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6775B1 - 선인장에서 추출된 삼의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선인장에서 추출된 삼의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6775B1
KR100426775B1 KR10-2001-0064403A KR20010064403A KR100426775B1 KR 100426775 B1 KR100426775 B1 KR 100426775B1 KR 20010064403 A KR20010064403 A KR 20010064403A KR 100426775 B1 KR100426775 B1 KR 100426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mp
cactus
extracted
brush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4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02346A (ko
Inventor
서성욱
Original Assignee
서성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성욱 filed Critical 서성욱
Priority to KR10-2001-0064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26775B1/ko
Publication of KR20020002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2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6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67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5/00Seaming textile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인장에서 추출된 섬유질의 가공으로 형성된 원사를 정렬시키고 일정한 규격으로 재단할 수 있는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투입구로 이동된 건조된 삼의 뭉치를 일정한 두께로 고르게 형성시킬 수 있도록 강압롤러와 가이드 레일 및 브러시를 사용함과 함께 정렬된 삼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원단에 상기 삼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렇게 추출된 섬유질을 원사로 이용하여 소정의 형태로 가공한 후 매트로 형성하여 각종 쿠션매트와 일반 매트 내부에 충진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인체에서 발생하는 체수분을 신속하게 흡수하여 외부로 발산할 수 있도록 형성하므로 통풍성이 우수하고 탄력성이 좋아 사용자에게 편안함과 안락함을 제공하며 일반가정이나 병원, 차량의 쿠션매트에 적용되어 욕창 및 등창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선인장에서 추출된 삼의 결속장치{A banding device of thread to abstract from a cactus}
본 발명은 선인장에서 추출된 섬유질의 가공으로 형성된 원사(이하 "삼" 이라함)을 정렬시키고 일정한 규격으로 재단할 수 있는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투입구로 이동된 건조된 삼의 뭉치를 일정한 두께로 고르게 형성시킬 수 있도록 강압롤러와 가이드 레일 및 브러시를 사용함과 함께 정렬된 삼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원단에 상기 삼을 고정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인장은 선인장과 식물을 일컫지만 사실은 다육식물 속에 선인장이 포함되며, 다육식물도 선인장으로 보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선인장의 원산지는 북미서남부, 멕시코에 주로 분포되어 있으며 선인장과 식물은 5000여종이나 되는 지구상에서 가장 많은 거족을 거느린 식물 가운데하나로 그 장점은 나무채로 두어도 썩지 않으며, 수명이 길어 저장성이 뛰어나면서 색감이 좋다.
또한, 선인장은 약리작용과 효능이 탁월한 한방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비타민 C가 풍부하여 여러기지의 음료와 건강보조식품으로 제조되어 시중에 판매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기능이 있는 선인장은 섬유질과 점분질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와 같은 음료와 건강보조식품의 주재료로는 점분질만을 사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선인장에 함유된 점분질을 뺀 나머지인 섬유질은 일반적으로 파쇄되거나 아니면 쓰레기로 분리되어 그냥 버려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자연산의 선인장으로부터 추출된 삼을 획득하고 이를 2차적으로 가공하여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여러 용도의 쿠션매트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인장에서 추출된 섬유질로 형성된 삼을 건조된 상태에서 공급받아 이를 규격별로 정렬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브러시와 스크류 및 가이드 레일를 사용함과 함께 부직포에 상기 삼을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는 미싱작업이 자동적으로 이루어지는 삼의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조립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통하여 완성된 삼으로 제품을 만든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가이드 레일이 작동하는 상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투입구 11. 강압롤러
12. 1차 미싱기 13. 스크루
14. 1차 브러시 15. 2차 브러시
16. 3차 브러시 17. 구동모터
18. 잭 스크루 19. 흡입팬
20. 작업대 21. 2차 미싱기
22. 권취롤러 23. 컨베이어
24. 부직포 25. 가이드 레일
26. 삼 27. 매트
본 발명은 선인장에서 추출된 섬유질의 삼을 균일하고 고르게 형성시킬 수 있도록 별도의 브러시를 이용하여 빗질과 동시에 이를 부직포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요부를 통하여 완성된 삼으로 제품을 만든 사용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요부인 가이드 레일이 작동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삼은 선인장의 줄기를 선별하여 추출하게 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선인장의 줄기를 선별하여 줄기에 묻어있는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깨끗하게 세척한 후에 상기 줄기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건조공정을 거치게 된다.
이때, 상기 선인장을 이루고 있는 물질은 섬유질과 점분질이며, 상기의 공정을 거쳐 점분질의 수분을 제거하며 이를 건조하게 된다.
상기의 건조공정을 통해 선인장 줄기내의 함유된 수분이 제거되며 건조된 선인장 줄기를 분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상기 선인장의 분쇄방법은 회전하는 두 롤러 사이에 건조된 선인장의 줄기를 넣어 통과시키면 선인장 줄기내의 건조된 점분질이 분쇄됨과 함께 순수한 섬유질만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과정을 통하여 만들어진 섬유질을 다시 세척시켜 이물질 제거 와 함께 건조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
그런 다음 섬유질를 살균, 항균처리하여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는 삼 형태로 완성된다.
이때, 상기의 공정을 통하여 완성된 삼의 형태는 길이와 굵기가 각각 다르게 형성되므로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1차적인 빗질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압롤러(11)는 투입구(10)에 상기의 삼 뭉치를 올리게 되면서 서서히 작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다음 작업자는 투입구(10)에 쌓인 삼 뭉치를 강압롤러(11) 사이로 이동시키면 삼은 뭉치의 형태에서 일정한 두께의 삼 형태로 줄어들게 되면서 컨베이어(23)에 올려지게 된다.
또한, 상기 컨베이어(23)의 일측에는 스크루(13)와 가이드 레일(25)을 형성하여 회전되게 구성하였다.
그리고 강압롤러(11)를 통과한 삼의 상측을 박음질하기 위한 1차, 2차 미싱기(12)(15)를 컨베이어(23)의 전후측에 형성시키게 된다.
따라서, 스크루(13)와 가이드 레일(25)에 수용되는 삼의 상측은 박음질에 의해 고정되어 이동하므로 인하여 외부로 이탈하지 않은 상태에서 컨베이어(23) 상에서 안전하게 이동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컨베이어(23)를 타고 움직이는 삼을 빗질 하기 위한 브러시(14)(15)(16)를 규격별로 구성하여 구동모터(17)와 연결된 잭 스크루(18)의작동에 의해 상기 브러시(14)(15)(16)는 각각 회동 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때, 빗질에 의해 발생되는 분진과 박음질에서 떨어진 삼은 흡입팬(19)에 의해 다시 수거되어 재활용 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황에서 상기 브러시(14)(15)(16)의 빗살 간격은 각각 다르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컨베이어(23)의 이동시에는 상기 브러시(14)(15)(16)는 정지된다.
또한, 상기 브러시(14)(15)(16)가 작동시에는 컨베이어(23)는 정지되어 빗질이 보다 효과적으로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음 1차 브러시(14), 2차 브러시(15), 3차 브러시(16)를 통과한 삼은 일정한 길이로 정렬되면서 작업대(20)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작업대(20)의 표면에는 부직포(24)가 펼쳐져 있으므로 인하여 작업자는 컨베이어(23)를 타고 움직인 삼을 상기 부직포(24) 표면에 올리게 되면서 2차 미싱기(21)는 작동하여 도 3과 같이 삼을 하나의 매트(27)로 구성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작업이 종료되면 매트(27)는 권취롤러(22)에 의해 권취되어 다음작업단계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선인장을 분쇄하여 얻은 섬유질을 세척과 함께 건조작업을 통하여 삼으로 형성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의 공정에 의해 만들어진 삼은 도 2와 같이 투입구(10)에 올려지게 된다.
다음 작업자는 운전스위치(미도시됨)를 ON 시켜 강압롤러(11)와 스크루(13)및 가이드 레일(25), 컨베이어(23)를 작동시키게 된다.
한편, 투입구(10)에 올려진 삼은 강압롤러(11)를 통과하면서 그 부피가 큰 폭으로 줄어들면서 1차 미싱기(12)의 작동으로 인하여 박음질이 되어 스크루(13)와 가이드 레일(25)에 유입된다.
이때, 상기 스크루(13)와 가이드 레일(25)의 회전속도는 컨베이어(23)의 이동속도와 동일한 RPM으로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삼이 1차 브러시(14)에 도달하면 상기 컨베이어(23)와 스크루(13),강압롤러(11) 및 가이드 레일(25)은 일시적으로 정지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1차 브러시(14)를 고정시킨 잭 스크루(18)는 구동모터(17)의 회동으로 서서히 이동하게 되면서 컨베이어(23)에 올려진 삼을 빗질하게 되는것이다.
또한, 브러시(14)가 수회 작동함과 동시에 컨베이어(23) 일측에 형성된 흡입팬(19)은 회전하여 브러시(14)의 빗질에 의해 떨어진 삼과 분진을 강력하게 흡입하게 된다.
다음, 컨베이어(23)와 가이드 레일(25) 및 스크루(13)는 다시 이동하여 1차 브러시(14)에 의해 빗질된 삼을 2차 브러시(15)까지 이동시킨 후,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2차 브러시(15)에 고정된 잭 스크루(18)도 구동모터(17)의 작동에 의해 이동하면서 컨베이어(23)에 올려진 삼을 2차적으로 빗질하게 된다.
이때, 2차 브러시(15)의 빗살 간격은 1차 브러시(14)보다 그 간격이 좁은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 컨베이어(23)와 가이드 레일(25) 및 스크루(13)는 다시 이동하여 2차 브러시(15)에 의해 빗질된 삼을 3차 브러시(16)까지 이동시킨 후,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3차 브러시(16)에 고정된 잭 스크루(18)도 구동모터(17)의 작동에 의해 이동하면서 컨베이어(23)에 올려진 삼을 3차적으로 빗질하게 된다.
또한, 3차 브러시(16)의 빗살 간격은 2차 브러시(14) 보다 그 간격을 좁게 형성하여 삼을 고르게 빗질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컨베이어(23)는 작동하면서 삼을 작업대(20)에까지 이동시키게 된다.
한편, 작업대(20)의 표면에는 부직포(24)가 펼쳐 있으므로 인하여 상기 삼은 부직포(24) 위에 올려지게 된다.
그리고 작업대(20) 상측에 고정된 2차 미싱기(21)는 고속으로 작동하면서 상기 부직포(24)에 올려진 삼을 전체적으로 박음질하여 도 3과 같은 매트(27)로 형성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황이 종료되면서 매트(27)는 권취롤러(22)에 감기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형성된 매트는 소정의 형태로 재단하여 매트내부에 충진할 수 도 있으며, 또한 인체와 밀접하게 접촉되는 쿠션매트와 각종용도로 사용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시원한 느낌을 가지도록 하여 상쾌한 기분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사용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례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선인장으로 부터 추출된 섬유질을 원사로 이용하여 소정의 형태로 가공한 후, 이를 매트로 형성하여 각종 쿠션매트와 일반 매트 내부에 충진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인체에서 발생하는 체수분을 신속하게 흡수하여 외부로 발산할 수있도록 형성하므로 인하여 통풍성이 우수한 특징과 함께 탄력성이 좋아 사용자에게 편안함과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형성된 매트는 일반가정이나 병원, 차량의 쿠션매트에 적용되어 욕창 및 등창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선인장에서 추출된 삼의 결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인장에서 추출된 섬유질로 형성된 삼을 건조된 상태에서 공급받아 이를 규격별로 정렬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잭 스크루와 연결된 수개의 브러시가 스크루와 가이드 레일에 수용되어 컨베이어를 타고 이동하는 상기 삼을 단계적으로 빗질하여 크기를 일률적으로 형성시키고 이를 부직포와 일체로 박음질하여 하나의 쿠션매트로 형성시킬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선인장에서 추출된 삼의 결속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일측에 흡입팬을 형성하여 브러시의 빗질에 의해 떨어지는 삼과 분진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 선인장에서 추출된 삼의 결속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개의 잭 스크루와 연결된 브러시에 형성된 빗살의 간격을 각각 다르게 형성하여 투입구와 강압롤러에서 공급되는 뭉치의 삼을 균일하게 빗질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선인장에서 추출된 삼의 결속장치
KR10-2001-0064403A 2001-10-18 2001-10-18 선인장에서 추출된 삼의 결속장치 KR100426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403A KR100426775B1 (ko) 2001-10-18 2001-10-18 선인장에서 추출된 삼의 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4403A KR100426775B1 (ko) 2001-10-18 2001-10-18 선인장에서 추출된 삼의 결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2346A KR20020002346A (ko) 2002-01-09
KR100426775B1 true KR100426775B1 (ko) 2004-04-08

Family

ID=19715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4403A KR100426775B1 (ko) 2001-10-18 2001-10-18 선인장에서 추출된 삼의 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2677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1976B1 (ko) * 1994-10-10 1998-04-16 장외상 쑥 및 수리취를 소재로 한 천연섬유 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천연섬유 솜
KR20000018232A (ko) * 2000-01-24 2000-04-06 황기중 옥솜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옥솜
KR20010090061A (ko) * 2001-08-31 2001-10-18 최병국 볏짚을 이용한 성형용 부직포 매트의 제조방법
KR20010103183A (ko) * 2000-05-02 2001-11-23 정지수 산자용 섬유 시이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1976B1 (ko) * 1994-10-10 1998-04-16 장외상 쑥 및 수리취를 소재로 한 천연섬유 솜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천연섬유 솜
KR20000018232A (ko) * 2000-01-24 2000-04-06 황기중 옥솜의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한 옥솜
KR20010103183A (ko) * 2000-05-02 2001-11-23 정지수 산자용 섬유 시이트의 제조방법
KR20010090061A (ko) * 2001-08-31 2001-10-18 최병국 볏짚을 이용한 성형용 부직포 매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2346A (ko) 2002-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26191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водно-пробивного нетканого полотна,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водно-пробивного нетканого полотна с элементами, обнаруживаемыми посредством рентгеновского облучения, и водно-пробивное нетканое полотно с элементами, обнаруживаемыми посредством рентгеновского облучения
CN109230785A (zh) 一种用于羊毛布料的毛球去除装置
CN211142276U (zh) 一种带有精确分纱器结构的倍捻捻线机
CN107687085A (zh) 一种裁剪均匀裁布机
CN109112725A (zh) 水刺无纺布及其制备方法
CN108840148A (zh) 一种切割效果好的无纺布折叠机
KR100426775B1 (ko) 선인장에서 추출된 삼의 결속장치
KR101430751B1 (ko) 천연섬유를 이용한 솜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솜
CN203393477U (zh) 用于去除织物针刺的刷毛除尘装置
CN210151391U (zh) 一种高效剪毛机
US3255496A (en) Methods of producing perforated nonwoven fabric
CN213624961U (zh) 一种生产透气防滑型凉感提花面布用的收卷剖布装置
CN207419068U (zh) 一种盖板式除棉机
JP4004258B2 (ja) 刺繍表面の上糸削除・切断装置
CN109629120A (zh) 一种防堵塞针刺机
KR101696636B1 (ko) 실 없이 바느질이 가능한 재봉 장치
CN108458554A (zh) 一种具有收卷功能的纺织用布料烘干机
CN107745852A (zh) 一种无纺布自动打包装置
CN208075454U (zh) 一种具有收卷功能的纺织用布料烘干机
CN218291341U (zh) 一种用于袜子生产的线头去除设备
CN220927228U (zh) 一种沙发布起毛剪毛机
CN109440432A (zh) 一种可全方位吸取的锦纶帘子布生产用吸棉絮装置
US3325868A (en) Apparatus for producing perforated nonwoven fabric
CN205382312U (zh) 一种亚麻纤维生产装置
CN110042558A (zh) 一种织袜机用清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