 차단기, 4는 고압버스, 5는 차단기, 6은 변압기, 7은 각부하에 대응한 배선용 차단기, 8은 각부하에 접속되는 배선이다.
수전용 개폐장치(2)는 수전한 전력을, 차단기(3)을 경유해서 고압버스(4)에 급전한다.
이 고압버스(4)에는, 이빌딩(1)내의 각 부하에 대응해서 분기용의 차단기를 접속하고, 변압기(6), 배전용 차단기(7)를 통해서 각 부하에 급전하고 있다.
이들 기기는, 통상적으로는 지하의 주전기실내에 설치되어 있고, 또는 큰빌딩의 경우에는 몇 개의 층마다에 설치되어 주전기실로부터 급전되는 부전기 실내에 설치되어있고 여기서 각 부하로 향해 방사상으로 케이블이 설치되어있다.
또, 루프배전에 관한 종래예로서, 일본국 특공소61-8645호에 표시하는 것이 있었으나, 케이블 샤프트내에서의 안전성, 또는 분기용 변압기의 정격 변경시에 정전이 필요하고, 그 취급성에 문제가 있었다.
종래의 배전장치는 이상과 같이 전기실로부터 각 부하에 방사상으로 케이블을 배치한 구성이기 때문에, 대단히 많은 긴 케이블이 필요한 동시에, 그 접속작업에 많은 공수가 필요하게 되고, 공사비용이 비싸지는 동시에 공기도 길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루프 배전설비에 있어서는, 안전성, 취급성에 문제가 있었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하게 된 것으로, 간단한 구성으로 시공이 용이한 배전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또 안전성이 높은 배전장치용의 배전기기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또 급전계속의 신뢰성이 높은 배전장치를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개시]
이 발명에 관한 배전장치는, 수전용 개폐장치로부터 도출된 주배전선상에 복수개의 개폐기를 직렬로 접속해서 간선을 구성하고, 인접하는 2개의 개폐기사이에서, 개폐기, 변압기를 통해서 분산배치된 각 부하로 분기한 것이다.
또 두개의 개폐기를 하나의 분기유닛으로 해, 수전용 개폐장치로부터 도출된 주배전선에서 분기유닛을 직렬로 접속해서 간선을 구성하고, 다른 개폐기와 변압기를 직렬로 접속한 파워패키지(Power package)를 분기유닛에 접속해서 각 부하로 향해 분기한 것이다.
또 콤팩트한 배치로 하기 위해, 분기유닛을 케이블샤프트내에 설치하고, 이것을 주배전선에 의해 연결하고 있다.
분기유닛은 제1및 제2의 주배전선용 개폐기와, 이것을 덮는 상자를 구비하고 있다.
분기유닛은 제1 및 제2의 주배전성용 개폐기와, 이것을 덮는 상자를 구비하고, 가 개폐기는 각 접속부를 상향으로 상자의 하부에 배치하고, 분기배전선 및 주배전선이 상자의 위쪽으로부터 도입되어있다.
파워패키지를 콤팩트하게 구성하기 위해, 변압기 상부에 전원측 및 부하측의 부싱을 설치해서, 이것을 폐쇄상자로 덮고 전원측부싱측의 폐쇄상자내에 개폐기를 배치하는 동시에, 변압기의 측부에 분전반을 배치하고 있다.
또, 파워패키지의 전원측과 부하측을 각각 독립된 폐쇄구조로 하기 위해, 변압기의 상부에 전원 및 부하측의 부싱을 설치하고, 변압기 상부에 독립된 2개의 폐쇄상자를 탑재하며, 한쪽의 폐쇄상자는 전원측 부싱을 관통하는 도체에 직결된 개폐기를 수납하는 개폐기실을 구성하도록 하고, 다른쪽의 폐쇄상자는 부하측 부싱을 관통하는 도체에 접속된 모선을 배치하는 모선실을 구성하도록 하였다.
또 파워패키지의 변압기를 콤팩트한 것으로 하기 위해, 가스절연변압기로 했다. 또 고압회로의 장기적인 신뢰성을 유지하기 위해, 상기 구성에서 개폐기실은 절연가스를 봉압한 가스절연용기로 하였다.
또, 개폐기의 착탈을 쉽게 하기 위해, 적어도 개폐기와 변압기의 접속부는, 접속자와 이 접속자에 걸어맞추어 이탈이 자재로운 접촉용 도체로 구성되어 있다.
이 발명에 관한 배전장치는, 수전용 개폐장치로부터 도출된 제1및 제2의 주배전선에 대해 부하측 개폐기를 분기접속하고, 제1및 제2의 주배전선에 접속된 각 부하측개폐기의 부하측을 공통으로 접속하여 여기에 개폐기, 변압기를 통해서 분산 배치된 각 부하로 접속분기한 것이다.
또 2개의 개폐기를 하나의 분기유닛으로 하고, 수전용 개폐장치로부터 도출된 주배전선에서 분기유닛을 직렬로 접속해서 간선을 구성하고, 다른 개폐기와 변압기를 직렬로 접속한 파워패키지를 분기유닛에 접속해서 각 부하로 향해 분기한 것이다.
이 발명에 있어서는, 분산 배치된 부하의 근처까지 주배전선으로 급전하고, 주배전선으로부터 분기한 분기배전선에 의해 각 부하에 급전한다. 이때, 분기부의 양단이 주배전선상에 개폐기를 설치하고, 분기 배전선에 대한 전력의 유입방향의 제어를 하며, 또 분기 배전선에 개폐기가 설치되어, 분기배전선의 주배전선으로부터의 분리가 가능하다.
또, 분기 배전선에 접속되는 주배전선상의 두개의 개폐기를 하나의 분기 유닛으로 하고, 또 분기배전상의 개폐기, 변압기를 파워패키지로 해서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 분기 유닛을 케이블샤프트내에 설치함으로써, 설치 스페이스가 삭감될 수 있다. 또 분기유닛은, 주배전선의 접속부 또는 개폐기를 상자로 덮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이들로부터 화재가 발생해도 분기유닛의 외부로의 영향이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분기유닛내의 개폐기의 접속부를 상향을 배치했기 때문에 주배전선 또는 분기배전선의 케이블은 분기유닛의 위쪽에서 도입한다. 또 변압기의 상부에 전원측 및 부하측 부싱을 설치해 이것을 폐쇄상자로 덮는 구성으로 하고, 전원측 부싱에 개폐기를 접속하였으므로, 장치의 설치면적을 축소할 수 있다.
또, 파워패키지의 개폐기실과 모선실이 각각 독립된 폐쇄구조로 되어있음으로써, 한쪽의 고장이 다른쪽으로 파급되는 것이 방지되고, 또 보수점검에 있어서 고압충전부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되며, 또 안전성이 확보된다.
또, 파워패키지의 변압기를 가스절연변압기로 함으로써, 장치가 보다 콤팩트하게 된다.
또, 파워패키지의 개폐기실에 절연가스가 봉입됨으로써, 오손등, 고압회로 부분의 절연성능을 저하시키는 환경요인이 미연에 차단되고, 장기적인 신뢰성이 유지될수 있다.
또, 파워패키지의 개폐기의 접속부가 접축자와 접촉용 도체로 구성됨으로써, 볼트 접속이 필요없고, 고압개폐기의 착탈이 신속용이하게 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이 발명에 의한 배전장치의 제1실시예를 표시하는 배전계통도
제2도는 이 발명에 의한 배전장치의 제1실시예의 분기유닛 및 파워유닛의 설치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A-A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의 B-B 단면도
제5도는 제2도의 C-C부분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좌측면도
제7도는 이 발명에 의한 배전장치의 제2실시예의 파워유닛을 표시하는 부분 단면도.
제8도는 이 발명에 의한 배전장치의 제4실시예의 파워유닛을 표시하는 부분 단면도
제9도는 이 발명에 의한 배전장치의 제5실시예를 표시하는 배전계통도
제10도는 이 발명에 의한 배전장치의 제5실시예의 분기유닛 및 파워유닛의 설치상태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11도는 종래의 배전장치의 예를 표시하는 배전계통도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제1도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빌딩의 배전계통을 표시하는 도면, 도면에서 1은 빌딩, 1a는 빌딩(1)내에 상하방향으로 설치된 케이블샤프트, 2는 빌딩(1)의 지하의 전기실내에 설치된 수전용 개폐장치, 6은 변압기, 7은 각 부하에 대응한 배선용차단기, 8은 각 부하에 접속되는 배선, 9,10은 상기 수전용 개폐장치(2)로부터 도출되어 상기 케이블샤프트(1a)내에 설치된 주배전선, 11,12는 상기 주배전선(9)(10)상에 직렬로 접속되어 분기부의 양단에 배치된 주배전선용 개폐기로 한쪽(11)을 제1의 개폐기, 다른쪽(12)을 제2의 개폐기로 한다. 13은 주배전선용개폐기(11)(12)를 수납한 분기유닛, 14는 상기 분기유닛(13)으로부터 분기해서 설치된 분기배전선, 15는 분기배전선(14)에 접속된 부하측개폐기, 16은 변압기(6) 및 부하측개폐기(15)를 수납한 파워패키지이다.
제1도에 있어서는 파워패키지(16)내에 배선용 차단기(7)를 설치한 예를 표시하고 있으나, 파워패키지(16)의 외부에 배치하도록 해도된다.
제2도는 분기유닛(13), 파워패키지(16)의 외관 및 접속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에서 1b는 케이블샤프트(1a)내를 상하방향으로 구획하는 구획부재, 1c는 상기 구회부재(1b)에 설치된 관통구멍, 1d는 케이블샤프트(1a)의 측벽에 설치된 관통구멍, (13a)(13b)는 주배전선용 개폐기(11)(12)와 주배전선과의 접속부, 13c는 분기전선(14)과의 접속부이다.
제3도는 제2도의 분기유닛(13)의 A-A방향에서 본 단면도이고, 제4도는 제3도의 B-B방향으로 본 단면도이다.
(11),(12)는 분기유닛(13)의 하부에 서로 병치하고, 또 접속부(13a),(13b)를 상향으로 해서 배치된 주배전선용개폐기로, 제3도에서 안쪽 방향으로 3상분의 개폐부(11a)(12a)를 그 내부에 배열하고 있다. 17은 분기부로, 외관은 주배전선용개폐기(11),(12)와 동일형상을 하고 있고, 일단에 접속부(13c)를 갖고, 그 내부에서 주배전선용 개폐기(11)(12)의 공통접속부와 접속되어있다.
12b는 주배전선용개폐기(12)의 조작기구, 13d는 분기유닛의 상자로, 접속부(13a)∼(13c)를 덮고 있다.
13e는 분기유닛의 전면 문짝으로, 위쪽에 외부로부터 확인가능하게 표시유닛(13f)를 부착하고 있다. 13g는 상자내에서 주배전선(9), 분기배전선(14)를 지지하는 케이블서포트이다.
제5도는 제2도의 파워패키지(16)를 C-C방향에서 본 부분 단면도이고,제6도는 제5도의 좌측면도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변압기(6)로서 가스절연변압기를 사용하고 있다.
(18)(19)는 변압기(6)의 상부에 설치된 부싱으로 18은 전원측 부싱, 19는 부하측 부싱이다.
20은 내부에 부하로 연결되는 배선용 차단기(7)를 수납하고 변압기(6)의 측부에 인접해서 배치된 분전반, 21은 부싱(19)의 단자(19a)와 분전반(20)을 접속하는 모선, 22는 변압기 (6)의 상부에서 부싱(19) 및 모선의 상부, 측부를 덮는 폐쇄커버이다. 또, 15는 개폐기이고, 밀폐용기(15a)의 내부에 도시하지 않는 수단에 의해 조작되는 개폐부(15b)를 구비하고 부싱(15c)를 통해서 밀폐용기(15a)에 고정되어 있다.
또, 개폐부(15b)는 제5도에서 안쪽방향으로 3개(3상분)배치되어있다.
15d는 도체(15e)에 지지된 접촉자로 부싱단자(18a)(접촉용 도체)의 단부와 걸어 맞추거나 이탈이 자재롭게 접속되어있다. 도체(15e)는 애자(15h)를 통해서 밀페용기(15a)에 고정된 지지부재(15g)에 의해 지지되어있다. 또, 개폐기(15d)의 일단과 도체(15e)의 일단은 가요성 도체(15k)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밀폐용기(15a)중에는 SF6가스등의 절연가스가 봉입되고 있다. 또 6a는 부싱(18)측의 주위를 환상으로 포위하고 변압기(6)의 상면에 기밀하게 장착된 접속플랜지로, 아래쪽에 개구를 갖는 밀페용기(15a)와 접속되어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폐쇄커버(22a)와 밀폐용기(15a)는 별개의 부재로 되어있고, 최종적으로 조립된 상태 즉 폐쇄커버(22a)와 밀폐용기(15a)와의 조합으로 폐쇄상자(22)를 구성하고 있다. 개폐기(15)를 변압기(6)로부터 떼어내는 경우는 접속플랜지(6a)와 밀폐용기(15a)와의 접속을 떼어내서 개폐기(15)를 들어올리면, 접촉자(15d)는 부싱단자(18a)로부터 분리되고, 이로인해 개폐기(15)의 제거는 완료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배전장치에서, 수전용 개폐장치(2)로부터 도출된 주배전선(9)(10)은 케이블샤프트(1a)속을 위쪽으로 상승하면서 분기유닛(13)의 주배전선용개폐기(11),(12)를 교대로 직렬로 접속하고, 주배전선(9),(10)은 최상부에서 서로 접속되어서 루프(Loop)를 구성하고 있다. 실제의 송전에서는 사고가 생겼을때의 사고점의 발견을 쉽게 하기 위해, 루프중의 하나의 개폐기(11)또는 (12)를 열어 오픈 루프(Open Loop)의 상태에서 운전한다. 예를들면 최상층의 D점의 개폐기(12)를 열어서 운전되고 있는 경우, 최상층의 부하로의 급전은, 주배전선(9)로부터 분기배전선(14), 개폐기(15), 변압기(6), 배선용차단기(7) 및 배선(8)을 경유해서 시행된다.
부하에 대한 급전을 정지하는 경우는, 개폐기(15)를 열음으로써 시행된다. 또 변압기(6)의 고장 또는 부하의 설비용량의 변화에 의해, 또한 변압기(6)설비의 교환등에 의해 파워패키지(16)전체를 정전시킬 필요가 있을때는,여기에 직접 연결되는 주배전선용 개폐기(11),(12)의 양쪽을 열어줌으로써 다른층의 부하에 급전하면서, 당해 부분만 정진시킬수가 있다.
또, 분기유닛(13)에 고장이 생겼을때는, 당해 분기유닛(13)의 양측에 접속된 2개의 분기유닛(13)의 개폐기(11),(12)를 열어줌으로써, 이 분기유닛(13)를 정전시켜서 점검수리, 교환을 할 수가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분기유닛을 화재의 원인이 되기쉬운 개폐기(11)(12)및 접속부(13a),(13b),(13c)를 상자로 덮는 구조로 하였기 때문에, 사고가 확대하기 힘들고, 안전성이 높은 것으로 되어있다. 또, 주배전선용 개폐기(11),(12)는 접속부를 위쪽으로 향해 분기유닛(13)의 하부에 배치하여 주배전선(9),(10)또는 분개배전선(14)을 분기유닛(13)의 상부로부터 끌어들여 접속하도록 하였으므로, 작업자의 가슴부터 허리의 높이에서의 접속작업이 되기 때문에 작업이 용이하고, 또 설치면적을 좁게 할 수가 있다. 이 결과, 분기유닛(13)을 케이블샤프트내에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좁은 설치면적에서 루프구성이 실현될 수 있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변압기(6)의 상부에 폐쇄상자(22)를 설치하고 이속에 개폐기(15)를 배치하는 동시에, 변압기(6)의 측부에 인접해서 분전반을 배치하였으므로, 파워패키지(16)의 설치소요 면적을 작게할 수가 있다. 또 부하에 접속되는 배선용차단기(7)의 수가 적을때는, 변압기(6)상부의 부하측 부싱(19)의 상부를 분전반으로 사용함으로써, 파워패키지(16)의 설치소요면적을 더욱 작게할 수가 있다. 또, 변압기(6)에 가스절연 변압기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유입변압기 또는 몰드변압기에 비해 동일한 용량에서 콤팩트하게 구성할 수가 있고, 또 가연물이 소량이기 때문에 안전성도 향상된다.
또, 이 실시예에서는 개폐기(15)의 밀폐용기(15a)내에 SF6가스를 봉입하였으므로, 절연성능이 향상되는 동시에, 오손등의 외부환경의 영향을 받기 힘들고 장기적인 신뢰성이 유지된다는 효고가 있다.
또, 개폐기(15)의 변압기(6)와의 접촉부를 접촉자(15a)로 접속하도록 하였으므로, 접속용 볼트의 착탈이 필요치 않고, 개폐기(15)의 착탈이 신속 용이하게된다. 제7도에는 파워패키지(16)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측단면도를 표시한다.
변압기(6)의 상부에 전원측 및 부하측 부싱(18),(19)를 덮는 폐쇄상자(22)가 설치되어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개폐기(15)는 이동용 차륜(15n)을 구비하고 있고, 도면에서 좌방향으로 인출할 수가 있다. 개폐기(15)의 단자의 선단에는 접촉자(15d)가 설치되어있고, 부싱단자(18a)및 (15m)과 접촉분리가 가능하게 되어있다. 또 폐쇄상자(22)는 개폐기(15) 및 모선(21)을 한데모아 덮고 있으며, 전원측 및 부하측 부싱(18)(19)사이를 접지 금속칸막이판(22b)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배전장치에서는, 폐쇄상자(22)의 내부가 접지금속 칸막이판(22b)에 의해서 개폐기(15)실과 모선(21)실로 구분되어 있기 때문에 모선(21)실에서의 단락등의 고장이 전원측에 파급되는 일이 없고, 또, 부하측의 보수점검에 있어서는, 접지금속 칸막이판(22b)에 의해 격리되어 있기 때문에 전원측 충전부에 노출될 위험은 없고, 안전성이 확보된다. 또, 차륜(15n)에 의한 개폐기(15)의 이동에 의해 각단자 선단의 접촉자(15d)가 각각의 부싱단자(15m),(18a)에 걸어맞추거나, 이탈하는 구성으로 되어있으므로, 개폐기(15)의 탈착이 용이하고, 교체시의 정전시간이 짧아도 된다.
또 제7도에서는 폐쇄상자(22)를 전원측과 부하측의 공통으로 하고 그 사이에 접지금속칸막이판(22b)를 설치해서 간격을 띠우는 것을 표시했으나 폐쇄상자(22)를 전원측과 부하측을 다른 상자로 분리시킨 것이라도 상기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은수 있다.
제8도에서 파워패키지(16)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부분 측단면도를 표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부싱(15c)를 가로방향으로 도출해 분기배전선(14)에 접속한 것이다. 이와같은 배치로함으로써, 파워패키지(16)의 소요높이를 낮게할 수가 있다.
제9도 및 제10도에는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배전계통도와 분기유닛, 파워패키지의 예를 표시한다. 제9도에 있어서, 주배전선(9)은 케이블샤프트(1a)를 상승하면서 T분기된 분기선(9a)에 의해 각 분기유닛(13)의 개폐기(11)에 접속되고, 주배전선(10)은 케이블샤프트(1a)를 상승하면서 T분기된 분기선(10a)에 의해 각 분기유닛(13)의 개폐기(12)에 접속되어있다. 분기유닛(13)로부터 이후의 부하측에 접속되는 기긱에 대해서는, 먼저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된 것과 같다.
이 구성에 있어서, 각 분기유닛(13)은 주배전선(9) 및 (10)의 양쪽에 접속되어 있다. 운전상태에 있어서는, 개폐기(11),(12)중 한쪽을 개방하고 다르쪽으로부터 급전을 받는다. 주배전선(9)(10)의 한쪽에 고장이 생겼을때는 다른쪽의 주배전선으로 전환함으로써 계속해서 급전을 받을 수 있다.
또, 파워패키지(16)에 고장이 생겼을 때는, 개폐기(11)(12)의 양쪽을 개방함으로써 다른 파워패키지(16)을 정전시키지 않고 안전하게 점검, 교환을 할 수가 있다.
또, 제1실시예에서는 모선실을 구성하는 폐쇄상자와는 별도로 개폐기실을 구성하는 폐쇄상자를 설치하고, 또 그 개폐기실을 구성하는 쪽의 폐쇄상자를 가스절연용기로 한 것을 설명하고, 제2실시예에서는 폐쇄상자의 내부를 접지금속칸막이판에 의해 개폐기실과 모선실로 구분하는 구성의 것을 설명하여으나, 이외에, 개폐기실을 모선을 구성하는 폐쇄상자와는 별도로 동종의 독립한 폐쇄상자에 의해 구성하는 것과 같은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이 발명에 의한 배전장치는, 수전용 개폐장치로부터 도출된 주배전선상에 복수개의 개폐기를 직렬로 접속해서 간선을 구성하고, 인접하는 2개의 상기 개폐기사이에서, 개폐기, 변압기를 통해서 분산 배치된 각 부하에 분기하였으므로, 배선의 수가 적고 또 접속공수가 적어도 되므로 시공이 용이한 배전장치가 얻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 2개의 개폐기를 하나의 분기유닛으로 해서 수전용 개폐장치로부터 도출된 주배전선에 상기 분기유닛을 직렬로 접속해서 간선을 구성하고, 다른 개폐기와 변압기를 직렬로 접속한 파워패키지를 분기유닛에 접속해서 각 부하로 향해 분기하였으므로, 시공이 쉬운 배전장치가 얻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 분기유닛을 케이블 샤프트내에 설치하고 이것을 주배전선에 의해 연결하였으므로,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가 있는 배전장치가 얻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 분기유닛은 제1및 제2의 주배전선용 개폐기와 이것을 덮는 상자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콤팩트한 배전장치가 얻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 분기 유닛은 제1및 제2의 주배전선용 개폐기와 이것을 덮는 상자를 최소한 구비하고, 각 개폐기는 각 접촉부를 위쪽으로 향해 상자의 하부에 배치하고 분기 배전선 및 주배전선을 상자의 위쪽으로부터 도입하였으므로, 설치 소요면적이 작고, 설치작업이 용이한 배전장치가 얻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 파워패키지의 변압기 상부에 전원측 및 부하측 부싱을 배치하여 이것을 폐쇄상자로 덮고, 전원측 부싱측의 폐쇄상자내에 개폐기를 배치하는 동시에, 변압기의 측부에 분전반을 배치하였으므로, 콤팩트한 배전장치가 얻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 파워패키지의 전원측과 부하측을 각각 독립한 폐쇄구조로 하기 위하여 변압기 상부에 전원 및 부하측의 부싱을 배치하고, 변압기 상부에 독립된 2개의 폐쇄상자를 탑재하며, 한쪽의 폐쇄상자를 상기 전원측 부싱을 관통하는 도체에 직결된 개폐기를 수납하는 개폐기실을 구성하는 것으로 하고, 다른쪽의 폐쇄상자를 상기 부하측 부싱을 관통하는 도체에 접속된 모선을 배치하는 모선실을 구성하는 것으로 하였으므로, 안전한 배전장치가 얻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 파워패키지의 변압기를 가스절연 변압기로 하였으므로, 콤팩트한 배전장치가 얻어진다는 효과도 있다. 또 개폐기실은 절연가스를 봉입한 가스절연용기로 하였으므로, 개폐기실의 장기적인 신뢰성을 유지할 수 있는 배전장치가 얻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 개폐기와 변압기와의 접속부를 접촉자와 이 접촉자에 걸어맞추거나 이찰시키는 것이 자재로운 접촉용 도체로 구성하였으므로, 보수가 쉬운 배전장치가 얻어지는 효과가 있다.
이 발명에 관한 배전장치는, 수전용 개폐장치로부터 도출된 제1및 제2의 주배전선에 대해 부하측 개폐기를 분기접속하고, 제1및 제2의 주배전선에 접속된 각 부하측 개폐기의 부하측을 공통으로접속하고, 여기에, 개폐기, 변압기를 통해서 분산 배치된 각 부하에 접속분기를 하였으므로, 급전 계속의 신뢰성이 높고 구성이 간단하며 시공이 용이한 배전장치가 얻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 2개의 개폐기를 하나의 분기유닛으로 하고, 수전용 개폐장치로부터 도출된 주배전선에 상기 분기유닛을 직렬로 접속해서 간선을 구성하고, 다른 개폐기와 변압기를 직렬로 접속한 파워패키지를 분기유닛에 접속해서 각 부하로 향해서 분기하였으므로, 급전계속의 신뢰성이 높고, 구성이 간단하며 시공이 용이한 배전장치가 얻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분산해서 배치된 부하에 부하측 개폐기 및 변압기를 통해서 접속되는 복수의 분기배전선과, 상기 각 분기배전선의 전원측 단부에 그 주회로의 각 일단부가 서로 병렬로 접속된 제1및 제2의 주배전선용 개폐기와, 수전용 개폐장치로부터 부하측에 도출되고, 상기 각 분기배전선의 상기 제1의 주배전선용 개폐기 및 상기 제2의 주배전선용 개폐기의 주회로의 각 타단부를 교대로 순차 직렬로 연결해서 접속한 주배전선을 구비한 배전장치.
  2. 분산해서 배치된 부하에 부하측개폐기 및 변압기를 구비한 파워패키지를 통해서 접속되는 복수의 분기배전선과, 제1 및 제2의 주배전선용 개폐기를 갖고, 상기 각 개폐기의 주회로의 각 일단부가 서로 접속되고 또 상기 분기배전선에 접속되는 분기접속부와 상기 각 개폐기의 주회로의 각 타단부에 각각 접속되는 제1 및 제2의 접속부를 갖는 분기유닛과, 수전용 개폐장치로부터 부하측으로 도출되고, 상기 각 분기유닛의 제1 및 제2의 접속부를 교대로 순차직렬로 연결해서 접속한 주배전선을 구비한 배전장치.
  3. 분산해서 배치된 부하에 부하측 개폐기 및 변압기를 구비한 파워패키지를 통해서 접속되는 복수의 분기배전선과 제1및 제2의 주배전선용 개폐기를 갖고, 상기 각 개폐기의 주회로의 각 일단부가 서로 접속되고 또 상기 분기배전선에 접속되는 분기접소부와 상기 각 개폐기의 주회로의 각 타단부에 각각 접속되는 제1 및 제2의 접속부를 갖는 분기유닛과, 수전용 개폐장치로 부터 부하측에 도출되고, 상기 각 분기유닛의 제1의 접속부를 순차로 연결해 접속한 제1의 주배전선과, 상기 수전용 개폐장치로부터 부하측에 도출되고 상기 각 분기유닛의 제2의 접속부를 순차 연결해서 접속한 제2의주배전선을 구비한 배전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분기유닛은 케이블샤프트내에 설치되고, 주배전선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분기유닛은 제1 및 제2의 주배전선용 개폐기와 이것을 덮는 상자를 최소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분기유닛은 제1및 제2의 주배전선용 개폐기와 이것을 덮는 상지를 최소한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각 개폐기는 분기접속부, 제1및 제2의 접속부를 위쪽을 향해서 상자의 하부에 배치하고, 분기배전선 및 주배전선을 상자의 위쪽으로부터 도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장치.
  7. 변압기의 상부에 전원측부싱과 부하측 부싱을 설치하고, 상기 전원측 부싱 및 부하측 부싱을 폐쇄상자로 덮는 동시에, 상기 전원측 부싱측의 폐쇄상자내에 개폐기를 배치하고, 상기 변압기의 측부에 분전반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장치.
  8. 변압기의 상부에 전원측 부싱과 부하측 부싱을 설치하고, 변압기의 상부에 독립된 2개의 폐쇄상자를 탑재하며, 한쪽의 폐쇄상자는 사기 전원측 부싱을 관통하는 도체에 직결된 개폐기를 수납하는 개폐기실을 구성하는 것으로하고, 다른쪽의 폐쇄상자는 상기 부하측 부싱을 관통하는 도체에 접속된 모선을 설치하는 모선실을 구성하고, 상기 변압기의 측부에 분전반을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변압기는 가스절연변압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개폐기실에 절연가스를 봉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적어도 개폐기와 변압기와의 접속부를 접촉자와 이 접촉자에 걸어맞추거나 이탈이 자재로운 접촉용 도체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장치.
  12. 분산해서, 배치된 부하에 부하측 개폐기 및 변압기를 통해서 접속되는 복수의 분기배전선과, 상기 각 분기 배전선의 전원측 단부에 그 주회로의 각 일단부가 서로 병렬로 접속된 제1 및 제2의 주배전선용 개폐기와, 수전용 개폐장치로부터 부하측에 도출되고, 상기 각 분기배전선의 상기 제1의 주배전선용 개폐기의 주회로의 타단부를 순차적으로 연결해서 접속한 제1의 주배전선과, 상기 수전용 개폐장치로부터 부하측에도출되어 제2의 주배전선용 개폐기의 주회로의 타단부를 순차적으로 연결해서 접속한 제2의 주배전선을 구비한 배전장치.
KR1019930701173A 1991-08-23 1992-08-21 배전장치 KR01322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211784 1991-08-23
JP21178491 1991-08-23
PCT/JP1992/001059 WO1993004515A1 (en) 1991-08-23 1992-08-21 Distribution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2808A KR930702808A (ko) 1993-09-09
KR0132249B1 true KR0132249B1 (ko) 1998-08-01

Family

ID=166115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1173A KR0132249B1 (ko) 1991-08-23 1992-08-21 배전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61682A (ko)
EP (2) EP0598130B1 (ko)
JP (1) JP3386808B2 (ko)
KR (1) KR0132249B1 (ko)
DE (1) DE69232354T2 (ko)
WO (1) WO19930045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4556A1 (en) * 2017-04-18 2018-10-25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Cable assembly for configuring power and control lin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6932B2 (ja) * 1993-03-17 1999-03-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複合型受変電設備
FR2822601B1 (fr) * 2001-03-21 2004-12-24 Transfix Toulon Soc Nouv Poste de transformation evolutif pour reseaux en coupure d'artere
EP1439622A1 (en) * 2001-10-05 2004-07-21 Grupo Ormazabal, S.A. Compact modular transformation centre
ES2344405T3 (es) * 2002-07-25 2010-08-26 Grupo Ormazabal, S.A. Centro de transformacion de reducidas dimensiones.
ES2212747B1 (es) * 2003-01-14 2005-06-01 Grupo Ormazabal, S.A. Centro de transformacion para transformador autoprotegido.
ES2255889B1 (es) * 2006-03-27 2007-07-16 Manufacturas Electricas, S.A. Celda para la proteccion de transformadores de media tension.
FR2914116B1 (fr) * 2007-03-20 2009-04-24 Schneider Electric Ind Sas Tableau electrique et sous-station a connexion deportee
DE102007057017A1 (de) * 2007-11-23 2009-05-28 Siemens Ag Anordnung mit einem Schaltgerät und einem Transformator
CN105449536B (zh) * 2014-08-29 2018-11-13 西门子公司 高压组合电器
US9929546B2 (en) * 2014-10-03 2018-03-27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Electrical system and support assembly therefor
EP3247011A1 (en) 2016-05-17 2017-11-22 ABB Schweiz AG Multifunctional three phase power distrubution indoor/outdoor unit
DE102017223817A1 (de) * 2017-12-27 2019-06-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Umspannwerk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492559A (fr) * 1966-09-13 1967-08-18 Ass Elect Ind Perfectionnements aux commutateurs électriques
US3949238A (en) * 1975-01-13 1976-04-06 Northern Electric Company, Limited Distributed power switch for modular systems
JPS56148107A (en) * 1980-04-16 1981-11-17 Takenaka Komuten Co Power distribution facility for building
JPS5765207A (en) * 1980-10-07 1982-04-20 Mitsubishi Electric Corp Gas insulated substation
FR2530881A1 (fr) * 1982-07-21 1984-01-27 Alsthom Atlantique Poste electrique d'interieur a haute tension
JPS618645A (ja) * 1984-06-22 1986-01-16 Hitachi Metals Ltd カプラ組立品試験機
US4772806A (en) * 1987-05-01 1988-09-20 Shay Lean Switching device for a series loop circuit
DE3743028A1 (de) * 1987-12-18 1989-06-29 Felten & Guilleaume Energie Schwefelhexafluorid (sf(pfeil abwaerts)6(pfeil abwaerts))-lastschaltanlage
DE4033391C2 (de) * 1990-10-20 1994-06-09 Reinhausen Maschf Scheubeck Verfahren zur Parallellaufregelung von Stufentransformatoren
US5073848A (en) * 1990-11-21 1991-12-17 General Electric Company Power distribution system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94556A1 (en) * 2017-04-18 2018-10-25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Cable assembly for configuring power and control lines
US11456586B2 (en) 2017-04-18 2022-09-27 Halliburton Energy Services, Inc. Cable assembly for configuring power and control l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3004515A1 (en) 1993-03-04
JP3386808B2 (ja) 2003-03-17
DE69232354D1 (de) 2002-02-21
EP0822632A2 (en) 1998-02-04
EP0822632B1 (en) 2002-01-16
EP0598130B1 (en) 2001-02-21
EP0598130A4 (en) 1996-12-27
DE69232354T2 (de) 2002-08-29
EP0822632A3 (en) 1998-04-22
EP0598130A1 (en) 1994-05-25
KR930702808A (ko) 1993-09-09
US5861682A (en) 1999-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2249B1 (ko) 배전장치
CN107404084A (zh) 一种紧凑型环保气体充气环网柜
KR20100017368A (ko) 고전압 개폐기
CN1010820B (zh) 气体绝缘开关装置
KR100893534B1 (ko) 공간 활용성이 개선된 가스절연 개폐장치
EP0092774B1 (en) Switch board
KR102215103B1 (ko) 일체형 특고압 수배전설비
US4774628A (en) Metalclad substation subdivided into tight compartments
US4237520A (en) Gas insulated switch-gear apparatus
KR100886587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KR200435046Y1 (ko) 일체형의 격실금속피복으로 이루어진 절연축소형 수배전반
MXPA01006395A (es) Subestacion hibrida de alta tension con barras colectoras bajo un revestimiento metalico y una fase auxiliar con aislamiento de aire.
US5587873A (en) Distributor
KR100637902B1 (ko) 가스절연 개폐장치
US5099389A (en) Gas-insulated electric switchboard
KR200434542Y1 (ko) 벽관통 부싱으로 이루어진 절연축소형 수배전반
JPH10262306A (ja) 高圧配電機器収納キャビネット
RU214797U1 (ru) Шкаф комплектного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JP2635700B2 (ja) 受電用ガス絶縁変圧器盤
RU206070U1 (ru) Ячейка комплектная наружного исполнения отдельно стоящая
CN217848779U (zh) 直流开关设备
FI71045B (fi) Foerdelningsstation
JPH0898344A (ja) ガス絶縁開閉装置
JPH02262808A (ja) 集合形変電設備
JPS63284727A (ja) 開閉器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