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1271Y1 - 다중의 종이골판지를 이용한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다중의 종이골판지를 이용한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1271Y1
KR0131271Y1 KR2019950038637U KR19950038637U KR0131271Y1 KR 0131271 Y1 KR0131271 Y1 KR 0131271Y1 KR 2019950038637 U KR2019950038637 U KR 2019950038637U KR 19950038637 U KR19950038637 U KR 19950038637U KR 0131271 Y1 KR0131271 Y1 KR 013127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e
packaging
packaged
paper
card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3863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8793U (ko
Inventor
김태윤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5003863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1271Y1/ko
Publication of KR97003879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879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127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127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053Corner, edge or end protectors
    • B65D81/054Protectors contacting two generally perpendicular surfaces of the packaged article, e.g. edge pro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4Integral, inserted or attached portions forming internal or external fittings
    • B65D5/441Reinforcements
    • B65D5/445Reinforcements formed separately from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0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 B65D81/05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 B65D81/127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specially adapted to protect contents from mechanical damage maintaining contents at spaced relation from package walls, or from other contents using rigid or semi-rigid sheets of shock-absorb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피포장물을 보호하도록 피포장물을 포장하는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일부면이 테이퍼진 피포장물을 종이골판지를 이용하여서 포장하는 다중의 종이골판지를 이용한 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포장물의 상부 및 좌우측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상기 피포장물을 보호하도록 면과 면이 접하는 상기 피포장물의 양측의 변에 밀착되면 L자형상으로 개방되어 종이 골판지가 여러겹으로 겹쳐진 한쌍의 상포장부재와, 상기 피포장물의 하부와 전후측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상기 피포장물을 보호하도록 면과 면이 접하는 상기 피포장물의 전후의 변에 밀착되며 L자형상으로 개방되어 종이 골판지가 여러겹으로 겹쳐진 한쌍의 하포장부재와, 상기 하포장부재 및 상기 상포장부재에 의해 포장된 상기 피포장물을 견고하게 포장할 수 있도록 상기 피포장물의 테이퍼진 표면에 일단부가 접하며 상기 상포장부재의 내측면에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완충리브로 이루어진 다중의 종이골판지를 이용한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포장장치가 종이골판지로 이루어져 재생이 가능하고 자연분해될 수 있으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피포장물이 테이퍼져 있을 경우에도 피포장물을 견고하게 포장함과 동시에 피포장물의 크기에 관계없이 호환성있게 피포장물을 포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중의 종이골판지를 이용한 포장장치
본 고안은 피포장물을 보호하도록 피포장물을 포장하는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포장장치를 재생이 가능하고 자연분해될 수 있는 다중의 종이골판지로 구성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피포장물이 평면을 이루지 않은 경우 평면을 이루지 않는 피포장물을 견고하게 포장하고 피포장물의 크기에 관계없이 호환성있게 피포장물을 포장할 수 있는 다중의 종이골판지를 이용한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제품을 보호하기 위해 사용되는 포장장치는 발포스티로폴(Expandable Polystylene, 이하, EPS라 약칭함)이라고 불리는 포장완충재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포장장치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포장물(1)을 포장하도록 상부와 하부가 분리된 상부포장부재(2)와 하부포장부재(3)에 의해 포장된다.
또, 상기 상부포장부재(2) 및 상기 하부포장부재(3)의 중앙에는 상기 피포장물(1)이 수용되도록 각각의 홈(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부포장부재(2) 및 상기 하부포장부재(3)의 크기는 상기 피포장물(1)보다 약간 더 크게 만들어져 상기 피포장물(1)의 측방에서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상기 피포장물(1)을 보호한다.
또한, 상기 상부포장부재(2) 및 상기 하부포장부재(3)의 각 모서리부에는 포장장치의 무게를 경감시키도록 살빼기홈(미도시)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포장장치의 포장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하포장부재(3)를 도시되지 않은 포장상자의 내부 저면에 안착시킨 후 상기 하포장부재(3)에 형성된 홈(4)에 상기 피포장물(1)을 끼워 넣는다. 그리고 나서 상기 상포장부재(2)를 상기 피포장물(1)의 상부에 끼우는 것이다.
이와 같은 EPS재질로 이루어진 포장장치는, 상부 및 하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은 상기 상부포장부재(2) 및 상기 하부포장부재(3)의 완충력에 의해서 완충되고, 측면에서 가해지는 충격은 상기 피포장물(1)의 크기보다도 약간 더 크게 만들어진 상기 상부포장부재(2) 및 상기 하부포장부재(3)의 측면이 먼저 접촉되어 보호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으로 구성되어서 사용되는 종래의 포장완충재(EPS)는 완충성과 복원력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하여 포장재로 널리 사용되었으나, 이를 사용한 후에는 환경오염을 유발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상기 피포장물(1)의 크기에 적합한 상부 및 하부포장부재(2)(3)가 소요되므로써 모든 제품에 호환성있게 적용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포장장치를 재생이 가능하고 자연분해될 수 있는 다중의 종이골판지로 구성함으로써 환경오염을 방지함과 동시에 피포장물이 평면을 이루지 않은 경우 평면을 이루지 않는 피포장물을 견고하게 포장하고 피포장물의 크기에 관계없이 호환성있게 피포장물을 포장할 수 있는 다중의 종이골판지를 이용한 포장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다중의 종이골판지를 이용한 포장장치는, 일부면이 테이퍼진 피포장물을 종이골판지를 이용하여서 포장하는 다중의 종이골판지를 이용한 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포장물의 상부 및 좌우 측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상기 피포장물을 보호하도록 면과 면이 접하는 상기 피포장물의 양측의 변에 밀착되며 L자형상으로 개방되어 종이 골판지가 여러겹으로 겹쳐진 한쌍의 상포장부재와, 상기 피포장물의 하부와 전후측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상기 피포장물을 보호하도록 면과 면이 접하는 상기 피포장물의 전후의 변에 밀착되며 L자형상으로 개방되어 종이골판지가 여러겹으로 겹쳐진 한쌍의 하포장부재와, 상기 하포장부재 및 상기 상포장부재에 의해 포장된 상기 피포장물을 견고하게 포장할 수 있도록 상기 피포장물의 테이퍼진 표면에 일단부가 접하며 상기 상포장부재의 내측면에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완충리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다중의 종이골판지를 이용한 포장장치에 의하면, 포장장치가 종이골판지로 이루어져 재생이 가능하고 자연분해될 수 있으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피포장물이 테이퍼져 있을 경우에도 피포장물을 견고하게 포장함과 동시에 피포장물의 크기에 관계없이 호환성있게 피포장물을 포장할 수 있다.
제1도는 종래예에 적용되는 포장장치의 주요부품을 분해하여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2도는 종래예에 의한 포장장치에 의해 피포장물이 포장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골판지를 이용한 포장장치의 주요부품을 분해하여서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4도는 제3도의 A-A부분을 절결하여서 도시한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포장장치에 의해 피포장물이 포장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피포장물 10,10' : 상포장부재
12,12' : 하포장부재 13 : 완충리브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다중의 종이골판지를 이용한 포장장치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3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골판지를 이용한 포장장치의 주요부품을 분해하여서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포장장치는 피포장물(1)의 상부 및 좌우측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상기 피포장물(1)을 보호하도록 면과 면이 접하는 상기 피포장물(1)의 양측의 변에 밀착되도록 L자형상으로 개방되어 종이골판지가 여러겹으로 겹쳐진 한쌍의 상포장부재(10)(10')와, 상기 피포장물(1)의 하부와 전후측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상기 피포장물(1)을 보호하도록 면과 면이 접하는 상기 피포장물(1)의 전후의 변에 밀착되도록 L자형상으로 개방되어 종이골판지가 여러겹으로 겹쳐진 한쌍의 하포장부재(12)(12')로 구성된다.
또, 상기 포장부재(10)(10')(12)(12')는, 충격흡수와 복원력이 우수하도록 종이골판지가 여러겹으로 겹쳐저 만들어지고, 상기 피포장물(1)의 크기에 관계없이 상기 피포장물(1)을 포장할 수 있도록 L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포장부재(10)(10')의 내측면에는, 상기 피포장물(1)과 같이 일부면이 평면으로 이루지 못하고 테이퍼질 경우 상기 상포장부재(10)(10')에 의해 상기 피포장물(1)이 견고하게 포장되도록 상기 피포장물(1)의 표면에 접하는 완충리브(13)가 하부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다중의 종이골판지를 이용한 포장장치의 포장방법을 제5도를 참조하여서 설명하면, 먼저 상기 하포장부재(12)(12')를 도시되지 않은 포장상자의 전후측에 배치시킨 후 상기 피포장물(1)의 전후변이 상기 하포장부재(12)(12')와 밀착되도록 상기 피포장물(1)을 상기 하포장부재(12)(12')에 위치시킨다.
또, 상기 하포장부재(12)(12')에 상기 피포장물(1)을 위치시킨 후에는, 상기 피포장물(1)의 상부 좌우측의 변에 상기 상포장부재(10)(10')를 끼운다.
이때, 상기 상포장부재(10)(10')의 내측면에 돌출된 상기 완충리브(13)의 단부가 상기 피포장물(1)의 테이퍼진면에 접하도록하여 상기 피포장물(1)이 상기 상포장부재(10)(10')에 의해 견고하게 포장되도록 한다.
즉, 본 고안에 의한 다중의 종이골판지를 이용한 포장장치는, 상기 상포장부재(10)(10') 및 상기 하포장부재(12)(12')가 종이골판지로 다수겹이 겹쳐져 구성되므로써 종래의 EPS포장장치와 같이 환경오염을 유발하지 않게 된다.
또, 상기 피포장물(1)의 면과 면이 접하는 변에 단면이 L자형상으로 형성된 포장부재(10)(10')(12)(12')가 밀착되어서 상기 피포장물(1)을 포장하므로써 상기 피포장물(1)의 크기에 관계없이 피포장물을 포장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포장부재(10)(10')의 내측면에 완충리브(13)가 돌출되므로써 일면이 테이퍼진 피포장물도 유동됨이 없이 견고하게 포장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다중의 종이골판지를 이용한 포장장치에 의하면, 포장장치가 종이골판지로 이루어져 재생이 가능하고 자연분해될 수 있으므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피포장물이 테이퍼져 있을 경우에도 피포장물을 견고하게 포장함과 동시에 피포장물의 크기에 관계없이 호환성있게 피포장물을 포장할 수 있다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일부면이 테이퍼진 피포장물(1)을 종이골판지를 이용하여서 포장하는 다중의 종이골판지를 이용한 포장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포장물(1)의 상부 및 좌우측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상기 피포장물(1)을 보호하도록 면과 면이 접하는 상기 피포장물(1)의 양측의 변에 밀착되며 L자형상으로 개방되어 종이골판지가 여러겹으로 겹쳐진 한쌍의 상포장부재(10)(10')와, 상기 피포장물(1)의 하부와 전후측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충격으로부터 상기 피포장물(1)을 보호하도록 면과 면이 접하는 상기 피포장물(1)의 전후의 변에 밀착되며 L자형상으로 개방되어 종이골판지가 여러겹으로 겹쳐진 한쌍의 하포장부재(12)(12')와, 상기 하포장부재(12)(12') 및 상기 상포장부재(10)(10')에 의해 포장된 상기 피포장물(1)을 견고하게 포장할 수 있도록 상기 피포장물(1)의 테이퍼진 표면에 일단부가 접하며 상기 상포장부재(10)(10')의 내측면에 하부방향으로 돌출된 완충리브(1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의 종이골판지를 이용한 포장장치.
KR2019950038637U 1995-12-06 1995-12-06 다중의 종이골판지를 이용한 포장장치 KR013127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8637U KR0131271Y1 (ko) 1995-12-06 1995-12-06 다중의 종이골판지를 이용한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38637U KR0131271Y1 (ko) 1995-12-06 1995-12-06 다중의 종이골판지를 이용한 포장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8793U KR970038793U (ko) 1997-07-29
KR0131271Y1 true KR0131271Y1 (ko) 1998-12-01

Family

ID=19432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38637U KR0131271Y1 (ko) 1995-12-06 1995-12-06 다중의 종이골판지를 이용한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127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8793U (ko) 1997-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6677A (en) Packaging system and inflatable packaging cushion
US4098400A (en) Returnable packaging system
US20040188309A1 (en) Packing box and packing method
KR0131271Y1 (ko) 다중의 종이골판지를 이용한 포장장치
JPH10211967A (ja) 段ボール製パッキング
JP4593574B2 (ja) パワー半導体装置の包装装置
WO1980000953A1 (en) Module built shock absorbing system
KR0118110Y1 (ko) 골판지를 이용한 포장장치
JPS633972Y2 (ko)
JPH10287324A (ja) 電子部品の梱包
KR200271045Y1 (ko) 포장재
JP2000006956A (ja) 包装容器
JP2567475Y2 (ja) 包装箱
JP3237245B2 (ja) 緩衝部材及び緩衝部材の製造方法
JP2006008216A (ja) 包装装置
JP3010006B2 (ja) 保護シート
JP2559174Y2 (ja) 被梱包物の梱包構造
JP2002019848A (ja) 包装構造
KR0131929B1 (ko) 포장재 및 그 포장방법
JP2899737B2 (ja) P板ブロック包装箱
JPH09249262A (ja) 梱包用緩衝材
KR0123920B1 (ko) 포장재 및 그 포장방법
KR19990004640U (ko) 부품의 포장구조
JPH03200567A (ja) 包装装置
JPH06345073A (ja) スリーブラップ包装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