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529Y1 - 조립식 용접철망 울타리 - Google Patents
조립식 용접철망 울타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31529Y1 KR0131529Y1 KR2019950038870U KR19950038870U KR0131529Y1 KR 0131529 Y1 KR0131529 Y1 KR 0131529Y1 KR 2019950038870 U KR2019950038870 U KR 2019950038870U KR 19950038870 U KR19950038870 U KR 19950038870U KR 0131529 Y1 KR0131529 Y1 KR 013152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mesh
- welded
- welded wire
- fence
- pillar members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10—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nnecting wire to posts; Dropp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4—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ly adapted wire, e.g. barbed wire, wire mesh, toothed strip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E04H17/08—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6/00—Fe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용접철망을 이용한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용접철망 울타리는 통상, 지면에 매설된 기초 콘크리트에 지지되는 좌.우 기둥부재와 그 기둥부재의 상하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상.하 지지부재의 일측면부에 평면시트상 용접철망의 좌.우측 단부 및 상.하 단부를 각각 용접 고정하여 구성되는 것이므로, 상.하 지지부재와 같은 별도의 자재가 소요됨과 아울러 그 상.하 지지부재와 격자 철망의 상하단부를 상호 용접하기 위한 용접 인력 및 시간이 소요되어 시공비가 상승되고 공기가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평판 시트상 용접 철망을 소정 폭과 간격으로 두고 내.외로 절곡하여 굴곡용접철망(11)으로 형성하고, 그 굴곡용접철망(11)의 가로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각 가로철선의 양단부가 양측 기둥부재(12)(12')의 외주면 내.외측에 각각 용착 고정된 굴곡철망 울타리본체(10)를 구성하여 굴곡용접철망(11) 자체로서 충분한 지지력을 갖게 함으로써, 종래에 필요로 하던 상.하 지지부재를 사용 및 그에 따른 용접작업을 배제하여 소요자재를 절감하고 공기를 현저히 단축시킴과 아울러 공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용접철망 울타리의 구성 및 시공례를 보인 부분 절결 부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용접철망 울타리의 조립 설치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용접철망 울타리의 조립 설치상태를 보인 종단면도.
제4도는 종래 용접철망 울타리의 구성 및 설치상태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굴곡철망 울타리 본체 11 : 굴곡용접철망
10A : 세로철선 10B(10b,10b') : 가로철선
12,12' : 기둥부재 20 : 기초블럭
21,21' : 고정봉 30 : 연결부재
31,31' : 연결봉
본 고안은 격자상 용접철망을 이용하는 철망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용접철망의 상하 단부가 고정되는 상하 지지부재의 사용을 배제하고도 필요로 하는 용접철망 울타리의 지지강도를 충분히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용접철망 울타리의 시공을 용이하게 하고 소요자재를 절감할 수 있게 한 조립식 용접철망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격자상 용접철망(welding wire mesh) 즉, 다수개의 철선을 소정 간격을 두고 종횡하고 배치하고, 상호 교차되는 가로철선과 세로철선의 교차부를 용접한 용접철망을 이용한 울타리가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시공되고 있는 종래의 용접철망 울타리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매설되는 기초 콘크리트(1)에 지지되어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좌.우 기둥부재(2)(2')와 이들 양측 기둥부재(2)(2')의 상하단부 사이에 걸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상.하 지지부재(3)(3')를 사용하여 4각 틀체상 외곽프레임(4)을 구성하고, 그 외곽 프레임(4)의 양측 기둥부재(2)(2')와 상.하 지지부재(3)(3')의 일측면부에 평면시트상으로 용접된 격자철망(5)의 좌.우측 단부 및 상.하 단부 즉, 격자철망(5)을 구성하는 각 가로철선(5a)의 좌.우 단부(5a')(5a') 및 각 세로철선(5b)의 상.하 단부(5b')(5b')를 각각 용접 고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시공 설치되는 종래의 용접철망 울타리는 소정 굵기를 가지는 상기 각 가로철선(5a) 및 세로철선(5b)이 평면 격자상으로 배치된 평면 시트상 용접철망(5)을 수직방향으로 세워 설치하는 것이므로, 이와 같은 평면 시이트상 격자 용접철망(5) 자체만으로는 충분한 지지강도를 보지할 수 없게 되는 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용접철망 울타리를 시공함에 있어서는 그 용접철망 울타리의 설치를 위한 용접작업을 설치현장에서 시행하게 되는 바, 이와 같은 종래 용접철망 울타리의 시공시에는 상기 좌.우 기둥부재(2)(2')와 상.하 지지부재(3)(3')로 구성되는 외곽프레임(4)을 반드시 구비하여 이들 상.하 지지부재(3)(3')와 상기 용접철망(5)에 배치된 각 세로철선(5b)의 상.하 단부(5b') (5b')를 각각 용접 고정해야만 하므로, 상기 상.하 지지부재(3)(3')와 같은 별도의 자재가 소요될 뿐만 아니라 많은 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추가 용접작업을 필요로 하게 됨으로써, 시공비가 현저히 상승되고 공기가 길어지게 되는 등의 난점과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제반 난점과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주 목적은 별도의 상하 지지부재가 소요되는 외곽프레임을 사용하지 않고, 양쪽 기둥부재와 용접철망 만으로도 지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배치되는 용접철망 울타리의 지지강도를 충분히 보지할 수 있는 조립식 용접철망 울타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설치 현장에서의 조립 시공이 용이한 조립식 용접철망 울타리를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가로철선과 세로철선이 격자상으로 배치되는 평면 시이트상 용접철망을 소정 간격을 두고 횡방향으로 수회 절곡하여 내.외로 절곡된 요철형 굴곡용접철망을 형성하고, 그 굴곡용접철망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내.외측 가로철선의 양단부를 양측 수직 기둥부재의 외주면 양측부에 각각 용접 고정하여 구성되는 굴곡철망 울타리 본체를 형성하여, 그 굴곡철망 울타리의 양측 기둥부재를 설치현장의 지면에 등간격으로 매설되는 기초블럭의 고정봉에 조립 고정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가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용접철망 울타리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조립식 용접철망 울타리의 구성 및 시공례를 보인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제2도 및 제3도는 동 조립식 철망 울타리의 조립 설치상태를 보인 횡단면도 및 종단면도로서, 본 고안에 의한 용접철망 울타리는 평판상 용접철망을 내.외로 절곡시켜 형성한 굴곡용접철망(11)의 좌.우 양단부를 양측 수직 기둥부재(12)(12')의 주벽 내.외 양측에 용접하여서 된 굴곡철망 울타리 본체(10)와, 그 굴곡철망 울타리본체(10)의 양측 기둥부재(12)(12')의 하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봉(21)(21')을 몸체의 상면에 구비하고 설치 현장의 지면에 매설 고정되는 기초블럭(20)과, 그 기초블럭(20)에 의해 지지되는 양측 울타리 본체(10)(10)의 일측 기둥부재(12)(12')를 상호 결속하도록 각 기둥부재(12)(12')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연결부재(30)로 구성된다.
상기 굴곡철망 울타리본체(10)는 다수개의 가로철선(10B)과 세로철선(10A)이 격자상으로 배치된 일반적인 평판상 용접철망의 세로철선(10A)을 소정 폭과 간격을 두고 내.외로 절곡하여 구성된 것으로, 그 각 세로철선(10A)의 절곡부(B) 내측에 절곡되지 않은 각 가로철선(10B)이 횡방향으로 용착 접합되어 있고, 이들 각 가로철선(10B)은 상하 2개의 가로철선(10b,10b(10b', 10b')이 각기 한조가 되어 제3도에 도시된 중심선(C.L)을 기준으로 그 내.외(도면에서는 좌.우) 양측에 일정 거리를 유지하여 격간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와 같이 일정거리를 두고 격간으로 배치되는 내.외측 가로철선(10b)(10b')의 사이에는 상기 중공 원통형 기둥부재(12)(12')가 각각 끼워질 수 있는 정도의 거리(d)가 유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굴곡용접철망(11)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굴곡용접철망(11)의 좌.우측 단부에 위치하는 내.외 가로철선(10B: 10b,10b')의 단부가 원형 단면을 가지는 기둥부재(12)(12')의 내.외 양측 주벽에 법선방향으로 접하는 상태로 각 기둥부재(12)(12')에 용착 고정된다.
한편, 사이와 같이 구성된 굴곡철망 울타리 본체(10)를 지지하는 기초블럭(20)은 지면(G)에 매설되는 장방형 몸체의 상면에 상기 각 원통형 기둥부재(12)(12')의 중공부 하단에 긴밀히 삽입될 수 있는 상협하광형 고정봉(21)(21')을 가진 고정철판(22)이 수개의 앵커볼트(23)에 의해 고정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기초블럭(20)의 고정봉(21)(21')과 같은 형태의 연결봉(31)(31')이 지지판(32)의 하면에 구비되어 있어, 상기 각 연결봉(31)(31')을 양측 기둥부재(12)(12')의 중공부 상단에 삽입함으로써 양측의 굴곡철망 울타리 본체(10)를 상호 연결 고정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의 상부 연결봉(31)(31') 및 하부 고정봉(21)(21')에 의해 고정되는 양 기둥부재(12)(12')의 중간부는 수개의 S'자형 연결구(40)에 의해 상호 체결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W는 상기 각 기둥부재(12)(12')의 외주면 내.외 양측과 각 가로철선(10b)(10b')의 접합부에 각각 형성되는 용접부를 보인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굴곡철망 울타리 본체(10)와 기초블럭(20)은 설치현상의 여건에 다라 적합한 치수 및 필요로 하는 개수만큼 공장에서 제작된 후 설치현장에 운반하여 조립 시공되는 바, 본 고안에 사용되는 각 단위 울타리 본체(10)의 용접철망(11)이 4-6mm정도의 굵기를 가지는 가로철선(10B)과 2.5-4 mm 정도 굵기의 세로철선(10A)이 각기 사용되고, 양측 기둥부재(12)(12')의 직경이 40-60 mm 정도인 경우, 약 2.5-3 m정도의 길이 약 2 m정도의 높이를 갖는 울타리 본체(10)에 적용하여 필요로 하는 지지강도를 충분히 보지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 용접철망 울타리의 시공 설치방법 및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상기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울타리의 시공과정을 나타낸 것으로서, 본 고안 울타리의 시공시에는 먼저, 상기한 기초블럭(20)을 적절한 거리를 유지시켜 지면(G)에 매설하여 그 상면의 고정봉(21)(21')을 지면의 상부로 노출시키고, 상기 굴곡철망 울타리 본체(10)의 양측 기둥부재(12)(12')를 각 고정봉(21)(21')에 끼워 넣는 방법으로 필요로 하는 개수 만큼의 울타리 본체(10)를 차례로 설치한 다음, 하나의 기초블럭(20)에 지지되는 양측 울타리 본체(10)의 기둥부재(12)(12') 상단부에 상기한 연결부제(30)의 각 연결봉(31)(31')을 끼워 조립하고, 상기 양측 기둥부재(12)(12')의 중간부 상하측에 S 자형 연결구(40)를 체결함으로써 굴곡철망 울타리의 조립시공을 신속 용이하게 완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조립 시공되는 본 고안 굴곡철망 울타리의 울타리 본체(1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평판 시트상 용접철망을 소정 폭과 간격으로 두고 내.외로 절곡하여 굴곡용접철망(11)으로 형성하고, 그 굴곡용접철망(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격간으로 배치되는 각 내.외측 가로철선(10b)(10b')의 양단부가 양측 기둥부재(12)(12')의 외주면 내.외측에 각각 용착 고정된 것이므로, 굴곡용접철망(11)이 가지는 자체의 보강력과 양측 기둥부재(12)(12')의 양면에 각각 용접되는 내.외 가로철선(10b)(10b')의 견고한 고정구조에 의해 종래와 같은 별도의 상하 지지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수직방향으로 세워 설치되는 울타리본체의 지지력을 충분히 보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평판 시트상 용접철망을 그 높이 방향을 따라 내.외로 절곡하여 굴곡용접철망으로 형성하고, 그 굴곡용접철망의 내.외측에 격간으로 배치되는 가로철선의 양단부를 양측 기둥부재의 외주면 내.외측에 각각 용착 고정함으로써 상하 지지부재가 필요없는 굴곡철망 울타리 본체를 구성하여, 그 울타리 본체의 양 기둥부재를 지면에 매설된 기초블럭의 고정봉에 끼워 조립하면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양측 울타리 본체의 인접 기둥부재를 연결부재로 연결고정 하도록 시공되는 것이므로, 종래의 평판상 용접철망을 시공함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로 하던 상.하 지지부재의 사용을 배제하여 소요자재 및 용접인력의 절감효과를 갖게 될 뿐만 아니라, 울타리본체의 양측 기둥부재와 기초블럭간의 조립 설치가 용이하고 및 양측 기둥부재간의 연결고정이 용이하여 용접철망 울타리의 시공설치에 공기를 현저히 단축시키고 그 공비를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 평판상 용접철망을 내.외로 절곡시켜 형성된 굴곡용접철망(11의 좌.우 양단부를 양측 기둥부재(12)(12')의 주벽 내.외측에 용접하여서 된 굴곡철망 울타리 본체(10)와, 그 굴곡철망 울타리 본체(10)의 양측 기둥부재(12)(12')의 하단부가 삽입 고정되는 복수개의 고정봉(21)(21')을 몸체의 상면에 구비하고 지면에 매설되는 기초블럭(20)과, 그 기초블럭(20)에 의해 지지되는 양측 울타리 본체(10)의 일측 기둥부재(12)(12')를 상호 결속하도록 각 기둥부재(12)(12')의 상단부에 체결되는 연결부재(3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용접철망 울타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철망 울타리 본체(10)의 굴곡용접철망(11)은 그 각 세로철선(10A)의 절곡부(B) 내측에 절곡되지 않은 각 가로철선(10B)이 횡방향으로 용착되고, 내.외 양측에 격간으로 배치되는 가로철선(10B)의 사이에 상기 기둥부재(12)(12')가 끼워질 수 있는 정도의 거리가 유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용접철망 울타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철망 울타리 본체(10)를 지지하는 기초블럭(20)은 지면에 매설되는 몸체의 상면에 상기 원통형 기둥부재(12)(12')의 중공부 하단에 긴밀히 삽입될 수 있는 상협하광형 고종봉(21)(21')이 구비된 조립식 용접철망 울타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30)는 상기 양측 기둥부재(12)(12')의 중공부 상단에 삽입되는 연결봉(31)(31')이 구비된 조립식 용접철망 울타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블럭(20)의 고정봉(21)(21')과 연결부재(30)의 연결봉(31)(31')에 의해 연결 지지되는 양측 기둥부재(12)(12')는 그 중간부 상하에 체결되는 연결구(40)에 의해 결속되는 조립식 용접철망 울타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38870U KR0131529Y1 (ko) | 1995-12-07 | 1995-12-07 | 조립식 용접철망 울타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50038870U KR0131529Y1 (ko) | 1995-12-07 | 1995-12-07 | 조립식 용접철망 울타리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39517U KR970039517U (ko) | 1997-07-29 |
KR0131529Y1 true KR0131529Y1 (ko) | 1998-12-15 |
Family
ID=19432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50038870U KR0131529Y1 (ko) | 1995-12-07 | 1995-12-07 | 조립식 용접철망 울타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31529Y1 (ko) |
-
1995
- 1995-12-07 KR KR2019950038870U patent/KR0131529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39517U (ko) | 1997-07-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75015B1 (ko) | 선조립 src 기둥 구조체 및 이를 제작하는 방법 | |
US5220765A (en) | Space frame structure | |
KR0131529Y1 (ko) | 조립식 용접철망 울타리 | |
KR19980028582A (ko) | 일체식 보거푸집 | |
KR101238536B1 (ko) | 고정 클립을 갖는 철망 펜스용 지주 및 그 고정 클립 | |
KR100402030B1 (ko) | 층고저감을위한철골콘크리트조의거푸집장착구조 | |
JP4395030B2 (ja) | 戸建住宅 | |
JP4898317B2 (ja) | 耐震壁設置構造 | |
JP2631524B2 (ja) | 組立式貯液槽 | |
JPH01131724A (ja) | 補強土構造 | |
JP2542283B2 (ja) | 壁式ラ―メン構造の柱における梁鉄筋の接合方法 | |
KR0180079B1 (ko) |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의 데크 거어더 | |
JPH0714432Y2 (ja) | 基礎用筋枠 | |
JPH08319695A (ja) | 地中梁用鉄筋組及び地中梁の構築方法 | |
JPH08277604A (ja) | 鉄筋金網及びその鉄筋金網を用いた配筋方法並びに鉄筋構造 | |
JPH1025840A (ja) | プレキャスト耐震壁を有する建物躯体の構築方法 | |
JP2669477B2 (ja) | 小屋組構造 | |
JP3579333B2 (ja) | 床版構造体及び床版の施工方法 | |
JP2742029B2 (ja) | 屋根構造 | |
JP4290822B2 (ja) | 建築物の床構造 | |
JP2745330B2 (ja) | テント形構造物 | |
JPH04202933A (ja) | 建物ユニットのための仮補強梁 | |
KR970001562Y1 (ko) | 간막이 구조물 | |
JPH079835Y2 (ja) | 組立式貯液槽 | |
JPH08151637A (ja) | 吹付法枠工法とこれに用いられる法枠骨組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