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684B1 - 유동상 보일러에 있어서의 연소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유동상 보일러에 있어서의 연소 제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684B1
KR0131684B1 KR1019890700440A KR890700440A KR0131684B1 KR 0131684 B1 KR0131684 B1 KR 0131684B1 KR 1019890700440 A KR1019890700440 A KR 1019890700440A KR 890700440 A KR890700440 A KR 890700440A KR 0131684 B1 KR0131684 B1 KR 01316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recovery
combustion
temperature
combustibles
compar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700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701954A (ko
Inventor
시게루 고수기
다까히로 오오시따
쯔또무 히고
나오끼 이누마무
하지메 가와구찌
Original Assignee
후지무라 히로유끼
가부시기 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무라 히로유끼, 가부시기 가이샤 에바라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후지무라 히로유끼
Publication of KR890701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701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6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6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C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FLUID FUEL OR SOLID FUEL SUSPENDED IN  A CARRIER GAS OR AIR 
    • F23C10/00Fluidised bed combustion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1/00Modifications of boiler construction, or of tube systems, dependent on installation of combustion apparatus; Arrangements of dispositions of combustion apparatus
    • F22B31/0007Modifications of boiler construction, or of tube systems, dependent on installation of combustion apparatus; Arrangements of dispositions of combustion apparatus with combustion in a fluidized bed
    • F22B31/0084Modifications of boiler construction, or of tube systems, dependent on installation of combustion apparatus; Arrangements of dispositions of combustion apparatus with combustion in a fluidized bed with recirculation of separated solids or with cooling of the bed particles outside the combustion bed
    • F22B31/0092Modifications of boiler construction, or of tube systems, dependent on installation of combustion apparatus; Arrangements of dispositions of combustion apparatus with combustion in a fluidized bed with recirculation of separated solids or with cooling of the bed particles outside the combustion bed with a fluidized heat exchange bed and a fluidized combustion bed separated by a partition, the bed particles circulating around or through that part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02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1/00Modifications of boiler construction, or of tube systems, dependent on installation of combustion apparatus; Arrangements of dispositions of combustion apparatus
    • F22B31/0007Modifications of boiler construction, or of tube systems, dependent on installation of combustion apparatus; Arrangements of dispositions of combustion apparatus with combustion in a fluidized bed
    • F22B31/0076Controlling processes for fluidized bed boilers not related to a particular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3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having a fluidised b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44Details; Accessories
    • F23G5/46Recuperation of he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GCREMATION FURNACES; CONSUMING WASTE PRODUCTS BY COMBUSTION
    • F23G5/00Incineration of waste; Incinerator constructions; Details, accessories or control therefor
    • F23G5/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1/00Regulating fuel supply
    • F23N1/02Regulating fuel supply conjointly with air supply
    • F23N1/022Regulating fuel supply conjointly with air supply using electron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NREGULATING OR CONTROLLING COMBUSTION
    • F23N2237/00Controlling
    • F23N2237/18Controlling fluidized bed bur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Fluidized-Bed Combustion And Resonant Combustion (AREA)
  • Incineration Of Waste (AREA)
  • Regulation And Control Of Combustion (AREA)
  • Control Of Combustion (AREA)
  • Control Of Steam Boilers And Waste-Gas Boilers (AREA)
  • Direct Air Heating By Heater Or Combustion Gas (AREA)
  • Gas Burners (AREA)

Abstract

유동상보일러(A, C)의 연소화실(3)에서 열을 받는 보일러 드럼(17)의 증기압을 보일러 드럼(17)에의 회수열량에 관여시키고, 증기부하의 변동에 기인하는 증기압의 상승 강하에 대한 억제제어의 응답성을 향상시키는 제어회로(B), 보일러 드럼(17)의 증기압을 입력계(20b)로 검출하여 열 회수공기속도를 증기압에 의존하여 제어하는 동시에, 가연물을 보일러(A, C)로 공급하는 가연물 공급장치(12, 13, 14)를 제어한다.

Description

유동상 보일러에 있어서의 연소 제어장치
제1도는 종래의 유동상보일러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제2a도, 제2b도, 제3a도, 제3b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의 연소 제어장치의 제어대상인 보일러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a도 및 제2b도는 그 구성을 나타낸 종단면도.
제3a도는 연소공기의 공기속도(횡축)와 유동매체의 회입량(종축)과의 대응관계를 예시하는 그래프.
제4도는 열회수 공기속도와 이동층중의 열회수관에서의 전열개수α(종축)과의 대응관계를 예시하는 그래프.
제5a도, 제5b도 및 제6도는 본 발명의 연소제어장치의 제1의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제5a도 및 제5b도는 각각 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6도는 온도 목표치 제어수단으로서의 신호반전기(32)의 입출력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제7a도, 제7b도, 제8도 및 제9도는 본 발명의 연소제어장치의 제2의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서, 제7a도 및 제7b도는 각각 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8도는 가연물 공급량 증기부하의 의존 제어수단으로서의 연산기(35)의 입출력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
제9도는 가연물 공급량 제어수단(31) 평형시에 있어서의 증기유량(종축)과 그 발생에 필요한 가연물 공급량 나아가서는 그 연산기(35)로부터의 연산출력 신호(YO)(횡축)와의 대응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제10a도 및 제10b도는 본 발명의 연소제어장치의 제3의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일러벽 2 : 간막이판
3 : 연소구획실 3a : 온도센서
4 : 열회수구획실 5 : 송기관
5a, 8a : 송기구멍 6 : 공기실
7 : 연소공기관 7a, 9a : 제어밸브
7b, 9b, 20a : 유량계 8 : 산기관
9 : 열회수공기관 10 : 열회수관
11 : 순환펌프 12 : 전동기
13 : 이송기 14 : 가연물공급수단
16 : 수열수관 17 : 보일러드럼
17a : 기수(汽水)드럼 17b : 대류관
17c : 물드럼 17d : 기수분리기
19 : 급수관 20 : 증기관
20b : 압력계 22 : 연소개소 배기구
본 발명은 도시 쓰레기, 산업폐기물 혹은 석찬 등의 가연물(可燃物)을 소위 유동상(流動床)중에서 연소시켜 그로부터 보일러드럼이 수열을 하는 보일러 시스템으로서, 유동상의 일구획분으로부터 보일러 드럼에의 회수열량을 제어가능하게 한 것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보일러 드럼 증기압을 보일러드럼에의 회수열량의 제어에 관여시키므로서, 증기부하의 변동에 기인하는 증기압의 상승강하에 대한 억제제어의 응답성을 향상시키도록한 연소제어장치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유동상 보일러자체는 공지 공용의 것이나, 근년 유동매체를 2분할하여 한쪽을 연소 구획실내에 수용하고, 다른쪽을 연소구획실로부터 순환 가능하게 열회수구획실내에 수용하여 기기에 배설된 수관 등의 열회수수단으로부터 열을 보일러드럼에 회수하고, 그 회수열량을 제어 가능하게한 보일러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러한 열회수 구획실내의 유동매체로부터의 회수열량의 제어원리에 관해서는 수관(水管)등의 열회수수단과, 열회수구획실내의 유동층의 유동매체와의 점촉면적을 변화시켜 그곳에서의 전달열량을 제어하는 것(소위 슬럼핑 베드 방식) 또는, 열회수 구획샐내의 유동매체의 층상태를 변화시켜, 유동매체와 열회수 수단간에서의 열전달율을 제어하는 것이 알려져 있고, 후자의 것중에는 열회수 구획실내의 유동매체의 층상태를 열전달율이 극히 높은 유동층상태와 열전달율이 극히 낮은 고정층 상태와의 사이에서 이행시켜 열회수의 단속제어를 행하는 것(일본국 특개소 58-183937호, usp 3.970.011호 usp 4.363.292호)과 유동층상태의 영역과 고정층 상태의 영역의 경계를 연속적으로 변화시켜 열회수의 무단(無段)제어를 행하는 것(일본국 특개소 59-1990호)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근래, 열회수 구획실내의 유동매체에 대하여 비교적 작은 공기속도(질량속도로 0Gmf∼2Gmf)로 급기(給氣)를 실시하여 이것을 공기속도에 대하여 그 열전달율이 대략 직선적으로 변화하는 특이한 층상태인 이동층으로 유지하고 여기서의 열전달율을 대략 직선적으로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므로서 열회수의 무단 제어를 가능하게 한 것(일본구 특원소 62-9057호)이 본원 출원인 자신에 의하여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열회수 구획실로부터 보일러드럼에의 회수열량의 제어는 특히 연소구획실에서의 유동상의 온도를 적절한 범위내에 유지하는데 유효하고 결과적으로 이하의 이점을 얻을 수가 있기 때문에 유망시되고 있는 것이다.
(1) 유동상 온도를 800℃∼850℃로 유지하여 연소효율을 양호하게 한다(석탄연소의 경우).
(2) 유동상온도를 850℃를 초과하는 상승을 회피하여 유동상 매체의 소결을 방지한다(도시 쓰레기 연소의 경우).
(3) 석탄연료의 경우, 백운석(dolowite), 석회암(limestone) 등에 의한 유황흡수작용에 적합한 유동상 온도 800℃∼850℃를 확보하여 탈왕처리를 효과적으로 행한다.
(4) 유동상 온도가 700℃이하를 하회하는 강아를 회피하여 일산화탄소의 발생을 방지한다(석탄연소의 경우).
(5) 수관 등의 열회수 수단자체의 부식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이점을 얻기 위하여 열회수 구획실로부터의 회수열량을 제어하는 장치의 일예로서 잉그스트롬(Engstrom) 등의 것 (usp 4.363.292호)이 알려져 있다. 즉, 이 장치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회수 구획실의 유동매체를 구성하는 제2의 유동화 대역(100)에 대하여 열회수 급기수단으로서의 제2의 박스(101)의 구멍(102)을 경유하여 급기되는 열회수 급기량이 그 박스(101)에 연통하는 도관(103)중에 설치된 제어밸브(104)를 노내의 온도센서(105)로부터의 온도신호에 응답하는 온도제어기(TC)에 의하여 개폐하므로서 제2의 유동화 대역(100)중의 열회수 수단으로서의 관(106)으로부터의 회수열량을 노내온도, 주로 제1의 유동화대역(107)의 유동상의 온도에만 의존하여 제어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을 채용한 유동상 보일러에 있어서는 증기부하의 변동에 기인하는 보일러드럼의 증기압의 상승강하를 신속하게 제어하는 일이 곤란하였다. 즉 이 종류의 유동상 보일러에 있어서는 보일러드럼의 증기압의 상승 효과를 억제하기 위하여 증기압력의 변화를 검출하여 연료 구획실내의 유동상(예를 들면 제1의 유동화 대역(107)의 유동상)에의 가연물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것이 일반적이고, 그 자체를 공지이나, 지금 가령 증기압의 강하를 검출하여 가연물의 공급량을 증가시켰다해도 연소구획실의 유동상의 열적 관성이 극히 크기 때문에 유동상의 온도는 즉시 상승하지 않고 서서히 상승되어 간다. 따라서 이와 같이 서서히 밖에 상승되지 않는 유동상온도에만 의존하여 열회수 구획실내의 유동매체에 대한 열회수 급기량을 제어하여 그 증대를 도모에 보아도 열회수 구획실내의 유동매체(예를 들면 제2의 유동화대역의 분류층)으로부터의 회수열량을 급격하게 증대시킬 수는 없으므로 이 회수열량의 보일러드럼에의 환원에 의해서는 증기부하의 변동에 기인하는 보일러드럼의 증기압의 상승강하를 신속하게 제어할 수가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에서의 증기부하변동에 기인하는 증기압변동의 제어에 신속성이 결여된다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일반적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증기부하 변동에 즉응하는 증기압의 변화에 응답하여 보일러 드럼에의 회수열량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증기부하의 변동에 기인하는 보일러드럼에서의 증기압의 상승강하를 신속하게 제어할 수가 있는 유동상 보일러용 연소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가연물 공급량을 증기압에 의존하여 제어하는 동작과 열회수 구획실로부터의 회수열량을 연소구획실의 온도에 의존하여 제어하는 동작을 연동시켜 증기부하 변동시에 있어서의 증기압 제어동작의 응답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킨 유동상 보일러용 연소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경상적인 증기부하의 증감시에 있어서도 증기부하의 증감양방향의 외란에 의한 증기압의 상승강하에 대한 제어동작의 응답성을 손상하지 않는 유동상보일러용 연소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경상적인 증기부하 과대시에 있어서도 열회수실로부터 보일러드럼에의 회수열량이 부족되는 일이 없고, 증기부하의 증대방향의 외관에 의한 증기압의 강하에 대한 제어동작의 응답성을 손상하지 않는 유동상 보일러용 연소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열회수 구획실에의 급기량을 증기압 의존으로 변화시켜 열회수 구획실로부터 보일러드럼에의 회수열량을 증기압의존으로 제어하는 열회수급기 증기압의존 제어수단이 설치된다. 즉 전형적으로는 보일러드럼의 증기압 의존으로 연소구획실에의 가연물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가연물 공급량 제어수단에서의 제어동작과 연소구획실의 온도 의존으로 열회수 구획실에의 급기량을 변화시켜 열회수 구획실로부터 보일러드럼에의 회수열량을 제어하는 열회수급기 제어수단에서의 제어동작과를 연동시키도록 열회수 급기 제어수단에 의한 연소구획실내유동상 온도의 제어동작에서의 온도목표치를 증기압 의존으로 제어하는 온도목표치 제어수단을 설치한다. 이에 의하여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고 증기압 변동에 즉응하여 열회수구획실로부터 보일러드럼에의 회수열량을 순시적으로 변화시키고, 그러므로서 증기압변동의 억제를 신속하게 행할 수 있도록한 유동상 보일러에 있어서의 연소 제어장치가 제공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열회수 구획실로부터 보일러드럼에의 회수열량을 증기압의존으로 제어하기 위한 열회수 급기 증기압의존 제어수단을 부설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연소구획실의 온도와 같이 열적관성에 따라 서서히 변화하는 요소가 아니고, 증기부하 변동에 즉응하는 증기압의 변화에 응답하여 보일러드럼에의 회수열량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증기부하의 변동에 기인하는 보일러드럼에서의 증기압의 상승강하를 신속하게 제어할 수가 있다는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상기 열회수 급기증기압의존 제어수단은 증기압을 나타내는 증기압신호를 출력하는 증기압 검출수단과, 연소구획실내의 온도를 검출하여 그 온도를 나타내는 온도신호를 출력하는 온도검출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증기압 신호에 응답하여 가연물 공급량이 제어되고, 또 상기 온도신호에 응답하여 연소실내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 목표치에 일치하도록 열회수공기속도가 제어된다. 가연물 공급량을 제어하는 수단에 의한 연소구획실에의 가연물 공급량의 증기압의존에서의 제어동작과 열회수급기를 제어하는 수단에 의한 열회수 구획실로부터 보일러드럼에의 회수열량의 연소구획실온도의존에서의 제어동작과는 가연물 공급량 제어수단으로서의 압력 조절계로부터의 조작출력신호를 열회수 급기 제어수단으로서의 온도조절계의 목표치신호에 관련시키므로서 연동시키기 위한 온도목표치제어수단을 부가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므로서 가연물 공급량제어수단에 의한 가연물공급량의 장기적인 제어동작의 진행중에 이것에 선행하여 열회수 구획실에의 열회수공기의 증기압 의존으로 단기적으로 증감이가능하므로 증기부하 변동시에서의 증기압 제어동작의 응답성이 현저하게 양상한다고 하는 뛰어난 효과가 나타난다.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에에 있어서는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여러수단에 부가하여 가연물 공급량 제어수단으로서의 압력조절계의 평형시의 조작출력신호의 공급하에서 증기유량 의존으로 정상적인 증기부하의 증감에 알맞는 가연물공급량의 계속적 증감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연산출력신호를 연산생성하고, 이것을 가연물 공급수단에 출력하는 가연물 공급량 증기부하 의존 제어수단을 다시 부설하는 구성으로 하므로서 증기부하, 즉 가연물 공급량에 관계없이 정상상태에서는 항상 가연물 공급량 제어수단으로서의 압력 조절계를 평형시켜 그 조작 출련신호 50%치에 머물게하므로서 그 조작출력신호에 응답하는 열회수급기 제어수단에서의 열회수 공기의 급기량(공기속도)를 중앙치 50%부근에 대기시켜 그 급기량의 변화범위 나아가서는 열회수 구획실로부터 보일러드럼에의 회수가능열량을 증감균등하게 최대와 알 수 있으므로 경상적인 증기부하증감시에 있어서도, 증기부하의 증감 양방향의 외관에 의한 증기압의 상승강하에 대한 제어 동작의 응답성이 조금도 손상되지 않는다는 뛰어난 효과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수단에 부가하여 증기부하의 증기부하의 증대시에 그것에 대응시켜 계속적으로 증대한 조작출력신호의 공급을 가연물 공급량 증기부하 의존제어 수단으로부터 받아, 연소구획실에의 연소공기의 공급량(공기속도)를 증대시키는 연소급기 제어수단을 다시 부설하는 구성으로 하므로서 증기부하의 경상적 증대시에는 열회수 구획실에서의 유동매체의 순환량을 증대시켜 그곳에서의 축열량을 증대시키므로서 충분한 회수열량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경상적인 증기부하 과대시에 있어서도, 열회수구획실로부터 보일러 드럼에의 회수열량이 부족되는 일이 없고 증기부하의 증대방향의 외관에 의한 증기압의 강하에 대한 제어동작의 응답성이 조금도 손상되지 않는다는 뛰어난 효과도 나타낸다. 제2a도 및 제2b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소제어장치의 제어대상인 보일러의 다른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2a도에 있어서 보일러 (A)는, 그 전체가 보일러벽(1)으로 둘러싸여져 있고, 한쌍의 간막이판(2, 2)에 의하여 두 간막이판의 사이에 연소구획실(3)이 간막이판(2, 2)과 노벽과의 사이에 열회수 구획실(4, 4)이 각각 구획형성되어 있다. 연소구획실(3)저부에는 다수의 송기구멍(5a)을 가지는 송기판(5)으로 상면이 덮여져 공기실(6)이 설치되어 있다. 공기실(6)은 복수로 구획해도 좋다. 공기실(6)에는 연소공기원으로부터의 연소공기관(7)이 연결되어 있고, 그 공기실(6)상방에는 온도 검출수단으로서의 온도센서(3a)가 지지되어 있다. 이들 송기판(5), 송기구멍(5a), 공기실(6)은 연소급기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연소 공기관(7)중에는 제어밸브(7a)와 유량계(7b)가 공기원에 향하여 그 순서로 직렬로 삽입되어 있다. 한편 열회수 구획실(4)저부에는 다수의 송기구멍(8a)을 가지는 산기판(8)(열회수급기수단)으로 그 상면이 덮여진 공기실(6a)이 설치되어 있고 거기에는 열회수공기원으로부터의 열회수 공기관(9)이 연결되어 있다. 열회수 공기관(9)중에는 제어밸브(9a)와 유량(9b)가 열회수 공기원에 향하여 그 순서로 직렬로 삽입되어 있다. 다시 열회수 구획실(4)내의 산기판(8)상방에는 열회수 수단으로서의 열회수관(10)이 두루감겨져 있고 그 열회수관(10)의 일단은 직접적으로 그리고 그 타단은 순환펌프(11)를 경유하여 각 후술하는 보일러드럼(17)에 연결되어 있다. 연소구획실(3) 및 열회수구획실(4)은 모두 석영입자(입경 약 1㎜) 등의 유동매체로 가득채워져 있고, 연소 구획실(3)내의 상기 유동매체는 각 간막이판(2)의 상단을 넘어 열회수 구획실(4)내의 유동매체로 돌아들어가고 열회수 구획실(4)의 유동매체는 각 간막이판(2)아래쪽으로부터 연소구획실(3)내로 되돌아가며 이와같이 유동매체는 순환가능하다. 연소구획실(3)에 위치시켜 설치된 개구(도시생략)에는 전동기(12)로 구동되는 스크류형 이송기(13)(제5도 참조)를 삽입설치한 가연물 공급수단(14)이 배설되어 있다. 한편 보일러(A)상방의 보일러벽(1)에는 그 일부에 연도개구(16a)를 가지는 수열수관(16)에 둘러싸여 보일러드럼(17)이 연소구획실(3)로부터 수열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 보일러드럼(17)은 상방의 기수드럼(17a)과 이것에 다수의 대류관(17b)으로 연결된 아래쪽의 물드럼(17c)을 구비하고 있다. 기수드럼(17a)에는 수원으로부터의 급수관(19)이 연장되어 있고 나서 기수드럼(17a)로부터는 그 드럼(17a)내의 기수분리기(17d)를 경유하여 증기관(20)이 증기부하(21)에 연결되어 있다. 이 증기관 도중에는 증기유량 검출수단으로서의 유량계(20a)와 증기압 검출수단으로서의 압력계(20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참조번호 22는 보일러드럼(17)근방의 보일러벽(1)에 천설된 연소 가스 배기구이다. 한편 제어대상인 보일러(A)의 근방에는 별도로 제어장치(B)가 배설되어 있고, 이 제어장치(B)에는 온도센서(3a), 유량계(7b, 9b, 20a) 및 압력(20b)로부터의 출력신호가 신호선을 거쳐 개별적으로 공급되고, 그 제어장치(B)로부터는 제어밸브(7a, 9a) 및 가연물 공급수단(14)에 대하여 출력신호가 신호선을 가져 각각 인가된다. 제2b도는 본 발명의 연소제어장치의 제어대상인 보일러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보일러(C)는 그 전체가 보일러벽(1)으로 둘러쌓여져 있고 그 저부에는 아래쪽으로 넓어지게 경사시켜 대향배치되고, 그 상단면(2a)이 수직상방으로 절곡된 한쌍의 반사간막이판(2b, 2b)에 의하여 그 간막이판의 경사면 아래쪽의 저부중앙에 연소구획실(3)이 그리고 그 경사면 장방의 저부외주에 열회수구획실(4, 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연소구획실(3)저부에는 다수의 송기구멍(5a)을 가지고 저부중앙에 향하여 차차 올라간 송기판(5)으로 상면이 덮여진 복수로 구획 형성된 공기실(6)이 설치되어 있다. 공기실(6)에는 연소공기원으로부터의 연소공기관(7)이 연결되어 있고, 그 공기실(6)상방에는 온도검출 수단으로서의 온도센서(3a)가 지지되어 있다. 이들 송기판(5), 송기구멍(5a), 공기실(6)은 연소급기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연소공기관(7)중에는 제어밸브(7a)와 유량계(7b)가 연소공기원을 향하여 직렬로 삽입되어 있다. 한편 열회수 구획실(4)내에는 반사간막이판(2b)의 경사 상면에 따르도록 원통상의 상기관(8b)이 열회수 급기수단으로서 복수열로 연장되어 있다(제2b도 중에는 그 1열만이 표시되어 있다). 그 산기관(8b)의 반사 간막이판(2b)에 대향하는 면에는 다수의 산기구멍(8a')이 전설되어 있고, 그 산기관(8b)의 하단에는 열회수 공기원으로부터의 열회수공기관(9)에 연결되어 있다. 열회수공기관(9)중에는 제어밸브(9a)와 유량계(9b)가 열회수공기원을 향하여 그 순서로 직렬로 삽입되어 있다. 또한 열회수 구획실(4)내의 산기관(8b) 상방에는 열회수 수단으로서의 열회수관(10)이 권회되어 있고, 그 열회수관(10)의 일단은 직접적으로 그리고 그 타단은 순환펌프(11)를 경유하여 각각 후술하는 보일러드럼(17)에 연결되어 있다. 연소구획실(3) 및 열회수구획실(4)은 모두 석영입자(입경 1㎜) 등의 유동매체로 가득채워져 있다. 연소구획실(3)내의 유동매체는 각 반사간막이판(2b) 상단을 넘어 열회수 구획실(4)내에 돌아들어가고 열회수구획실(4)내의 유동매체는 각 반사 간막이판(2b) 아래쪽으로 부터 연소구획실(3)내로 되돌아가서 유동매체는 순환이 가능하다. 연소구획실(3)에 위치시켜 설치된 개구(도시생략)에는 전동기(12)로 구동되는 스크류형 이송기(13) (제5a도 참조)를 조립하여 이루어진 가연물 공급수단(14)이 배설되어 있다. 한편 보일러(C)상방의 보일러벽(1)에는 그 일부에 연도개구(16a)를 가지는 수열수관(16)에 둘러싸여 보일러드럼(17)이 연소구획실(3)로부터 수열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 보일러드럼(17)은 상방의 기수드럼(17a)과 이것에 다수의 대류관(17b)으로 연결된 아래쪽의 물드럼(17c)을 구비하고 있다. 기수드럼(17a)에는 수원으로부터의 급수관(19)이 연결되어 있고, 또 기수드럼(17a)으로부터는 그 드럼(17a)내의 기수분리기(17d)를 경유하여 증기관(20)이 증기부하(21)에 연결되어 있고, 그 증기관중에는 증기유량검출수단으로서의 유량계(20a)와 증기압 검출수단으로서의 압력계(20b)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참조번호 21는 보일러드럼(17)근방의 보일러벽(1)에 천설된 연소가스 배기구이다. 한편 제어대상인 보일러(C)의 근방에는 별개로 제어장치(B)가 배설되어 있다. 이 제어장치(B)에는 온도센서(3a), 유량계(7b, 9b, 20b) alc 압력계(20b)로부터의 출력신호가 신호선을 거쳐 각각 공급되고 그 제어장치(B)로부터는 제어밸브(7a, 9a) 및 가연물 공급수단(14)에 대하여 출력신호가 신호선을 거쳐 인가된다. 여기서 제2a도 및 제2b도 도시된 본 발명에 의한 연소제어장치의 제어대상의 보일러(A, C)의 동작의 개요를 설명한다. 연소구획실(3)내의 유동매체는 연소공기관(7)을 거쳐 공기실(6)내로 송입되어 송기판(5)의 송기관(5a)으로부터 연소구획실(3) 상방으로 향하여 분출되는 곳의 충분한 공기속도(질량속도 약 2Gmf 이상)의 연소공기로 불어올려져 유동층을 형성하여 유동상이 된다. 연소구획실(3)내의 유동상의 일부는 그 유동상의 파도치는 표면으로부터 비산하여 간막이판(2)의 상단연(2a)을 날아 넘어간 분량이 열회수구획실(4)내로 돌아들어가고 그에 대응한 분량의 유동매체가 그 구획실(4)로부터 연소구획실(3)로 되돌아가 순환하게 되나 이 때 연소 구획실(3)로부터 열회수구획실(4)에의 유동매체의 되돌아 들어가는 량(외입량)은 연소공기의 공기속도(질량속도)의존으로 제어가능하다. 즉, 제3a도는 연소공기의 공기속도(질량속도)와 유동매체의 외입량(이하 외입량이라함)과의 대응관계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고, 이에 의하면 가속도를 4Gmf∼8Gmf의 범위에서 변화시키면 그 외압량비를 약 0.1∼1의 범위에서 10배 값으로 제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시, 제3b도는 열회수공기의 공기속도(질량속도)와 열회수 구획실(4) 내에서의 후술하는 이동층의 유동매체의 침강속도, 즉 그 열회수 구획실(4)로부터 연소구획실(3)에의 유동매체의 복귀량과의 대응관계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의하면 유동매체의 복귀량으로 파악되어야 할 유동매체 순환량은 연소공기 속도 의존으로 변화하는 유동매체의 외입량(동 도면중의 파라미터)별로 단소증가하는 구역별의 대응관계(동작속선)으로 표시된다. 외입량이 특정되면 그것에 대응하는 하나의 동작속선에 따라 관련지어져 횡축상의 열회수 공기속도의 0∼1Gmf의 범위내의 변화에 대응하여 대략 비례적으로 증감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유동매체 순환량은 연소공기의 공기속도가 고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열회수공기의 공기속도 의존으로 제어가능하고, 연소공기의 공기속도가 고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열회수공기와 연소공기의 쌍방의 공기속도 의존으로 제어가능하다. 연소구획실(3)내의 유통상 위에는 가연물 공급수단(14)으로부터 석탄 등의 연료 또는 도시쓰레기 등의 폐기물이 투입되고 있어 여기서 연소되어 유동상을 약 800℃∼900℃정도의 고온으로 유지한다. 그 결과 그곳으로부터의 열을 보일러드럼(17)이 수열하여 급수관(19)을 거쳐 그 드럼(17)에 공급된 물을 기수드럼(17a)에서 증기로 변환하고 이것을 기수분리기(17d)에서 물을 제거한 후, 증기관(20)을 거쳐 증기부하(21)에 공급한다. 이러한 보일러드럼의 동작자체는 주지이다. 한편 열회수 구획실(4)내의 유동매체는 그 구획실(4)내에 산기판(8)의 산기구멍(8a)으로부터 분출하는 상대적으로 작은 공기속도의 열회수공기에 응동하여 고정적으로 정연하게 아래쪽으로 이동하여 서서히 침강하는 이동층을 형성한다. 이것이 열회수관(10)과 접촉하여 열교환에 의하여 그 이동층중의 열을 그 관(10)내의 물에 빼앗기고 그 결과로서 승온된 그 관(10)중의 물을 순환펌프(11)에 의하여 기수드럼(17a)에 압송한다. 이에 의하여 열회수구획실(4)내의 유동매체의 열, 나아가서는 연소구획실(3)내의 유동상의 열을 보일러드럼(17)에 회수하게 되나 여기서의 회수열량은 산기판(8)으로부터 회수 구획실(4)내에 분출하는 열회수공기의 공기속도(질량속도)의존으로 제어가능하다. 즉 제4도는 열회수공기의 공기속도(질량속도)와 이동층중의 열회수관(10)에서의 전열계수(α)와의 대응관계의 일예를 실선으로 나타낸 것이고, 이에 의하면 열회수 공기의 공기속도를 0Gmf∼2Gmf의 범위에서 변화시키면 상대적(후술하는 유동층 및 고정층의 그것에 대하여)으로 큰 구배(이득)로 대략 직선적으로 전열개수(α)를 제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면중 점선은 1Gmf 이하의 공기속도에서 통상적으로 실현되는 고정층에서의 전열개수와 2Gmf이상의 공기속도에서 통상적으로 실현되는 유동층에서의 전열개수의 공기 속도의존변화의 일예를 참고로하여 이동층에서의 그것(실선)과 대비하여 나타낸 것이고, 이에 의하면 고정층 혹은 유동층에서는 전열개수의 공기속도 의존변화가 극히 경미(구배가 극히 완만)하고 그리고 고정층, 유동층간의 천이 영역에서는 전열개수의 공기속도의존변화가 극단적으로 커지므로 그 천이영역에 해당하는 공기 속도의 범위가 너무나도 협소하기 때문에 이들 고정층, 유동층내지는 천이 영역에서의 전열개수의 제어는 실용상 유망하지 않다는 것도 알 수 있다. 제2b도에 도시된 보일러(C)의동작은 상기한 보일러(A)의 동작과 동일하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관한 연소제어장치(B)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 참조부호, 참조숫자는 동일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제5a도 및 제5b도는 본 발명의 연소제어장치의 제1의 실시예를 보일러(A, C)에 적용한 것이다. 증기관(20)중의 압력계(20b)의 출력단자는 가연물 공급량 제어수단으로서의 아력조절계(31)의 입력신호(PV01)단자에 접속되고, 그 조절계(31)의 압력 목표치신호(SV01) 단자는 압력목표치 신호원에 접속된다. 다시 상기 조절계(31)의 조작출력신호(MV01)단자는 온도목표치 제어수단으로서의 신호반전기(32)의 입력단자에 접속됨과 동시에 도중에서 분기되어 가연물공급수단(14)의 전동기(12)에 접속된다. 신호반전기(32)의 출력단자는 온도조절계(33)의 온도목표치신호(SV02)단자에 접속되고, 그 조절계(33)의 입력신호(PV02)단자에는 연소구획실(3)중의 온도검출수단으로서의 온도센서(3a)가 접속되어 있다. 다시 상기 조절계(33)의 조작출력신호(MV02)단자는 유량조절계(34)의 유량목표치신호(SV03)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유량조절계(34)의 조작출력신호(MV03)단자는 열회수공기관(9)중의 제어밸브(9a)의 제어단자에 접속되고, 다시 그 조절계(34)의 입력신호(PV03)단자는 그 공기관(9)중의 유량계(9b)의 출력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이들 온도조절계(33), 유량조절계(34) 및 공기관(9)중의 제어밸브(9a), 유량계(9b)는 열회수급계 제어수단을 구성하고, 다시 상기한 가연물 공급량 제어수단(31), 온도목표치 제어수단(32)은 열회수급기 증기압의존 제어수단을 구성한다. 다음에 제5a도 및 제5b도의 연소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증기부하가 증대하면 증기관(20)중의 압력계(20b)에서 검출되는 증기압이 저하하고 압력조절계(31)에의 입력신호(PV01)가 저하한다. 그러면 일정치에 설정되어 있는 압력목표치신호(SV01)에 대하여 입력신호(PV01)의 폭이 작아지므로 압력조절계(31)의 조작출력신호(MV01)는 증대하는 경향을 띠어 가연물 공급수단(14)에서의 전동기(12)의 속도를 증가시킨다. 이에 의하여 스크류형 이송기(13)를 증속시키고, 여기서의 가연물 공급량을 증대시켜 연소구획실(3)에서의 연소를 더욱 왕성하게 한다. 이와 같이 장기적으로는 연소구획실(3)내의 유동상의 온도가 상승하고, 그 결과 보일러드럼(17)에서의 연소구획실(3)로부터의 수열량이 증대하고 그 드럼(17)내의 증기압이 서서히 상승복귀하게 된다. 그동안, 단기적으로는 선호반전기(32)가 압력조절계(31)로부터의 조작출력신호(MV01)에 응답하여 그 출력신호를 온도조절계(33)의 온도 목표치신호(SV02)로서 조절계(33)에 공급하여 그 온도목표치를 변경한다. 즉, 신호반전기(32)는 예를 들면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입출력특성을 가지고 있어 압력조절계(31)로부터의 0%∼100%의 범위에서 변화하는 조작 출력신호(MV01)를 입력신호로 받아 800℃∼850℃에 대응하는 온도목표치신호(SV02)를 출력하고 이것을 온도조절계(33)에 공급하는 것이다. 상기의 동작예에서는 조작출력신호(MV01)이 증대하는 경향을 타고 있으므로 신호반전기(32)의 동작점은 제6도중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여 온도조절계(33)의 온도목표치신호(SV02)를 더욱 낮은 값으로 향하게 변경한다. 여기서 조작출력신호(MV01)의 0%∼100%의 변화범위에 대응하는 목표치신호(SV02)의 변화범위를 800℃∼850℃로 선정하고 있는 것은 유동상을이 온도범위내에서 작동시키는 것이 연소요율, 유동상의 연결방지, 탈황효율(석탄연소의 경우) 및 일산화탄소 발생방지(석탄연소의 경우) 등의 재관점에서 보아 적합하기 때문이다. 온도조절계(33)에서의 온도목표치신호(SV02)가 저하하면 온도조절계(33)에서는 온도목표치신호(SV02), 온도센서(3a)로부터의 입력신호(PV02)가 불일치가 되므로 이 온도조절계(33)는 이것을 일치시키도록 작동하여 그 조작출력신호(MV02)을 증대시킨다. 그러면 이 조작출력신호(MV02)를 유량목표치신호(SV03)로서 받는 유량조절계(34)에서는 더 큰 유량목표치가 설정된 것이 되므로 그 목표치에 대하여 유량계(9b)로부터의 입력신호(PV03)를 일치시키도록 조작출력신호(MV03)가 증대되어 제어밸브(9a)의 개방도를 증대시킨다. 이리하여 열회수 공기관(9)을 거쳐 산기판(8)에 보내지고 그곳으로부터 열회수 구획실(4)내에 분출하는 열회수공기의 공기속도가 증대한다. 그 결과 이미 설명한 제4도의 그래프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열회수 공기의 공기속도의 증대경향에 따라 열회수 구획실(4) 내에서의 이동층의 진열개수도 증대경향을 나타내므로 열회수관(10)을 경유하는 열회수실(4)로부터의 보일러드럼(17)에의 회수열량이 증대한다. 이러한 열회수 공기 속도 의존의 회수열량의 증가는 열회수구획실(4)내의 이동층에 축적되어 있는 열을 순시적으로 열회수관(10)에 방출하는 형태로 이미 설명한 가연물 공급량 의존의 증기압의 장기적인 상승복귀에 선행하여 단기적인 증기압의 상승복귀를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증기압이 상승 복귀하면 압력계(20b)로부터 압력조절계(31)에의 압력신호(PV01)도 증대경향을 나타낸다. 입력신호(PV01)이 미리 설정된 압력목표치신호(SV01)에 일치할 때까지 증대복귀한 시점에서 압력조절계(31)가 평형이되므로 압력조절계(31)의 조작출력신호(MV01)이 중앙치(50%)에 안정된다. 이에 따라 가연물 공급수단(14)에서의 가연물 공급량도 중앙치(50%)로 복귀하나 그 때 이와 연동하여 열회수구획실(4)중의 산기판(8)에서의 열회수 공기속도도 중앙치(50%)부근으로 복귀한다. 이상의 동작은 증기압 저하의 외관에 대한 시스템의 반응인 것이나 증기압 상승의 외관에 대해서는 동등한 역의 동작으로 반응한다. 이상 요컨데 본 발명에 관한 연소제어장치는 유동매체로 충만되고, 또 가연물을 연소시키는 연소구획실(3)과 이것에 인접하여 연소구획실(3)중의 유동매체가 순환가능하게 구획형성된 열회수구획실(4)을 가지고, 거기에 설치된 열회수 급기수단(6a, 8, 8a, 8b)로부터 그 구획실(4)내에 급기되는 열회수공기의 급기량에 따라 거기에 설치된 열회수수단(10, 11)을 경유하여 그 구획실(4)내의 유동매체중의 열을 보일러드럼(17)에 회수 가능한 유동상보일러에 적용되고, 열회수급기 증기압 의존 제어수단(31, 32, 33, 34, 9, 9a, 9b)이 증기압 검출수단으로서의 압력계(20b)로부터의 증기압신호(PV01)에 응답하여 증기압 의존으로 열회수 구획실(4)에의 급기량(공기속도를 제어한다. 이에 의하여 열회수구획실(4)로부터 보일러드럼(17)에의 회수열량은 증기압 의존으로 제어된다. 전형적으로는 가연물 공급량 제어수단으로서의 압력조절계(31)가 증기압 검출수단으로서의 압력계(20b)로부터의 증기압신호(PV01)를 압력 목표치신호(SV01)에 대하여 평형시키도록 조작출력신호(MV01)를 가연물 공급수단(14) 공급하여 증기압 의존으로 가연물 공급량을 제어한다. 한편 열회수 급기 제어수단(33, 34, 9a, 9b)으로서의 온도조절계(33)가 온도검출수단(3a)으로부터의 온도신호(PV02)를 온도목표치신호(SV02)에 대하여 평형시키도록 조작출력신호(MV02)를 유량조절계(34)에 목표치신호(SV03)로서 공급한다. 여기서 이 유량조절계(34)는 유량계(9b)로부터의 유량(공기)신호(PV03)를 목표치신호(SV03)에 대하여 평형시키도록 조작출력신호(MV03)를 제어밸브(9a)에 공급하여 열회수구획실(4)에의 급기량(공기속도)을 변화시켜, 온도의존으로 열회수구획실(4)로부터 보일러드럼(17)에의 회수열량을 제어한다. 이상의 두가지의 제어동작은 온도목표치 제어수단으로서의 신호반전기(32)에서 압력조절계(31)로부터의 조작출력신호(MV01)를 온도조절계(33)의 목표치신호(SV02)에 관련시키므로서 연동된다. 이에 의하여 가연물 공급제어수단으로의 압력조절계(31)에 의하여 부하변동에 따른 증기압의 상승강하에 대응하는 가연물공급량을 계속적으로 확보하는 장기적인 제어동작의 도중에 단기적으로 열회수 구획실(4)에의 열회수공기의 급기량(공기속도)을 증기압 의존으로 증감시키므로 그 구획실(4)내의 유동매체에 축적된 열을 순서적으로 방출하는 형태로 보일러드럼(17)에 회수하고, 또는 그 유동매체에 순시적으로 축열하는 형태로 보일러드럼(17)에의 열의 공급을 억제하고, 이로서 증기부하 변동시의 증기압제어 동작을 신속하게 행하게 된다. 단, 제5a도 및 제5b도에 나타낸 연소제어장치에 있어서는 가연물 공급량이 증기압력에만 의존하여 제어되고 있으므로 장기적인 증기부하의 증감, 나아가사서는 장기적인 증기압의 증감에 대하여 가연물 공급량의 경상적 증감으로 대처해야할 경우에는 압력조절계(31)에서의 증기압 제어를 비평형으로하여 가연물공급수단(14)에서의 가연물공급량을 경상적으로 증감하게 된다. 그 결과 온도조절계(33)와 유량조절계(34)의 협동에 의한 열회수 공기속도의존의 증가압 제어에 관해서는 열회수 공기 속도를 중앙치(50%)부근에 머물게하여 외란에 대비할 수가 없게되어 열회수 구획실(4)로부터 보일러드럼(17)의 회수열량의 증감가능량을 증감 균일하게 최대화하는 것이 곤란하다는 점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제7a도 및 제7b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소제어장치의 제2의 실시예를 제2a도의 보일러(A) 및 제2b도의 보일러(C)에 적용한 경우의 구성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제7b도에 있어서, 증기관(20)중의 유량계(20a)의 출력단자가 가연물 공급량 부가의존 제어수단으로서의 연산기(35)의 하나의 입력단자에 접속되고, 그 연산기(35)의 다른 하나의 입력단자에는 압력조절계(31)의 조작출력신호(MV01)단자가 접속된다. 이 연산기(35)의 출력단자는 가연물 공급수단(14)의 전동기(12)에 접속되어 있다. 기타의 구성은 제5a도, 제5b도에 도시된 제1의 실시예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하, 제7a도의 연소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증기부하가 증대하면 압력계(20b)에서 검출되는 증기압이 저하하여 압력조절계(31)로부터의 조작출력신호(MV01)가 증대하는 경향을 갖는다. 이것은 제1의 실시에 (제5a도, 제5b도)의 경우와 동일하다. 그러나 이 때 조작출력신호(MV01)는 제1의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직접적으로 가연물 공급수단(14)의 전동기(12)에 공급되는 것이 아니라 연산기(35)의 다른쪽의 입력단자에 공급된다. 이동안 그 연산기(35)의 안쪽의 입력단자에는 증기관(20)중의 유량계(20a)로부터의 출력신호가 증기유량의 증대경향을 나타내는 입력신호(PV04)로서 공급되고 있으므로 그 연산기(35)는 이 입력신호(PV04)와 압력조절계(31)로부터의 조작출력신호(MV01)에 의거하여 이하의 식으로 표시되는 연산출력신호(YO)를 산출하여 이것을 전동기(12)에 공급한다.
Figure kpo00001
단, a = 연산출력신호(YO)의 변화범위를 결정하는 정수 여기서, 연산출력신호(YO)가 유량계(20a) 및 압력조절계(31)로부터 인가되는 신호(PV04), (MV01)에 의하여 어떻게 결정되는 가를 제8도, 제9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8도는 연산기(35)의 다른쪽의 입력단자에 공급되고 있는 조작출력신호(MV01)와, 그 연산기로부터의 연산출력신호(YO)와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압력조절계(31)로부터의 조작출력신호(MV01)이 50%에 안정되어 있는 경상상태에서의 동작점(P1)은 실선의 특성선상에 위치하고 점(YO)에 대응하는 횡축상의 연산출력신호(YO)가 결정된다. 상기 식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이 연산출력신호(YO)는 유량계(20a)로부터 연산기(35)의 또 안쪽의 입력단자에 공급되고 있는 입력신호(PV04)에 의해서도 지배된다. 제9도는 유량(20a)에 검출되는 증기유량(PV04)과 가연물 공급량(%), 나아가서는 연산기(35)로부터 가연물 공급수단(14)에 공급되어야 할 연산출력신호(YO)와의 대응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러한 대응관계는 상기한 입력신호(PV04)에 의한 지배성으로서 연산기(35)의 입출력특성중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므로 조작출력신호(MV01)이 50%에 안정되어 있는 경상상태에서 증기유량(PV04)이 Q1이면, 동작점(Q1)이특성선상에 위치하고 이에 대응하는 횡축상의 연산출력신호(YO1)가 결정된다. 이 연산출력신호(YO1)와 제8도중 실선의 특성상의 동작점(P1)에 대응하는 연산출력신호(YO1)가 일치하게 된다. 증기부하가 증대하여 증기유량(PV04)이 Q1으로부터 Q2까지 스텝상으로 증대하면 이에 대응하여 제9도의 특성선상에서 동작점이 Q1으로부터 Q2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연산출력신호(YO)의 값이 YO1로부터 YO2까지 스텝상으로 증대하므로 이에따라 제8도중의 실선의 특성선이 도면의 우측으로 이동하여 점선의 특성이되고, 그 결과 동작점(P1)이 동작점(P2)으로 즉시 이행한다. 증기압은 증기부하의 증대에 따른 증기유량(PV04)의 증대에 대하여 적분적으로 응답하므로 그 후 증기압은 잠시적으로 저하하고 이와 함께 압력계(20b)로부터 압력조절계(31)에의 입력신호(PV01)가 저하한다. 이에 응동하여 그 압력조절계(31)에의 조작출력신호(MV01)가 점차 증가하여 제8도중의 점선의 특성선상의 동작점(P2)은 그 특성선에 따라 상승하여 예를 들면 동작점(P2)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대응하여 제8도 횡축상의 연산출력신호 YO는 YO2'까지 점차 증가한다. 그러자 이러한 연산출력신호(YO)의 점차적인 증가에 응동하여 전동기(12)가 증속되어 가연물 공급수단(14)에서의 가연물 공급량이 증가하므로 연소구획실(3)에서의 연소가 왕성해져 보일러드럼에서의 증발량이 증대한다. 이에 의하여 증기압은 서서히 상승회복되고, 장기적으로는 압력조절계(31)로부터의 조작출력신호(MV01)는 그 압력조절계(31)의 평형시의 값 50%가 되게하여 그 값에 안정된다. 그동안 조작 출력신호(MV01)의 점증에 의한 연산출력신호(YO)의 점증과 동시적으로 응답하는 점의 신호반전시(32), 온도조절계(33) 및 유량조절계(34)의 협동에 의하여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열외수 구획실(4)로부터 보일러드럼(17)에의 회수열량이 제어되므로 상기한 압력조절계(31)에서의 평형 동작이 촉진된다. 따라서 제8도중의 점선의 특성선에 따라 일단 상승한 동작점(P2')는 아래쪽으로 밀려내려와 동작점(P2)에 안정된다. 이 때의 동작점(P2)에 대응하는 연산출력신호(YO)도 제9도의 특성선상에서, 경상적으로 증대하고 있는 증기유량(Q2)에 대응하는 동작점(Q sub2)을 확보하기 위한 값(YO2)에 안정되게 된다. 그리하여 경상적인 증기부하의 증감에 대처하여 연산기(35)로부터의 연산출력신호(YO)의 값을 경상적으로 변경하므로서 가연물공급수단(14)에서의 가연물 공급량을 경상적으로 증감시켰을 경우 압력조절계(31)로 부터의 조작출력신호(MV01)를 항상 50%로 유지할 수가 있다. 이것은 제1의 실시예(제5a도, 제5b도)에 있어서는 완전히 동일하게 작동하는 신호반전기(32), 온도조절계(33) 및 유량조절계(34)의 협동에 의하여 실현되는 열회수공기 속도의존의 회수열량의 순시적인 증감에 의하여 증기압의 상승강하를 신속하게 복귀시킬때에 증기압의 정상상태에서는 항상 열회수공기속도를 그 제어범위내의 중앙치 부근에 머물게해두므로서 열회수구획실(4)로부터 보일러드럼에의 회수열량의 증감가능량을 증감균일하게 최대화 할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발명의 연소제어장치의 제2의 실시예를 제2a도의 보일러(A)에 적용한 경우를 제7도에 의거하여 설명했으나, 제2b도의 보일러(C)에 대하여 적용했을 경우도 동일하므로 제7b도에 도시된 장치의 설명은 생략한다. 요컨대 본 발명에 의한 연소제어장치의 제2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가연물공급량 증기부하의존 제어수단으로서의 연산기(35)가 증기유량 의존으로 경상적인 증기부하 증감에 알맞는 가연물 공급량의 계속적 증감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연산출력신호(YO)를 가연물 공급량 제어 수단으로서의 압력조절계(31)의 평형시의 조작출력신호(MV01)(50%)의 공급하에서 연산생성하고, 이것을 가연물 공급수단(14)에 출력한다. 이에 의하여 증기부하, 즉 가연물 공급량에 관계없이 정상상태에서 항상 압력조절계(31)를 평형시켜 그 조작출력신호(MV01)를 50%값에 머물게하고, 그 조작출력신호(MV01)에 응답하는 열회수 급기제어수단(33, 34, 9 9a, 9b)에서의 열회수 공기의 급기량(공기속도)도 중앙치 50%부근에 대기시키고 이로서 열회수공기의 급기량의 변화범위를 증감균등하게 최대화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연소제어장치의 제2의 실시에는 연소구획실(3)로 부터 열회수구획실(4)에의 유동해체의 일정량(고정적으로 설정된 연소공기속도에 의하여 결정된다)의 돌아들어감에 의하여 그 열회수구획실(4)내의 이동층의 유동매체에 축적된 열을 순간적으로 방출하여 보일러드럼(17)에 회수하는 것이나 연소구획실(3)로부터의 열회수구획실(4)에의 유동매체의 회입량을 전혀 제어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약간의 열량은 열회수 급기제어수단(33, 34, 9 9a, 9b)의 연소구획실 온도마다의 평형상태에서의 열회수 공기속도의 변동에 의하여 유리하게 증감되나 열회수 구획실(3)내의 이동층의 유동매체에 축적되는 열량을 대폭적으로는 제어할 수 없게 되어 그 결과 증기압의 증대방향이 큰 외한으로부터의 복귀시에 열회수 구획실(4)에서의 축적열량이 부족하게 되어버려 증기압의 순시적인 복귀가 곤란하게 될 염려가 있는 점에 유의하지 않으면 안된다. 제10a도 및 제10b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연소제어장치의 제3의 실시예를 제2a도의 보일러(A) 및 제2b도의 보일러(C)에 적용한 경우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 제3의 실시예가 제7a도, 제7b도의 제2의 실시예와 다른 것은 연산기(35)의 출력단자로부터 가연물 공급수단(14)의 전동기(12)에 연결되는 신호선이 도중의 분기에서 연소급기용 유량조절계(36)의 유량목표치신호(SV05)단자에도 접속되어 있는 점이다. 도시되지 않은 연소공기원으로부터 공기실(6)에 연결되어 있는 연소공기관(7)중에는 제어밸브(37) 및 유량계(33)가 공기실(6)을 향하여 그 순서로 설치되어 있고, 연소급기용 유량조절계(36)의 조작출력신호(MV05)단자는 제어밸브(37)의 제어단자에 접속되고 그 유량계(38)의 출력단자는 그 조절계(36)의 입력신호(PV05)단자에 접속된다. 이들 유량조절계(36), 연소공기관(7)중의 제어밸브(37) 및 그 관(7)중의 유량계(38)는 연소급기 제어수단을 구성한다. 상기 구성에 있어서 순시적인 증기부하 증감시에 유량계(20a)에서 검출되는 증기 유량이 증감하면 그 연산기(35)에의 입력신호(PV04)가 증감되고 이것에 응답하여 연산기(35)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8도의 특성선상에서 동작점을 순시적으로 좌하, 또는 우상으로 경사이동시켜 그 연산기(35)로부터의 연산출력신호(YO)를 순시적으로 증감시킨다. 이에 의하여 단기적인 증기압 복귀동작을 확보한다. 한편 증기부하의 경상적인 증감에 따라 압력계(20b)에서 검출되는 증기압이 경상적으로 증감하면 이에 따라 연산기(35)는 압력조절계(31)의 평형시의 안정동작점의 위치를 증기유량의존으로 변화시켜 증감된 증기부하에 적합한 경상적인 연산출력신호(YO)를 전동기(12)에 공급한다. 이에 의하여 장기적인 증기압의 제어동작을 확보할 수가 있다. 이러한 연산기(35)로부터의 출력신호(YO)가 유량목표치신호(SV05)로서 연소급기용유량조절계(36)에도 공급되고 있으므로 지금 가령, 증기부하가 증대하여 가연물 공급수단(14)에서의 가연물 공급량이 증대경향을 나타낼때에는 그 연산기(35)로부터의 출력신호인 우량목표치신호(SV05)도 증대경향을 나타내게 된다. 그러면 유량조절계(36)에서는 입력신호(PV05)와 그 목표치신호(SV05)가 불일치가 되므로 그 조절계(36)는 조작출력신호(MV05)을 증대시켜 제어밸브(37)의 개방도를 증대시킨다. 그 결과 경상적으로 증기부하가 증대하여 가연물 공급량이 경상적으로 증대하고 있는 경우에는 떼어밸브(37)의 개방도도 경상적으로 증대한 그대로가 되므로 연소공기관(7)을 경유하여 공기실(6)로부터 연소구획실(3)내에 분출하는 연소공기의 공기속도가 증대한다. 이에 의하여 앞에서 설명한 제3a도의 동작 곡선상의 동작점이 도면중 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여 연소구획실(3)로부터 열회수실(4)에의 유동매에의 회입량이 증대하므로 이미 설명한 제3b도의 동작곡선군의 파라미터(회입량)이 증대하여 동작대상의 동작곡선이 도면중 화살표방향의 것으로 이행하여 간다. 그 결과 열회수 구획실(4)로부터 연소구획실(3)에의 유동매체의 복귀량, 즉 유동매체의 순환량이 증대하여 열회수구획실(4)내의 이동층의 유동매체에 반입되어 여기에 축적된 열량도 증대하므로 그 이동층온도의 회수열량 의존의 저하가 억제되어 고온으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열회수 구획실(4)로부터 보일러드럼(17)에의 회수열량(R)은
Figure kpo00002
단, A = 열회수관(10)의 유효수열면적
α = 전열개수
ΔT = 열회수구획실(4)내의 이동층의 유동매체의 온도와 보일러드럼(17)내의 증기의 온도와의 차로 표시되므로 열회수구획실(4) 내에서의 이동층의 유동매체가 고온으로 유지되는 것은 큰 회수열량을 축적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이 증기부하의 경상적 과대시에도 충분한 회수열량을 열회수구획실(4)로부터 보일러드럼(17)에 회수하므로서 신속한 증기압 복귀동작이 확보된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소제어장치의 제3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연소급기 제어수단(7, 36, 37, 38)이 경상적인 증기부하증대시에 가연물 공급량 증기부하 의존 제어수단으로서의 연산기(35)로부터 공급되는 계속적으로 증대하는 조작출력신호(YO)에 응답하여 연소구획실(3)에의 연소공기의 급기량(공기속도)을 증대시켜 열회수구획실(4)에서의 유동매체의 순환량을 증대시켜 거기에 연소구획실(3)로부터 반입되어 축적되는 열량을 증대시킨단. 이에 의하여 경상적인 증기부하 과대시에 있어서도 열회수구획실(4)로부터 보일러드럼(17)에의 충분한 회수열량을 확보하고 따라서 회수열량의 부족에 기인하는 증기압의 상승복귀의 지연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은 보일러드럼의 증기압을 보일러드럼에의 회수열량의 제어에 관여시키므로서 증기부하의 변동에 기인하는 증기압의 상승강하에 대한 억제제어의 응답성을 향상시켰기 때문에 도시쓰레기, 산업폐기물, 혹은 석탄 등의 가연물을 연소시키는 유동상 보일러의 제어에 이용할 수가 있다.

Claims (20)

  1. 유동매체로 가득 채워지고, 그 유동 매체중에서 가연물을 연소시키는 연소구획실(3)과, 상기 연소구획실(3)에 가연물을 소정의 가연물공급량 만큼 공급하는 가연물 공급수단(14)과, 상기 연소구획실(3)에 연소공기를 급기하는 연소 급기수단(5, 5a, 6, 7)과, 상기 연소구획실(3)로부터 열을 얻는 보일러드럼(17)과, 상기 연소구획실(3)에 인접하여 그 연소구획실(3)중의 상기 유동매체가 순환 가능하게 구획형성된 열회수 구획실(4)과, 상기 열회수 구획실(4)에 소정의 공기속도(질량속도)로 열회수공기를 급기하는 열회수 급기수단(6a, 8, 8a, 8a', 8b)와, 상기 열회수 구획실(4)내에 배설되고, 이 열회수 구획실(4)내에서 순환하는 상기 유동매체의 열을 소정의 열회수공기속도(질량속도)에 따라 상기 보일러드럼(17)에 회수하는 열회수수단(10, 11)을 가지는 유동상 보일러에 있어서의 연소제어장치로서, 상기 보일러드럼(17)의 증기압을 검출하여 그 증기압을 나타내는 증기압신호(PV01)를 출력하는 증기압검출수단(20b)과, 상기 증기압신호(PV01)에 응답하여 상기 열회수 급기수단(6a, 8, 8a, 8a', 8b)에서의 열회수공기속도(질량속도)를 증기압에 의존하여 제어하는 열회수 급기 증기압 의존 제어수단(31, 32, 33, 34, 9, 9a, 9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압 검출수단이, 상기 보일러드럼(17)과 증기압부하를 연결하는 증기관(20)에 배설되어 있는 압력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회수 급기 증기압 의존 제어수단이, 상기 압력계로부터 출력되는 증기압신호(PV01)에 응답하여 상기 가연물 공급수단(14)에 대하여 가연물 공급량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출력신호(MV01)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제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구획실(3)내의 온도를 검출하여 그 온도를 나타내는 온도신호(PV02)를 출력하는 온도센서(3a)를 더 구비하고, 상기 열회수 급기 증기압 의존 제어수단이 상기 증기압신호(PV01)와 상기 온도신호(PV02)에 응답하여 상기 연소구획실(3)내의 온도가 소정의 온도목표치와 일치하도록 상기 열회수 급기수단(6a, 8, 8a, 8a', 8b)에서의 열회수 공기속도(질량속도)를 제어하는 열회수 급기 제어수단(33, 34, 9a, 9b)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제어장치.
  5. 유동매체로 가득 채워지고, 그 유동매체중에서 가연물을 연소시키는 연소구획실(3)과, 상기 연소구획실(3)에 가연물을 소정의 가연물 공급량만큼 공급하는 가연물 공급수단(14)과, 상기 연소구획실(3)에 연소공기를 급기하는 연소급기수단(5, 5a, 6, 7)과, 상기 연소구획실(3)로부터 열을 얻는 보일러드럼(17)과, 상기 연소구획실(3)에 인접하여 그 연소구획실(3)중의 상기 유동매체가 순환가능하게 구획 형성된 열회수 구획실(4)과, 상기 열회수 구획실(4)에 소정의 공기속도(질량속도)로 열회수공기를 급기하는 열회수 급기수단(6a, 8, 8a, 8a', 8b)과, 상기 열회수 구획실(4)내에 배설되어, 이 열회수 구획실(4)내를 순환하는 상기 유동매체의 열을 소정의 열회수 공기속도(질량속도)에 따라 상기 보일러드럼(17)에 회수하는 열회수수단(10, 11)을 가지는 유동상 보일러에 있어서의 연소제어장치로서, 상기 보일러드럼(17)의 증기압을 검출하여 그 증기압을 나타내는 증기압 신호(PV01)를 출력하는 증기압 검출수단(20b)과, 상기 증기압신호(PV01)에 응답하여 상기 가연물 공급수단(14)에서의 가연물 공급량을 제어하는 가연물 공급제어수단(31)과, 상기 연소구획실(3)내의 온도를 검출하여 그 온도를 나타내는 온도신호(PV02)를 출력하는 온도검출수단(3a)과, 상기 온도신호(PV02)에 응답하여 그 온도신호에 의하여 표시되는 온도가 소정의 온도목표치에 대하여 일치하도록 상기 열회수 급기수단(6a, 8, 8a, 8a', 8b)에서의 열회수공기속도(질량속도)를 제어하는 열회수 급기제어수단(33, 34, 9, 9a, 9b)과, 상기 가연물 공급량 제어수단(31)에 의한 상기 가열물 공급수단(14)에서의 가연물 공급량의 제어에 연동하여 상기 열회수 급기제어수단(33, 34, 9, 9a, 9b)에서의 온도목표치를 제어하는 온도목표치 제어수단(3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압 검출수단이 상기 보일러드럼(17)과 증기압부하를 연결하는 증기관(20)에 배설되어 있는 압력계(20b)이고, 상기 온도검출수단이 상기 연소구획실(3)내에 배설된 온도센서(3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제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온도목표치가 상기 가연물 공급량 제어수단(31)의 출력에 대응하는 온도목표치(SV02)이고, 상기 열회수 급기제어수단은, 상기 소정의 온도목표치신호(SV02)와 상기 온도센서(3a)로부터의 온도신호(PV02)를 받아 유량목표치를 나타내는 유량목표치신호(MV02)를 출력하는 온도조절계(33)와, 그 유량목표치신호(MV02)를 받아 상기 열회수 공기속도가 그 유량목표치신호(MV02)에 일치하도록 공기관(9)중의 제어밸브(9a)의 개방도를 조절하여 열회수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조절계(3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제어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목표치 제어수단이 상기 가연물 공급량 제어수단(31)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반전기(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제어장치.
  9. 유동매체로 가득 채워지고, 그 유동매체중에서 가연물을 연소시키는 연소구획실(3)과, 상기 연소구획실(3)에 가연물을 소정의 가연물 공급량 만큼 공급하는 가연물 공급수단(14)과, 상기 연소구획실(3)에 연소공기를 급기하는 연소급기수단(5, 5a, 6, 7)과, 상기 연소구획실(3)로부터 열을 얻는 보일러드럼(17)과, 상기 연소구획실(3)에 인접하여 그 연소구획실(3)중의 상기 유동매체가 순환가능하게 구획형성된 열회수 구획실(4)과, 상기 열회수 구획실(4)에 소정의 열회수공기속도(질량속도)로 열회수공기를 급기하는 열회수 급기수단(6a, 8, 8a, 8a', 8b)과, 상기 열회수 구획실(4)내에 배설되어, 이 열회수 구획실(4)내에 순환하는 상기 유동매체의 열을 소정의 열회수공기속도(질량속도)에 따라 상기 보일러드럼(17)에 회수하는 열회수 수단(10, 11)을 가지는 유동상 보일러에 있어서의 연소장치로서, 상기 보일러드럼(17)중의 증기압을 검출하여 그 증기압을 나타내는 증기압신호(PV01)를 출력하는 증기압검출수단(20b)과, 상기 증기압신호(PV01)에 응답하여 상기 가연물 공급수단(14)에서의 가연물 공급량을 제어하는 가연물 공급량 제어수단(31)과, 상기 연소구획실(3)내의 온도를 검출하여 그 온도를 나타내는 온도신호(PV02)를 출력하는 온도검출수단(3a)과, 상기 온도신호(PV02)에 응답하여 그 온도신호에 의하여 표시되는 온도가 소정의 온도목표치에 대하여 일치하도록 상기 열회수 급기수단 (6a, 8. 8a. 8a', 8b)에서의 열회수 공기속도(질량속도)를 제어하는 열회수 급기제어수단(33, 34, 9, 9a, 9b)과, 상기 가연물 공급량 제어수단(31)에 의한 상기 가연물 공급수단(14)에서의 가연물 공급량의 제어에 연동하여 상기 열회수 급기제어수단(33, 34, 9, 9a, 9b)에서의 온도목표치를 제어하는 온도목표치 제어수단(32)과, 상기 보일러드럼(17)으로부터 증기부하에의 증기유량을 검출하여 그 유량을 나타내는 증기유량신호(PV04)를 출력하는 증기유량검출수단(20a)과, 상기 가연물 공급량 제어수단(31)에 의한 상기 가연물 공급수단(14)에서의 가연물 공급량의 제어에 중첩하여 상기 증기 유량신호(PV04)에 의하여 표시되는 증기유량에 따라 상기 가연물 공급수단(14)에서의 가연물 공급량을 증기부하 의존으로 제어하는 가연물 공급량 증기부하 의존 제어수단(35)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제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압 검출수단이 상기 보일러드럼(17)과 증기압부하를 연결하는 증기관(20)에 배설되어 있는 압력계(20b)이고, 상기 온도검출수단이 상기 연소구획실(3)내에 배설된 온도센서(3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제어수단.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온도목표치가 상기 가연물 공급량 제어수단(31)의 출력에 대응하는 온도목표치(SV02)이고, 상기 열회수 급기제어수단은, 상기 소정의 온도 목표치신호(SV02)와 상기 온도센서(3a)로부터의 온도신호(PV02)를 받아 유량목표치를 나타내는 유량목표치신호(MV02)를 출력하는 온도조절계(33)와, 상기 유량목표치신(MV02)를 받아 상기 열회수 공기속도가 그 유량 목표치신호(MV02)에 일치하도록 공기관(9)중의 제어밸브(9a)의 개방도를 조절하여 열회수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조절계(3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제어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목표치 제어수단이, 상기 가연물 공급량 제어수단(31)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반전기(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제어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물 공급량 증기부하 의존 제어수단은, 상기 증기압신호(PV01)에 응답하여 상기 가연물 공급량 제어수단(31)으로부터 출력되는 조작출력신호(MV01)와 상기 증기유량신호(PV04)를 받아, 상기 가연물 공급수단(14)에 인가해야할 출력신호(YO)를
    YO = PV04 + a(2MV01-100)
    (a : YO의 변화범위를 결정하는 정수)
    에 의하여 산출하는 연산기(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제어장치.
  14. 유동매체로 가득 채워지고, 그 유동매체중에서 가연물을 연소시키는 연소구획실(3)과, 상기 연소구획실(3)에 가연물을 소정의 가연물 공급량만큼 공급하는 가연물 공급수단(14)과, 상기 연소구획실(3)에 소정의 공기속도(질량속도)로 연소공기를 급기하는 연소급기수단(5, 5a, 6, 7)과, 상기 연소구획실(3)로부터 열을 얻는 보일러(17)와, 상기 연소구획실(3)에 인접하여 그 연소구획실(3)중의 상기 유동매체가 순환 가능하게 구획형성된 열회수 구획실(4)과, 상기 열회수 구획실(4)에 소정의 공기속도(질량속도)로 열회수공기를 급기하는 열회수 급기수단(6a, 8, 8a', 8b)과, 상기 열회수 구획실(4)내에 배설되어, 이 열회수 구획실(4)내에서 순환하는 상기 유동매체의 열을 소정의 열회수 공기속도(질량속도)에 따라 상기 보일러드럼(17)에 회수하는 열회수수단(10, 11)을 가지는 유동상 보일러에 있어서의 연소제어장치로서, 상기 보일러드럼(17)의 증기압을 검출하여 그 증기압을 나타내는 증기압신호(PV01)를 출력하는 증기압 검출수단(20b)과, 상기 증기압신호(PV01)에 응답하여 상기 가연물 공급수단(14)에서의 상기 가연물 공급량을 제어하는 가연물 공급량 제어수단(31)과, 상기 연소구획실(3)내의 온도를 검출하여 그 온도를 나타내는 온도신호(PV02)를 출력하는 온도검출수단(3a)과, 상기 온도신호(PV02)에 응답하여 그 온도신호에 따라 표시되는 온도가 소정의 온도목표치에 대하여 일치하도록 상기 열회수 급기수단(6a, 8, 8a, 8a', 8b)에서의 열회수공기속도(질량속도)를 제어하는 열회수 급기제어수단(33, 34, 9, 9a, 9b)과, 상기 가연물 공급량 제어수단(31)에 의한 상기 가연물 공급수단(14)에서의 가연물 공급량의 제어에 연동하여 상기 열회수 급기제어수단(33, 34, 9, 9a, 9b)에서의 온도목표치를 제어하는 온도목표치 제어수단(32)과, 상기 보일러드럼(17)으로부터 증기부하로의 증기유량을 검출하여 그 유량을 나타내는 증기유량신호(PV04)를 출력하는 증기 유량검출수단(20a)과, 상기 가연물 공급량 제어수단(31)에 의한 상기 가연물 공급수단(14)에서의 가연물 공급량의 제어에 중첩하여 상기 증기 유량신호(PV04)에 의하여 표시되는 증기유량에 따라 상기 가연물 공급수단(14)에서의 가연물 공급량을 증기부하 의존으로 제어하는 가연물 공급량 증기부하 의존 제어수단(35)과, 상기 가연물 공급량 제어수단(31) 및 가연물 공급량 증기부하 의존 제어수단(35)에 의한 상기 가연물 공급수단(14)에서의 가연물 공급량의 제어에 연동하여 상기 연소급기수단(5, 5a, 6, 7)에서의 연소공기속도(질량속도)를 제어하는 연소급기제어수단(7, 36, 37, 38)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제어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압 검출수단이, 상기 보일러드럼(17)과 증기압부하를 연결하는 증기관(20)에 배설되어 있는 압력계(20b)이고, 상기 온도검출수단이 상기 연소구획실(3)내에 배설된 온도센서(3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제어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온도목표치가 상기 가연물 공급량 제어수단(31)의 출력에 대응하는 온도목표치(SV02)이고, 상기 열회수 급기제어수단이, 상기 소정의 온도목표치(SV02)와 상기 온도센서(3a)로부터의 온도신호(PV02)를 받아 유량목표치를 나타내는 유량목표치신호(MV02)를 출력하는 온도조절계(33)와, 그 유량 목표치신호(MV02)를 받아 상기 열회수공기 속도가 그 유량목표치신호(MV02)에 일치하도록 공기관(9)중의 제어밸브(9a)의 개방도를 조절하여 열회수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조절계(3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제어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목표치 제어수단이 상기 가연물 공급량 제어수단(31)의 출력을 반전시키는 반전기(3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제어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가연물 공급량 증기부하 의존 제어수단이, 상기 증기압신호(PV01)에 응답하여 상기 가연물 공급량 제어수단(31)으로부터 출력되는 조작출력신호(MV01)와 상기 증기유량신호(PV04)를 받아 상기 가연물 공급수단(14)에 인가해야 할 연산출력신호(YO)를
    Figure kpo00003
    (a : YO의 변화범위를 결정하는 정수)에 의하여 산출하는 연산기(3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제어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급기제어수단은, 상기 연소구획실(3)에 공급되는 연소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는 제어밸브(37)와, 그 연소공기의 유량을 검출하여 그 유량을 나타내는 유량신호를 출력하는 유량계(38)와, 상기 연산출력신호(YO) 및 상기 유량신호를 받아 그 유량신호가 그 연산출력신호에 일치하도록 상기 제어밸브(37)의 개방도를 조절하는 유량조절계(36)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제어장치.
  20. 제1항 내지 제1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급기수단(5, 5a, 6, 7)이 상기 연소구획실(3)에 2Gmf이상의 공기속도로 연소공기를 공급하고, 상기 열회수 급기수단(6, 8, 8a, 8a', 8b)이 상기 열회수 구획실(4)에 0Gmf∼2Gmf의 범위내의 소정의 공기속도(질량속도)로 열회수공기를 급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소 제어장치.
KR1019890700440A 1987-07-13 1989-03-10 유동상 보일러에 있어서의 연소 제어장치 KR01316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174467 1987-07-13
JP62174467A JPH0629652B2 (ja) 1987-07-13 1987-07-13 流動床ボイラにおける燃焼制御装置
JP87-17446 1987-07-13
JPPJP88/00693 1988-07-13
PCT/JP1988/000693 WO1989000661A1 (en) 1987-07-13 1988-07-13 Combustion control apparatus for fluidized bed boilers
JP87-174467 1989-07-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701954A KR890701954A (ko) 1989-12-22
KR0131684B1 true KR0131684B1 (ko) 1998-04-15

Family

ID=159789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700440A KR0131684B1 (ko) 1987-07-13 1989-03-10 유동상 보일러에 있어서의 연소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052344A (ko)
EP (1) EP0372075B1 (ko)
JP (1) JPH0629652B2 (ko)
KR (1) KR0131684B1 (ko)
AT (1) ATE106525T1 (ko)
AU (1) AU614533B2 (ko)
DE (1) DE3889916T2 (ko)
DK (1) DK173126B1 (ko)
NO (1) NO174481C (ko)
WO (1) WO19890006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8424A (en) * 1990-06-26 1992-02-18 White Horse Technologies, Inc. Pollu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pollution control
US5215018A (en) * 1990-06-26 1993-06-01 White Horse Technologies, Inc. Pollutio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pollution control
CA2116745C (en) * 1993-03-03 2007-05-15 Shuichi Nagato Pressurized internal circulating fluidized-bed boiler
US5313913A (en) * 1993-05-28 1994-05-24 Ebara Corporation Pressurized internal circulating fluidized-bed boiler
NL1016061C2 (nl) * 2000-08-31 2002-03-01 Tno Koelinstallatie.
US7730568B2 (en) * 2006-06-09 2010-06-08 Whirlpool Corporation Removal of scale and sludge in a steam generator of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7627920B2 (en) * 2006-06-09 2009-12-08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operating a washing machine using steam
US7765628B2 (en) * 2006-06-09 2010-08-03 Whirlpool Corporation Steam washing machine operation method having a dual speed spin pre-wash
US7941885B2 (en) * 2006-06-09 2011-05-17 Whirlpool Corporation Steam washing machine operation method having dry spin pre-wash
US7681418B2 (en) * 2006-08-15 2010-03-23 Whirlpool Corporation Water supply control for a steam generator of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ing a temperature sensor
US7591859B2 (en) * 2006-08-15 2009-09-22 Whirlpool Corporation Water supply control for a steam generator of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ing a weight sensor
US20080041120A1 (en) * 2006-08-15 2008-02-21 Nyik Siong Wong Fabric Treatment Appliance with Anti-Siphoning
US7665332B2 (en) * 2006-08-15 2010-02-23 Whirlpool Corporation Steam fabric treatment appliance with exhaust
US7707859B2 (en) 2006-08-15 2010-05-04 Whirlpool Corporation Water supply control for a steam generator of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7886392B2 (en) * 2006-08-15 2011-02-15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of sanitizing a fabric load with steam in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7841219B2 (en) 2006-08-15 2010-11-30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treating appliance utilizing steam
US20080092928A1 (en) * 2006-10-19 2008-04-24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Biofilm in an Appliance
US7753009B2 (en) * 2006-10-19 2010-07-13 Whirlpool Corporation Washer with bio prevention cycle
US8393183B2 (en) 2007-05-07 2013-03-12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treatment appliance control panel and associated steam operations
US8555675B2 (en) * 2007-08-31 2013-10-15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treatment appliance with steam backflow device
US7690062B2 (en) * 2007-08-31 2010-04-06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cleaning a steam generator
US8555676B2 (en) * 2007-08-31 2013-10-15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treatment appliance with steam backflow device
US7918109B2 (en) * 2007-08-31 2011-04-05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Treatment appliance with steam generator having a variable thermal output
US7861343B2 (en) 2007-08-31 2011-01-04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operating a steam generator in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7905119B2 (en) * 2007-08-31 2011-03-15 Whirlpool Corporation Fabric treatment appliance with steam generator having a variable thermal output
US8037565B2 (en) 2007-08-31 2011-10-18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detecting abnormality in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having a steam generator
US7966683B2 (en) * 2007-08-31 2011-06-28 Whirlpool Corporation Method for operating a steam generator in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CN101713536B (zh) * 2009-12-03 2011-06-29 太原理工大学 一种循环流化床锅炉燃烧系统的控制方法
IT1399952B1 (it) * 2010-04-29 2013-05-09 Magaldi Ind Srl Dispositivo e sistema di stoccaggio e trasporto ad alto livello di efficienza energetica
CN107787430B (zh) * 2015-06-15 2021-10-15 因姆普朗伯德公司 用于操作流化床锅炉的方法
RU185159U1 (ru) * 2018-08-21 2018-11-22 Павел Александрович Кравченко Паровой котел с топкой взвешенного слоя (твс)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48196A (en) * 1972-10-20 1976-09-02 Sprocket Properties Ltd Fluidised bed incinerators
GB1475991A (en) * 1974-04-11 1977-06-10 Fluidfire Dev Apparatus in which combustion takes place in a fluidised bed
US3970011A (en) * 1975-02-04 1976-07-20 Fluidfire Development Limited Combustion with fluidizable bed
JPS581741B2 (ja) * 1979-07-20 1983-01-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ミクロセル用マスクを備えたセルホ−ルダ
ZA811239B (en) * 1980-03-04 1982-03-31 Stone Platt Fluidfire Ltd Boiler and method of heating liquid
US4363292A (en) 1980-10-27 1982-12-14 A. Ahlstrom Osakeyhtio Fluidized bed reactor
JPS57127701A (en) * 1981-01-31 1982-08-09 Babcock Hitachi Kk Fuel feed level controller
DE3125849A1 (de) * 1981-07-01 1983-01-20 Deutsche Babcock Anlagen Ag, 4200 Oberhausen Dampferzeuger mit zirkulierender atmosphaerischer oder druckaufgeladener wirbelschichtfeuerung sowie verfahren zu seiner regelung
CA1225292A (en) * 1982-03-15 1987-08-11 Lars A. Stromberg Fast fluidized bed boiler and a method of controlling such a boiler
US4457289A (en) * 1982-04-20 1984-07-03 York-Shipley, Inc. Fast fluidized bed reacto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reactor
FR2527760B1 (fr) * 1982-05-26 1985-08-30 Creusot Loire Procede de controle du transfert de chaleur entre une matiere granulaire et une surface d'echange et echangeur de chaleur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JPS591912A (ja) * 1982-06-24 1984-01-07 Kawasaki Heavy Ind Ltd 流動層を備える燃焼炉の燃焼制御方法
US4572197A (en) * 1982-07-01 1986-02-25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Body hugging instrumentation vest having radioactive emission detection for ejection fraction
JPS60105807A (ja) * 1983-11-01 1985-06-11 Ebara Corp 流動層ボイラ及びその制御方法
CA1285375C (en) * 1986-01-21 1991-07-02 Takahiro Ohshita Thermal reactor
JPH0756361B2 (ja) * 1986-01-21 1995-06-14 株式会社荏原製作所 流動層熱回収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H0612843B2 (ja) * 1987-02-16 1994-02-16 三菱電機株式会社 マイクロ波集積回路の回路基板
RU2059150C1 (ru) * 1987-07-20 1996-04-27 Ибара Корпорейшн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котлом с псевдоожиженным слоем и котел с псевдоожиженным слое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891057D0 (no) 1989-03-13
KR890701954A (ko) 1989-12-22
JPS6419208A (en) 1989-01-23
NO174481B (no) 1994-01-31
EP0372075B1 (en) 1994-06-01
DE3889916T2 (de) 1995-01-12
JPH0629652B2 (ja) 1994-04-20
AU614533B2 (en) 1991-09-05
DK173126B1 (da) 2000-01-31
EP0372075A1 (en) 1990-06-13
DK121289D0 (da) 1989-03-13
US5052344A (en) 1991-10-01
DK121289A (da) 1989-05-09
NO891057L (no) 1989-05-11
DE3889916D1 (de) 1994-07-07
AU2077088A (en) 1989-02-13
NO174481C (no) 1994-05-11
EP0372075A4 (en) 1991-01-09
ATE106525T1 (de) 1994-06-15
WO1989000661A1 (en) 1989-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31684B1 (ko) 유동상 보일러에 있어서의 연소 제어장치
US4577270A (en) Plant control method
US4335683A (en) Fluidized bed heat exchanger with control to respond to changes in demand
JP5914147B2 (ja) 多缶式貫流ボイラの台数制御システム
SU734477A1 (ru) Котел
FI58681C (fi) Med eldstad foersedd eller med gas uppvaermbar aonggenerator
JP2799746B2 (ja) ボイラーの自動台数制御方法
KR100427125B1 (ko) 연속증기발생기의시동방법및장치
JPS591912A (ja) 流動層を備える燃焼炉の燃焼制御方法
JPS6391402A (ja) ボイラ制御装置
JPH0378521B2 (ko)
CN108443871B (zh) 外置床灰控阀开度的控制方法及装置
JP2002130606A (ja) ボイラのドラムレベル制御装置
JPS63319043A (ja) 熱媒加熱式改質器の改質温度制御装置
JPH11101401A (ja) 複数の炉域を有するボイラの炉域燃焼状態制御方法
JPS63208628A (ja) ガスタ−ビン廃ガス利用システムの負荷調整方法
RU1802261C (ru)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 уровн в регенеративном подогревателе паровой турбины
JPH0135241B2 (ko)
SU1490379A2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 пр моточного котла
JP3809975B2 (ja) ボイラ装置
SU1129457A1 (ru) Система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 тепловой нагрузки парогенератора
SU1283495A1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 теплового режима паровод ного тракта парогенератора
JPS6260612B2 (ko)
SU922436A1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 процесса горени в топке барабанного котла
JPH0641802B2 (ja) ボイラ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