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698Y1 - 차량의 경사 감지센서 - Google Patents

차량의 경사 감지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698Y1
KR0131698Y1 KR2019940011628U KR19940011628U KR0131698Y1 KR 0131698 Y1 KR0131698 Y1 KR 0131698Y1 KR 2019940011628 U KR2019940011628 U KR 2019940011628U KR 19940011628 U KR19940011628 U KR 19940011628U KR 0131698 Y1 KR0131698 Y1 KR 013169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eight
rail
posts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16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2735U (ko
Inventor
이원종
Original Assignee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성원,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성원
Priority to KR20199400116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698Y1/ko
Publication of KR9500327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27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6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698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9/00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 G01C9/12Measuring inclination, e.g. by clinometers, by levels by using a single pendulum plumb lines G01C15/10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asurement Of Length, Angles, Or The Lik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경사각을 감지하여 입력요소로서 전자제어 유니트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자동제어 유니트에 의해 자동제어되는 기능들이 보다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고, 차량의 경사각을 입력요소로 필요로 하는 새로운 자동제어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차량의 경사 감지센서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11)와, 상기 케이스(11) 내의 바닥판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고정된 한 쌍의 포스트(12)(13)와, 상기 한 쌍의 포스트(12)(13)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고 동일반경을 갖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레일(14)과, 상기 레일(14)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무게추(20)와, 상기 레일(14)의 반경중심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무게추(20)와 아암(16)으로 연결되어 무게추(20)의 이동위치에 따라 변화되는 전위차를 전기적 신호로 발생시키기 위한 포텐쇼미터(15)로 구성하여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경사 감지센서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경사 감지센서를 일부 절결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경사 감지센서를 추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경사 감지센서 11 : 케이스
12, 13 : 포스트 14 : 레일
15 : 포텐쇼미터(Potentiometer) 16 : 아암
20 : 무게추 22 : 외통
23 : 추부재 24 : 판스프링
본 고안은 차량의 경사 감지센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이 오르막 또는 내리막을 주행할 때 차량의 경사정도를 측정하여 차량의 각 기능들이 이에 대처하도록 한 차량의 경사 감지센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움직이도록 되어 있고, 최근에는 전자 제어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좀더 편리한 운전을 위해 많은 기능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차량의 경사각을 측정하는 장치는 설치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고, 현재 차량을 자동제어함에 있어 차량의 경사각을 입력으로 하여 처리해야 할 경우가 생겨나고 있다.
예를 들면, 수동 변속기를 장착한 차량의 경우, 차량의 오르막에서 잠시 정지한 후 출발할 때 브레이크 페달에서 악셀레이터로 발을 옮기는 과정에서 운전자의 의지와는 달리 차량의 소정거리 후진되는 일이 흔히 발생하게 된다. 이때 뒷차와 안전거리가 확보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접촉사고를 유발하게 되고, 특히 초보운전자의 경우에는 이때 당황하여 가장 많은 접촉사고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자동 변속기를 장착한 차량의 경우에는, 차량이 내리막을 주행할 때 가속되므로 자동으로 쉬프트 업(shift-up)되게 된다. 따라서 자동 변속기에는 엔진의 회전수 보다 구동륜의 회전수가 커질 때 이를 감지하여 쉬프트 업되는 것을 막고, 자동 쉬프트 다운시킴으로써 차속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안전기능이 구비된 것으로, 이를 엔진 브레이크 효과라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엔진 브레이크 효과는 구동륜의 회전수가 엔진의 회전수 보다 클 때 작용하는 것이므로 엔진의 회전수가 아주 클 경우에 차량이 내리막을 주행하여 가속되어도 차속이 엔진의 회전수 보다 작게되면, 엔진 브레이크가 걸리지 않게 된다. 따라서 가속으로 인한 사고를 발생할 염려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량의 경사각을 감지하여 입력요소로서 전자제어유니트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전자제어유니트에 의해 자동제어되는 기능들이 보다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고, 차량의 경사각을 입력요소로 필요로 하는 새로운 자동제어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차량의 경사 감지센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은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의 바닥판 양측에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고정된 한 쌍의 포스트와, 상기 한 쌍의 포스트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고 동일 반경을 갖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레일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무게추와, 상기 레일의 반경중심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무게추와 아암으로 연결되어 무게추의 이동위치에 따라 변화되는 전위차를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포텐쇼미터(Potentiometer)를 포함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경사 감지센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무게추는 양단부의 중앙부에 레일의 안내구멍이 형성된 외통과, 상기 외통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고 소정의 무게를 갖는 추부재와, 상기 외통의 내측 상부에 고정되어 레일과 일측이 탄성접촉하는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의 경사 감지센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경사 감지센서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경사 감지센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고,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경사 감지센서에서 무게추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경사 감지센서(10)는 사각 박스형태의 케이스(11)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스(11) 내의 바닥판 양측에는 한 쌍의 포스트(12)(13)가 수직 방향으로 세워져 고정설치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포스트(12)(13)에는 동일한 반경중심을 갖는 원호상의 레일(14)이 설치되는 것으로, 레일(14)의 양단이 한 쌍의 포스트(12)(13)에 각각 고정되어 레일(14)의 중앙부가 하부로 처진 형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레일(14)에는 무게추(20)가 설치되는 것으로, 무게추(20)는 레일(14)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제2도에서와 같이 무게추(20)는 양단부의 중심에 레일(14)이 관통되는 구멍(21)을 형성한 외통(22)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외통(22) 내측 하부에는 소정의 무게를 갖는 추부재(23)를 고정하고, 외통(22)의 내측 상부에는 판스프링(24)를 고정하여 일단이 레일(14)과 탄력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무게추(20)는 레일(14)의 반경중심에 설치된 포텐쇼미터(15)와 아암(16)으로 연결되어 있고, 상기 포텐쇼미터(15)는 지지대(17)로 고정된다. 한편 상기 포텐쇼미터(15)는 가변저항을 총칭하는 것으로서, 통상적으로 저항소자 위를 와이퍼가 접동(摺動)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와이퍼를 아암(16)에 연동하도록 설치한다. 따라서 상기 아암(16)의 변위에 따라 와이퍼가 접동하여 전위차가 발생하게 됨으로 이를 전기적 신호로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고안은 예를 들어 차량에 설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차량의 하부차체 중심에 경사 감지센서(10)를 수평이 유지되도록 설치한다. 따라서, 차량이 언덕길을 주행하여 차량이 어느 한 쪽으로 경사지게 되면, 경사 감지센서(20)도 어느 한 쪽으로 경사지게 된다. 이때 무게추(20)는 자중에 의해 항상 수직상태를 유지하려고 하기 때문에 결국 레일(14)을 따라 이동되어 아암(16)이 소정각도 회전하는 상태가 되고, 이로써 상기 아암(16)과 연결된 포텐쇼미터(15)의 와이퍼가 저항소자 위를 접동하면서 전위차를 발생시키게 됨으로, 이전위차에 의해 포텐쇼미터(15)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발생된 전기적 신호가 차량의 전자제어 유니트로 보내지게 된면, 전자제어 유니트에서는 상기 전기적 신호를 하나의 입력 데이터로 이용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전자제어 유니트는 차량에 대한 정보를 더 많이 알게되어 자동제어 기능을 더욱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더욱이 상기 경사 감지센서에 의해 차량의 경사가 감지됨으로써 새로운 자동제어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수동변속기를 장착하고 있는 차량의 경우 오르막길에서 정지 후 출발할 때 경사 감지센서가 오르막임을 전자제유니트에 인식시키게 되면, 차량의 출발시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를 구비할 경우 이를 자동제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자동변속기를 장착한 차량의 경우 내리막길에서 가속될 경우, 경사 감지센서가 내리막임을 전자제어 유니트에 인식시키게 되면, 자동제어유니트가 쉬프트 다운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내리막길 주행시 자동으로 엔진 브레이크가 걸리도록 제어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차량의 경사 감지센서에 의하면, 차량에 경사 감지센서가 설치됨으로써 주행시 차량의 경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됨으로, 전자제어 유니트는 더 많은 정보를 얻게되어 자동제어 기능들이 더욱 정확하게 제어되는 것이고, 상기 경사 감지센서에 의해 차량의 경사 정도를 인식할 수 있게 됨으로써 이를 입력으로 하는 새로운 자동제어 기능들을 늘릴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케이스(11)와, 상기 케이스(11)내의 바닥판 수직방향으로 세워져 고정된 한 쌍의 포스트(12)(13)와, 상기 한 쌍의 포스트(12)(13)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고 동일 반경을 갖는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레일(14)과, 상기 레일(14)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무게추(20)와, 상기 레일(14)의 반경중심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무게추(20)와 아암(16)으로 연결되어 무게추(20)의 이동위치에 따라 변화되는 전위차를 전기적 신호로 발생시키기 위한 포텐쇼미터(15)를 포함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경사 감지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20)는, 양단부의 중앙부에 레일(14)의 안내구멍(21)이 형성된 외통(22)과, 상기 외통(22)의 내부 하측에 구비되고 소정의 무게를 갖는 추부재(23)와, 상기 외통(22)의 내측 상부에 고정되어 레일(14)과 일측이 탄성접촉하는 판스프링(24)으로 이루어지는 차량의 경사 감지센서.
KR2019940011628U 1994-05-24 1994-05-24 차량의 경사 감지센서 KR01316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1628U KR0131698Y1 (ko) 1994-05-24 1994-05-24 차량의 경사 감지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1628U KR0131698Y1 (ko) 1994-05-24 1994-05-24 차량의 경사 감지센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735U KR950032735U (ko) 1995-12-14
KR0131698Y1 true KR0131698Y1 (ko) 1998-12-15

Family

ID=19383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1628U KR0131698Y1 (ko) 1994-05-24 1994-05-24 차량의 경사 감지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69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8371B1 (ko) * 2002-04-26 2004-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기울기 검출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448372B1 (ko) * 2002-05-09 2004-09-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기울기 검출 제어장치
KR100444063B1 (ko) * 2002-05-09 2004-08-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기울기 검출 제어장치
KR100494722B1 (ko) * 2002-10-15 2005-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테일게이트의 개방높이 자동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735U (ko) 1995-1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304351A (ja) 急傾斜及び急カーブ走行時のシフトパターン制御装置とその制御方法
FR2363093A1 (fr) Simulateur d'inertie et de charge sur route pour les essais de vehicules
KR0131698Y1 (ko) 차량의 경사 감지센서
US2836990A (en) Accelerator means
US5498941A (en) Speed control device used for electric automobiles and method therefor
KR200146798Y1 (ko) 자동차 주행상황 기록시스템
JPH05286375A (ja) オ−トマチックトランスミッションのシフトレバ−装置
KR100432017B1 (ko) 자동차의 변속단 감지장치
KR100444063B1 (ko) 차량의 기울기 검출 제어장치
KR970026203A (ko) 자동 변속레버의 업/다운 수동 변속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432024B1 (ko) 차량 조향장치의 조타각 조절장치
KR100203481B1 (ko) 자동차용 폐달의 유격 측정장치
KR100193483B1 (ko) 운전 핸들을 이용한 자동차의 주행 상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970074175A (ko) 자동차용 디스플레이 장치
KR100224253B1 (ko) 자동 변속기 차량용 자동 엔진 브레이킹 장치
KR970046594A (ko) 자동변속기의 시프트 패턴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H0986452A (ja) 車両用可動スポイラの駆動制御装置
KR0124039Y1 (ko) 자동차의 조향 감지장치
KR200199608Y1 (ko) 자동차의롤링상태감지장치및롤링정도경고장치
KR0132949Y1 (ko) 자동차의 스티어링 휠 중립 위치 검출 장치
KR19980028367U (ko) 안전주차 경고장치
JPH01119451A (ja) 自動車の接触検知機能付きコーナーポール構造
JPH07232589A (ja) 自動車用ヘッドライトの水平照射方向制御装置
KR970026236A (ko) 자동변속기 탑재 차량의 추월 가속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960021732A (ko) 자동변속기 탑재차량의 주행 상황 검증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