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797Y1 - 자동차의 도어 첵크링크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 첵크링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797Y1
KR0131797Y1 KR2019950035206U KR19950035206U KR0131797Y1 KR 0131797 Y1 KR0131797 Y1 KR 0131797Y1 KR 2019950035206 U KR2019950035206 U KR 2019950035206U KR 19950035206 U KR19950035206 U KR 19950035206U KR 0131797 Y1 KR0131797 Y1 KR 01317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nk link
door
stopper
shank
str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52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3920U (ko
Inventor
송재삼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20199500352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797Y1/ko
Publication of KR9700239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39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7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79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 E05F5/022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 E05F5/025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specially for preventing the slamming of swinging wings during final closing movement, e.g. jamb stop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e.g. for hoods or trunk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24Sto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6Rods, lin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어 첵크링크의 스토퍼 외부에 플라스틱 층을 도포하고 형태를 단순화한 자동차의 도어 첵크링크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도어 첵크링크에는 첵크 링크 하우징을 일정한 범위내에서 슬라이딩되도록 하기 위하여 첵크 링크 스트립의 일측에 삽입되는 스토퍼와 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스토퍼의 일측과 억지끼움되는 핀이 형성되는데 내측에 삽입되는 구멍을 형성하는 스토퍼를 제작하기가 어렵고 첵크 링크 하우징과 스토퍼가 맞닿을 때 소음이 발생하며 스토퍼와 핀을 첵크 링크 스트립에 일일이 삽입하면서 조립하여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어왔던바 첵크 링크 스트립의 일측홀에 강제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서 제작과 조립이 간편하고 첵크 링크 하우징과의 마찰시 소음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갖는 자동차의 도어 첵크링크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첵크링크(DOOR CHECK LINK)
제1도는 일반적인 도어 첵크링크가 도어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도어 첵크링크의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도어 첵크링크의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 2 : 도어
3,13 : 도어 체크링크 4 : 스플리트 슬리브
5 : 첵크 링크 하우징 6 : 첵크 링크 스트립
7a,7b,7c : 홀 8,10 : 스토퍼
9 : 핀 11 : 플라스틱재
12 : 스틸재
본 고안은 자동차의 도어 첵크링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어 첵크링크의 스토퍼(STOPPER) 외부에 플라스틱을 도포하고 형태를 단순화한 자동차의 도어 첵크링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사용되는 도어 첵크링크는 차체의 일측과 도어를 연결하는 동시에 첵크 링크 스트립(CHECK LINK STRIP)의 외주면에 일정한 굴곡부가 형성되어 도어를 개방하였을 때 도어가 차체와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열린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도어가 저절로 닫히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도어가 열렸을 때 첵크 링크 스트립의 외주면에 형성된 굴곡부를 따라 첵크 링크 하우징의 내부와 맞닿으면서 일정한 힘을 받아 도어가 일정한 간격으로 개방된 상태를 유지한다.
제1도는 일반적인 도어 첵크링크가 도어에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종래의 도어 첵크링크(3)는 일측에 스플리트 슬리브(SPLIT SLEEVE)(4)가 삽입되는 홀(7a)이 형성되어 차체(1)의 도어 장착부에 고정되고 타측에는 스토퍼(8)가 삽입되어 핀(9)으로 고정되는 첵크 링크 스트립(6)과, 내부에 윤활제가 충진되고 양측에 홀(7b)이 형성되어 볼트(미도시)에 의하여 도어(2)에 고정되는 첵크 링크 하우징(CHECK LINK HOUSING)(5)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도어 첵크링크(3)는 제2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1)의 일측에 연결되는 첵크 링크 스트립(6)에 첵크 링크 하우징(5)이 삽입된다. 이와 같은 첵크 링크 하우징(5)의 양측에 형성된 홀(7b)에 볼트(미도시)가 삽입되어 도어(2)에 고정된다. 따라서 도어(2)가 개폐되면 도어(2)와 연결된 첵크 링크 하우징(5)이 첵크 링크 스트립(6)의 굴곡부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차체(1)와 연결된 홀(7a)과, 핀(9)에 의해 고정된 스토퍼(8)의 사이에서 이동한다. 따라서 첵크 링크 하우징(5)은 첵크 링크 스트립(6)을 따라 이동하면서 굴곡부가 형성된 부분에서는 내측의 윤활제와 굴곡부가 맞닿아 마찰력이 높아져 이동하기 힘들고 굴곡부가 없는 부분에서는 자연스럽게 이동하여 굴곡부위에 따라 힘이 다르게 작용하여 이와 연동하는 도어(2)를 굴곡부의 갯수만큼 단계적으로 차체(1)와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시키며 개폐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도어 첵크링크에는 첵크 링크 하우징을 일정한 범위내에서 슬라이딩되도록 하기 위하여 첵크 링크 스트립의 일측에 삽입되는 스토퍼와 이를 고정하기 위하여 스토퍼의 일측과 억지끼움되는 핀이 형성되는데 내측에 삽입되는 구멍을 형성하는 스토퍼를 제작하기가 어렵고 첵크 링크 하우징과 스토퍼가 맞닿을 때 소음이 발생하며 스토퍼와 핀을 첵크 링크 스트립에 일일이 삽입하면서 조립하여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내측은 스틸재로 형성되고 외측은 완충재인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핀형상의 스토퍼를 형성하여 첵크 링크 스트립의 일측홀에 강제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제작과 조립이 간편하고 첵크 링크 하우징과의 마찰시 소음을 감소시키는 자동차의 도어 첵크링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일측에 스플리트 슬리브가 삽입되는 홀이 형성되어 차체의 도어 장착부에 고정되고 타측에는 스토퍼가 삽입되어 핀으로 고정되는 첵크 링크 스트립과, 내부에 완충재가 충진되고 양측에 홀이 형성되어 볼트에 의하여 도어에 고정되고 상기 첵크 링크 스트립에 삽입되는 첵크 링크 하우징으로 형성되는 자동차의 도어 첵크링크에 있어서, 내측에는 스틸재로 형성되고 외주면은 플라스틱재로 형성되어 상기 첵크 링크 스트립의 홀에 억지끼움되는 핀형상의 스토퍼를 구비하는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의 도어 첵크링크의 부분단면도이다.
일측에 스플리트 슬리브(4)가 삽입되는 홀(7a)이 형성된 첵크 링크 스트립(6)의 타측일면에 홀(7c)이 형성된다. 전술한 홀(7c)에 내측은 스틸재(12)로 형성되고 외주면은 완충역할을 하는 플라스틱재(11)로 형성되는 핀형상의 스토퍼(10)가 억지끼움된다. 또한 상기 홀(7a)과 스토퍼(10)의 사이에는 내부에 윤활제를 충진한 첵크 링크 하우징(5)이 삽입되어 슬라이딩된다.
이처럼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체의 일측에 스플리트 슬리브(4)로 연결되는 첵크 링크 스트립(6)에 일측이 도어(2)에 고정되는 첵크 링크 하우징(5)이 삽입되어 체크 링크 스트립(6)의 타측에 형성된 홀(7c)에 내측은 스틸재(12)로 형성되고 외주면은 플라스틱재(11)로 형성된 스토퍼(10)가 억지끼움되어 고정된다. 따라서 자동차의 도어(2)가 닫혀있을때는 첵크 링크 하우징(5)이 첵크 링크 스트립의 홀(7a)부분에 위치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2)를 열면 첵크 링크 하우징(5)이 체크 링크 스트립(6)을 따라 이동하면서 굴곡부에 따라 가변되는 힘에 의하여 도어(2)가 단계적으로 열리게 된다. 도어(2)가 완전히 열리면 첵크 링크 하우징(5)은 체크 링크 스트립(6)의 타측 홀(7c)에 억지끼움된 스토퍼(10)의 외주면을 형성하는 플라스틱재(11)와 맞닿아 더 이상 열리지 않는다. 자동차의 도어(2)를 닫을 때는 상기와 반대의 순서로 첵크 링크 하우징(5)이 작동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내측은 스틸재로 형성되고 외측은 완충재인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핀형상의 스토퍼를 형성하여 첵크 링크 스트립의 일측홀에 강제 삽입하여 고정함으로써 제작과 조립이 간편하고 첵크 링크 하우징과의 마찰시 소음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일측에 스플리트 슬리브(4)가 삽입되는 홀(7a)이 형성되어 차체(1)의 도어 장착부에 고정되고 타측에는 스토퍼(8)가 삽입되어 핀(9)으로 고정되는 첵크 링크 스트립(6)과, 내부에 윤활제가 충진되고 양측에 홀(7b)이 형성되어 볼트(미도시)에 의하여 도어(2)에 고정되고 상기 첵크 링크 스트립(6)에 삽입되는 첵크 링크 하우징(5)으로 형성되는 자동차의 도어 첵크링크(3)에 있어서, 내측에는 스틸재(12)로 형성되고 외주면은 플라스틱재(11)로 형성되어 상기 첵크 링크 스트립(6)의 홀(7c)에 억지끼움되는 핀형상의 스토퍼(10)를 구비하는 자동차의 도어 첵크링크.
KR2019950035206U 1995-11-23 1995-11-23 자동차의 도어 첵크링크 KR01317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5206U KR0131797Y1 (ko) 1995-11-23 1995-11-23 자동차의 도어 첵크링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5206U KR0131797Y1 (ko) 1995-11-23 1995-11-23 자동차의 도어 첵크링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3920U KR970023920U (ko) 1997-06-20
KR0131797Y1 true KR0131797Y1 (ko) 1998-12-15

Family

ID=194300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5206U KR0131797Y1 (ko) 1995-11-23 1995-11-23 자동차의 도어 첵크링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79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3920U (ko) 1997-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74186B2 (ja) サイドインパクトバー組立体
KR0131797Y1 (ko) 자동차의 도어 첵크링크
KR102634352B1 (ko) 테일게이트용 가이드범퍼
KR0131796Y1 (ko) 자동차의 도어 첵크링크
BR9803429A (pt) Amortecedor de ruìdos para fixador de porta de veìculo automotor.
KR0131795Y1 (ko) 자동차의 도어 첵크링크
KR0140644Y1 (ko) 자동차의 도어 첵크링크
KR200176252Y1 (ko) 자동차의 테일게이트 댐퍼
KR200186003Y1 (ko) 차량의 테일게이트댐퍼
JPS5828139Y2 (ja) 自動車用ドアチエツク装置
KR0139446Y1 (ko) 자동차의 볼팅타입 도어 힌지구조
KR950004341Y1 (ko) 자동차 글로브 박스 개방시의 스톱퍼장치
KR200150762Y1 (ko) 자동차용 오버 슬램 범퍼 고정구조
KR100227357B1 (ko) 차량의 테일 게이트 가이드 구조
KR200149444Y1 (ko) 자동차용 도어체커의 메일플레이트
KR200158569Y1 (ko) 도어체크링크의 유동방지구조
KR0118599Y1 (ko) 차량의 테일게이트 오버슬램범퍼 고정장치
KR100432076B1 (ko)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개폐 안내구조
KR200159150Y1 (ko) 철도차량의 반개폐창
KR970000680A (ko) 자동차 도어의 몰딩 취부구조
KR19990004015A (ko) 자동차 백 도어용 스테이 댐퍼 구조
KR20200092141A (ko) 런업타입 스윙아웃 도어 리테이너 구조
KR19990019860U (ko) 자동차의 오버슬램범퍼
KR950007331Y1 (ko) 자동차 에너지 업서버의 취부용 브라켓트
KR19990024591U (ko) 차량의 스트라이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