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976B1 - 쑥 및 수리취를 소재로 한 천연섬유 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천연섬유 솜 - Google Patents

쑥 및 수리취를 소재로 한 천연섬유 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천연섬유 솜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976B1
KR0131976B1 KR1019940025806A KR19940025806A KR0131976B1 KR 0131976 B1 KR0131976 B1 KR 0131976B1 KR 1019940025806 A KR1019940025806 A KR 1019940025806A KR 19940025806 A KR19940025806 A KR 19940025806A KR 0131976 B1 KR0131976 B1 KR 0131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tural fiber
wormwood
fiber cotton
cotton
dehyd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5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4424A (ko
Inventor
장외상
Original Assignee
장외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외상 filed Critical 장외상
Priority to KR1019940025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976B1/ko
Publication of KR960014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9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BMECHANICAL TREATMENT OF NATURAL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TO OBTAIN FIBRES OF FILAMENTS, e.g. FOR SPINNING
    • D01B1/00Mechanical separation of fibres from plant material, e.g. seeds, leaves, stalks
    • D01B1/10Separating vegetable fibres from stalks or leaves
    • D01B1/14Breaking or scutching, e.g. of flax; Decorticating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BMECHANICAL TREATMENT OF NATURAL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TO OBTAIN FIBRES OF FILAMENTS, e.g. FOR SPINNING
    • D01B1/00Mechanical separation of fibres from plant material, e.g. seeds, leaves, stalks
    • D01B1/50Obtaining fibres from other specified vegetable matter, e.g. peat, Spanish mos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02Cotton wool; Wadding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10B2201/01Natural vegetable fibres
    • D10B2201/02Cott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dding Item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질이 주성분인 쑥 및 수리취등 국화과의 다년초를 이용하여 의복, 침구류 및 쿠션재로 내장되는 솜을 제조함으로써, 자연에 산재된 재료를 활용함과 아울러 인체에 유익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한 천연섬유 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천연섬유 솜에 관한 것으로, 이는 쑥과 수리취의 어느하나 또는 혼합시켜 로울러(1)에서 수분제거 및 압착을 한후 세척기(2), 탈수기(3), 건조기(4), 연마기(5)를 거쳐 컨베이에 여과기(6)에서 여과하여 얻은 섬유질을 다시 세척기(2)에 중성세제를 투입하여 세척한 후 탈수기(3),건조기(4),컨베이어 여과기(6)를 거쳐 타면기(7)에서 타면하여 제조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쑥 및 수리취를 소재로 한 천연섬유 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천연섬유의 솜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천연섬유 솜을 제조하기 위한 블럭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로울러기 2 : 세척기
3 : 탈수기 4 : 건조기
5 : 연마기 6 : 켄베이어여과기
7 : 타면기
본 발명은 쑥 및 수리취를 소재로한 천연섬유 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천연섬유 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섬유질이 주성분인 쑥 및 수리취등 국화과의 다년초를 이용하여 의복, 침구류 및 쿠션재로 내장되는 솜을 제조함으로써, 자연에 산재된 재료를 활용함과 아울러 인체에 유익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게한 천연섬유 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천연섬유솜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쑥과 수리취등 국화과 다년초를 소재로 하여서 된 천연섬유 솜이 전무한데 착안하여 오랜 연구와 반복되는 실험을 통해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종래의 자연섬유 솜은 소위 목화재배를 통해 그 원료를 조달해왔으나 사용량의 급증과 생산구조 악화로 인하여 현재는 명맥을 유지하는 수준에 그치고, 대부분은 해외 수입에 의존하는 현실이 주지의 사실이다.
재배로 얻는 원료나 수입으로 충당하는 자연섬유 솜은 제조가 복잡하고 또한 독성이 강한 화공약품의 작용에 의해 얻어지기 때문에 수질오염과 환경파괴라는 막대한 폐해를 유발하고 있고, 해외로 부터 조달되는 수입 원료는 더 많은 문제를 안고 있다.
일예로 원면 및 원사의 수입에 따르는 외화가 낭비 되므로 그렇지 않아도 경쟁력이 취약한 국가섬유산업에 적신호가 되고있다.
본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솜의 제조에 따른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그 목적은 순수한 우리 야생식물을 자원으로 하여 간편하게 제조할 수 있는 쑥과 수리취를 소재로한 천연섬유 솜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소재인 쑥과 수리취는 우리나라의 산지와 들에 무수히 자생하는 국화과 다년초로서 매년 5월부터 9월 사이에 채취가 가능하고 한번 채취후에도 그 움이 돋기 때문에 풍부한 자원이 될수 있어 원료조달이 용이하며 또한 독성이 강한 화공약품작용을 빌지 않고 기계장치의 물리적인 작용으로 가공되기 때문에 쑥과 수리취 고유의 천연향과 미려한 연록색을 지니게 되어 종래 어떤 자연섬유도 흉내낼 수 없는 독특한 장점을 구비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현재 사용되는 화학섬유 솜에 비교할때 촉감을 비롯한 흡수성과 보온성 및 통기성 등이 우수하여 침구류(이불, 요, 베개)와 의류의 내장재는 물론 사용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는 자동차 시트속과 각종 의자속등의 쿠션재에 부재료용으로 사용이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용화로 인하여 수입대체 효과를 꼽을수 있고, 벌써 오래전 부터 선전국 중심으로 수요가 일어나는 천연섬유 솜의 선호에 따라 수출증대에도 기여할 수 있으며, 순수한 야생식물을 소재로 이에 기술력을 가미하여 제조함에 따라 국가 섬유산업의 경쟁력에 활력소가 될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조방법은 공정별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연에 산재된 쑥과 수리취를 채집한 후 생채 상태로 복수의 드럼이 맞물려 구동되는 로울러기(1)를 통과시켜 쑥과 수리취에 함유된 약81.4%수분중 약70%를 제거하는 착즙작용과 더불어 분리 및 건조가 용이하게 가압한다.
즉, 쑥과 수리취를 로울러기(1)에 의해 으계지게 한 상태에서 원통으로 된 통체내에 저속으로 회전하는 교반날개가 구비된 세척기(2)에 투입하여 연속적으로 물을 공급하게 한 상태에서 비섬유물질이 제거되도록 30∼40분 세척한 다음, 탈수기(3)에 의해 탈수하며, 탈수로 인하여 잔류된 잔존물을 강제로 열풍을 공급하는 건조기(4)에서 100∼120oC 고열풍으로 약 3시간 건조를 시킨다.
이때, 경우에 따라서는 태양열을 이용 자연건조도 가능하나 자연건조시에는 건조에 소요되는 시간이 장시간 소요되어 대량생산에 차질이 생기게 되어 부적합하다.
이어서, 상기 건조물을 표면경도가 다른 두개의 회전판을 구비한 연마기(5)에 통과되게 하여 미세한 상태로 가공한 후, 연마공정에서 발생된 분진과 비섬유물질로 부터 섬유질을 분리하도록 철판망으로 된 컨베이어여과기(6)에 의해 이동시키면 비섬유물질은 철망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아래로 여과되고 섬유질만 컨베이어여과기(6)의 출구에 채집된다.
이때, 여과기(6)의 출구에 채집된 섬유질을 다시 중성세제와 같이 세척기(2)에 넣고 30∼40분간 세척을 하면 상기 여과기(6)에서 충분히 여과되지 못한 비섬유물질이 완전히 제거되어 세척기 바닥에 침잠되고 섬유질만 물위에 뜨게되며, 이후 상기 섬유질만 탈수기(3) 및 건조기(4)를 통과 시킨후, 완전히 건조시킨 섬유질을 컨베이어 여과기(6)에 여과하여 타면기(7)에 의해 타면을 해주면 타면기 출구에서 자연의 연록색을 가진 양질의 천연솜을 얻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본 발명에서 세척,탈수,건조 및 컨베이어 여과공정을 한번 더 실시하는 경우에는 더욱 순수한 섬유질의 천연섬유솜을 얻을 수 있다.
[실시예]
쑥과 수리취의 어느하나 또는 혼합된 상태의 100㎏을 준비하여 상기 공정에 의거 로울러기(1)에서 수분제거 및 압착을 한후 세척기(2),탈수기(3),건조기(4),연마기(5)를 거쳐 컨베이어여과기(6)에서 여과하여 얻은 섬유질을 다시 세척기(2)에 중서이제 500g을 같이 투입하여 세척한 후 탈수기(3),건조기(4),컨베이어 여과기(6)를 거쳐 타면기(7)에서 타면한 결과 3.7㎏의 천연섬유 솜을 얻게 되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쑥 및 수리취를 소재로한 천연섬유 솜은 침구류, 의류 및 자동차 의자시트등의 부재료 및 부직포를 사용할때 솜자체에 함유된 향과 약용성분에 의해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줄수 있고 원사등의 수입대체 효과는 물론 수출도 크게 기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솜의 사용시는 물론 사용후 폐기할 경우에도 오염을 동반하지 않게되어 자연보호에도 효과적인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생채로 채집된 쑥과 수리취의 어느하나 또는 혼합된 것을 복수의 드럼이 맞물려 구동되는 로우러기(1)에 의해 약 10%내외로 수분이 잔류되게 착즙 및 압착을 하는 단계와, 상기 압착된 재료를 원통체의 통체내에서 저속으로 회전되는 교반날개를 갖춘 세척기(2)에 투입하여 연속적으로 물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비섬유질을 제거하여 세척하는 단계와, 상기 세척된 재료를 탈수기(3)에서 탈수한 후 강제로 열풍을 공급하는 건조기(4)에서 100∼120oC 분위기에서 3시간 정도 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건조된 재료를 표면경도가 다른 두개의 회전판을 구비한 연마기(5)에 통과시켜 미세한 상태로 가공하는 단계와, 상기 연마기(5)에서 연마된 재료에 함유된 분진과 비섬유질로 부터 섬유질을 분리하도록 철판망으로 된 컨베이어 여과기(6)에 의해 이동되게 하는 단계와, 상기 여과된 섬유질 재료를 다시 세척기(2), 탈수기(3), 건조기(4) 및 컨베이어여과기(6)를 거쳐 타면기(7)에 의해 타면을 하여 천연섬유 솜을 얻는 단계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쑥 및 수리취를 소재로한 천연섬유솜의 제조방법.
  2. 제 1 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쑥 및 수리취를 소재로 한 천연섬유 솜.
KR1019940025806A 1994-10-10 1994-10-10 쑥 및 수리취를 소재로 한 천연섬유 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천연섬유 솜 KR0131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5806A KR0131976B1 (ko) 1994-10-10 1994-10-10 쑥 및 수리취를 소재로 한 천연섬유 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천연섬유 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5806A KR0131976B1 (ko) 1994-10-10 1994-10-10 쑥 및 수리취를 소재로 한 천연섬유 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천연섬유 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424A KR960014424A (ko) 1996-05-22
KR0131976B1 true KR0131976B1 (ko) 1998-04-16

Family

ID=19394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5806A KR0131976B1 (ko) 1994-10-10 1994-10-10 쑥 및 수리취를 소재로 한 천연섬유 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천연섬유 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9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775B1 (ko) * 2001-10-18 2004-04-08 서성욱 선인장에서 추출된 삼의 결속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6775B1 (ko) * 2001-10-18 2004-04-08 서성욱 선인장에서 추출된 삼의 결속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4424A (ko) 199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959142B (zh) 天然竹纤维的生产工艺
JP3818663B2 (ja) 羽毛から製造した繊維及び繊維製品
DE69133244T2 (de) Behandlung eines superabsorbierenden Polymers
DE59004117D1 (de) Verfahren zur Aufbereitung von Haushalts-, Gewerbe- und anderen vergleichbaren Abfällen mit Gewinnung eines Cellulosematerials.
CN111101375B (zh) 一种利用废旧纺织品生产阻燃包袋的方法
KR102003648B1 (ko) 벌크가 향상된 바이오패드 제조방법 및 이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바이오패드
CN107447521A (zh) 一种废旧棉麻布料的再生方法
TWI641734B (zh) Method for preparing bamboo pulp cellulose non-woven fabric with deodorizing function by spunbonding method
KR0131976B1 (ko) 쑥 및 수리취를 소재로 한 천연섬유 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천연섬유 솜
CN100436662C (zh) 艾长绒提取方法
SE420427C (sv) Forfarande for framstellning av slipmassa vid overtryck
CN110029399A (zh) 一种香蕉纤维、香蕉皮纤维提取工艺及设备
KR20070064543A (ko) 종이 섬유 재료를 분산시키기 위한 방법
CN115125751A (zh) 一种废旧棉纺织品清洁高效制备棉浆方法
CN109881499A (zh) 近零排放纤维连续涂料染色工艺
CN105111063A (zh) 一种用废旧涤棉纤维制备对苯二甲酸的方法
CN107012683A (zh) 重垢织物的回洗工艺
CN209702913U (zh) 一种树韧皮分离装置
CN111286897A (zh) 一种涤纶长丝弹力布的生产工艺及其生产设备
JPH06104114B2 (ja) 無臭粉末乾留竹の製造方法
CN109262721A (zh) 一种具有回收边角料再利用服装生产装置
KR20070064544A (ko) 종이 섬유 재료를 분산시키기 위한 방법
CN116116858A (zh) 废旧纺织品破碎清洗回收系统及方法
KR100512880B1 (ko) 식물잎을 이용한 섬유 염료 제조장치 및 그 방법
CN108754676A (zh) 一种布料回收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5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