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1478A - 토너 카트리지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토너 카트리지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1478A
KR20220041478A KR1020200124728A KR20200124728A KR20220041478A KR 20220041478 A KR20220041478 A KR 20220041478A KR 1020200124728 A KR1020200124728 A KR 1020200124728A KR 20200124728 A KR20200124728 A KR 20200124728A KR 20220041478 A KR20220041478 A KR 202200414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coupler
toner cartridge
guide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우
유재일
김준희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200124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41478A/ko
Priority to US18/027,742 priority patent/US20230375973A1/en
Priority to PCT/US2021/023575 priority patent/WO2022066215A1/en
Publication of KR20220041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147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42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of the apparatus
    • G03G21/1647Mechanical connection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42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 G03G21/1853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guiding and mounting the process cartridge, positioning, alignment, locks the process cartridge being mounted perpendicular to the axis of the photosensitive memb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7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artridges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6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 G03G21/167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means for handling parts of the apparatus in the apparatus for the developer un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8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using a processing cartridge, whereby the process cartridge comprises at least two image processing means in a single unit
    • G03G21/1839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 G03G21/1857Means for handling the process cartridge in the apparatus body for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to the process cartridge, drive mechanisms, gears, couplings, braking mechanisms
    • G03G21/186Axial coupling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8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box like sha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51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 G03G2221/1657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for connecting the different parts transmitting mechanical drive power

Abstract

본 발명은 토너 카트리지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르면, 커플러를 구비하는 토너 카트리지가 작동 가능한 위치에 놓일 때, 구동 위치에서 상기 커플러와 맞물리는 커넥터; 및 소정의 회전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넥터가 상기 구동 위치에 대하여 상기 회전축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회전축에 대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커넥터를 지지하는 커넥터 지지체를 포함하는,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연결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토너 카트리지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구조{CONNECTION STRUCTURE FOR COUPLING WITH TONER CARTRIDGE}
일반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데이터의 생성, 인쇄, 수신, 전송 등을 수행하는 기기이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는 프린터, 스캐너, 복사기, 팩스기 및 이러한 복수 개의 기능을 통합하여 구현한 복합기 등이 있다.
특히, 프린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는 토너 카트리지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인쇄 매체에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토너 카트리지는 토너 카트리지 서포터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소정 기간 동안 사용된 후에는 새로운 토너 카트리지로 교체될 필요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는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의 커넥터가 일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의 커넥터가 타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6는 도 2의 커넥터, 커넥터 지지체 및 커플러가 연결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B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6의 B-B'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예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제1 축(a)은 커넥터 지지체(300)의 탄성부재 지지부(200)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축을 의미한다. 또한, 제2 축(r)은 가이드 팔로워(230)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축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는 화상 데이터의 생성, 인쇄, 수신, 전송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상 형성 장치(1)는 프린터(printer), 스캐너(scanner), 팩스기(fax machine) 및 이들의 기능을 하나의 장치를 통해 복합적으로 구현하는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를 프린터로 서술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화상 형성 장치(1)는 컴퓨터와 같은 단말장치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종이 등과 같은 인쇄 매체에 인쇄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는 본체(10), 토너 카트리지 서포터(20) 및 토너 카트리지(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토너 카트리지 서포터(20) 및 토너 카트리지(30)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체(10)는 하드 카피(hard copy)가 이루어지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하드 카피는 종이 등과 같은 인쇄 매체에 화상을 출력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본체(10)에는 본체(10)의 내부 공간을 외부에 대하여 개폐할 수 있는 도어가 제공되며, 이러한 도어를 통하여 토너 카트리지(30)는 본체(1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반출될 수 있다.
토너 카트리지 서포터(20)는 토너 카트리지(30)에 대한 연결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토너 카트리지 서포터(20)는 토너 카트리지(30)와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30)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토너 카트리지 서포터(20)와 토너 카트리지(30)는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 서포터(20)는 토너 카트리지(30)와 연결될 수 있으며, 구동부(미도시)의 동력을 토너 카트리지(3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토너 카트리지 서포터(20)는 프레임(100), 커넥터(200) 및 커넥터 지지체(3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00)은 토너 카트리지(3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0)은 커넥터(200) 및 커넥터 지지체(300)를 지지할 수 있으며, 본체(10)에 지지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100)은 토너 카트리지(30)가 토너 카트리지 서포터(20)에 연결되기 위하여 이동할 때, 토너 카트리지(3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100)은 토너 카트리지(30)의 좌측 및 우측 중 하나 이상에서 토너 카트리지(3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100)에는 프레임 레일(110)이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 레일(110)은 토너 카트리지(3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 레일(110)은 토너 카트리지(30)가 토너 카트리지 서포터(20)에 연결되기 위하여 이동할 때, 토너 카트리지(30)가 프레임 레일(110)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토너 카트리지(3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 레일(110)은 프레임(100)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복수 개의 돌기 또는 프레임(100)에 인입 형성된 홈일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 레일(110)은 레일 입구(111) 및 커플링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 입구(111)는 토너 카트리지(30)가 프레임 레일(110)의 내측으로 출입하는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레일 입구(111)는 프레임 레일(110) 중 본체(10)의 도어 측에 제공될 수 있다.
커플링부(112)는 커플러(32)와 맞물리기 위한 커넥터(200)가 놓이는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커플링부(112)는 프레임 레일(110) 중 레일 입구(111)의 반대 측에 제공될 수 있다.
커넥터(200)는 후술할 커플러(32)와 연결될 수 있으며, 커플러(32)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200)는 토너 카트리지(30)가 작동 가능한 위치에 놓일 때, 구동 위치에서 커플러(32)와 맞물릴 수 있다. 여기서 구동 위치는 커넥터(200)의 위치뿐만 아니라, 커넥터(200)의 배향 및 자세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구동 위치는 토너 카트리지(30)가 작동 가능한 위치에 놓일 때 커플러(32)와 맞물리는 커넥터(200)의 위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구동 위치는 커넥터(200)가 커플러(32)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하여 커플러(32)와 연결되며, 커플러(32)와 일직선 상에 놓이는 커넥터(200)의 위치를 의미한다. 더 자세한 예시로, 구동 위치에 놓인 커넥터(200)는 커플러(32) 및 커넥터 지지체(300)와 동축(coaxial)으로 놓일 수 있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커넥터(200)는 커넥터 지지체(300)에 대하여 제2 축(r)을 중심으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커넥터(200)는 제1 축(a)을 따라 커넥터 지지체(300)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200)는 커플러(32)에 의해 구동 위치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넥터(200)는 커플러(32)가 후술할 안내면(211)에 접촉한 채로 이동할 때 일측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커플러(32)가 후술할 안착면(212)에 접촉한 채로 이동할 때 타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구동 위치로부터 이탈된 커넥터(200)에는 후술할 탄성부재(320)에 의해 복원력이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플러(32)에 의해 제2 축(r)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기울어진 커넥터(200)에는 타측으로 회전하도록 복원력이 작용하며, 제1 축(a)을 따라 커넥터 지지체(300)의 외측 방향으로 복원력이 작용한다. 이러한 탄성부재(320)에 의해 커넥터(200)는 구동 위치로부터 이탈되더라도 다시 구동 위치에 놓일 수 있다.
도 6 내지 8을 참조하면, 커넥터(200)는 커넥터 헤드(210), 회전부(220), 가이드 팔로워(230), 넥부(240) 및 좌굴 방지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헤드(210)는 커플러(32)와 접촉할 수 있으며, 커넥터(200)가 구동 위치에 놓일 때 커플러(32)와 맞물릴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 헤드(210)는 안내면(211) 및 안착면(212)을 포함할 수 있다.
안내면(211)은 제1 축(a)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될 수 있으며 서로 다른 경사를 가지는 제1 경사부(211a) 및 제2 경사부(212a)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경사부(211a)는 제1 축(a)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될 수 있으며, 제2 경사부(212a) 보다 제1 축(a)에 대하여 더 큰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경사부(211a)는 커플러(32)가 이동하는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경사부(211a)는 커플러(32)와 접촉하는 부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30)가 토너 카트리지 서포터(20)에 설치될 때 또는 토너 카트리지 서포터(20)로부터 분리될 때, 커플러(32)는 제1 경사부(211a)의 일 지점에 접한 채로 이동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커플러(32)는 제1 경사부(211a)를 타고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커플러(32)에 의해 제1 경사부(211a)는 제1 축(a) 및 커플러(32)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으며, 커플러(32)는 제1 축(a)으로 이동하거나, 커플러(32)가 이동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처럼, 제1 경사부(211a)가 커플러(32)의 이동 방향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됨으로써, 커플러(32)의 일 방향으로의 이동만으로도 제1 축(a) 및 커플러(32)의 이동 방향으로 가압되는 효과가 있다.
제2 경사부(212a)는 제1 축(a)에 대하여 제1 경사부(211a) 보다 더 작은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될 수 있다.
안착면(212)은 구동 위치에 놓인 커넥터(200)와 커플러(32)가 소정의 배열을 이루도록 커넥터(200)에 대한 커플러(32)의 상대적인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위치로부터 이탈된 커넥터(200)가 커플러(32)에 의해 다시 구동 위치에 놓일 때, 커플러(32)는 안착면(212)에 접촉된 채로 안착면(212)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안착면(212)은 커플러(32)가 커넥터(200)와 동축을 이루도록 커플러(32)의 위치를 정렬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안착면(212)은 커넥터 헤드(210)으로부터 인입 형성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안착면(212)은 원뿔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안착면(212)은 경사를 가지며, 이러한 경사는 제1 축(a)에 대하여 기울어져 연장될 수 있다.
이처럼, 안착면(212)은 커넥터(200)가 구동 위치에 놓일 때, 커플러(32)의 위치를 정렬함으로써 커플러(32)와 커넥터(200)는 동축을 이룰 수 있다. 이로 인해, 커넥터(200)가 구동 위치로부터 이탈된 후에, 다시 구동 위치에 놓일 때 커넥터(200)와 커플러(32)는 기 설정된 위치에 놓이는 효과가 있다.
한편, 커넥터 헤드(210)에는 고정구(213)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구(213)는 커플러(32)가 커넥터(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후술할 걸림부(32b)와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커넥터(200)는 고정구(213)와 걸림부(32b)가 맞물린 채로 제1 축(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고정구(213)는 일 예로, 안착면(212)로부터 인입 형성될 수 있으며, 걸림부(32b)가 맞물릴 수 있도록 소정의 단차를 가질 수 있다.
회전부(220)는 제2 축(r)을 중심으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후술할 커넥터 가이드(310)에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220)는 후술할 삽입구(311a)에 삽입될 수 있으며, 커넥터 가이드(310)에 지지된 채로 삽입구(311a)의 내측에서 제1 축(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부(220)는 커넥터(200)가 구동 위치로부터 이탈될 때, 제2 축(r)을 중심으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회전부(220)는 삽입구(311a)의 내측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회전부(220)의 일부는 일 예로, 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회전부(220) 중 좌굴 방지부(250)와 연결되는 부분은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팔로워(230)는 후술할 맞물림구(311b)와 맞물릴 수 있으며, 맞물림구(311b)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팔로워(230)는 맞물림구(311b)를 따라 제1 축(a)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팔로워(230)의 이동에 의해 회전부(220)는 삽입구(311a) 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팔로워(230)는 커넥터 지지체(300)의 동력을 회전부(220)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팔로워(230)는 커넥터(200)가 커넥터 지지체(300)에 대응하여 회전하도록 맞물림구(311b)에 맞물린 채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 팔로워(230)는 회전부(220)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 팔로워(230)는 맞물림구(311b)에 지지된 채로 제2 축(r)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가이드 팔로워(230)의 회전에 의해 커넥터(200)는 제2 축(r)의 일측 또는 타측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팔로워(230)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가이드 팔로워(230)는 회전부(220)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넥부(240)는 커넥터 헤드(210)와 회전부(22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러한 넥부(240)의 일측에는 커넥터 헤드(210)가 연결될 수 있으며, 타측에는 회전부(220)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넥부(240)는 제1 축(a)으로 연장될 수 있다.
좌굴 방지부(250)는 탄성부재(320)가 커넥터(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굴 방지부(250)는 회전부(220)로부터 제1 축(a)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320)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이처럼, 좌굴 방지부(250)가 탄성부재(320)의 내측에 삽입됨으로써 탄성부재(320)가 좌굴 방지부(250)를 둘러싸는 부분은 휘어짐이 방지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320)가 커넥터(2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커넥터 지지체(300)는 제1 축(a)을 따라 연장되는 소정의 회전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소정의 회전축은 제1 축(a)를 따라 연장되는 가상의 축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 지지체(300)는 커넥터(200)가 제2 축(r)을 중심으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허용하도록 커넥터(2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지지체(300)는 구동부(미도시)에서 전달된 동력을 커넥터(2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 지지체(30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는 일 예로, 모터, 액츄에이터 등의 주지의 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커넥터 지지체(300)의 일측은 구동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타측은 커넥터(200)와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커넥터 지지체(300)는 커넥터(200)가 구동 위치에 놓였을 때, 커넥터(200)와 동축으로 놓일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 지지체(300)는 커넥터 가이드(310) 및 탄성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커넥터 지지체(300)는 커넥터 홀더(300)로 명명될 수도 있다.
커넥터 가이드(310)는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커넥터(200)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가이드(310)는 커넥터(200)가 제1 축(a)을 따라 이동하도록 커넥터(20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커넥터 가이드(310)는 커넥터(2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으며, 커넥터(200)가 제2 축(r)을 중심으로 일측 또는 타측으로 회전하도록 커넥터(200)의 회전을 안내할 수 있다. 커넥터 가이드(310)는 가이드부(311), 탄성부재 지지부(312) 및 휠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311)는 커넥터(20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으며, 커넥터(20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부(311)에는 커넥터(20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311)에는 삽입구(311a) 및 맞물림구(311b)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구(311a)는 회전부(22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으며, 회전부(220)가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삽입구(311a)는 가이드부(311)의 중심부에서 제1 축(a)으로 인입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플러(32)에 의해 커넥터(200)가 구동 위치로부터 이탈될 때, 회전부(220)는 삽입구(311a)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또한, 커플러(32)에 의해 커넥터(200)가 다시 구동 위치에 놓일 때, 회전부(220)는 삽입구(311a)의 외측으로 이동한다. 이처럼, 삽입구(311a)는 회전부(220)의 제1 축(a)으로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맞물림구(311b)는 가이드 팔로워(230)와 맞물릴 수 있으며, 가이드 팔로워(230)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맞물림구(311b)는 가이드부(311)의 측벽에 형성된 그루브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1 축(a)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맞물림구(311b)에 가이드 팔로워(230)가 맞물린 채로 제1 축(a)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맞물림구(311b)의 양측 중 외부로 개방된 일측에는 가이드 팔로워(23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토퍼는 맞물림구(311b)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맞물림구(311b)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맞물림구(311b)는 각각 복수 개의 가이드 팔로워(230)와 맞물릴 수 있다.
탄성부재 지지부(312)는 탄성부재(320)를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 지지부(312)는 중심에 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홀에 탄성부재(320)가 안착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 지지부(312)에 탄성부재(320)의 일측이 고정 지지될 수 있다. 한편, 탄성부재 지지부(312)는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제1 축(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 지지부(312)의 일측 단부는 구동부와 연결되며, 타측 단부는 휠부(313)와 연결될 수 있다.
휠부(313)는 가이드부(311)와 탄성부재 지지부(312)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휠부(313)는 원판 또는 휠(wheel)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탄성부재(320)는 커넥터(200)가 구동 위치로부터 이탈되었을 때, 커넥터(200)를 구동 위치로 이동하도록 커넥터(20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320)는 커넥터(200)가 구동 위치로부터 이탈되었을 때, 제1 축(a)의 일측, 즉 커넥터 가이드(310)의 외측 방향으로 커넥터(200)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320)는 커넥터(200)가 제2 축(r)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기울어진 경우 제2 축(r)을 중심으로 타측으로 회전하도록 복원력을 가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320)의 일측 단부는 좌굴 방지부(250)에 지지될 수 있으며, 좌굴 방지부(250)를 둘러싸도록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320)의 타측 단부는 탄성부재 지지부(312)에 지지될 수 있다.
이처럼, 탄성부재(320)의 복원력에 의해 커넥터(200)가 커플러(32)에 의해 구동 위치로부터 이탈되더라도 다시 구동 위치로 복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커넥터 지지체(300)는 일 예로 커넥터 가이드(310)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구동 기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기어는 커넥터 가이드(310)에 연결되어 커넥터 가이드(310)의 회전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 기어일 수 있다. 또한, 커넥터 지지체(300)는 다른 예로 스터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스터드는 커넥터 가이드(310)에 삽입되는 폴과 폴을 지지하는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랜지는 구동부와 직접 또는 풀리 등을 통하여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폴 및 커넥터 가이드(310)로 전달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하면, 토너 카트리지(30)는 화상을 출력하는데 필요한 토너를 수용하는 카트리지일 수 있다. 이러한 토너 카트리지(30)는 토너 카트리지 서포터(20)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너 카트리지(30)는 소정 기간 사용된 후에 새로운 토너 카트리지(30)로 교체되어 토너 카트리지 서포터(20)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토너 카트리지(30)는 카트리지 바디(31) 및 커플러(32)를 포함할 수 있다.
카트리지 바디(31)는 토너를 수용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 바디(31)는 토너 카트리지 서포터(20)에 선택적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커플러(32)를 지지할 수 있다.
커플러(32)는 커넥터(200)와 접촉할 수 있으며, 카트리지 바디(31)와 함께 이동함으로써 커넥터(200)와 맞물릴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플러(32)가 커넥터(200)와 맞물리기 위하여 이동할 때, 커플러(32)는 커넥터(200)를 구동 위치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커플러(32)는 커넥터(200)를 제1 축(a)으로 가압하게 되며, 커넥터(200)는 제1 축(a)을 따라 커넥터 가이드(310) 내측으로 삽입된다. 또한, 커넥터(200)는 제2 축(r)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커플러(32)는 커플러 헤드(32a) 및 걸림부(32b)를 포함할 수 있다.
커플러 헤드(32a)는 토너 카트리지(30)가 설치될 때, 커넥터 헤드(210)와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플러 헤드(32a)는 토너 카트리지(30)가 설치될 때, 안내면(211)과 접촉한 채로 커플러(32)를 가압할 수 있으며, 안내면(211)의 일 지점에 접한 채로 이동할 수 있다. 커플러 헤드(32a)가 안내면(211)과 접촉하는 동안 커넥터(200)는 제2 축(r)을 중심으로 일측으로 회전한다. 또한, 커플러 헤드(32a)는 토너 카트리지(30)가 계속해서 이동하면, 안내면(211)을 타고 넘어가 안착면(212)에 접촉하며, 안착면(212)의 일 지점에 접한 채로 이동할 수 있다. 커플러 헤드(32a)가 안착면(212)과 접촉하는 동안 커넥터(200)는 제2 축(r)을 중심으로 타측으로 회전한다. 이후 커플러 헤드(32a)는 안착면(212)에 의해 소정 위치로 이동할 수 있으며, 커플러(32)와 커넥터(200)는 소정의 배열을 이루도록 놓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커플러(32)는 구동 위치에 놓인 커넥터(200)와 동축을 이룰 수 있다.
걸림부(32b)는 커플러(32)가 커넥터(20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부(32b)는 커플러(32)와 커넥터(200)가 맞물렸을 때, 고정구(213)와 맞물릴 수 있다. 또한, 커플러(32)는 걸림부(32b)와 고정구(213)가 맞물린 채로 제1 축(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커플러(32)는 커넥터(200)의 회전에 대응하여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걸림부(32b)는 커플러 헤드(32a)로부터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는 커플러(32)가 카트리지 바디(31)에 대하여 기울어 지게 구비된 것이 아니라 커넥터(200)가 프레임(100)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형성된 것이다. 또한, 커플러(32)가 유동성을 가지는 것이 아니라 커넥터(200)가 유동성을 가지는 것이다. 이로 인해, 토너 카트리지 서포터(20)의 동력을 토너 카트리지(30)에 효율적으로 전달하면서도 토너 카트리지(30)의 구조가 단순화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토너 카트리지(30)의 구조를 단순화 함으로써 제조 공정 및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커넥터(200)가 커플러(32)에 의해 가압되더라도 탄성부재(330)가 커넥터(200)에 복원력을 제공함으로써 커넥터(200)가 구동 위치로 다시 복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안착면(212)에 의해 커넥터(200)와 커플러(32)는 소정의 배열을 이룰 수 있다. 이로 인해, 커넥터(200)와 커플러(32) 간의 연결 및 분리가 반복된다 하더라도 커넥터(200)와 커플러(32)는 동일한 배열로 맞물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Claims (15)

  1. 커플러를 구비하는 토너 카트리지가 작동 가능한 위치에 놓일 때, 구동 위치에서 상기 커플러와 맞물리는 커넥터; 및
    소정의 회전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넥터가 상기 구동 위치에 대하여 상기 회전축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회전축에 대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커넥터를 지지하는 커넥터 지지체를 포함하는,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연결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지지체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회전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커넥터의 이동을 안내하는 커넥터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가이드 내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회전부를 중심으로 상기 일측 또는 상기 타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연결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로부터 양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가이드 팔로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가이드에는 상기 복수의 가이드 팔로워가 맞물리는 그루브 형상을 가지고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맞물림구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가이드 팔로워는, 상기 맞물림구와 맞물린 채로 상기 맞물림구를 따라 상기 회전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연결 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지지체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구동 위치로부터 이탈되었을 때, 상기 커넥터가 상기 구동 위치로 이동하도록 상기 커넥터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연결 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가이드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측 단부가 고정되는 탄성부재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회전부로부터 상기 회전축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 단부에 의해 둘러싸이는 좌굴 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연결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플러와 접촉할 수 있는 커넥터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헤드는, 인입된 형상을 가지는 안착면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면은, 상기 커넥터에 대한 상기 커플러의 상대적인 위치를 정렬하도록 경사를 가지는,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연결 구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와 상기 커플러가 상기 소정의 배열을 이루도록 배치되었을 때, 상기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 지지체는 동축(coaxial)으로 놓이는,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연결 구조.
  8. 토너 카트리지의 커플러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및
    소정의 회전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넥터가 상기 회전축에 대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따라 이동하는 상기 커넥터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커넥터 홀더를 포함하는,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연결 구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홀더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회전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커넥터의 이동을 안내하는 커넥터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가이드 내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 회전부; 및
    상기 커플러와 접촉할 수 있는 커넥터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헤드는, 상기 회전부를 중심으로 상기 일측 또는 상기 타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인입된 형상을 가지는 안착면을 포함하며,
    상기 안착면은, 상기 커넥터에 대한 상기 커플러의 상대적인 위치를 정렬하도록 경사를 가지는,
    토너 카트리지에 대한 연결 구조.
  10. 토너를 제공할 수 있으며, 커플러를 포함하는 토너 카트리지; 및
    상기 토너 카트리지를 지지하기 위한 토너 카트리지 서포터를 포함하고,
    상기 토너 카트리지 서포터는,
    커플러를 구비하는 토너 카트리지가 작동 가능한 위치에 놓일 때, 구동 위치에서 상기 커플러와 맞물리는 커넥터; 및
    소정의 회전축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넥터가 상기 구동 위치에 대하여 상기 회전축을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회전축에 대해 일측 또는 타측으로 기울어지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커넥터를 지지하는 커넥터 지지체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지지체는, 상기 커넥터가 상기 회전축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커넥터의 이동을 안내하는 커넥터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 가이드 내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된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회전부를 중심으로 상기 일측 또는 상기 타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플러와 접촉할 수 있는 커넥터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헤드는, 인입된 형상을 가지는 안착면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면은, 상기 커넥터에 대한 상기 커플러의 상대적인 위치를 정렬하도록 경사를 가지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헤드는,
    상기 커플러와 접촉할 수 있는 안내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안착면은, 상기 회전축과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커플러가 상기 안내면에 접촉한 채로 이동할 때, 상기 일측으로 회전하고, 상기 커플러가 상기 안착면에 접촉한 채로 이동할 때, 상기 타측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면은,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되는 제1 경사부; 및
    상기 회전축에 대하여 상기 제1 경사부 보다 더 작은 각도를 이루도록 연장되는 제2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러는, 상기 커플러가 상기 안내면에 접촉한 채로 이동할 때, 상기 제1 경사부의 일 지점에 접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헤드에는, 상기 안착면으로부터 인입된 고정구가 형성되고,
    상기 커플러는, 커플러 헤드 및 상기 커플러 헤드로부터 돌출된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헤드는, 상기 고정구와 상기 걸림부가 맞물린 채로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200124728A 2020-09-25 2020-09-25 토너 카트리지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구조 KR20220041478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728A KR20220041478A (ko) 2020-09-25 2020-09-25 토너 카트리지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구조
US18/027,742 US20230375973A1 (en) 2020-09-25 2021-03-23 Connection structure for coupling with toner cartridge
PCT/US2021/023575 WO2022066215A1 (en) 2020-09-25 2021-03-23 Connection structure for coupling with toner cartrid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728A KR20220041478A (ko) 2020-09-25 2020-09-25 토너 카트리지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1478A true KR20220041478A (ko) 2022-04-01

Family

ID=80845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728A KR20220041478A (ko) 2020-09-25 2020-09-25 토너 카트리지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375973A1 (ko)
KR (1) KR20220041478A (ko)
WO (1) WO2022066215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8407B2 (ja) * 2006-12-22 2010-07-07 キヤノン株式会社 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及び、電子写真感光体ドラムユニット
JP5523061B2 (ja) * 2009-10-30 2014-06-1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375973A1 (en) 2023-11-23
WO2022066215A1 (en) 2022-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2767B1 (ko) 위치 결정 조립체 및 처리 카트리지
US8867962B2 (en) Driving component, photosensitive drum and process cartridge
JP3609919B2 (ja) 画像形成装置用の軸継手
KR101305527B1 (ko) 화상형성기기 및 그 동력단속장치
AU2017271569B2 (en) Driving force reception assembly and processing box using assembly
WO2017144022A1 (zh) 显影盒以及显影盒中的传动装置
US7903997B2 (en) Coupling apparatus and image forming apparatus employing the same
KR20220041478A (ko) 토너 카트리지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 구조
US8032060B2 (en) Power transmitting unit, and developing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the same
CN105045061A (zh) 一种单向驱动机构、动力传送装置及图像形成装置
CN107111213B (zh) 透镜镜筒和相机
US7198263B2 (en) Dual tray selectable sheet picking assembly
JP2002341658A (ja) 現像装置、画像形成装置及び軸継ぎ手
US20230350337A1 (en) Connection structure for coupling with toner cartridge
CN210864326U (zh) 处理盒
JPH06193640A (ja) 駆動力伝達用カップリング
JP2005055631A (ja) 画像形成装置
US8180250B2 (en) Driving device for toner cartridge for use in printing apparatus
JP6919170B2 (ja) 画像形成装置
JP6114701B2 (ja) 光走査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CN108319123B (zh) 作用杆以及具有该作用杆的处理盒
JP2007329638A (ja) 読取キャリッジロック機構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読取装置
JP7047926B2 (ja) 画像形成システム及び画像読取装置
JPH0933845A (ja) 走査光学装置
US20240075758A1 (en) Printing appar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