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2006Y1 - 팩시밀리 송수신장치용 캠 - Google Patents
팩시밀리 송수신장치용 캠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32006Y1 KR0132006Y1 KR2019950000153U KR19950000153U KR0132006Y1 KR 0132006 Y1 KR0132006 Y1 KR 0132006Y1 KR 2019950000153 U KR2019950000153 U KR 2019950000153U KR 19950000153 U KR19950000153 U KR 19950000153U KR 0132006 Y1 KR0132006 Y1 KR 0132006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rc
- cam
- platen
- circular arc
- radiu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19—Construction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housings, co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3/00—Cams ; Non-rotary cams; or cam-followers, e.g. rollers for gearing mechanisms
- F16H53/02—Single-track cams for single-revolution cycles; Camshafts with such cams
- F16H53/025—Single-track cams for single-revolution cycles; Camshafts with such cam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ruction, e.g. assembling or manufacturing featur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006—Vibration-damping or noise reducing means specially adapted for 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원 고안은 송신시 기록지의 배출을 방지하는 동시에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팩시밀리 송수신장치용 캠에 관한 것으로서, 독취부 및 기록부가 동시에 플래튼에서 이격되는 오픈모드(open mode)가 제거되어 대기, 송신, 복사, 수신의 4개 모드를 나타내도록 형성되고 외주면은 곡선변화구간의 각도를 80도로 하는 동시에 핀스토퍼가 형성되어 송신시 캠의 역회전 및 기록지의 배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제1도는 팩시밀리 송수신장치의 구성도.
제2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캠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본원 고안에 의한 캠의 형상을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본원 고안의 요부발췌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제1원호 11 : 제2원호
53 : 제3원호 54 : 제4원호
55 : 핀스토퍼(PIN STOPPER) 56 : 링(E-RING)
본원 고안은 팩시밀리 송수신장치용 캠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송신시 기록지의 배출을 방지하는 동시에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팩시밀리 송수신장치용 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팩시밀리의 송수신장치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10)와, 상기 모터(10)의 동력을 전달받아 연동되는 다수의 기어(20)와, 상기 기어(20)의 동력을 전달받는 플래튼기어(40) 및 캠기어(50)와, 상기 플래튼기어(40)가 결착되는 동시에 상기 캠기어(50)의 축이 삽입되도록 중공된 원통형의 플래튼(60)과, 상기 플래튼(60)의 상하에 접촉가능토록 설치되는 독취부(70) 및 기록부(80)와, 상기 독취부(70) 및 기록부(80)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캠기어(50)의 외부면에 접촉되는 독취핀(71) 및 기록핀(81)과, 상기 독취핀(71) 및 기록핀(81)이 상기 캠기어(50)의 외주면에 접촉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독취핀(71)을 플래튼(60)에 밀착시키는 고리형상의 코일 스프링인 독취스프링(71)과 기록핀(81)을 플래튼(60)에 밀착시키는 고리형상의 코일스프링인 기록스프링(82)과, 상기 각각의 기어(20)들의 축이 고정지지하는 프레임(9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팩시밀리의 송수신장치는 상기 모터(10)의 회전력이 다수의 기어(20)를 거쳐서 상기 구동기어(30)에 전달되면, 상기 구동기어(30)에서는 상기 플래튼기어(40) 또는 캠기어(50)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킨다. 이때, 상기 구동기어(30)의 동력이 상기 캠기어(50)에 전달하면 상기 캠기어(50)의 구동에 따라 상기 독취핀(71) 및 기록핀(81)의 위치가 변동되어 상기 독취부(70) 및 기록부(80)를 상기 플래튼(60)에 밀착 또는 이격시키고, 상기 구동기어(30)의 동력이 상기 플래튼기어(40)에 전달되면 상기 플래튼(60)이 회전하여 원고 또는 기록지를 공급하게 된다.
종래 기술에 의한 팩시밀리 송수신장치에 사용되는 캠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반경을 갖는 제1원(151)과, 상기 제1원(151)과 동일 중심을 갖는 동시에 상기 제1원(151)의 반경보다 더 큰 반경을 갖도록 마주보고 돌출되는 제1원호(152) 및 제2원호(153)와, 상기 제1원(151)과 제1원호(152)가 연결되는 부위에 위치하는 동시에 30도의 원호각을 갖고 상기 제1원(151)의 반경에서 상기 제1원호(152)의 반경까지 점차 증가하는 반경을 갖는 제3원호(154)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모터(10)가 역회전하면 상기 모터(10)의 회전력이 상기 구동기어(30)를 거쳐 상기 캠기어(50)를 회전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제1원호(152), 제2원호(153) 또는 제2원(155)등의 돌출부위가 상기 기록핀(81)을 들어주어 상기 기록부(80)를 상기 플래튼(60)에서 이격시킴으로서 송신모드를 선택하게 된다. 그후, 상기 캠기어(50)를 정지시키고 상기 모터(10)를 정회전시켜 상기 플래튼기어(40)를 구동시킴으로서 원고의 공급이 이루어져 송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오픈모드의 경우는 상기 독취부(70) 및 기록부(80)를 상기 플래튼(60)에서 이격시킴으로서 수행되고, 복사모드의 경우는 상기 캠기어(50)가 회전하여 상기 독취부(70) 및 기록부(80)를 모두 상기 플래튼(60)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플래튼(60)을 회전시킴으로서 수행된다.
한편, 수신모드의 선택 및 수행은 상기 캠기어(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원호(152), 제2원호(153) 또는 제2원(155)등의 돌출부위가 상기 독취부(70)를 상기 플래튼(60)에서 이격시킴으로서 이루어진다.
결국, 종래 기술에 의한 팩시밀리 송수신장치용 캠은 대기모드-송신모드-오픈모드-복사모드-수신모드의 5가지 모드를 반복하여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고 동작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팩시밀리 송수신장치용 캠은 송신시 기록부는 플래튼에서 이격되도록 선택되지만 모터의 속도에 따라 플래튼의 회전속도가 변하게 되어 축의 흔들거림이 발생하여 캡기어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기록부가 플래튼에 접촉되어 기록지가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록스프링 및 독취스프링이 동시에 작용하기 때문에 상기 캠이 순간적으로 빨리 회전하여 소음의 발생하는 동시에 충격을 가하게 되어 부품의 손상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캠의 곡면을 완만하게 하는 동시에 외주면에 핀스토퍼를 형성하여 소음 및 캠의 역회전을 방지할 수 있는 팩시밀리 송수신장치용 캠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고안에 의한 팩시밀리 송수신장치용 캠은 독취부 및 기록부가 동시에 상기 플래튼에서 이격되는 오픈모드(open mode)가 제거되어 대기, 송신, 복사, 수신의 4개 모드를 나타내도록 형성되고 외주면은 곡선변화구간의 각도를 80도로 하는 동시에 핀스토퍼가 형성되어 송신시 캠의 역회전 및 기록지의 배출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원 고안에 의한 팩시밀리 송수신장치용 캠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 고안에 의한 캠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반경을 갖고 반시계 방향으로 210도의 원호각을 갖는 제1원호(51)와 상기 제1원호(51)의 끝단에서 반경이 점차 증가하는 동시에 80도의 원호각을 갖는 제2원호(52)와, 상기 제1원호(51)와 동일 중심을 갖는 동시에 상기 제2원호(52)의 끝단 반경과 동일하게 60의 원호각으로 형성된 제3원호(53)와, 상기 제3원호(53)의 끝단에서 상기 제1원호(51)의 시작점까지 반경이 감소하는 제4원호(54)와, 상기 각각의 원호(51,52,53,54)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다수의 핀스토퍼(PIN STOPPER)(55)로 이루어진다.
또한, 송신시 상기 캠의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50)의 축에는 링(E-PING)(56)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 대기모드-송신모드-복사모드-수신모드를 반복하여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원 고안에 의한 팩시밀리 송수신장치용 캠은 외주면에 스토퍼가 장착되는 동시에 링을 사용하기 때문에 송신시 캠의 역회전을 방지함으로서 기록지의 배출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또한, 캠의 곡면이 완만하기 때문에 독취부 및 기록부가 플래튼에 접촉시 천천히 밀착되어 소음 및 부품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3)
- 플래튼과, 상기 플래튼의 상하에서 접촉되는 독취부 및 기록부와, 상기 독취부 및 기록부를 상기 플래튼에 접촉상태를 유지시키는 독취스프링 및 기록스프링과, 상기 독취부 및 기록부를 선택적으로 상기 플래튼에서 이격시키는 캠을 포함하는 팩시밀리 송수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캠은 소정의 반경을 갖고 반시계 방향으로 소정의 원호각을 갖는 제1원호와, 상기 제1원호의 끝단에서 반경이 점차 증가하며 소정의 원호각을 갖는 제2원호와, 상기 제1원호와 동일 중심을 갖고 상기 제2원호의 끝단 반경과 동일한 반경으로 형성되며 소정의 원호각을 갖는 제3원호와, 상기 제3원호의 끝단에서 상기 제1원호의 시작점까지 반경이 감소하는 제4원호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송수신장치용 캠.
- 제1항에 있어서, 송신시 상기 캠의 역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캠의 축에는 링(E-PING)이 사용되고, 상기 캠의 외주면에는 핀스토퍼(PIN STOPPER)가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송수신장치용 캠.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호의 원호각은 210도, 제2원호의 원호각은 80도, 제3원호의 원호각은 60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 송수신장치용 캠.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00153U KR0132006Y1 (ko) | 1995-01-07 | 1995-01-07 | 팩시밀리 송수신장치용 캠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00153U KR0132006Y1 (ko) | 1995-01-07 | 1995-01-07 | 팩시밀리 송수신장치용 캠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27895U KR960027895U (ko) | 1996-08-17 |
KR0132006Y1 true KR0132006Y1 (ko) | 1998-12-15 |
Family
ID=19406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50000153U KR0132006Y1 (ko) | 1995-01-07 | 1995-01-07 | 팩시밀리 송수신장치용 캠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32006Y1 (ko) |
-
1995
- 1995-01-07 KR KR2019950000153U patent/KR0132006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60027895U (ko) | 1996-08-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H0887225A (ja) | 駆動連結機構およびドラム駆動連結機構 | |
KR20050059994A (ko) | 일방향 클러치 | |
KR0132006Y1 (ko) | 팩시밀리 송수신장치용 캠 | |
US6931954B2 (en) | Power transmission device | |
KR100520676B1 (ko) | 클러치 장치 | |
US5138606A (en) | Disk drive device having a swingable lever carrying pin and positioned in a space between a rotary plate and a magnetic member mounted on the rotary plate | |
US5867283A (en) |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ransmission/reception/duplication positions in facsimile system | |
JP3324714B2 (ja) | 感光ドラム駆動機構 | |
KR100327230B1 (ko) | 인쇄기기용 롤러 구동장치 | |
JP3166837B2 (ja) | ファクシミリ装置 | |
JP4943036B2 (ja) | 画像形成装置に用いられる駆動装置 | |
JP6674998B1 (ja) | コイルばねを利用したロックタイプ双方向クラッチ | |
JP3361549B2 (ja) | カム装置 | |
KR20220041478A (ko) | 토너 카트리지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구조 | |
JP3705110B2 (ja) | 画像形成装置 | |
JP2002135522A (ja) | ファクシミリ装置 | |
JP2937926B2 (ja) | 記録装置 | |
KR0120922Y1 (ko) | 팩시밀리 송수신장치 | |
JP3504286B2 (ja) | ターンテーブル | |
JP3202834B2 (ja) | 多色画像形成装置 | |
JP3696027B2 (ja) | 動力伝達装置とそれを用いた画像形成装置 | |
JPH0540490Y2 (ko) | ||
JPH0645063Y2 (ja) | 電磁制御ばねクラッチ機構 | |
KR100260637B1 (ko) | 팩시밀리구동장치 | |
KR100241436B1 (ko) | 헤드폰 스테레오 데크의 캠 구동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30707 Year of fee payment: 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