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27125B1 - 연속증기발생기의시동방법및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증기발생기의시동방법및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27125B1
KR100427125B1 KR1019970705415A KR19970705415A KR100427125B1 KR 100427125 B1 KR100427125 B1 KR 100427125B1 KR 1019970705415 A KR1019970705415 A KR 1019970705415A KR 19970705415 A KR19970705415 A KR 19970705415A KR 100427125 B1 KR100427125 B1 KR 100427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roughput
evaporator
steam generator
starting
continuous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705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702020A (ko
Inventor
요아힘 프랑케
에버하르트 빗쵸브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753570&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427125(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199807020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7020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27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271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5/00Control systems for steam boilers
    • F22B35/06Control systems for steam boilers for steam boilers of forced-flow type
    • F22B35/14Control systems for steam boilers for steam boilers of forced-flow type during the starting-up periods, i.e. during the periods between the lighting of the furnaces and the attainment of the normal operating temperature of the steam boi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Steam Boilers And Waste-Gas Boilers (AREA)
  • Fluidized-Bed Combustion And Resonant Combustion (AREA)

Abstract

화석 연료(B)용 다수의 버너(5)를 갖춘 하나의 연소실(6)을 포함하고, 연소실의 기밀 방식 외벽(2)이 적어도 거의 수직으로 뻗는 다수의 증발기 튜브(4)로 형성되며, 매체가 상기 튜브를 하부로부터 상부로 관류하도록 구성된, 연속 증기 발생기(1)를 스타팅 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있어서, 증발기의 증발 능력(VD)은 스타팅 손실을 줄이기 위해 연소실(6)내에 있는 점화 열효율(FW)에 비례해서 세팅된다. 이를 위해, 시간 단위당 각 버너(5)에 공급된 연료량에 따라 시간 단위당 증발기(4)에 공급되는 매체(S)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제어 모듈(54)을 갖춘 제어 장치(58)가 사용된다.

Description

연속 증기 발생기의 시동 방법 및 장치
자연 순환 방식 증기 발생기에서는 순환되는 물-물/증기-혼합물이 단지 부분적으로만 증발되는 반면, 연속 증기 발생기에서는 연소실을 형성하는 수직 배치된 증발기 튜브의 가스 밀봉된 외벽을 가열함으로써 매체가 한번만 통과하더라도 유동 매체를 완전히 증발시킬 수 있다.
튜브내의 속도를 상응하게 높임으로써 튜브를 확실하게 냉각시키기 위해, 시동 동안에는 통상적으로 연속 증기 발생기의 증발기의 연속 유동에 순환 유동이 겹쳐지고, 연속 증기 발생기내에 배치된 연도 가스 가열된 예열기 또는 절탄기(economizer)에서도 자주 순환 유동이 겹쳐진다. 연소실의 외벽내에 수직으로 배치된 튜브의 경우, 연속 유동 및 겹쳐진 순환 유동으로 이루어진 최소 유동은 전부하 유동(全負荷 流動;full load flow)의 25% 내지 50%이다. 이것은, 높은 증기배출 온도로써 효율에 유리한 연속 동작에 도달되기 전에, 적어도 25% 내지 50%로 상승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유럽 특허 출원서 제 0 054 601 B1호에 공지된 바와 같이, 시동을 위해서는 그리고 전부하의 50%의 한계 부하 아래에 놓인 부하 범위에서는 급수 펌프로부터 제공되는 유동 매체의 양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급수 펌프의 공급 유동은 증발기 처리량(evaportor throughput)과 동일하다. 상기 동작 방식에서는, 연속 증기 발생기의 제 1버너의 점화와 함께 시작되고 높은 증기 온도에 의해 순환 동작에 도달됨으로써 종결되는 시동 시간이 매우 길다. 이것은 비교적 높은 시동 손실(start-up losses)을 야기시키는데, 그 이유는 시동 손실의 정도가 시동 시간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유럽 특허 출원서 제 0 439 765호에 공지된 증기 발생기에서도 시동시에는 급수가 일정하게 흐른다. 그러나 시동 과정이 거의 종결될 즈음에는 증기 발생기의 급수 유동이 변동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높은, 바람직하게는 최대의 증발 상태를 실현하여 시동 과정을 포함하는 발전소 설비의 중간 효율을 상승시키려는 노력과 관련하여, 시동 손실을 줄이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다. 또한, 상기 방식의 발전소 설비에서는, 상응하는 부속 부재를 갖춘 적어도 하나의 순환 펌프 또는 하나의 런 오프식 열교환기(run-off heat exchanger)를 포함하는, 시동 과정을 위해 구비되는 회전식 순환계가 높은 기술적 비용 및 높은 투자 비용을 요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높은 증기압, 바람직하게는 최대의 증기압에 도달되기 위해서는 투자 비용이 더욱 증가된다.
본 발명은 화석 연료용 다수의 버너를 갖춘 연소실을 포함하고, 연소실의 기밀 방식 외벽이 적어도 거의 수직으로 뻗는 다수의 증발기 튜브로 형성되며, 매체가 상기 튜브를 하부로부터 상부로 관류하도록 구성된, 연속 증기 발생기를 시동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수직의 가스 통로 및 하나의 시동 제어 장치를 갖춘 연속 증기 발생기의 개략도이고,
도 2는 증발기 처리량 및 점화 열용량에 대한 시동 다이아그램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증기 발생기 2 : 외벽
3 : 바닥 4 : 증발기 튜브
5 : 버너 6 : 연소실
8 : 유압 수집기 10 : 배출 수집기
12, 22, 30, 32, 56, 56': 라인 14, 26 : 수집기
15 : 절탄기 17 : 급수 라인
18 : 급수 용기 20 : 물-증기-분리 용기
24 : 고압-과열기 28 : 중간 과열기
34 : 급수 펌프 36 : 열교환기
38, 63 : 밸브 40, 42 : 관류 측정 감지기
44 : 연료 라인 46 : 부속 라인
50, 52 : 신호 라인 51, 53 : 변환기
54 : 조절기 부재 58 : 제어 장치
62 : 피드백 라인 B : 연료
D : 증기 S : 급수
본 발명의 목적은, 시동 손실이 적은 연속 증기 발생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상기 방법을 실시하기에 적합한 장치에 의해 저렴한 기술적 비용으로 달성된다.
방법과 관련된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시간 단위당 각 버너에 제공되는 연료량에 따라 증발기 처리량이 조절됨으로써 달성되며, 이 경우 증발기 처리량은 연소실내에서의 점화 열용량(firing heat capacity)에 비례하여 세팅된다.
달리 말하면, 전부하, 즉 100% 부하와 관련된 점화 열 용량의 퍼센티지(percentage of firing heat capacity)가 증발기 처리량의 퍼센티지(percentage of evaporator throughout)에 대한 목표값 또는 설정값(세팅 포인트)으로서 선택되기 때문에, 증발기 처리량, 즉 시간 단위당 증발기에 공급되어 증발기를 관류하는 매체의 양은 본 발명에 따른 조치에서 좁은 허용 오차폭 내에서 조절된다.
본 발명은, 연속 증기 발생기의 비교적 얇은 벽으로 이루어진 부품들이 큰 온도 변동 속도를 허용하기 때문에, 열용량을 신속하게 상승시키면서 연속 증기 발생기가 시동될 수 있다는 생각에서 출발한다. 증기 발생기의 적은 저장 매스로로 인해 신속한 증기 형성이 이루어지므로, 발생된 증기의 과열이 제공되는 과열기 가열 표면이 양호하게 냉각된다.
연속 증기 발생기에 대한 종래의 시동 방법은 고온 가열된 연소실의 증기 발생기 관이 관 내의 매체 유동이 와류인 경우에만 양호하게 냉각된다는 가정을 기초로 한다. 이것은 시동 과정 동안에도 관 내에 상응하게 높은 매체 유동 밀도가 주어진다는 사실을 전제로 한다.
본 발명은 소위 링형 유동이 형성되면, 매우 낮은 매체 유동 밀도 및 동시에 높은 열 유동 밀도에서도 관 벽으로부터 유동 매체로의 매우 양호한 열전달이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기초로 한다. 수직 튜브내에서의 내부 열전달에 대한 새로운 연구들에서는, 놀랍게도 매우 낮은 물질 유동 밀도에서도 상기 방식의 연속 유동이 보장되며, 상기 연속 유동에서는 대부분의 물이 물-물/증기 혼합물에 의해 형성된 유동 매체내에서 튜브벽으로 계속적으로 전달된다. 그럼으로써, 전부하 유동, 즉 100% 부하에서의 증발기 처리량의 약 25% 이하의 최소 유동에서도 열전달이 양호하게 이루어진다.
시동 동안 연속 증기 발생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방법에서 기술된 열적 현상들은, 특히 15% 이하의 증발기의 최소 처리량,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의 증발기의 최소 처리량, 예를 들어 전부하 처리량(full load throughput)의 5%로부터 출발하여, 증발기 처리량이 전부하와 관련된 점화 열용량의 퍼센티지로부터 좁은 대역폭 내에서만 편차를 갖는 경우에 특히 유리하게 이용된다.
증발기 처리량은 바람직하게 시동 과정을 시작할 때 전부하 처리량의 5% 내지 10%로 제한된다. 그럼으로써, 처음부터 모든 증발기 튜브내에서 균일한 상승 유동이 보장된다. 제 1버너의 점화 후에 증발기 처리량은, 전부하 처리량과 관련된 증발기 처리량의 퍼센티지가 정해진 대역폭내에서 전부하와 관련된 점화 열용량의 퍼센티지와 같아지도록 조절된다. 이 경우, 대역폭은 바람직하게 시간에 따라 상승하는 점화 열용량의 퍼센티지의 위로 3 내지 8% 사이, 그리고 아래로 2 내지 3% 사이에 걸쳐있다. 비대칭 대역폭의 상기 조건은 안정된 연소가 보장되는 점화 열용량에 특히 적용된다.
화석 연료용 다수의 버너를 갖춘 연소실을 포함하고, 연소실의 기밀 방식 외벽이 적어도 거의 수직으로 뻗는 다수의 증발기 튜브로 형성되며, 매체가 상기 튜브를 하부로부터 상부로 관류하도록 구성된, 연속 증기 발생기를 시동 하기 위한 장치와 관련된 상기 목적은, 시간 단위당 각 버너에 공급되는 연료의 양에 따라 시간 단위당 증발기에 제공되는 매체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조절기 부재에 의해 달성된다. 이 경우 조절기 부재에 의해 검출된 세팅값에 의해 결정된 증발기 처리량은 연료량으로부터 검출된 점화 열용량에 비례한다. 상기 조절기 부재는 증발기내로 삽입되는 급수 라인에 접속된 조절 부재와 연결되고, 각 버너에 연결된 연료 라인 내에 접속된 제 2관류 측정 감지기와 연결된다.
유럽 특허 출원 공개 명세서 제 0 308 596호에는 자연 순환식 증기 발생기의 급수량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가 공지되어 있는데, 상기 장치에서는 연료에 공급되는 연료의 양을 나타내는 측정값이 상기 조절기 부재에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출원서를 통해서는, 조절기 부재에 의해 검출된 급수량에 대한 목표값이 점화 열용량에 어떤 방식으로 의존하는지를 알 수가 없다.
조절값은 바람직하게 증발기 처리량, 즉 시간 단위당 증발기 매체측에 공급되는 급수의 양이다. 조절기 부재는 바람직하게 급수 라인내에 접속된 관류 측정 감지기와 연결된다.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된 장점은 특히, 낮은 부하에서도 이미 효율에 유리한 연속 동작이 달성되기 때문에, 연속 증기 발생기의 시동 과정 동안 점화 열용량과 함께 일정하게 상승되는 증발기 처리량에 의해 시동 손실이 감소된다는 점이다. 이 경우에는 바람직하게 순환 펌프 또는 런 오프식 열교환기가 제외될 수 있기 때문에, 투자 비용이 감소되고 장치 이용 가능성이 증가된다.
증발기 뒤에 접속된 물-증기-분리 장치로부터 분리된 물의 피드백도 급수 펌프 및 증발기 사이의 위치에서는 제외되기 때문에, 순환 펌프가 없는 회로에서는 시동 과정의 조절이 매우 간단하다. 그럼으로써, 물이 증발기내로 유입될 때 엔탈피의 변동 및 그와 함께 증발기로부터 배출되는 물의 유동 변동이 피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자세히 설명된다:
도 1에서 직사각형의 횡단면으로 도시된 증기 발생기(1)의 수직의 가스 통로는, 가스 통로의 하단부에 깔때기 모양의 바닥(3)을 갖는 외벽(2)으로 형성된다. 외벽(2)의 증발기 튜브(4)의 측벽은 기밀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는데, 예를 들면 납땜된다. 바닥(3)은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재를 배출하기 위한 하나의 배출구(3a)를 포함한다.
외벽(2)의 하부 영역은 다수의 버너(5)가 제공된 연속 증기 발생기(1)의 연소실(6)을 형성한다.
매체, 즉 급수 또는 물/물-증기 혼합물이 하부로부터 상부로 평행하게 또는 증발기 튜브 그룹에서 연달아서 관류하는 외벽(2)의 증발기 튜브(4)의 유입구 단부는 하나의 유입 수집기(8)와 연결되고, 배출구 단부는 하나의 배출 수집기(10)와 연결된다. 유입 수집기(8) 및 배출 수집기(10)는 가스 통로의 외부에 있고, 예컨대 각각 링형 관으로 형성된다.
유입 수집기(8)는 하나의 라인(12) 및 수집기(14)를 통해 고압-예열기 또는 절탄기(15, economizer)의 출구와 연결된다. 절탄기(15)의 가열 표면은 연소실(6) 상부에 있는 외벽(2)의 공간내에 배치된다. 상기 절탄기(15)의 입력측은 하나의 수집기(16)를 통해 급수 용기(18)와 연결되며, 급수 용기는 자세히 설명되지 않은 방식으로 하나의 콘덴서를 통해 증기 터빈과 연결되어 터빈의 물-증기-순환계에 접속된다.
배출 수집기(10)는 하나의 물-증기-분리 용기(20) 및 라인(22)을 통해, 외벽(2) 내부에서 절탄기(15) 및 연소실(6) 사이에 배치된 하나의 고압-과열기(24)와 연결된다. 고압-과열기(24)의 출구측은 작동 동안 하나의 수집기(26)를 통해 증기 터빈의 고압 단부와 연결된다. 외벽(2) 내부의 고압-과열기(24) 및 절탄기(15) 사이에는 중간 과열기(28)가 있는데, 상기 과열기는 수집기(30, 32)를 통해 증기 터빈의 고압 섹션 및 중간압 섹션 사이에 접속된다.
급수 용기(18)로부터 시작하여 급수(S)의 유동 방향으로, 모터로 작동되는 하나의 급수 펌프(34) 및 급수를 예열하기 위해 증기(D)에 의해 가열된 열교환기(36), 및 밸브(38) 및 관류 측정 감지기(40)가 급수 라인(17)에 연달아 접속된다. 상기 관류 측정 감지기(40)는 시간 단위당 급수 라인(17)을 통해 공급되는 급수(S)의 양을 검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시간 단위당 라인(17)을 통해 공급되는급수(S)의 양은, 증발기 튜브(4)로 이루어진 증발기에 공급되는 급수량과 일치하며, 이것은 또한 증발기 처리량과도 일치한다.
다른 하나의 관류 측정 감지기(42)는 부속 라인(46)을 통해 버너(5)내로 삽입되는 하나의 연료 라인(44)에 접속된다. 시간 단위당 각 버너(5)에 공급되는 연료(B)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밸브(48)가 상기 연료 라인(44)에 접속된다.
관류 측정 감지기(40 및 42)는 변환기(51 또는 53)에 접속된 신호 라인(50 및 52)을 통해 조절기 부재(54)와 연결된다. 조절기 부재(54)는 하나의 라인(56)을 통해 밸브(38)와 연결된다. 상기 조절기 부재(54)는 또한 파선으로 도시된 라인(56')을 통해서 모터로 작동되는 급수 펌프(34)에 연결될 수 있다. 조절기 부재(54) 및 관류 측정 감지기(40, 42), 및 급수(S)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되는 밸브(38)는 연속 증기 발생기(1)를 시동하기 위한 제어 장치(58)의 부품들이다. 밸브(38) 대신에, 급수 펌프(34) 자체가 회전수의 변동에 의해 급수 라인(17)을 통해 공급되는 급수(S)의 양을 조절할 수도 있다.
제어 장치(58)는, 시동 과정 동안 각 버너(5)에 시간 단위당 공급되는 연료의 양에 따라 증발기 처리량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된다. 이를 위해, 관류 측정 감지기(40)에 의해 측정된 증발기 양의 실제값, 즉 증발기 튜브(4)에 시간 단위당 공급되는 급수(S)량의 실제값이 신호 라인(50)을 통해 조절기 부재(54)에 제공된다. 관류 측정 감지기(42)로부터 조절기 부재(54)에 제공되는 상기 값은 증발기의 실제 처리량의 퍼센티지(VD)(도 2)와도 일치한다. 또한, 연소실(6)내의 점화 열용량의 퍼센티지(FW)(도 2)의 실제값이 신호 라인(52)을 통해 조절기 부재(54)에 제공된다. 이를 위해, 실제 시점에 연료 라인(44)을 통해 버너(5)에 제공되는 연료(B)의 양이 상기 관류 측정 감지기(42)에 의해 검출된다. 상기 연료 처리량은 변환기(53)에 의해 상응하는 점화 열용량의 퍼센티지(FW)로 변환된다. 실제 점화 열 용량의 퍼센티지(FW) 및 증발기의 실제 처리량의 퍼센티지(VD)를 비교함으로써, 라인(56 또는 56')을 통해 밸브(38) 또는 급수 펌프(34)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세팅값(SG)이 조절기 부재(54)내에서 검출된다. 이 경우, 급수 라인(17)을 통해 공급되는 급수(S)의 양 및 증발기 처리량의 퍼센티지(VD)는 점화 열용량의 퍼센티지(FW)에 비례하여 연소실(6)내에서 조절되며, 이 때 증발기 처리량의 퍼센티지(VD)는 조절값으로서 사용된다.
증발기 처리량의 퍼센티지(VD) 및 점화 열용량의 퍼센티지(FW)의 시간에 따른 진행이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횡좌표는 시간축을 나타내고, 종좌표에는 최대 증발기 처리량(100% 부하에서의 증발기 처리량) 및 최대 점화 열용량(100% 부하에서의 점화 열용량)이 퍼센티지로 표시되어 있다.
제 1버너(5)의 점화 전, 즉 시점(t0)에서는 바람직하게는 100% 부하(전부하 처리량)에서의 처리량의 15%이하의 최소 처리량이 세팅된다. 실시예에서 상기 최소 처리량은 100%부하에서의 증발기의 처리량, 즉 최대 증발기 처리량의 퍼센티지(VD)의 5% 내지 10% 처리량 범위(BD)에 놓인다. 상기와 같은 최대 증발기 처리량의 퍼센티지의 5% 내지 10%의 최소 처리량은 시동 과정 초기에 세팅된다.
상기 과정 동안, 시점(t1)에서 제 1버너(5)의 점화가 이루어지며, 이 때는제일 먼저 점화 열용량의 퍼센티지(FW)가 점프식으로 상승된다. 시점(t2)에서 제 2 버너(5)가 점화되고 시점(t3)에서 제 3버너(5)가 점화됨으로써 점화 열용량이 초기에 단계적으로 상승된다. 최대 점화 열용량의 약 6%의 점화 열용량의 퍼센티지(FW)로부터, 점화 열용량은 시간(t)의 경과에 따라 연속적으로 상승된다. 점화 열 용량의 퍼센티지(FW)의 연속적인 상승에 따라 증발기 처리량의 퍼센티지(VD)도 연속적으로 상승된다. 동시에, 증발기 처리량의 퍼센티지(VD)는 바람직하게, 전부하 하에서의 처리량과 관련된 증발기 처리량의 퍼센티지(VD)가 전부하에서의 처리량의 5% 내지 10%의 범위(BD)내에서 전부하, 즉 100% 부하와 관련된 점화 열용량의 퍼센티지(FW)와 동일하게 되도록 설정된다. 증발기 처리량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점화 열용량의 퍼센티지(FW)와 함께 상승되는 밴드폭(BD)은 위로 상한선(OG)에 의해 그리고 아래로 하한선(UG)에 의해 제한된다.
증발기 처리량의 퍼센티지(VD)는 바람직하게는, 시동 과정 동안 시간에 따라 점화 열용량의 퍼센티지(FW)와 함께 일정하게 상승되도록 세팅된다. 이 경우 - 도 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대역폭(BD)은 비대칭이며, 점화 열용량의 퍼센티지(FW)로부터 증발기 처리량의 퍼센티지(VD)의 편차는 위로 100% 부하에서의 처리량의 3% 내지 8% 만큼, 아래로는 2% 내지 3% 만큼 허용된다. 실시예에서는 대역폭(BD)이 5%이기 때문에, 점화 열용량의 퍼센티지(FW)로부터의 상부 편차(A0)는 3% 만큼, 점화 열용량의 퍼센티지(FW)의 하부 편차(AU)는 2% 만큼 허용된다.
따라서, 시간 단위당 증발기(4)에 공급되는 급수(S)의 양은 제어 장치(58)에의해, 증발기 처리량이 바람직하게는 퍼센트 점화 열용량의 퍼센티지(FW)로부터 5% 내지 10%의 좁은 대역폭내에서만 편차를 가지도록 조절된다. 시동 과정 초기에 증발기 처리량의 퍼센티지(VD)를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의 최소 처리량으로, 즉 전부하에서의 처리량의 5% 내지 10%로 제한함으로써, 모든 증발기 튜브(4)에서 균일한 상승이 보장된다. 상기 시동 특성에 의해 시동 손실이 매우 작아지는데, 그 이유는 더 낮은 부하에서 이미 효율에 유리한 연속 동작이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상기 시동 방법에서는 지금까지 통상적으로 사용된 순환 펌프 또는 런 오프식 열교환기가 제외되었다. 도 1에 도시된 물-증기-분리 용기(20)내에서 분리된 물은 부가의 펌프 없이 밸브(63)와 접속된 하나의 피드백 라인(62)을 통해 급수 용기(18)내로 공급되어 물-증기-순환계로 피드백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급수(S)가 물-증기-분리 용기(20)로부터 급수(S)의 유동 방향으로 증발기(4) 앞으로 또는 절탄기(15) 앞으로, 그리고 또 급수 용기(18) 뒤로 피드백 되는 과정이 제외되기 때문에, 시동 과정을 매우 간단하게 조절할 수 있다.

Claims (8)

  1. 화석 연료(B)용 다수의 버너(5)를 갖춘 연소실(6)을 포함하고, 상기 연소실의 기밀 방식 외벽(2)이 수직으로 뻗는 다수의 증발기 튜브(4)로 형성되며, 매체가 상기 증발기 튜브를 하부로부터 상부로 관류하도록 구성된, 연속 증기 발생기(1)를 시동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증발기 처리량은 상기 각 버너(5)에 시간 단위당 공급되는 연료량에 따라 조절되며, 이 경우 상기 증발기 처리량이 상기 연소실(6)내에서의 점화 열용량에 비례하여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증기 발생기를 시동하기 위한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튜브(4)는 시동 초기에 100% 부하에서의 처리량(전부하 처리량)의 15%이하의 최소 처리량으로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증기 발생기를 시동하기 위한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처리량은 상기 점화 열용량과 함께 시간에 따라 일정하게 상승되도록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증기 발생기를 시동하기 위한 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전부하 처리량과 관련된 증발기 처리량의 퍼센티지(VD)가 대역폭(BD)내에서 전부하와 관련된 퍼센트 점화 열용량의 퍼센티지(FW)와 같아지도록, 상기 증발기 처리량의 퍼센티지(VD)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증기 발생기를 시동하기 위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대역폭(BD)은 비대칭이며, 상기 점화 열용량의 퍼센티지(FW)로부터 상기 증발기 처리량의 퍼센티지(VD)의 편차(A0, AU)는 위로는 전부하에서의 유동률의 3% 내지 8% 만큼, 아래로는 전부하에서의 처리량의 2% 내지 3% 만큼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증기 발생기를 시동하기 위한 방법.
  6. 연속 증기 발생기(1)를 시동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화석 연료(B)용 다수의 버너(5)를 갖춘 연소실(6)을 포함하고, 상기 연소실의 기밀 방식 외벽(2)은 수직으로 뻗는 다수의 증발기 튜브(4)로 형성되며, 증발기 처리량을 결정하는 세팅값(SG)을 검출하기 위한 조절기 부재(54)를 포함하고, 상기 세팅값(SG)을 결정하는 증발기 처리량은 각 버너(5)에 시간 단위당 공급되는연료(B)의 양으로부터 검출된 점화 열용량에 비례하며, 상기 조절기 부재(54)가, 상기 증발기(4)내로 삽입되는 급수 라인(17)내에 접속된 조절 부재(34, 38) 및 각 버너에 연결된 연료 라인(44)에 접속된 제 2관류 측정 감지기(42)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증기 발생기를 시동하기 위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기 부재(54)가 상기 급수 라인(17)에 접속된 관류 측정 감지기(4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증기 발생기를 시동하기 위한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기 튜브(4)는 시동 초기에 100% 부하에서의 처리량(전부하 처리량)의 10% 이하의 최소 처리량으로 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증기 발생기를 시동하기 위한 방법.
KR1019970705415A 1995-02-09 1996-01-29 연속증기발생기의시동방법및장치 KR1004271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04308A DE19504308C1 (de) 1995-02-09 1995-02-09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fahren eines Durchlaufdampferzeugers
DE19504308.1 1995-02-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702020A KR19980702020A (ko) 1998-07-15
KR100427125B1 true KR100427125B1 (ko) 2004-08-02

Family

ID=7753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705415A KR100427125B1 (ko) 1995-02-09 1996-01-29 연속증기발생기의시동방법및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839396A (ko)
EP (1) EP0808440B1 (ko)
JP (1) JP3836139B2 (ko)
KR (1) KR100427125B1 (ko)
CN (1) CN1119554C (ko)
CA (1) CA2212517C (ko)
DE (2) DE19504308C1 (ko)
IN (1) IN186814B (ko)
WO (1) WO19960248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717158C2 (de) 1997-04-23 1999-11-11 Siemens Ag Durchlaufdampferzeuger und Verfahren zum Anfahren eines Durchlaufdampferzeugers
DE19907451A1 (de) * 1999-02-22 2000-08-24 Abb Alstom Power Ch Ag Verfahren zum Anfahren eines Zwangdurchlauf-Abhitzekessels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EP2065641A3 (de) * 2007-11-28 2010-06-09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Betrieben eines Durchlaufdampferzeugers sowie Zwangdurchlaufdampferzeuger
EP2119880A1 (de) * 2008-02-15 2009-11-18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Anfahren eines Durchdampferzeugers
EP2180250A1 (de) * 2008-09-09 2010-04-28 Siemens Aktiengesellschaft Durchlaufdampferzeuger
EP2182278A1 (de) * 2008-09-09 2010-05-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Durchlaufdampferzeuger
US9541282B2 (en) * 2014-03-10 2017-01-10 International Paper Company Boiler system controlling fuel to a furnace based on temperature of a structure in a superheater section
DE102014222682A1 (de) 2014-11-06 2016-05-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Regelungs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Durchlaufdampferzeugers
DE102017205382A1 (de) * 2017-03-30 2018-10-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Wasserrückführung in vertikalen Zwangdurchlaufdampferzeugern
CN110006025A (zh) * 2019-03-19 2019-07-12 广东美智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pid的蒸汽发生器压力调控方法、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93128A (ko) * 1967-12-09 1970-05-25
BE756407A (fr) * 1969-09-23 1971-03-22 Sulzer Ag Procede de mise en marche d'un generateur de vapeur
CH632331A5 (de) * 1978-10-03 1982-09-30 Sulzer Ag Verfahren zum anfahren eines zwanglaufdampferzeugers.
FI68458C (fi) * 1980-12-23 1985-09-10 Sulzer Ag Tvaongsstyrdaonggeneratoranlaeggning
CH673697A5 (ko) * 1987-09-22 1990-03-30 Sulzer Ag
DK0439765T3 (da) * 1990-01-31 1995-10-02 Siemens Ag En dampgenerator
US5396865A (en) * 1994-06-01 1995-03-14 Freeh; James H. Startup system for power pla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513543A (ja) 1998-12-22
CN1168172A (zh) 1997-12-17
CA2212517A1 (en) 1996-08-15
DE19504308C1 (de) 1996-08-08
US5839396A (en) 1998-11-24
IN186814B (ko) 2001-11-17
CA2212517C (en) 2001-04-10
KR19980702020A (ko) 1998-07-15
EP0808440A1 (de) 1997-11-26
EP0808440B1 (de) 1999-08-18
DE59602799D1 (de) 1999-09-23
JP3836139B2 (ja) 2006-10-18
CN1119554C (zh) 2003-08-27
WO1996024803A1 (de) 1996-08-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9080B1 (ko) 폐열 증기 발생기
US4572110A (en) Combined heat recovery and emission control system
US4887431A (en) Superheater outlet steam temperature control
US4425762A (en)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boiler superheated steam temperature
US4852524A (en) Gas fired water heater
KR100427125B1 (ko) 연속증기발생기의시동방법및장치
US5983639A (en) Method and system for starting up a continuous flow steam generator
US5771846A (en) Method for feed water control in waste heat steam generators
US4064699A (en) Boiler control providing improved operation with fuels having variable heating values
CN1126905C (zh) 直流式锅炉及起动直流式锅炉的方法
US4274256A (en) Turbine power plant with back pressure turbine
US4335683A (en) Fluidized bed heat exchanger with control to respond to changes in demand
US4316420A (en) Furnace heat absorption control
US5056468A (en) Steam generator
KR100294729B1 (ko) 보일러
US4237825A (en) Furnace heat absorption control
US4403571A (en) Boiler with economizer heat absorption reduction
US1975095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steam boiler
SU1183780A1 (ru)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 температурного режима пр моточного котла
JP2002130606A (ja) ボイラのドラムレベル制御装置
CN112146071A (zh) 一种直流余热锅炉运行控制方法及相匹配的锅炉系统
JPH0989207A (ja) ボイラの蒸気温度制御方法および装置
SU1285272A1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регулировани процесса горени в топке барабанного котла
JPH06180102A (ja) ボイラの給水量制御装置
JPH0799245B2 (ja) ボイラ起動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6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